전신타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신타자기는 19세기 중반부터 여러 발명가들의 노력을 통해 개발된 통신 장치이다. 초기에는 모스 부호, 인쇄 전신기 등의 기술을 거쳐,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프랑스의 에밀 보도, 미국의 도널드 머레이, 찰스 L. 크럼,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 등이 전신타자기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전신타자기는 텔렉스, 전용 회선, 컴퓨터 입출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주요 제조업체로는 크리드 & 컴퍼니, 클라인슈미트 랩스, 모크럼, 올리베티, 지멘스 & 할스케,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 등이 있다. 팩스, 개인용 컴퓨터, 이메일 등의 등장으로 전신타자기는 쇠퇴했지만, 컴퓨터 터미널, 아마추어 무선 통신 등 일부 분야에서는 그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격 인쇄 -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는 잉크 리본에 핀을 쳐서 점으로 문자와 그래픽을 인쇄하는 충격식 프린터로, 1957년 IBM에서 처음 출시되었고 1980년대 널리 보급되었으나 잉크젯 프린터 등장 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 특수 분야에서 사용된다.
- 타자기 - 타이포그래퍼 (타자기)
 타이포그래퍼는 잉크가 묻은 활자를 이용하여 문자를 기록하는 기계 장치로, 19세기 후반에 발명되어 사무 업무와 문학 활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20세기 초 한국에 도입되어 한글 타자기 개발과 보급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타자기 -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는 1874년 타자기 리본과 먹지 생산으로 시작하여 1896년 타자기 제조 사업에 진출, 1900년 언더우드 5번 모델 출시로 업계 선두를 달렸으며, 이후 엘리엇-피셔 사를 인수하여 언더우드-엘리엇-피셔 사로 재편되었고, 올리베티에 인수된 후 올리베티 휴대용 타자기에 언더우드 브랜드가 사용되다가 현재는 올리베티 금전 등록기에 그 이름이 남아있다.
- 전신 - 전건
 전건은 모스 부호 통신에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 상하식 키, 복식 전신 키, 반자동 전신 키, 자동 전신 키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 전신 - 텔레텍스
 텔레텍스는 문서 작성 중에도 백그라운드에서 다른 문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으로, 헤더 정보를 통해 페이지 번호와 방송사 정보 등을 표시하며, 기존 텔렉스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자 집합과 기호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 전신타자기 | |
|---|---|
| 개요 | |
| 유형 | 전기 기계식 | 
| 기능 | 전기 신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 
| 관련 발명 | 전신 | 
| 역사 | |
| 개발자 | 로열 얼 하우스 | 
| 개발 시기 | 1840년대 | 
| 최초 사용 | 1840년대 | 
| 주요 제조사 |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 지멘스 로렌츠 | 
| 기술적 세부 사항 | |
| 데이터 전송 방식 | 직렬 통신 전류 루프 | 
| 통신 방식 | 전신망 | 
| 프로토콜 | 5단위 보도 코드 (ITA2) 7단위 아스키 코드 | 
| 특징 | |
| 입력 장치 | 키보드 | 
| 출력 장치 | 프린터 | 
| 활용 | |
| 주요 용도 | 뉴스 통신 군사 통신 항공 통신 | 
| 관련 용어 | |
| 관련 기술 | 컴퓨터 모뎀 팩스 | 
| 관련 시스템 | 무선텔레타이프 | 
2. 역사
전신타자기는 새뮤얼 모스, 알렉산더 베인, 로열 얼 하우스, 데이비드 에드워드 휴스, 에밀 보도, 도널드 머레이, 찰스 L. 크럼,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 프레데릭 G. 크리드 등 여러 엔지니어들의 일련의 발명을 통해 발전했다. 전신타자기는 모스 부호 사용 훈련을 받은 조작자 없이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발명되었다. 타자기 사용 훈련을 받은 조작자를 갖춘 2대의 전신타자기 시스템은 2명의 훈련된 모스 부호 조작자를 대체했다. 전신타자기 시스템은 메시지 속도와 전달 시간을 개선하여 수동 개입을 거의 하지 않고도 한 국가에 걸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가능케 했다.[72]
전신타자기의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사건 | 관련 인물 | 
|---|---|---|
| 1835년 | 기록형 전신 고안, 모스 부호 탄생 | 새뮤얼 모스 | 
| 1841년 | 인쇄형 전신 고안 | 알렉산더 베인 | 
| 1846년 | 인쇄 전신기 특허 획득, 워싱턴 D.C.와 뉴욕 간 모스 전신 서비스 운영 | 로열 얼 하우스 | 
| 1849년 | 필라델피아와 뉴욕 시 사이에 유선 전신타자기 회선 설치[9] | |
| 1855년 | 로열 얼 하우스의 연구를 기반으로 개선된 기계 발표 | 데이비드 에드워드 휴스 | 
| 1874년 | 5단위 코드를 사용하는 시스템 설계 | 에밀 보도 | 
| 1901년 | 타자기와 유사한 키보드 개발, 보도 코드 수정 | 도널드 머레이 | 
| 1902년 | 인쇄 전신기 시스템 개발 연구 시작 | 프랭크 피어네, 조이 모튼, 찰스 L. 크럼 | 
| 1908년 | 몰크럼 인쇄 전신기 생산 및 현장 테스트 (알톤 철도) | 몰크럼 컴퍼니 | 
| 1910년 | 보스턴과 뉴욕시 사이 포스탈 텔레그래프 컴퍼니 회선에 최초 상업용 텔레타이프 시스템 설치 | 몰크럼 컴퍼니 | 
| 1916년 | 타입바 페이지 프린터 특허 출원 |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 | 
| 1924년 | 몰크럼-클라인슈미트 컴퍼니 설립, 모델 1P 출시 |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 몰크럼 컴퍼니, 크리드 & 컴퍼니 | 
1928년 등대국 항공기 사업부는 항공 서비스 스테이션 항공 무선국 시스템에 전신타자기를 설치하여 관리 메시지, 비행 정보 및 기상 보고서를 전송했다.[22] 1938년까지, 기상 교통을 처리하는 전신타자기 네트워크는 20,000마일 이상으로 확장되어 메인, 뉴햄프셔 및 사우스다코타를 제외한 48개 주를 모두 커버했다.[23]
전신 타자기 네트워크에는 최소 5가지 주요 유형이 있었다.
- 텔렉스 및 TWX와 같은 교환 시스템
- 전용 회선 및 무선 텔레타이프 네트워크
- 메시지 교환 시스템
- 기상 정보 배포 및 "뉴스 와이어"와 같은 방송 시스템
- "루프" 시스템
컴퓨터 혁명 이전에는 전신 타자기는 전기 기계식 또는 전자식 암호화 장치와 함께 사용하여 안전한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데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2. 1. 초기 전신 기술
1835년 새뮤얼 모스는 기록형 전신을 고안하고 모스 부호를 발명했다.[73][6] 1841년 알렉산더 베인은 인쇄형 전신을 고안했다.[74][8]1846년 모스 전신 서비스는 워싱턴 D.C.와 뉴욕 사이에서 운영되었다. 로열 얼 하우스는 그해에 그의 인쇄 전신기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그는 28개의 건반이 있는 피아노 스타일의 키보드 두 개를 전선으로 연결했다. 각 피아노 건반은 알파벳의 문자를 나타냈으며, 누르면 해당 문자가 수신단에 인쇄되었다. "Shift" 키는 각 메인 키에 두 개의 선택적 값을 제공했다. 송신단에 있는 56자 활자 휠은 수신단의 유사한 휠과 일치하도록 동기화되었다. 특정 문자에 해당하는 키가 홈 스테이션에서 눌리면 (훨씬 나중에 나온) 데이지 휠 프린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문자가 인쇄 위치로 이동할 때 원격 스테이션에서 활자 휠을 작동시켰다. 따라서 동기식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예였다. 하우스의 장비는 분당 약 40개의 즉시 읽을 수 있는 단어를 전송할 수 있었지만 대량 생산하기 어려웠다. 프린터는 시간당 최대 2,000 단어를 복사하고 인쇄할 수 있었다. 이 발명품은 1844년 뉴욕의 기계 연구소에서 처음으로 시연 및 전시되었다.
유선 전신타자기 운영은 1849년 필라델피아와 뉴욕시 사이에 회선이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9]
2. 2. 전신타자기의 발전

