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치 자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치 자금은 정당, 기업, 개인, 이익 단체 등으로부터 조달되며, 정치적 입장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로비로 간주된다. 정당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기부 감시 강화로 인해 공적 자금 지원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직접 지원(금전적 이전)과 간접 지원(방송 시간, 우편 서비스 등) 형태로 나뉜다. 정치 자금은 선거 비용, 인건비, 정당 활동 비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규제를 받는다. 각 국가별로 정치 자금 관련 법규가 존재하며, 한국, 일본 등에서도 정치 자금의 종류, 사용, 규제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법률로 규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자금 - 독일 연방의회 교섭단체
    독일 연방의회 교섭단체는 독일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원들의 모임으로, 기민련/기사련, 사민당, 자민당, 동맹 90/녹색당, AfD 등의 주요 정당과 과거 PDS, 좌파당, 그리고 2024년 새롭게 등장한 BSW 그룹 등이 각자의 정치적 성향과 이념을 바탕으로 활동한다.
  • 정치 자금 - 정치후원금
    정치후원금은 정당이나 정치인에게 기부되는 자금으로, 기탁금과 후원금으로 나뉘며, 정치 자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규제가 존재하고 불법 자금 흐름과 정경유착 사건이 문제시되고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정치 자금
정치 자금
정치 자금 개요
정치 자금 개요
개요
유형기부
보조금
대출
자체 자금
규제 대상기부 한도
지출 한도
투명성 요구 사항
목적
목적선거 캠페인 자금 조달
정당 운영
정치 활동 지원
영향
영향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 행사
부패 가능성
정치적 불평등 심화
규제
규제자금 출처 공개 의무화
기부 및 지출 한도 설정
독립적인 감독 기관 설치
논란
논란익명 기부의 허용 여부
기업 및 노동조합의 기부 허용 여부
정부 보조금의 적절성

2. 정치 자금의 종류 및 조달

정치 자금은 당비, 정치후원금, 기탁금, 보조금, 그리고 정당의 당헌 및 당규에 따른 부대 수입 등으로 구성된다.[3] 정당은 단체, 기업, 개인 기부자 및 이익 단체(예: 노동 조합)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원이 정당의 정치적 입장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로비라고 불린다.[3]

20세기 후반부터 기업 기부나 회비에 의존하던 정당들은 기부 감시 강화와 당원 수 감소로 인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3] 예를 들어, 영국의 정치 자금과 호주의 정치 기부에서 2006년 주요 정당의 당원 수는 1950년에 비해 8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3]

개인 자금과 공적 자금의 중간 형태인 미국의 공적 자금 지원 프로그램은 납세자가 연방 소득세의 3USD를 적격 대통령 후보의 비용 충당에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게 한다.[4]

프랑스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이후 정당, 아일랜드의 사회당(아일랜드), 네덜란드의 사회당(네덜란드) 등 일부 정당에서는 선출된 대표가 평균 산업 근로자의 임금만 받고 나머지는 당 자금으로 기여한다. 네팔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현직 정치인들의 지대 추구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5]

영국의 정치 자금에서는 정당 기부자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하여 상원 의원이 되게 하는 사례가 있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는 귀족 작위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1925년 명예(남용 방지)법이 제정되어 귀족 작위 등의 판매를 범죄 행위로 규정했다.[6] 그러나 일부 기부자는 대출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법을 회피하려 했고, 이는 "귀족 작위 매매" 스캔들을 야기했다.

이러한 활동과 영향력 행사 의혹은 기부 상한선 요구를 불러왔다. 선거 비용 증가에 따라 정당 자금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일부 정치인이 정당 보조금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입법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국가에서 정당 활동에 대한 보조금이 도입되었다. 독일, 스웨덴, 이스라엘, 캐나다, 호주,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이 대표적이며, 프랑스, 일본, 멕시코, 네덜란드, 폴란드도 이에 동참했다.

