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에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에이지는 미국의 작가, 시인, 영화 평론가, 각본가로, 1909년 테네시주 녹스빌에서 태어나 1955년 사망했다. 그는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잡지 '포춘'과 '타임'에서 기자와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며,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와 같은 작품을 남겼다. 에이지는 사후에 그의 소설 '가족의 죽음'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작품은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제임스 에이지(James Agee, 1909년 11월 27일 ~ 1955년 5월 16일)는 미국의 소설가, 시인, 영화 평론가, 각본가이다.[1][19] 테네시주 녹스빌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경험했으며, 이는 훗날 그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포춘』, 『타임』, 『더 네이션』 등 유력 매체에서 기자 및 평론가로 활동하며 명성을 쌓았다. 특히 그의 영화 평론은 깊이 있는 분석과 독창적인 문체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10][11][13]
=== 문학 ===
2. 생애
1936년 사진작가 워커 에반스와 함께 앨라배마의 소작농들의 어려운 삶을 취재한 경험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Let Us Now Praise Famous Men, 1941)로 결실을 맺었다.[6] 이 책은 출간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사회적 약자의 현실을 깊이 있게 조명한 미국 문학과 포토저널리즘의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았다.[23][24][25]
영화 각본가로서도 활동하여 고전 영화 ''아프리카 여왕''(1951)과 ''사냥꾼의 밤''(1955) 등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오랜 알코올 중독과 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 1955년 5월 16일 맨해튼에서 택시를 타고 이동 중 심장마비로 45세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19]
에이지는 생전에 큰 대중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사후 그의 문학적 업적은 높이 평가받게 되었다. 그의 자전적 소설 『가족의 죽음』(A Death in the Family)은 1957년 사후 출간되어 1958년 퓰리처상 소설 부문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1] 그의 영화 평론 역시 『Agee on Film』(1958)으로 묶여 출간되어 영화 비평 분야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13]
2. 1. 유년기 및 교육
제임스 에이지는 1909년 11월 27일 테네시주 녹스빌의 하이랜드 애비뉴와 15번가(현재 포트 샌더스 지역의 제임스 에이지 스트리트)에서 아버지 휴 제임스 에이지와 어머니 로라 휘트먼 타일러 사이에서 태어났다.[1][28] 그의 아버지는 지역 우체국 직원이었다. 에이지가 여섯 살이던 1916년, 아버지가 자동차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일곱 살부터 에이지와 여동생 엠마는 여러 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중에는 어머니의 별장 근처 테네시주 수와니에서 약 3.22km 떨어진 세인트 앤드류 마운틴 보이즈 학교가 있었는데, 이 학교는 성공회 계열의 성십자 수도회가 운영했다.[2]
1919년, 에이지는 세인트 앤드류 학교에서 역사 교사이자 성공회 사제인 제임스 해럴드 플라이 신부 및 그의 아내 그레이스 엘레노어 호튼과 만나 평생에 걸친 우정을 쌓았다.[3] 플라이 신부는 에이지의 절친한 친구이자 정신적 지주로서 평생 편지를 주고받으며 그의 고민을 들어주었다. 플라이 신부는 에이지 사후에 이 편지들을 모아 ''제임스 에이지가 플라이 신부에게 보낸 편지'' (1962)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뉴욕 타임스 북 리뷰는 이 책을 "현대 미국 사회에서 예술가의 자화상으로서 F. 스콧 피츠제럴드의 '
1924년, 에이지의 어머니 로라는 세인트 앤드류 학교의 회계 담당자였던 에르스킨 라이트 신부와 재혼했고, 가족은 메인주 록랜드로 이사했다.[5][28] 에이지는 1924-25학년도에 녹스빌 고등학교에 다녔고, 16세가 되던 해 여름에는 플라이 신부와 함께 유럽을 여행했다. 여행에서 돌아온 후, 1926년 에이지는 뉴햄프셔주에 있는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로 전학하여 1928년 졸업반에 들어갔다.[28] 이 시기부터 그는 드와이트 맥도널드와 편지를 주고받기 시작했다.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 재학 중 에이지는 랜턴 클럽 회장과 '월간지(The Monthly)' 편집인을 맡았으며, 이곳에 자신의 첫 단편 소설, 희곡, 시("미망인"), 기사 등을 발표하며 문학, 클래식 음악, 영화 등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28] 고등학교 성적은 그리 좋지 않았지만, 1928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32년 졸업반이 되었다. 하버드에서는 세이어 홀과 엘리엇 하우스에서 생활하며 로버트 힐리어와 I. A. 리처즈의 수업을 들었다. 그의 동급생 중에는 훗날 타임 지에서 함께 일하게 되는 시인이자 평론가 로버트 피츠제럴드도 있었다.[5] 에이지는 대학 시절 교내 잡지 '하버드 옹호자'와 '하운드 앤 혼' 등에 시를 발표했으며, 1931년에는 '하버드 옹호자'의 편집장을 맡았다.[28] 그는 졸업식에서 반 대표 송시를 낭독하며 대학 생활을 마쳤다.