1855년, 데이비드 에드워드 휴스는 로열 얼 하우스의 연구를 기반으로 개선된 기계를 선보였다. 2년도 채 안 되어 웨스턴 유니온을 포함한 소수의 소규모 전신 회사가 합병하여 하나의 대기업인 웨스턴 유니온 전신 회사(Western Union Telegraph Co.)를 설립하고 휴스 시스템으로 전신 사업을 수행했다.[10]
프랑스에서, 에밀 보도는 1874년에 5단위 코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했으며, 이 코드는 1877년부터 프랑스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우체국은 1897년에 런던과 파리 사이의 단선 회선에서 사용할 보도 시스템을 채택했으며, 이후 내륙 전신 서비스에서 듀플렉스 보도 시스템을 상당 부분 사용했다.[11]

1901년, 도널드 머레이(1865–1945, 원래 뉴질랜드 출신)는 타자기와 유사한 키보드를 개발하면서 보도의 코드를 수정했다. 머레이 시스템은 작업자가 종이 테이프를 천공할 수 있는 키보드 천공기와 천공된 테이프에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테이프 송신기를 사용했다. 회선의 수신단에서는 인쇄 메커니즘이 종이 테이프에 인쇄하고, 리퍼포레이터(reperforator)를 사용하여 메시지의 천공된 사본을 만들 수 있었다.[12] 작업자의 손 움직임과 전송된 비트 사이에 더 이상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해 코드를 배열할 필요가 없었고, 대신 머레이는 기계의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코드를 설계하여 가장 적게 천공된 구멍을 가진 코드 조합을 가장 자주 사용되는 문자에 할당했다. 머레이 코드는 또한 "형식 효과기" 또는 "제어 문자"(CR (캐리지 리턴) 및 LF (줄 바꿈))로 알려진 것을 도입했다. 보도의 몇몇 코드는 이후로 계속 유지된 위치로 이동했다: NULL 또는 BLANK 및 DEL 코드. NULL/BLANK는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을 때 유휴 코드로 사용되었다.[5]
1902년, 미국의 전기 기술자 프랭크 피어네는 모턴 솔트의 대표인 조이 모튼에게 인쇄 전신기 시스템 개발의 실용성에 대한 연구 후원을 요청했다. 조이 모튼은 이것이 가치 있는 일인지 판단하기 위해 웨스턴 콜드 스토리지 회사의 부사장인 기계 기술자 찰스 L. 크럼에게 자문을 구했다. 크럼은 피어네를 돕는 데 관심이 있었고, 웨스턴 콜드 스토리지의 다락방에 실험 공간을 마련했다. 프랭크 피어네는 1년 후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고 가르치는 일에 참여하기 위해 떠났다. 크럼은 피어네의 작업을 계속했고, 1903년 8월에 '타입바 페이지 프린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13] 1904년, 크럼은 '활자 휠 인쇄 전신기'에 대한 특허를 출원[14]했고, 이는 1907년 8월에 발행되었다. 1906년 찰스 크럼의 아들 하워드 크럼이 이 작업에 합류했다. 실용적인 전신타자기를 가능하게 한 코드 전신 시스템에 대한 시작-정지 동기화 방법을 개발하고 특허를 받은 사람은 바로 하워드였다.[15]
2. 3. 전신타자기 회사의 설립
1908년, 모크럼 컴퍼니는 알톤 철도에서 현장 테스트를 거친 몰크럼 인쇄 전신기를 생산했다.[72] 1910년에는 보스턴과 뉴욕시 사이의 포스탈 텔레그래프 컴퍼니 회선에 최초의 상업용 텔레타이프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치했다.[72] 1916년,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는 타입바 페이지 프린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72] 1924년에는 클라인슈미트와 모크럼 컴퍼니가 합병하여 몰크럼-클라인슈미트 컴퍼니를 설립했고, 같은 해 영국의 크리드 & 컴퍼니는 모델 1P로 전신타자기 분야에 진출했다.[72] 1928년, 회사 이름이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으로 변경되었다.[72]2. 4. 한국에서의 전신타자기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전신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초기에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통신 시설이 파괴되었으나, 전후 복구 과정에서 전신타자기는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텔렉스 등의 형태로 기업 및 정부 기관의 주요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언론사에서는 외신 뉴스를 수신하고 기사를 송고하는 데 전신타자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1980년대 이후, 컴퓨터와 팩스 등의 등장으로 전신타자기는 점차 쇠퇴하였으나, 여전히 일부 분야에서는 활용되고 있다.3. 사용 원리
전신타자기는 모스 부호를 익혀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통신의 자동화를 위한 연구 결과, 인쇄 전신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전신타자기 회로는 통신 사업자로부터 임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전화 회선과 같은 구리선 꼬임쌍선 케이블을 사용하여 고객의 위치에서 통신 사업자의 국까지 연결했다. 국내에서는 텔렉스 또는 TWX 서비스를 위한 교환기에 연결되었고, 전용선의 경우에는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허브나 중계기에 연결하여 1대1 또는 1대다 연결을 구성했다. 2대 이상의 전신타자기 단말기를 같은 회선에 연결할 수도 있었다.