공적 자금 지원은 직접 지원(금전적 이전)과 간접 지원(국영 방송 시간, 우편 서비스 이용, 물품 지원 등)으로 나뉜다.[7] ACE 선거 지식 네트워크에 따르면, 180개국 이상 중 25%는 공적 자금 지원을 제공하지 않으며, 58%는 직접 지원, 60%는 간접 지원을 제공한다. 일부 국가는 두 가지를 모두 제공한다.[7]

자금 지원은 모든 정당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이전 선거 결과[8] 또는 후보자 수[9]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당은 사적, 공적 자금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선거 관리 기구에 재정을 공개해야 한다.[10]

초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대외 원조를 통한 자금 지원도 이루어졌다. 국제 기증자들은 개발도상국 정당에 민주주의와 굿 거버넌스 증진, 또는 선호 정당 지원을 위해 재정 지원을 제공한다. 지원은 재정적 지원 외에도 정당 선언문, 헌법 개발, 선거 운동 기술 등 역량 개발 활동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5]

대외 원조의 목표는 기능하는 글로벌 사회 유지를 위한 국제적 개발 지원이다. 현대 대외 원조의 주요 원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셜 플랜과 1961년 미국 대외 원조법에서 결정되었다.[11] 이념적으로 관련된 정당 간 관계 발전은 정당에 대한 국제적 지원의 또 다른 특징이다.[5] 이는 장미 혁명 배후의 조지아 정당에 대한 미국 정부 지원처럼 정치적 목표에 대한 직접 지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기증자들은 여러 기증자가 모든 정당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중립적 기반으로 활동한다.[5] 해외 개발 연구소 같은 싱크탱크는 거버넌스 개선을 위해 정당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5]

2. 1. 일본

일본의 정치자금은 정치자금규정법에 따라 규제된다. 국정 정당, 정당 지부, 정치자금 단체, 정치인 개인의 자금 관리 단체 등이 '정치 단체'로 규정되며, 이들 간의 기부는 원칙적으로 무제한이다. 단, 정당 및 정치자금 단체를 제외한 정치 단체 간의 기부는 연간 5000만으로 제한된다.[18][19]

일본 국정 정당의 주요 수입원은 다음과 같다.

  • 정당 교부금: 정당조성법에 따라 의석수나 득표수에 따라 교부된다.[20]
  • 기부: 개인, 정치 단체, 기업, 노동조합 등으로부터의 기부를 포함한다.[19][21][22]
  • 당비
  • 사업 수입: 기관지 수입, 정치 자금 파티 티켓 수입 등이 포함된다.
  • 입법 사무비: 입법 사무비 교부법에 따라 소속 의원 수에 따라 회파에 지급된다.[23]


정당은 하나의 정치 자금 단체를 지정할 수 있다.[24] 정치인(공직 후보자) 개인의 수입원은 세비법에 따른 수당, 자금 관리 단체가 관리하는 자금, 정당에서 개인에게 기부하는 정책 활동비 등이 있다.[17][25] 정당은 정치인의 자금 관리 단체에 기부하여 개인에게 자금을 공급할 수 있다.[26]

개인이나 정치 단체가 공직 후보자에게 금전 등을 기부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지만, 물품 기부는 가능하다.[27] 선거 운동에 관한 금전 기부는 허용된다.[27][28]

정책 활동비는 정당이 정치인 개인에게 하는 기부금으로, 사용처 공개 의무가 없다.[25][29] 2024년 개정 정치자금 규정법 부칙에서 항목별 사용처와 지출 연월, 10년 후 영수증 공개가 결정되었으나, 구체적인 제도 설계는 미뤄졌다.[30][31] 입헌민주당은 정당이 정치인 개인에게 기부하는 것을 금지하고, 정당 기부 대상을 정치인의 정당 지부 또는 자금 관리 단체로 제한할 것을 주장한다.[32]

2024년 12월 16일, 자유민주당과 입헌민주당은 정책 활동비 전면 폐지에 합의했고, 다음 날 17일 중의원에서 정치자금 규정법 개정안이 가결되었다.[33] 당초 자민당은 정책 활동비 폐지 대신 정당의 외교상 비밀 관련 지출 등을 비공개하고 제3자 기관 감사를 받도록 하는 '공개 방법 고안 지출' 창설을 제안했으나, 야당 반대로 철회되었다.[34][35][36]

2. 2. 기타 국가

많은 국가에서 정당 활동에 대한 보조금을 도입했다.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은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 독일, 스웨덴, 이스라엘, 캐나다, 호주,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이 그 예시이다. 최근에는 프랑스, 일본, 멕시코, 네덜란드, 폴란드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공적 자금 지원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7]

  • 직접 지원 - 정당에 대한 금전적 이전이 수반된다.
  • 간접 지원 - 국영 방송에서의 방송 시간, 우편 서비스 이용 또는 물품 지원 등이 포함된다.