2. 2. 초기 경력 및 작품 활동
대학 졸업 후, 에이지는 타임사(Time Inc.)에 기자로 고용되어 뉴욕으로 이주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잡지 『포춘』(Fortune)에서 글을 썼으며, 이 시기 브루클린에 거주하며 점차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8] 1933년에는 대학 시절 만난 비아 손더스와 결혼했다. 1934년,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그의 유일한 시집인 ''Permit Me Voyage''를 출판했는데, 이 시집에는 아치볼드 맥리시가 서문을 썼다.
1936년 여름, 에이지는 사진작가 워커 에반스와 함께 『포춘』의 의뢰를 받아 앨라배마에서 분할 경작인들과 8주 동안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취재했다. 『포춘』은 그의 기사를 싣지 않았지만, 에이지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1941년 책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Let Us Now Praise Famous Men)를 출간했다.[6] 이 책은 초기에 약 600부만 판매되고 헐값에 팔렸으나, 이후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게 된다. 2003년에는 당시 취재를 바탕으로 한 또 다른 원고 ''Cotton Tenants''가 발견되어 2013년에 출판되었다. 이 원고는 『포춘』 편집자에게 제출했던 글로 추정되며, 워커 에반스의 사진과 함께 실렸다. 존 제레미아 설리반은 이 작품이 "유명한 사람들의 초기 초안이 아니라, 다른 책, 알려지지 않은 에이지"라며 그의 명성을 높일 만하다고 평가했다.[7] ''Cotton Tenants''는 실제 인물들의 이름을 사용한 반면,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에서는 대상 인물들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가명을 사용했다는 차이가 있다.[8]
1937년, 에이지는 『포춘』을 떠나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파티잔 리뷰』에 시 「서정시」를, 『트랜지션』에 단편 「아버지의 추억」을 발표했다. 같은 해 비아와 이혼했다. 1938년에는 뉴저지주 프렌치타운으로 이사했고, 알마 메일만과 재혼했다. 그해 『파티잔 리뷰』에 자전적 산문인 「녹스빌: 1915년 여름」을 발표했다.[29]
1939년, 에이지는 다시 타임지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책 평론을 담당하며 때로는 일주일에 6권의 서평을 쓰기도 했다. 그는 친구이자 동료 작가인 휘태커 챔버스와 함께 『타임』지의 문화 섹션("뒷부분")을 담당했다.[9] 1940년 알마와의 사이에서 아들 조엘이 태어났으나, 1941년 알마와도 이혼했다.[29]
1941년부터는 『타임』지의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10] 1942년부터 1948년까지는 진보 성향 잡지인 『더 네이션』(The Nation)에서도 영화 평론을 맡았다.[11] 그는 당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던 찰리 채플린의 영화 『살인광 시대』(Monsieur Verdoux, 1947)를 열렬히 지지했으며, 이 영화는 훗날 고전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로렌스 올리비에가 감독하고 주연한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 『헨리 5세』와 『햄릿』, 특히 『헨리 5세』를 높이 평가했다.[12] 한편, D. W. 그리피스의 영화 『국가의 탄생』에 대해서는 혁신적인 스타일과 기교를 칭찬했지만, 작품이 담고 있는 쿠 클럭스 클랜 찬양 등 인종차별적 문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 시기의 영화 평론들은 사후인 1958년에 ''Agee on Film''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며, 2010년 영국 영화 연구소 조사에서 역대 최고의 영화 관련 서적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3]
1945년에는 첫 영화 시나리오인 『블루 호텔』을 썼다.[29] 1946년, 미아 피치와 세 번째로 결혼했고, 같은 해 딸 줄리아 테레사가 태어났다.