초기 전신타자기의 키보드는 3열이었고, 대문자만 지원했다. 5비트의 보도 코드를 사용하여 분당 60단어 정도의 속도로 통신했다. 이후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ASCII 코드를 채택한 전신타자기 단말기가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1940년대 5비트 보도 코드가 보급되면서 웨스턴 유니온은 전송 속도를 비교하는 지표로 words per minute를 채택했고, 이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스타트 비트는 1비트, 데이터 비트는 5비트, 스톱 비트는 1.42비트 길이로 전송되었다. 스톱 비트가 이러한 길이를 갖는 이유는 기계식 인쇄 기구를 동기화하기 위해서였다. 컴퓨터는 1.42와 같은 시간을 쉽게 생성할 수 없으므로, 1.5로 대체하거나 2.0비트만큼 전송하고 1.0비트만큼 수신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전신타자기 단말기의 속도 지표에는 "operations per minute (OPM)"도 있다. 예를 들어, 60 speed는 368 OPM, 66 speed는 404 OPM, 75 speed는 460 OPM, 100 speed는 600 OPM이다. 웨스턴 유니온의 텔렉스는 일반적으로 390 OPM으로 설정되었으며, 1문자를 7.42비트가 아닌 7비트로 표시했다.
뉴스 제공 서비스나 개별 전신타자기 단말기에는 중요한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벨을 울리는 기능이 있었다. 예를 들어, UPI 통신사의 서비스에서는 벨을 4번 울리는 "Urgent" 메시지, 5번 울리는 "Bulletin", 10번 울리는 FLASH 등이 있었다.
전신타자기 회선에는 5비트 종이 테이프 펀치기나 리더가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다른 회선으로 재전송할 수 있었다. 복잡한 군사 및 상업용 네트워크가 이러한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메시지 센터에는 여러 대의 전신타자기 단말기가 나란히 배치되었고, 대량의 전송을 기다리는 종이 테이프가 놓여 있었다. 숙련된 오퍼레이터는 종이 테이프의 구멍 패턴에서 우선순위 코드를 읽을 수 있었고, 펀치기에서 나오는 고 우선순위 종이 테이프를 그대로 리더에 공급하기도 했다. 일반적인 트래픽은 중계되는 데 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전신타자기 단말기에는 종이 테이프 리더와 펀치가 내장되어 있어, 수신한 메시지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저장하고 오프라인에서 편집할 수 있었다.
무선에서는 RTTY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아마추어 무선의 RTTY에서 "60 speed"가 사실상의 표준이 된 이유는 해당 속도의 단말기를 쉽게 구할 수 있었고,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1953년부터 1972년까지 60 speed만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텔렉스나 통신사의 뉴스 제공 서비스 등은 66 speed를 사용했다. 기기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75 speed나 100 speed로 전환한 사례도 있었지만, 전파 환경에서는 전송 속도를 높이면 오류율이 높아져 60 또는 66 speed가 주로 사용되었다.
3. 1. 작동 방식
전신타자기를 사용할 때는 먼저 송신 측에서 전신타자기의 타자기 자판을 두드리면 종이 테이프에 두드린 문자에 해당되는 모스 부호에 맞게 구멍을 뚫는다. 구멍이 뚫린 테이프를 끌어당겨서 구멍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신호 전류를 흐르게 한다. 수신 측에서는 송신 측에서 받아들인 전류에 따라 해당되는 글자의 활자를 작동시켜, 작동시킨 활자가 종이에 찍혀 인쇄된다.[26]대부분의 전신타자기는 5-비트 국제 전신 문자표 2(ITA2)를 사용했다. 이는 32개의 코드(25 = 32)로 제한되어 있어 알파벳 전체와 숫자 및 기타 문자를 인코딩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키보드는 "FIGS"(문자) 및 "LTRS"(문자) 키를 사용하여 두 개의 인코딩 상태를 허용했다. 두 개의 예약된 문자 중 하나를 보내어 이후의 인코딩된 스트림의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총 60개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문자는 단일 대소문자만 사용).[26] 특수 전신타자기 버전은 기상 보고서와 같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IGS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ITA2 코드는 비동기적으로 시동 및 정지 비트와 함께 사용되었다. 비동기식 코드 설계는 전신타자기의 시동-정지 전자 기계식 설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초기 시스템은 동기식 코드를 사용했지만 기계적으로 동기화하기 어려웠다. FIELDATA 및 Flexowriter와 같은 다른 코드가 도입되었지만 ITA2만큼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26]
마크와 스페이스는 전신타자기 회로의 논리 레벨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전신타자기를 위한 기본 통신 모드는 로터리 다이얼이 전화 신호를 중단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중단되는 단순한 일련의 DC 회로이다. 마킹 조건은 회로가 닫힐 때(전류가 흐르는 경우)이고, 스페이싱 조건은 회로가 열릴 때(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이다. 회로의 "유휴" 조건은 연속적인 마킹 상태이며, 문자의 시작은 항상 스페이스인 "시작 비트"로 신호가 전달된다. 시작 비트 다음에는 문자가 ITA2 코드에서 5비트와 같이 고정된 수의 비트로 표현되며, 각 비트는 특정 문자 또는 기계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마크 또는 스페이스이다. 문자의 비트 뒤에, 송신 기계는 하나 이상의 정지 비트를 보낸다. 정지 비트는 마킹되어, 후속 시작 비트와 구별된다. 송신자가 더 이상 보낼 내용이 없으면, 회선은 단순히 다음 문자의 시작을 나타내는 스페이스가 올 때까지(계속되는 일련의 정지 비트와 같이) 마킹 상태로 유지된다. 문자 사이의 시간은 비트 시간의 정수 배일 필요는 없지만, 수신 기계에서 요구하는 최소 정지 비트 수 이상이어야 한다.[26]