ACE 선거 지식 네트워크의 비교 데이터에 따르면, 180개 이상의 국가 표본 중 25%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공적 자금 지원을 제공하지 않으며, 58%는 직접적인 공적 자금 지원을, 60%는 간접적인 공적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당에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공적 자금 지원을 모두 제공한다.

자금 지원은 모든 정당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이전 선거 결과[8] 또는 선거에 참여하는 후보자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9] 종종 정당은 사적 자금과 공적 자금의 혼합에 의존하며, 선거 관리 기구에 재정을 공개해야 한다.[10]

3. 정치 자금의 사용

정치 자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1]

항목내용
선거 관련 비용
정당인 관련 비용
인건비정치 단체 직원의 급여, 제반 수당, 사회 보험료
광열수도비전기, 가스, 수도 사용료 및 계량기 사용료
비품・소모품비책상, 복사기, 자동차, 봉투 등의 구입비, 신문・잡지 대금, 휘발유 대금
사무소비사무소 임차료(지대, 월세), 공과금(사업소 주민세 등), 화재 보험금 등의 각종 보험금, 전화 사용료, 우표 구입비, 수선료 등 사무소 유지에 필요한 경비
조직 활동비행사비, 조직 대책비, 교제비
기관지 및 기타 사업비 발행기관지 재료비, 인쇄비, 발송비, 파티 개최비
조사 연구비연수회비, 서적 구입비
기부·교부금정치 활동에 대한 기부 및 회비
기타 경비차입금 상환, 대여금


4. 정치 자금 규제

정치자금규정법에서는 정당, 정치자금 단체, 정치인 개인의 자금 관리 단체 등을 '정치 단체'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기부는 원칙적으로 무제한 허용한다. 단, 정당 및 정치자금 단체를 제외한 정치 단체 간의 기부는 연간 5,000만 엔으로 제한된다.[25]

정치 자금 규제법 제12조에 따라 정치 단체는 수입 내역과 지출 사용처를 공개해야 한다. 그러나 연간 5만 엔 이하의 기부나 20만 엔 이하의 정치 자금 파티 티켓 구매는 수입 상세 내역을 공개할 필요가 없다.

기업·단체 헌금은 정책을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2] 공직 후보자에 대한 기부는 금지되지만, 정치 자금 파티 티켓 구매는 허용되어 실질적인 기부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있다.[24][39][40][41] 또한, 정치인 개인이 대표를 맡는 정당 지부에 대한 기부는 허용된다는 문제점도 있다.[39]

정치 자금과 관련된 주요 규제 및 연혁은 다음과 같다.

종류내용
정치인에 대한 금전 기부 금지선거 운동 관련, 정당이 하는 것을 제외[25] (정치자금 규제법 21조의 2)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정당 등 이외의 정치 단체·정치인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1조)
보조금 수급·출자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보조금 수급·출자 회사 등에 의한 정당 등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3)
계약 당사자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와 도급 기타 특별한 이익을 수반하는 계약 당사자에 의한 선거에 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
금융 기관 융자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이자 보급을 받은 금융 기관으로부터 융자를 받은 회사 등에 의한 선거에 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
적자 회사에 의한 기부 금지적자 회사에 의한 정당 등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4)
외국인·외국 단체에 의한 기부 금지외국인·외국 단체에 의한 정치 단체·정치인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5)
기부액 제한정치 단체·정치인이 받는 기부액의 제한 (정치자금 규제법 21조의 3~22조의 2)
정치 자금 파티 대가 지불액 제한정치 자금 파티의 대가 지불액의 제한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8)
정치인에 의한 기부 금지정치인에 의한 선거구 내의 자에 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의 2)
정치인 관계 회사, 후원회 등에 의한 기부 금지정치인의 관계 회사, 후원회 등에 의한 선거구 내의 자에 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의 3~5)
선거 운동 비용 제한선거 운동 비용의 제한 (공직선거법 194조)
정치 자금의 투기적 운용 금지정치 자금의 투기적 운용 금지 (정치자금규정법 8조의 3)
자금관리단체에 의한 부동산 등 취득 금지자금관리단체에 의한 부동산 등의 취득 금지 (정치자금규정법 19조의 2의 2)
보고서 제출