1948년, 에이지는 잡지사를 그만두고 전업 프리랜서 작가가 되었다. 이 시기 그는 라이프 매거진에 찰스 채플린, 버스터 키튼, 해럴드 로이드, 해리 랭던 등 무성 영화 시대 코미디언들에 대한 글을 기고하여 호평을 받았는데, 이 글은 특히 버스터 키튼의 경력을 재조명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50년대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영화 각본 집필과 잡지 기고를 병행했고, 사진작가 헬렌 레빗과도 교류했다.[14] 1950년에는 둘째 딸 안드레아가 태어났다. 1949년부터는 소설 ''아침 묵상''(The Morning Watch)과 『가족의 죽음』(A Death in the Family) 집필에 착수했다.[29] ''아침 묵상''은 1951년에 출판되었다.
2. 3. 영화 각본 및 후기 활동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에이지는 찰리 채플린을 위해 핵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방랑자를 다룬 각본을 썼다. 이 각본은 사후에 ''방랑자의 새로운 세상''이라는 제목으로 2005년에 출판되었다.[15] 1948년, 그는 다큐멘터리 ''더 콰이어트 원''의 해설을 맡아 처음으로 영화 작업에 참여했으며,[16] 같은 해 『타임』과 『네이션』을 퇴사하고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며 소설과 영화 시나리오 집필에 전념하기 시작했다.[29]
에이지의 영화 각본가로서의 경력은 알코올 중독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1950년대에 두 편의 중요한 영화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그는 존 휴스턴 감독의 ''아프리카 여왕''(1951)과 찰스 로튼 감독의 ''사냥꾼의 밤''(1955)의 각본가로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사냥꾼의 밤'' 각본에 대한 그의 기여는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 감독인 찰스 로튼이 실제 각본을 썼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04년에 발견된 에이지의 293페이지 분량 초고는 영화에 포함된 많은 장면을 담고 있어, 로튼이 방대한 분량 때문에 각본을 편집했음을 시사한다.[17] 이 초고는 아직 출판되지 않았지만, 컬럼비아 대학교의 제프리 코치만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코치만은 에세이 "크레딧은 당연한 곳에"에서 에이지의 기여를 인정했다.[18] 에이지가 영화 제작 과정에서 해고되었다는 소문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로튼은 에이지와의 계약을 갱신하고 각본 축소를 지시했으며, 에이지는 이를 이행했다. 또한 배우 로버트 미첨의 요청으로 촬영장을 방문하여 미첨과 로튼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에이지의 에이전트였던 폴 코너의 기록과 로튼의 전기 작가 사이먼 칼로우가 BFI에서 출판한 책 『사냥꾼의 밤』에서 확인된다. 코치만은 에이지의 원본 각본이 상영 시간 약 6시간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18]
영화 작업 외에도 에이지는 소설 집필을 계속하여 1951년에 『아침 묵상』(The Morning Watcheng)을 출판했다.[29] 그러나 과도한 음주와 흡연 습관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같은 해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에서 첫 심장 발작을 겪었다.[19][29] 이후에도 심장 발작이 반복되었고, 결국 1955년 5월 16일, 맨해튼에서 의사를 만나러 가던 택시 안에서 치명적인 심장 발작으로 4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19][29] 그는 뉴욕주 힐스데일에 있는 자신의 농장에 묻혔다.[20]
사후인 1957년, 그의 유작 소설 『가족 속의 죽음』(A Death in the Familyeng)이 출간되어 퓰리처상 소설 부문을 수상했다. 이 소설을 각색한 태드 모젤의 연극 『오직 집으로』(All the Way Homeeng) 역시 1961년에 퓰리처상 연극 부문을 수상했다.[30]
3. 주요 작품
=== 영화 ===
=== 원작 제공 ===
4. 평가 및 영향
제임스 에이지는 생전에 큰 대중적 인정을 받지는 못했지만, 사후 그의 문학적 명성은 크게 높아졌다.[21] 그는 1940년대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평론가 중 한 명이었으며,[10][11] 그의 소설, 르포르타주, 영화 각본 등 다양한 작품은 후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아버지의 죽음을 다룬 소설 『가족의 죽음』은 사후 출판되어 퓰리처상 소설 부문을 수상했고,[21] 대공황 시기 소작농의 삶을 기록한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는 20세기 미국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24][25] 음악, 저널리즘,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및 사회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4. 1. 당대 및 사후 평가