회선이 끊어지면, 연속적인 스페이싱(개방 회로, 전류가 흐르지 않음)은 정지 비트가 없어도 수신 전신타자기가 계속 순환하게 한다. 수신된 문자가 모두 0, ITA2 블랭크(또는 ASCII) 널 문자이므로 아무것도 인쇄하지 않는다.[26]
3. 2. 부호 체계
대부분의 전신타자기는 5비트 국제 전신 문자표 2(ITA2)를 사용했다. ITA2는 32개의 코드(25 = 32)로 제한되어 있어 알파벳, 숫자, 기타 문자를 모두 표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FIGS"(숫자/기호)와 "LTRS"(문자) 키를 사용하여 두 가지 상태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더 많은 문자를 표현했다. FIGS나 LTRS 키를 누르면 이후에 오는 코드들이 각각 숫자/기호 또는 문자로 해석되었다. 이렇게 하면 총 60개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ITA2 코드는 비동기 방식으로, 각 문자 앞에 시작 비트(스페이스)와 끝에 정지 비트(마크)를 붙여 전송했다. 이러한 비동기식 설계는 전신타자기의 시동-정지 전자 기계식 설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초기에는 동기식 코드도 사용되었지만 기계적으로 동기화하기 어려웠다. FIELDATA나 Flexowriter와 같은 다른 코드도 있었지만 ITA2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전신타자기 회로에서 '마크'와 '스페이스'는 논리 레벨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전신타자기의 기본적인 통신 방식은 로터리 다이얼 전화기처럼 단순한 DC 회로의 연결과 끊김을 이용했다. 회로가 닫혀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마크, 회로가 열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스페이스이다. 회로가 유휴 상태일 때는 계속 마크 상태가 유지되며, 문자를 전송하기 시작할 때는 항상 스페이스인 시작 비트를 먼저 보낸다. 시작 비트 다음에는 ITA2 코드에서는 5비트와 같이 고정된 개수의 비트가 오며, 각 비트는 마크 또는 스페이스로 특정 문자나 기계 기능을 나타낸다. 문자 비트 다음에는 하나 이상의 정지 비트가 온다. 정지 비트는 마크 상태이므로 다음에 오는 시작 비트와 구별된다. 더 이상 보낼 내용이 없으면 회선은 다음 문자의 시작 비트(스페이스)가 올 때까지 마크 상태로 유지된다. 문자 사이의 간격은 비트 시간의 정수배일 필요는 없지만, 수신 측에서 요구하는 최소 정지 비트 수 이상이어야 한다.
회선이 끊어지면 연속적인 스페이스(개방 회로, 전류 없음) 상태가 되어 정지 비트가 없어도 수신 전신타자기는 계속 작동한다. 이때 수신되는 문자는 모두 0, 즉 ITA2의 블랭크(또는 ASCII의 널 문자)이므로 아무것도 인쇄되지 않는다.
4. 주요 제조업체 및 모델
모크럼은 1910년 보스턴과 뉴욕의 우편 전신 회사에 인쇄 전신기를 처음으로 상업적으로 설치했다.[35] 이 기기는 철도에서 인기를 얻었고, 1914년 AP 통신은 자사의 전신 서비스에 이를 채택했다.[16][36] 이후 모르크럼은 경쟁사인 클라인슈미트 전기 회사와 합병하여 모르크럼-클라인슈미트 기업이 되었고, 곧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7][38]
지멘스 운트 할스케(이후 지멘스)는 1897년에 설립된 독일의 제조사이다. 지멘스는 일체형 기종이 개발되기 전에도 고속 전신기를 개발했지만, 초기 모델은 종이 테이프 천공용 타자기, 테이프 송신기, 테이프 천공 수신기, 인쇄기 등이 분리되어 설치 공간이 넓어야 했다.[66]
4. 1. 크리드 & 컴퍼니 (Creed & Company)
Creed & Company는 영국의 전신타자기 단말기 제조 기업이다. 영국 우체국의 텔레타이프 서비스용 전신타자기를 제작했다.[35]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16][36][37][38]
| 모델명 | 설명 | 
|---|---|
| Creed model 7E | 오버랩 캠 및 거리 측정기 포함 | 
| Creed model 7B | |
| Creed model 7 | |
| Creed model 7/RP | 전신타자기 리퍼포레이터 | 
| Creed model 54 | |
| Creed model 75 | |
| Creed model 85 | 리퍼포레이터 | 
| Creed model 86 | 리퍼포레이터 | 
| Creed model 444 | GPO type 15 | 
4. 2. 클라인슈미트 랩스 (Kleinschmidt Labs)
1931년, 에드워드 클라인슈미트(Edward Kleinschmidt)는 새로운 종류의 전신 타자기 단말기를 개발하는 회사 클라인슈미트 랩스(Kleinschmidt Labs)를 설립했다.[37] 1944년에는 경량 모델을 개발했고, 1949년에는 육군의 휴대용 전신 타자기 단말기에 채택되었다.[37] 1956년, 스미스 코로나와 합병했고, 더 나아가 Marchant Calculator|마र्चंट 계산기영어와도 합병하여 SCM Corporation이 되었다.[37] 1979년, 클라인슈미트 부문은 분사하여 Electronic Data Interchange가 되었다.[37]4. 3. 모크럼 (Morkrum)
모크럼은 1910년 보스턴과 뉴욕의 우편 전신 회사에 인쇄 전신기를 처음으로 상업적으로 설치했다.[35] 이 기기는 철도에서 인기를 얻었고, 1914년 AP 통신은 자사의 전신 서비스에 이를 채택했다.[16][36] 이후 모르크럼은 경쟁사인 클라인슈미트 전기 회사와 합병하여 모르크럼-클라인슈미트 기업이 되었고, 곧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7][38]4. 4. 올리베티 (Olivetti)
올리베티는 이탈리아의 사무 기기 제조업체로, 이탈리아 우체국을 위해 전신 타자기 단말기를 제조했다. 초기 모델은 종이 리본에 인쇄하여 이를 잘라 전보 용지에 붙여 사용하는 방식이었다.[35]올리베티의 주요 전신타자기 모델은 다음과 같다.
| 모델명 | 생산 기간 | 
|---|---|
| T1 | 1938년–1948년 | 