연도내용
1948년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도 아래 정치자금규정법 제정. 정치 자금 수입과 지출 공개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양적 제한은 마련되지 않음.
1975년조선 의혹, 매춘 오염 사건, 다나카 쇼지 사건, 공화 제당 사건 (검은 안개 사건) 등 부정부패・의혹 사건을 계기로 정치 자금 관련 법률 개정. 기부량 제한 도입, 개인 헌금에 대한 세제상 우대 조치 창설.
1992년정치 자금 파티에 관한 규제 도입.
1994년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도입을 중심으로 선거 제도 개혁. 정당 보조금 제도 창설과 함께 기업·단체 헌금 규제 강화. (이른바 "정치 개혁").
2000년자금 관리 단체에 대한 기업·단체 헌금 금지.
2007년국회의원 관계 정치 단체에 관한 법률 개정.
2024년정책 활동비 폐지. 정치 자금을 점검하는 제3자 기관을 국회에 설치, 외국인의 파티권 구매 금지, 수지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정치 개혁 관련 법 개정.


4. 1. 일본

일본의 정치 자금 제도는 정치자금규정법에 의해 규정되며, 1948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도 아래 제정되었다. 이 법은 정치 단체 간의 기부를 원칙적으로 무제한 허용하지만, 정당 및 정치자금 단체를 제외한 단체 간 기부에는 연간 5,000만 엔의 제한을 둔다.[25]

정책 활동비는 정당이 정치인 개인에게 주는 기부금으로, 사용처 공개 의무가 없다.[29] 2024년 개정 정치자금 규정법에서는 항목별 사용처와 지출 연월을 공개하고 10년 후 영수증을 공개하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제도 설계는 미뤄졌다.[30][31] 입헌민주당은 정당이 정치인 개인에게 기부하는 것을 금지하고, 기부 대상을 정치인의 정당 지부나 자금 관리 단체로 제한할 것을 주장한다.[32]

2024년 12월 16일, 자유민주당과 입헌민주당은 정책 활동비를 전면 폐지하기로 합의했고, 다음 날 17일 중의원에서 정치자금 규정법 개정안이 가결되었다.[33] 당초 자민당은 정책 활동비 폐지 대신 '공개 방법 고안 지출'을 창설하려 했으나, 야당의 반대로 철회되었다.[34][35][36]

정치 자금 규제법 제12조에 따라 정치 단체는 수입 상세 내역과 지출 사용처 공개가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연간 5만 엔 이하의 기부나 20만 엔 이하의 정치 자금 파티 티켓 구매는 수입 상세 내역 공개 의무가 없다.

기업・단체 헌금은 정책 왜곡의 비판을 받으며,[22] 공직 후보자에 대한 기부는 금지되지만, 정치 자금 파티 티켓 구매는 허용되어 실질적인 기부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있다.[24][39][40][41] 또한, 정치인 개인이 대표를 맡는 정당 지부에 대한 기부는 허용된다는 문제점도 있다.[39]

정치자금규정법은 1975년 조선 의혹 등의 부정부패 사건을 계기로 기부량 제한, 개인 헌금 세제 우대 조치가 도입되는 등 개정되었다. 1994년에는 기업·단체 헌금 규제 강화, 2000년에는 자금 관리 단체에 대한 기업·단체 헌금 금지, 2024년에는 정책 활동비 폐지 등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정치자금 관련 규제는 다음과 같다.

종류내용
정치인에 대한 금전 기부 금지선거 운동 관련, 정당이 하는 것을 제외[25] (정치자금 규제법 21조의 2)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정당 등 이외의 정치 단체·정치인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1조)
보조금 수급·출자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보조금 수급·출자 회사 등에 의한 정당 등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3)
계약 당사자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와 도급 기타 특별한 이익을 수반하는 계약 당사자에 의한 선거에 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
금융 기관 융자 회사 등에 의한 기부 금지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이자 보급을 받은 금융 기관으로부터 융자를 받은 회사 등에 의한 선거에 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
적자 회사에 의한 기부 금지적자 회사에 의한 정당 등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4)
외국인·외국 단체에 의한 기부 금지외국인·외국 단체에 의한 정치 단체·정치인에 대한 기부 금지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5)
정치 단체·정치인이 받는 기부액 제한정치 단체·정치인이 받는 기부액의 제한 (정치자금 규제법 21조의 3~22조의 2)
정치 자금 파티 대가 지불액 제한정치 자금 파티의 대가 지불액의 제한 (정치자금 규제법 22조의 8)
정치인에 의한 기부 금지정치인에 의한 선거구 내의 자에 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의 2)
정치인 관계 회사, 후원회 등에 의한 기부 금지정치인의 관계 회사, 후원회 등에 의한 선거구 내의 자에 대한 기부 금지 (공직선거법 199조의 3~5)
선거 운동 비용 제한선거 운동 비용의 제한 (공직선거법 194조)
정치 자금의 투기적 운용 금지정치 자금의 투기적 운용 금지 (정치자금규정법 8조의 3)
자금관리단체에 의한 부동산 등 취득 금지자금관리단체에 의한 부동산 등의 취득 금지 (정치자금규정법 19조의 2의 2)
보고서 제출