제임스 에이지는 1940년대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평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0][11] 그는 주간지 《더 네이션》과 《타임》 등에서 활동하며 독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특히 당시 평가가 엇갈렸던 찰리 채플린의 영화 ''Monsieur Verdoux''(1947)를 열렬히 옹호했으며, 로렌스 올리비에가 감독하고 주연한 ''헨리 5세''와 ''햄릿''을 높이 평가했다.[12] 한편, D. W.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에 대해서는 기술적 혁신과 기교를 칭찬하면서도, 인종차별적인 쿠 클럭스 클랜 미화 내용에 대해서는 별다른 비판적 언급을 남기지 않았다. 그의 영화 평론은 사후 『에이지 온 필름』(Agee on Film, 1958)으로 출간되었으며, 이 책은 2010년 영국 영화 연구소 여론 조사에서 역대 최고의 영화 관련 서적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3] 최근에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감수 하에 재판되었다.생전에는 대중적인 인정을 크게 받지 못했으나, 사후 그의 문학적 명성은 크게 높아졌다. 1957년 사후 출판된 자전적 소설 『가족의 죽음』(A Death in the Family)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어린 소년의 시선으로 그린 작품으로, 1958년 퓰리처상 소설 부문을 수상하며 그의 문학적 성취를 알렸다.[21] 이 소설은 출판 과정에서 편집자 데이비드 맥도웰에 의해 상당 부분 수정되었으나, 2007년 마이클 로파로가 에이지의 원고를 바탕으로 복원판을 출간했다.[21]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Let Us Now Praise Famous Men, 1941)는 1936년 사진작가 워커 에반스와 함께 앨라배마주의 소작농들의 삶을 취재한 기록이다. 《포춘》의 의뢰로 시작되었으나 잡지에는 실리지 못했고, 책으로 출간된 후에도 초판은 600부 판매에 그치며 헐값에 판매되는 등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6]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책은 대공황 시대 남부 농촌의 현실을 깊이 있게 포착한 걸작으로 재평가받았고, 뉴욕 저널리즘 스쿨과 뉴욕 공립도서관은 이 책을 20세기 최고의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선정했다.[24][25] 이 책은 작곡가 애런 코플랜드의 오페라 『더 텐더 랜드』에 영감을 주었으며, 텔레비전 시리즈 『더 와이어』의 제작자 데이비드 사이먼은 자신의 저널리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언급했다.[26]
이 외에도 에이지의 작품과 삶은 다양한 방식으로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오랜 친구이자 멘토였던 제임스 해럴드 플라이 신부와의 서신을 묶은 『제임스 에이지가 플라이 신부에게 보낸 편지』(1962)는 ''뉴욕 타임스'' 북 리뷰에서 F. 스콧 피츠제럴드의 『균열』이나 토마스 울프의 편지에 비견될 만한, 당대 미국 예술가의 자화상으로 평가받았다.[4] 작곡가 새뮤얼 바버는 그의 시 "엘리시움의 묘사"(Descriptions of Elysium)와 "빛나는 이 밤에"(Sure on this Shining Night)에 곡을 붙였고, 『가족의 죽음』 서문의 산문시 "녹스빌"(Knoxville)을 바탕으로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녹스빌: 1915년 여름』(Knoxville: Summer of 1915)을 작곡했다. "빛나는 이 밤에"는 르네 클라우젠, Z. 랜들 스트루프, 모튼 로리센 등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서도 음악으로 만들어졌다. 1979년에는 그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에이지: 영어의 주권자''(Agee: A Sovereign Prince of the English Language)가 제작되어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4. 2. 한국에서의 수용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임스 에이지의 작품이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3. 사회적, 문화적 영향
제임스 에이지의 작품, 특히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이제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자』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41년 초판 발행 당시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후 뉴욕 저널리즘 스쿨과 뉴욕 공립 도서관 등에서 20세기 최고의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선정될 정도로 재평가받았다.[24] [25] 이 책은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로 여러 분야의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언론계: 유명 텔레비전 시리즈 『더 와이어』의 제작자로 잘 알려진 언론인 데이비드 사이먼은 『이제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자』가 자신의 저널리즘 활동과 경력 초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26] 이는 에이지의 작품이 지닌 사회 고발적 성격과 저널리즘 윤리에 대한 고민이 후배 언론인에게 이어진 사례로 볼 수 있다.
- 음악계: 에이지의 글은 여러 작곡가에게 영감을 주었다.