| T2 | 1948년–1968년 | 
| Te300 | 1968년–1975년 | 
| Te400 | 1975년–1991년 | 
4. 5. 지멘스 & 할스케 (Siemens & Halske)
지멘스 운트 할스케(이후 지멘스)는 1897년에 설립된 독일의 제조사이다. 지멘스는 일체형 기종이 개발되기 전에도 고속 전신기를 개발했지만, 초기 모델은 종이 테이프 천공용 타자기, 테이프 송신기, 테이프 천공 수신기, 인쇄기 등이 분리되어 설치 공간이 넓어야 했다.[66]지멘스에서 생산한 주요 전신타자기 모델은 다음과 같다.
4. 6.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 (Teletype Corporation)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Teletype Corporation)은 1930년부터 아메리칸 전화 및 전신 회사(AT&T)의 웨스턴 일렉트릭 제조 부문의 일부였다. 1928년 12월에 회사 이름이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으로 변경되었다. 1930년,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은 아메리칸 전화 및 전신 회사에 인수되어 웨스턴 일렉트릭의 자회사가 되었다. 1984년, 벨 시스템의 분할로 인해 텔레타이프의 이름과 로고가 AT&T의 이름과 로고로 대체되었고, 결국 이 브랜드는 소멸되었다.[39] 텔레타이프 코퍼레이션의 마지막 흔적은 1990년에 사라졌고, 전용 텔레프린터 사업은 종료되었다.
텔레타이프 기계는 크고 무거우며 매우 견고하여 적절하게 윤활 처리하면 몇 달 동안 중단 없이 작동할 수 있었다.[41] 모델 15는 1930년에 출시되어 1963년까지 생산된, 수년 동안 생산된 몇 안 되는 기계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생산 기간이 다소 연장되었다. 모델 28이 1940년대 중반에 모델 15를 대체할 예정이었지만, 텔레타이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모델 15를 생산하기 위해 많은 공장을 건설했기 때문에 모델 15의 대량 생산을 계속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었다.
텔레타이프사의 주요 모델은 다음과 같다.
4. 7. 한국의 전신타자기 제조업체
| 제조사 | 기종 | 인쇄 방식 | 전송 속도(bps) | 
|---|---|---|---|
| 오키 전기 | ET-4500 | 50, 75, 100 | |
| 오키 전기 | OKITYPER-8000 | 임팩트 도트 매트릭스 | |
| 카시오 계산기 | 타이퓨타 502 ASR | 잉크젯 | 300 | 
| 산요 전기 | STT-601A | 감열식 | 600 | 
5. 전신타자기의 활용
전신 타자기는 단순한 전선 연결부터 공중 전화망, 전환 통신망(텔렉스),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 링크(라디오 텔렉스) 등 다양한 통신 채널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
전신 타자기 네트워크는 크게 다섯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교환 시스템: 텔렉스와 TWX처럼 두 기계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한쪽에서 입력한 내용이 즉시 다른 쪽에 나타나게 했다.
- 전용 회선 및 무선 텔레타이프 네트워크: 정부와 기업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조직 내 부서 간 빠른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 메시지 교환 시스템: 초기 형태의 이메일로, 전보, 웨스턴 유니온 등에서 사용되었다. 군사 조직에서도 유사한 시스템을 활용했다.
- 방송 시스템: AP 통신, 국립 기상청, 로이터 등에서 기상 정보나 뉴스 속보를 "와이어 기계"로 수신하는 데 사용되었다.
- "루프" 시스템: 루프 내 모든 기계에서 입력한 내용이 모든 기계에 인쇄되는 방식으로, 미국 경찰서에서 구역 간 연결에 활용되었다.[25]
컴퓨터 혁명 이전에는 전신 타자기가 전기 기계식 또는 전자식 암호화 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안전한 통신 채널을 제공했다. 텍스트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보안을 위한 적절한 타협점으로 여겨졌다.
원래 전신 타자기는 통신을 위해 사용된 전동 기계식 타자기였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작동하는 타자기나 프린터라는 의미에서 텔레타이프(teletype) 또는 텔레프린터(teleprinter)라고 불렸다. (tele-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접두사로, "멀리 떨어져"라는 뜻이다.)
전신타자기는 통신용, 컴퓨터 입출력용, 종이 테이프 기능, 프로토콜등으로 활용되었다.
- 통신용: 초기에는 유선 전신에 사용되었고, 두 대를 전선으로 연결하면 작동했다. 이후 유선 및 무선 통신, 전용선, 교환망, 무선 회선, 마이크로파 링크 등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활용되었다.
- 컴퓨터 입출력용: 메인프레임 및 미니컴퓨터의 입출력용 단말로 사용되었으며, 시분할 시스템이 보급되면서 모뎀을 통해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사용되기도 했다.
- 종이 테이프 기능: 일부 전신 타자기는 종이 테이프에 입력 또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록하고, 이를 다시 인쇄하거나 전송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이 종이 테이프는 컴퓨터 입출력에도 사용되었다.
- 프로토콜: 전신 타자기의 프로토콜은 현재에도 PC 통신, UNIX 시스템 등에서 "TTY"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항공 관제 업무(Aeronautical Fixed Telecommunication Network|국제 항공 고정 통신망영어)와 청각 장애인을 위한 통신 장치(TDD)에서도 활용된다.
5. 1. 텔렉스 (Telex)