4. 2. 기타 국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3. 기업 및 단체 헌금 문제

정당은 단체, 기업, 개인 기부자 및 이익 단체(예: 노동 조합)으로부터 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체는 정당이나 정당의 주요 구성원에게 돈이나 선물을 제공하여 정치적 입장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로비를 할 수 있다.[3]

20세기 후반부터 기업 기부나 회비에 의존하던 정당들은 기부에 대한 감시 강화와 당원 수 감소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정치 자금과 호주의 정치 기부에서 2006년 두 주요 정당의 당원 수는 1950년에 비해 8분의 1도 안 되었는데, 이는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3]

프랑스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이후 정당, 아일랜드의 사회당(아일랜드), 네덜란드의 사회당(네덜란드)과 같은 일부 정당에서는 선출된 대표가 평균 산업 근로자의 임금만 가져가고 나머지는 당 자금으로 기여한다. 네팔과 같은 일부 정당에서는 현직 정치인들의 "지대 추구"가 여전히 특징으로 남아있다.[5]

영국의 정치 자금에서는 정당 자금 기부자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하여 상원 의원이 되어 입법 과정에 참여하게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는 귀족 작위를 판매한 것으로 밝혀졌다. 1925년 명예(남용 방지)법은 귀족 작위 및 유사한 혜택의 직접 판매를 범죄 행위로 규정했다.[6] 그러나 일부 기부자는 대출로 위장하여 법을 회피하려 했고, 이는 "귀족 작위 매매" 스캔들을 야기했다.

이러한 활동과 영향력 행사 의혹은 기부 상한선 요구를 야기했다. 선거 비용 증가에 따라 정당 자금 요구도 증가했다. 영국에서는 일부 정치인이 정당 보조금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입법 조치는 없었다.

정당에 대한 기업·단체 헌금은 정책을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2]

공직 후보자에 대한 기부는 기업이나 단체가 할 수 없지만[24], 정치 자금 파티 티켓 구매는 허용되어[39][40] 실질적으로 기부와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있다.[41] 또한, 정치인 개인이 대표를 맡는 정당 지부에 대한 기부는 인정된다는 문제도 있다.[39]

4. 4.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

다음은 정치 자금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를 위한 주요 연혁이다.

연도내용
1975년조선 의혹, 매춘 오염 사건, 다나카 쇼지 사건, 공화 제당 사건 (검은 안개 사건) 등 부정부패・의혹 사건을 계기로 정치 자금 관련 법률이 근본적으로 개정됨. 기부량 제한 도입, 개인 헌금에 대한 세제상 우대 조치 창설.
1992년정치 자금 파티에 관한 규제 도입.
1994년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도입을 중심으로 선거 제도 개혁. 정당 보조금 제도 창설과 함께 기업·단체 헌금 규제 강화를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정치 자금 관련 법률 개정 (이른바 "정치 개혁").
2000년자금 관리 단체에 대한 기업·단체 헌금 금지.
2007년국회의원 관계 정치 단체에 관한 법률 개정.
2024년정책 활동비 폐지. 정치 자금을 점검하는 제3자 기관을 국회에 설치, 외국인의 파티권 구매 금지・수지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정치 개혁 관련 법 개정.