- 애런 코플랜드는 『이제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자』에서 영감을 받아 오페라 『더 텐더 랜드』를 작곡했다.
- 새뮤얼 바버는 에이지의 시집 『허락해주오 항해를』에 실린 "엘리시움의 묘사" 일부와 "빛나는 이 밤에"를 가사로 사용하여 음악을 만들었다. 또한, 에이지의 자전적 소설 『가족의 죽음』 서두의 산문시 "녹스빌" 부분을 바탕으로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녹스빌: 1915년 여름』을 작곡했다.
- "빛나는 이 밤에"는 르네 클라우젠, Z. 랜들 스트루프, 모튼 로리센과 같은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서도 음악으로 만들어졌다.
에이지의 삶과 작품은 다큐멘터리와 연극으로도 재조명되었다. 1979년 영화 제작자 로스 스피어스는 다큐멘터리 영화 『에이지: 영어의 주권자』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에이지의 친구였던 드와이트 맥도날드, 로버트 피츠제럴드, 로버트 소덱, 존 휴스턴 감독, 그리고 에이지와 결혼했던 세 명의 여성, 제임스 해롤드 플라이 신부 등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특히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책으로 『이제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자』를 꼽으며 이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했다.
또한, 녹스빌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곡가이자 극작가인 RB 모리스는 에이지의 삶의 한 단면을 그린 단막극 『여기에 사는 사람은 미친 사람이다』를 썼다. 이 연극은 뉴욕의 한 아파트에서 벌어지는 하룻밤의 이야기를 다루며, 녹스빌과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코르넬리아 스트리트 카페 등에서 공연되었다.[27]
5. 유산
제임스 에이지는 생전에 큰 대중적 인정을 받지 못했으나, 사후 그의 문학적 명성은 크게 높아졌다.[1] 그의 사후인 1957년에 출판된 소설 『가족의 죽음』(A Death in the Family영어)은 1958년 퓰리처상 소설 부문을 수상했다.[21] 이 소설은 에이지의 아버지가 사망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며, 초판 출판 당시 출판업자 데이비드 맥도웰에 의해 상당 부분 편집되었으나, 2007년 마이클 로파로가 에이지의 원고를 바탕으로 복원판을 출판했다.[21]
에이지의 영화 평론과 시나리오는 『에이지 온 필름』(Agee on Film영어)이라는 제목의 두 권짜리 책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그의 영화 평론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찰리 채플린의 『Monsieur Verdoux』(1947)와 같이 당시 논란이 있던 작품을 옹호하기도 했다. 세 명의 작가는 2010년 영국 영화 연구소 여론 조사에서 『에이지 온 필름』을 역대 최고의 영화 관련 서적 중 하나로 선정했다.[13] 다만, 영화 『사냥꾼의 밤』(The Night of the Hunter영어, 1955)의 각본 작업 참여 정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2]
그의 저서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Let Us Now Praise Famous Men영어)는 점차 에이지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게 되었다.[23] 1941년 초판 발행 당시에는 약 600부만 판매되는 등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6], 시간이 흘러 뉴욕 저널리즘 스쿨과 뉴욕 공립 도서관 등에서 20세기 최고의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선정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24][25] 이 책은 작곡가 애런 코플랜드의 오페라 『더 텐더 랜드』(The Tender Land영어)에 영감을 주었으며, 유명 TV 시리즈 『더 와이어』의 제작자 데이비드 사이먼은 이 책이 자신의 저널리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26]
작곡가 새뮤얼 바버는 에이지의 시집 『Permit Me Voyage영어』에 수록된 시("Descriptions of Elysium")와 소설 『가족의 죽음』의 일부("Knoxville")를 바탕으로 음악 작품을 만들었으며, 특히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녹스빌: 1915년 여름』(Knoxville: Summer of 1915영어)과 가곡 "Sure on this Shining Night" 등이 유명하다. "Sure on this Shining Night"는 르네 클라우젠, Z. 랜들 스트루프, 모튼 로리센 등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서도 작곡되었다.
1979년에는 영화 제작자 로스 스피어스가 에이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에이지』(Agee영어)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장편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1980년 아메리칸 영화제에서 블루 리본상을 수상했다. 영화에는 에이지의 친구였던 드와이트 맥도널드, 로버트 피츠제럴드, 존 휴스턴 등과 그의 정신적 지주였던 제임스 해럴드 플라이 신부, 그리고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등이 출연하여 에이지와 그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했다. 카터 대통령은 『이제 우리에게 유명한 사람들을 찬양하게 하소서』를 가장 좋아하는 책 중 하나로 꼽았다.