텔렉스는 1920년대 후반에 개발되어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비즈니스 통신에 사용된 전신 타자기 네트워크이다. 표준 전신 타자기와 가장 큰 차이점은 텔렉스에는 펄스 전화 다이얼링을 기반으로 하는 스위치 라우팅 네트워크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웨스턴 유니온이 이 서비스를 제공했다. AT&T는 TWX라는 경쟁 네트워크를 개발했는데, 이 네트워크는 처음에 로터리 다이얼링과 보도 코드를 사용했으며, 고객 구내까지 금속 구리 쌍에 DC 펄스로 전송되었다. TWX는 나중에 벨 103 유형 모뎀을 사용하여 두 번째 ASCII 기반 서비스를 추가했으며, 이 서비스는 일반 전화선과 동일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가진 회선을 통해 제공되었다. 많은 경우 TWX 서비스는 음성 통화를 처리하는 것과 동일한 전화 중앙국에서 제공되었으며, 서비스 등급을 사용하여 POTS 고객이 TWX 고객에게 연결하는 것을 방지했다. 텔렉스는 해운, 뉴스, 일기 예보 및 군사 명령과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텔렉스/TWX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많은 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이 인터넷으로 이동했다.
텔레타이프 단말기를 사용한 주요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5가지가 있었다.
- 텔렉스 등의 교환망: 두 단말기 간에 실시간 회선을 형성하여, 한쪽에서 타이핑한 내용이 즉시 다른 쪽에 나타난다. 미국과 영국의 시스템은 전화기의 다이얼이 있었지만, 독일의 시스템은 키보드로 상대방의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타이핑으로 대화도 가능하지만, 접속 시간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미리 종이 테이프에 송신 메시지를 천공해두고, 통신 중에는 타이핑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전용 회선과 무선 텔레타이프망: 정부 기관이나 기업이 정보 통신에 사용했다. 이용 빈도가 높고 광역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공중 교환망을 사용하는 것보다 전용 회선에 의한 전화망을 설치하는 것이 요금을 절감할 수 있었다.
- 메시지 교환 시스템: 전자 메일과 같은 것이다. 군대도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했다.
- 방송 시스템: 기상 정보나 뉴스를 배포. AP 통신, 미국 국립 기상청, 로이터, UPI 통신사 등을 참조.
- "루프" 시스템: 루프에 속하는 임의의 머신에서 타이핑하면, 루프 내의 모든 머신에서 인쇄된다. 예를 들어, 경찰이 각 경찰서를 이러한 시스템으로 상호 연결했다.[25]
5. 2. 컴퓨터 입출력
컴퓨터는 초기 컴퓨팅 시대부터 입출력을 위해 전신타자기를 사용했다. 천공 카드 판독기와 고속 프린터가 대부분의 목적을 위해 전신타자기를 대체했지만, 1970년대 후반 비디오 컴퓨터 디스플레이가 널리 보급될 때까지 전신타자기는 대화형 시분할 컴퓨터 터미널로 계속 사용되었다.사용자는 프롬프트 문자가 인쇄된 후에 명령을 입력했다. 인쇄는 단방향이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삭제하려면 이전 텍스트가 취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 문자가 인쇄되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가 처음 사용 가능해졌을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초기에는 전자기계식 프린터와 정확히 동일했다. 비싸고 부족한 비디오 터미널은 전신타자기와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이것이 텍스트 터미널과 명령줄 인터페이스의 기원이 되었다.
천공 테이프는 때때로 컴퓨터 세션을 오프라인으로 준비하고 컴퓨터 출력을 캡처하는 데 사용되었다. 널리 사용된 텔레타이프 모델 33은 보도 대신 7비트 ASCII 코드를 사용했다(8번째 패리티 비트 포함). 일반적인 모뎀 통신 설정인 '시작/정지 비트'와 '패리티'는 텔레타이프 시대에서 유래되었다.
디지털의 RT-11과 같은 초기 운영 체제에서 직렬 통신 회선은 종종 전신타자기에 연결되었고 `tt`로 시작하는 장치 이름이 지정되었다. 이와 유사한 규칙은 다른 많은 운영 체제에서 채택되었다.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는 접두사 `tty`를 사용한다(예: `/dev/tty13`). `pty`(가상 tty의 경우)를 사용한다(예: `/dev/ptya0`). 그러나 일부 운영 체제(예: Solaris 및 최신 리눅스)는 pty 파일을 pts 폴더로 대체했다(여기서 "pt"는 "가상 터미널"을 의미). 많은 컴퓨팅 환경에서 "TTY"는 외부 시스템 콘솔 장치, 시리얼 포트 장치의 모뎀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는 사용자, 컴퓨터의 시리얼 포트 또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된 USB-to-RS-232 컨버터의 RS-232 포트의 인쇄 또는 그래픽 컴퓨터 터미널, 또는 가상 터미널 장치를 사용하는 윈도우 시스템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모든 텍스트 터미널의 이름이 되었다.
전신타자기는 또한 일부 TXE 전화 교환기에서 오류 출력 및 기타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5. 3. 텔레타이프세터 (Teletypesetter)
6비트 문자 코드인 텔레타이프세터 코드(TTS)는 뉴스 통신사에서 사용되었다. 1928년에 처음 시연되었고 1950년대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44] "시프트 인" 및 "시프트 아웃" 코드를 사용하여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신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호, "왼쪽 정렬" 또는 "가운데 정렬"과 같은 조판 지침, 이탤릭체 또는 굵은 글꼴로 전환하고 로마체("상단 레일")로 되돌리는 "보조 글꼴"까지 나타낼 수 있었다.[45]TTS는 문자 너비와 열 너비 또는 줄 길이를 고려하여 정렬된 텍스트를 생성한다.
구독자 신문사에는 종이 테이프 펀처("리퍼포레이터")가 있는 모델 20 텔레타이프 기계가 설치되었다. 원래 이 기계들은 단순히 종이 테이프를 펀칭했고, 이 테이프는 라인타입 기계에 설치된 "Teletypesetter 운영 장치"에 연결된 테이프 리더로 읽을 수 있었다. "운영 장치"는 테이프에서 읽은 코드에 따라 라인타입의 키보드 및 기타 제어 장치를 작동시키는 기계 상자로, 신문과 잡지에 인쇄할 활자를 만들었다.[46]
이로 인해 라인타입의 생산 속도가 빨라졌으며, 테이프를 먼저 펀칭한 다음 기계에 공급하는 현지 사용과 테이프 송신기 및 수신기를 사용하는 원격 사용 모두에 사용되었다.
원격 사용은 신디케이트 칼럼니스트의 신디케이트 칼럼, 통신사 뉴스, 광고 등 동일한 콘텐츠를 광범위한 지리적 영역의 다양한 출판물에 배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후기에는 TTS 코드를 전달하는 6비트 전류 루프 신호가 미니컴퓨터 또는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저장, 편집 및 사진 식자기에 공급되었다.
5. 4. 기타 활용 분야
항공 관제 업무에서는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Aeronautical Fixed Telecommunication Network|국제 항공 고정 통신망영어) TDD는 청각 장애인이 전화 회선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다.[24]6. 전신타자기의 쇠퇴와 현대적 의의
팩스, 개인용 컴퓨터, 잉크젯 프린터, 이메일, 인터넷의 등장으로 전용 구리선에 연결된 전신타자기는 기능적으로 쓸모없게 되었다.[68] 그러나, 전신타자기의 프로토콜은 PC 통신과 UNIX 시스템 등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는 패킷 무선이 아마추어 무선 통신의 주된 디지털 통신 형태로 자리 잡았다. AEA PK-232와 같은 고급 멀티모드 전자 인터페이스가 개발되면서, 보드 코드를 비롯한 다양한 변조 유형의 송수신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가정이나 랩톱 컴퓨터가 전신 타자기를 대체하며 비용, 복잡성, 공간, 종이 사용량 등의 문제를 해결했다.
청각 장애인이 전화 회선을 통해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용 문자 전화" ( Telecommunications Devices for the Deaf, TDD)에도 전신타자기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이처럼 전신타자기는 통신 기술 발전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며, 통신 기술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간행물
 