4. 5. 해외 사례

정당은 단체, 기업, 개인 기부자 및 이익 단체(예: 노동 조합)으로부터 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자금 제공은 정당이나 주요 구성원에게 인센티브(돈, 선물)를 제공하여 정치적 입장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로비라고 한다.[3]

20세기 후반부터 서방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정당 기부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당원 수가 감소하면서 정당 재정 문제가 심각해졌다. 예를 들어 영국의 정치 자금과 호주의 정치 기부를 보면, 2006년 양국의 주요 정당 당원 수는 1950년에 비해 8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인구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3]

미국은 개인과 공적 자금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납세자가 연방 소득세의 3USD를 대통령 후보의 비용 충당에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4]

프랑스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이후 정당, 아일랜드의 사회당(아일랜드), 네덜란드의 사회당(네덜란드) 등 일부 정당에서는 선출된 대표가 평균 산업 근로자의 임금만 받고 나머지는 당 자금으로 기여한다. 네팔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현직 정치인들의 지대 추구가 여전히 나타나기도 한다.[5]

영국의 정치 자금에서는 정당 기부자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하여 상원 의원이 되어 입법 과정에 참여하게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는 귀족 작위를 판매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1925년 명예(남용 방지)법은 귀족 작위 등의 판매를 범죄 행위로 규정했지만,[6] 일부 기부자는 대출로 위장하여 법을 회피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이는 "귀족 작위 매매" 스캔들을 야기했다.

이러한 영향력 행사 의혹은 기부 상한선 요구를 불러왔고, 선거 비용 증가에 따라 정당 자금 요구도 증가했다. 영국에서는 일부 정치인이 정당 보조금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1883년에 선거 비용을 처음 규제한 국가에서 논란이 되었다.

독일, 스웨덴, 이스라엘, 캐나다, 호주, 오스트리아 등 많은 국가에서 정당 활동 보조금이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프랑스, 일본, 멕시코, 네덜란드, 폴란드도 동참했다.

공적 자금 지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직접 지원: 정당에 금전을 제공한다.
  • 간접 지원: 국영 방송 방송 시간, 우편 서비스, 물품 등을 지원한다.


ACE 선거 지식 네트워크에 따르면, 180개국 중 25%는 공적 자금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58%는 직접 지원, 60%는 간접 지원을 제공한다.[7] 일부 국가는 직접 및 간접 지원을 모두 제공한다.

자금 지원은 모든 정당에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이전 선거 결과,[8] 후보자 수[9]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당은 사적, 공적 자금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선거 관리 기구에 재정을 공개해야 한다.[10]

초창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대외 원조를 통해 자금이 지원되기도 했다. 국제 기증자들은 개발도상국 정당에 민주주의와 굿 거버넌스 증진, 또는 선호 정당 지원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지원은 정당 선언문, 헌법 개발, 선거 운동 기술 등 역량 개발 활동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재건을 위한 마셜 플랜과 1961년 미국 대외 원조법은 대외 원조의 주요 원칙을 확립했다.[11] 이념적으로 관련된 정당 간 관계 발전은 국제적 지원의 또 다른 특징이다.[5] 이는 장미 혁명 배후의 조지아 정당에 대한 미국 정부 지원과 같이 정당의 정치적 목표에 대한 직접 지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기증자들은 중립적인 기반으로 활동하며, 여러 기증자가 모든 정당에 보조금을 제공한다.[5] 해외 개발 연구소와 같은 싱크탱크는 거버넌스 개선을 위해 정당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5]

정부의 정치 자금 개입은 국가 명성을 훼손하는 행위로 간주되어 우려를 낳고 있으며,[12] 이 주제는 논쟁적이며,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다.[13][14][15]

2021년 8월, 한 소송에서 미국의 공화당 자금 모금가 엘리엇 브로디가 아랍에미리트 정부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수수했다는 혐의가 제기되었다. 이 자금은 당시 UAE의 경쟁국이었던 카타르 비방 및 미국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16]

5. 판례

노동조합의 정치자금 기부를 금지하는 것은 위헌이다.[42]