또한, 테네시주 녹스빌 출신의 작가 RB 모리스는 에이지의 삶의 단면을 그린 단막극 『여기에 사는 사람은 미친 사람이다』(The Man Who Lives Here Is Loony영어)를 쓰기도 했다.[27] 그의 고향인 녹스빌 포트 샌더스 지역에는 그의 이름을 딴 제임스 에이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6. 수상 내역
참조
[1]
뉴스
James Agee (1909–1955): Let us now praise famous writers
https://pqasb.pqarch[...]
1977-02-27
[2]
서적
Journal of the Eighty-Fourth Annual Convention of the Church, Diocese of Tennessee
https://books.google[...]
Nashville, Tenn.
1916
[3]
웹사이트
Father James Harold Flye Papers - Vanderbilt University.
https://www.library.[...]
2015-11-28
[4]
뉴스
Rev. James H. Flye, 100, is dead; Friend of James Agee, the wri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04-14
[5]
웹사이트
Agee FIlms: Agee Chronology
http://www.ageefilms[...]
2007-01-19
[6]
서적
The Devil's Music
https://archive.org/[...]
Da Capo Press
1997
[7]
웹사이트
Southern Exposures
http://www.bookforum[...]
2013-06-18
[8]
뉴스
A Paean to Forbearance (the Rough Draft)
https://www.nytimes.[...]
2013-06-03
[9]
서적
Witnes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0]
웹사이트
Agee, James Rufus
http://www.anb.org/a[...]
2000-02
[11]
웹사이트
James Agee's reviews on the Nation's website
http://www.thenation[...]
[12]
웹사이트
Laurence Olivier Henry V
http://www.murphspla[...]
[13]
웹사이트
The best film books, by 51 critics {{!}} Polls & surveys {{!}} Sight & Sound
https://www2.bfi.org[...]
2019-07-25
[14]
뉴스
Helen Levitt, Who Froze New York Street Life on Film, Is Dead at 95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3-30
[15]
서적
Chaplin and Agee
Palgrave Macmillan
2005
[16]
문서
Wranovics (2005), p. 78
[17]
웹사이트
Charles Laughton: Night of the Hunter
https://www.theguard[...]
1999-04-08
[18]
문서
Jeffrey Couchman: The Night of the Hunter: A Biography of a Film.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Evanston 2009, p. 87.
[19]
웹사이트
James Agee (1909–1955)
http://www.ageefilms[...]
[20]
문서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Scott Wilson
[21]
문서
James Agee and Michael A. Lofaro, ed. A Death in the Family: A Restoration of the Author's Text. Knoxvill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007.
[22]
웹사이트
Night of the Hunter: a masterpiece of American cinema
https://www.telegrap[...]
2014-01-17
[23]
서적
Encyclopedia of Literary Moder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
2013-08-26
[24]
웹사이트
The Top 100 Works of Journalism of the Century
https://journalism.n[...]
2024-11-04
[25]
웹사이트
The New York Public Library's Books of the Century
https://www.nypl.org[...]
2024-11-04
[26]
웹사이트
Let Us Now Praise Famous Men, by James Agee and Walker Evans
http://davidsimon.co[...]
2011-04-16
[27]
뉴스
R.B. Morris Revives His One-Act Play About James Agee
http://www.knoxmercu[...]
Knoxville Mercury
2016-10-26
[28]
문서
集英社版世界文学全集(1978年)『九つの物語/家族のなかの死』エイジー年譜p.485
[29]
문서
集英社版世界文学全集(1978年)『九つの物語/家族のなかの死』エイジー年譜p.486
[30]
문서
集英社版世界文学全集(1978年)『九つの物語/家族のなかの死』エイジーp.473
[31]
문서
諏訪部浩一『アメリカ文学入門』p.100
[32]
웹사이트
COMEDY’S GREATEST ERA - BY JAMES AGEE
https://scrapsfromth[...]
2019-11-17
[33]
웹사이트
世界の喜劇人
https://booklive.jp/[...]
2023-06-05
[34]
문서
クインビー・メルトンの『制作の曖昧な優位性』の付記より
http://scriptjr.nl/i[...]
[35]
뉴스
‘가족의 죽음’…아직 알지 못한 상실에 대하여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