History Of Teletype Development
 
https://web.archive.[...] 
[2] 
간행물
 
Distant Writing
 
http://distantwritin[...]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odern Computer Keyboard
 
https://history-comp[...] 
2021-01-04
 
[4] 
논문
 
Aeronautical Fix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urrounding technologies
 
Civil Aviation Technology College
 
2021
 
[5] 
뉴스
 
Typewriter May Soon Be Transmitter of Telegrams
 
https://timesmachine[...] 
1914-01-25
 
[6] 
웹사이트
 
Type used for original morse telegraph, 1835
 
http://collection.sc[...] 
2017-12-05
 
[7] 
웹사이트
 
3. Cooke and Wheatstone
 
https://distantwriti[...] 
[8] 
웹사이트
 
Distant Writing – Bain
 
http://distantwritin[...] 
[9] 
논문
 
Silent Key – Edward Kleinschmidt
 
https://archive.org/[...] 
1977-10
 
[10] 
웹사이트
 
David Edward Hughes
 
http://people.clarks[...] 
Clarkson University
 
2007-04-14
 
[11] 
웹사이트
 
Five-unit codes
 
http://www.nadcomm.c[...] 
2012-05-01
 
[12] 
간행물
 
A Successful Printing Telegraph
 
https://books.google[...] 
1901-08
 
[13] 
특허
 
1908-05
 
[14] 
특허
 
[15] 
특허
 
1918-12
 
[16] 
서적
 
Encyclopedia of 20th Centu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웹사이트
 
Morkum Printing Telegraph Page Printer
 
http://www.baudot.ne[...] 
[18] 
특허
 
TELEGRAPH PRINTER
 
1916-04-14
 
[19] 
특허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RINTING TELEGRAPHS
 
1919-05-01
 
[20] 
서적
 
The Worldwide History of Telecommunications
 
Wiley-IEEE
 
[21] 
서적
 
Fernschreibtechnik
 
Militärverlag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VEB)
 
1987
 
[22] 
웹사이트
 
Flight Service History 1920-1998
 
http://www.atchistor[...] 
2016-10-19
 
[23] 
웹사이트
 
FAA HISTORICAL CHRONOLOGY, 1926-1996
 
https://web.archive.[...] 
2005-12-17
 
[24] 
웹사이트
 
AP teletype machine
 
https://history.capi[...] 
2022-03-05
 
[25] 
특허
 
Signaling system
 
1944-03-29
 
[2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RTTY
 
http://www.samhallas[...] 
[27] 
웹사이트
 
RTTY Demodulators
 
http://w7ay.net/site[...] 
[28] 
웹사이트
 
ASR 33 Teletype Rear View of Main Assembly
 
http://www.pdp8onlin[...] 
[29] 
웹사이트
 
TELETYPE MODEL 32ASR.
 