참조

[1] 서적 Political financing Free Press – Macmillan
[1] 서적 Campaign finance – contrasting practices and reforms AEI
[1] 서적 Political finance Blackwell
[1] 서적 Party finance CQ Press
[2] 서적 Comparative Political Finance in the 1980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he parties' democratic deficit http://insidestory.o[...] 2010-02-10
[4] 웹사이트 Public funding of presidential elections https://www.fec.gov/[...]
[5] 웹사이트 Support to political parties: A missing piece of the governance puzzle https://www.odi.org/[...]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0-12-01
[6] 웹사이트 From Lloyd George to the lavender list: the history of honors scandals http://www.theguardi[...] 2016-08-01
[7] 웹사이트 AC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Comparative Data: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http://aceproject.or[...]
[8] 학술지 Ai vecchi rimborsi elettorali negata la ripartizione regionale https://www.questia.[...] 2000
[9] 웹사이트 AC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Comparative Data: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http://aceproject.or[...]
[10] 웹사이트 ACE Encyclopaedia: Public funding of political parties http://aceproject.or[...]
[11] 웹사이트 WHAT IS FOREIGN AID? 5 THINGS YOU SHOULD KNOW https://www.concernu[...] Concern worldwide US 2020-01-23
[12] 뉴스 "'Public opinion and foreign electoral intervention'" https://www.cambridg[...]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2020"
[13] 뉴스 "'Contesting Accusations of 'Foreign Interference': New Agendas for Australian Civil Society'" https://epress.lib.u[...] Hudson Institute
[14] 웹사이트 Russian donors have stepped up Tory funding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15] 웹사이트 China's foreign interference likely 'widespread' in Canada, says author of new report https://www.thestar.[...]
[16] 웹사이트 Qatar-Based Travel Firm Mosafer, Inc. Files Lawsuit Against Elliott Broidy And George Nader In US Federal Court For Allegedly Illegally Orchestrating And Executing Secret Assault Against Qatar And Qatari Businesses; Suit Alleges They Violated Fara And Other Reporting Obligations https://finance.yaho[...]
[17] 웹사이트 政治団体の手引き https://www.pref.fuk[...]
[18] 웹사이트 政党収入、依然税金頼み 交付金が5割超―政治資金: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11-25
[19] 웹사이트 公費であるほど使途が不透明になる政治資金 https://clearing-hou[...] 2024-05-16
[20] 웹사이트 政党交付金 {{!}} ねほりはほり聞いて!政治のことば https://www.nhk.or.j[...]
[21] 웹사이트 【そもそも解説】企業から「政党支部」への献金、なぜ認められ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2-17
[22] 웹사이트 「政治とカネ」の象徴「企業・団体献金」は生き残った 当事者から思わず漏れた「自民党の力」というホンネ: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3] 웹사이트 立法事務費(りっぽうじむひ)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4] 웹사이트 総務省|なるほど!政治資金 政治資金の規正 https://www.soumu.go[...]
[25] 웹사이트 政治資金規正法改正 「政策活動費」の使途公開って意味あるのか? https://clearing-hou[...] 2024-05-16
[26] 웹사이트 政治家個人への寄付、禁止なのに...「抜け穴」から与野党が計22億円 使い道報告義務なく:東京新聞デジタル https://www.tokyo-np[...]
[27] 웹사이트 政治資金規正法のあらまし(令和6年7月(令和6年6月法改正反映)) https://www.soumu.go[...] 総務省
[28] 웹사이트 政治家に寄附したいけれど、できますか。 https://www.city.edo[...]
[29] 웹사이트 「政策活動費」とは 用語解説・ニュース: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3-12-27
[30] 웹사이트 政策活動費 争点 衆議院選挙2024|NHK https://www.nhk.or.j[...] 2024-10-17
[31] 웹사이트 e-Gov 法令検索 https://laws.e-gov.g[...]
[32] 웹사이트 政治資金の透明化を図る「政治資金規正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案」を2党1会派で衆院に共同提出 https://cdp-japan.jp[...] 2024-05-20
[33] 웹사이트 「政策活動費」廃止など3法案 衆議院本会議で可決 {{!}} NHK https://www3.nhk.or.[...] 2024-12-17
[34] 웹사이트 要配慮支出→公開方法工夫支出に変更 自民が法案提出 規正法再改正 https://mainichi.jp/[...]
[35]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36] 웹사이트 政策活動費の全面廃止で合意 自民、非公開支出の新設見送り | 共同通信 https://nordot.app/1[...] 2024-12-16
[37] 웹사이트 e-Gov 法令検索 https://laws.e-gov.g[...] 2024-10-18
[38] 웹사이트 総務省|なるほど!政治資金 政治団体とは https://www.soumu.go[...] 2024-10-19
[39] 웹사이트 【そもそも解説】企業から「政党支部」への献金、なぜ認められ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2-17
[40] 웹사이트 政治資金規正法 主な改正12回、「抜け道」いまなお https://www.nippon.c[...] 2024-02-13
[41] 웹사이트 政治資金パーティ―とは何か https://legalcommons[...] 2024-10-20
[42] 문서 95헌마1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