http://www.k7tty.com[...] 
[30] 
간행물
 
Baudot.net: Creed & Company, Ltd.
 
http://www.baudot.ne[...] 
[31] 
웹사이트
 
Gretag ETK-47 14-bit teleprinter system
 
https://www.cryptomu[...] 
2016-07-04
 
[32] 
웹사이트
 
ETK teletype equipment series
 
http://www.jproc.ca/[...] 
[33] 
웹사이트
 
Other manufacturers of teleprinter machines that use the Hellschreiber principle
 
https://www.nonstops[...] 
[34] 
웹사이트
 
The Hagelin - Gretener Cipher Teleprinter
 
https://www.nsa.gov/[...] 
[35] 
서적
 
Encyclopedia of 20th-centu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웹사이트
 
Morkum Printing Telegraph Page Printer
 
http://www.baudot.ne[...] 
2011-08-22
 
[37] 
웹사이트
 
Queensland Telecommunications Museum – Teleprinters
 
http://www.telemuseu[...] 
Queensland Telecommunications Museum
 
[38] 
서적
 
The Morkrum System of Printing Telegraphy
 
https://archive.org/[...] 
Armour Institute of Technology (thesis)
 
[3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eletype Corporation
 
http://www.kekatos.c[...] 
2010-03-03
 
[40] 
웹사이트
 
US trademark database
 
https://tmsearch.usp[...] 
[41] 
서적
 
Adjustments, Type Bar Page Printer, (Model 15)
 
http://www.bitsavers[...] 
Teletype Corporation
 
[42] 
웹사이트
 
ASR 33 Teletype Information
 
https://www.pdp8onli[...] 
[43] 
웹사이트
 
Old Vintage Computing Research: Refurb weekend: Texas Instruments Silent 700 Model 745 teletype
 
http://oldvcr.blogsp[...] 
2022-02-17
 
[44] 
서적
 
American Journalism: History, Principles, Practices
 
https://archive.org/[...] 
McFarland
 
2002-04-10
 
[45] 
서적
 
The Linotype Handbook for Teletypesetter Operation
 
https://archive.org/[...] 
digital reprint by www.CircuitousRoot.com
 
1951
 
[46] 
웹사이트
 
Teletypes in Typesetting
 
https://www.smecc.or[...] 
Southwest Museum of Engineering, Communications and Computation
 
2017-04-25
 
[47]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テレタイプ】。ブリタニカではあくまで【テレタイプ】で項目を立てている。「テレタイプ端末」ではない。"
 
https://kotobank.jp/[...] 
[48] 
문서
 
Merriam Webster, teletype.
 
https://www.merriam-[...] 
[49] 
간행물
 
"''RTTY Journal'' Vol. 25 No. 9, October 1977: 2."
 
[50] 
웹사이트
 
David Edward Hughes
 
http://people.clarks[...] 
Clarkson University
 
2010-09-29
 
[51] 
웹사이트
 
Five-unit codes
 
http://www.nadcomm.c[...] 
2012-05-01
 
[52] 
학술
 
A Successful Printing Telegraph
 
https://books.google[...] 
2009-07-09
 
[53] 
뉴스
 
Typewriter May Soon Be Transmitter of Telegrams
 
http://query.nytimes[...] 
1914-01-25
 
[54] 
웹사이트
 
U.S. Patent 888,335 issued in May, 1908
 
http://patimg1.uspto[...] 
2011-08-13
 
[55] 
웹사이트
 
U.S. Patent 862,402
 
http://patimg1.uspto[...] 
2011-08-13
 
[56] 
웹사이트
 
U.S. Patent 1,286,351 filed in May, 1910, and issued in December, 1918
 
http://patimg2.uspto[...] 
2011-08-13
 
[57] 
서적
 
Encyclopedia of 20th Centu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58] 
웹사이트
 
Morkum Printing Telegraph Page Printer
 
http://www.baudot.ne[...] 
2011-08-15
 
[59] 
웹사이트
 
TELEGRAPH PRINTER
 
https://www.google.c[...] 
USPO
 
2008-07-11
 
[60] 
웹사이트
 
METHOD OF AND APPARATUS EOR OPERATING PRINTING TELEGRAPHS
 
https://www.google.c[...] 
USPO
 
2008-07-11
 
[61] 
서적
 
The Worldwide History of Telecommunications
 
Wiley-IEEE
 
[62] 
웹사이트
 
ASR 33 Teletype Rear View of Main Assembly
 
http://www.pdp8.net/[...] 
2013-06-01
 
[63] 
웹사이트
 
Teletype Model 32ASR
 
http://www.k7tty.com[...] 
2013-06-01
 
[64] 
서적
 
Encyclopedia of 20th-century technology
 
https://books.google[...] 
[65] 
웹사이트
 
Morkum Printing Telegraph Page Printer
 
http://www.baudot.ne[...] 
2011-08-22
 
[66] 
웹사이트
 
Queensland Telecommunications Museum – Teleprinters
 
http://www.telemuseu[...] 
Queensland Telecommunications Museum
 
2013-06-01
 
[67] 
서적
 
The Morkrum System of Printing Telegraphy
 
https://archive.org/[...] 
Armour Institute of Technology (thesis)
 
[6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eletype Corporation
 
http://www.kekatos.c[...] 
2010-03-03
 
[69] 
서적
 
Adjustments, Type Bar Page Printer, (Model 15)
 
http://www.bitsavers[...] 
Teletype Corporation
 
[7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rinting and Printing Processes
 
http://inventors.abo[...] 
2008-07-15
 
[71] 
웹사이트
 
Geroge Stibits
 
https://history-comp[...] 
[72] 
뉴스
 
Typewriter May Soon Be Transmitter of Telegrams
 
https://timesmachine[...] 
뉴욕 타임스
 
1914-01-25
 
[73] 
웹인용
 
Type used for original morse telegraph, 1835
 
http://collection.sc[...] 
2017-12-05
 
[74] 
웹인용
 
Distant Writing - Bain
 
http://distantwrit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