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의 탄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의 탄생》은 D. W. 그리피스가 감독한 1915년 미국의 무성 영화로, 미국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영화는 북부와 남부의 두 가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흑인에 대한 편견과 쿠 클럭스 클랜(KKK)을 미화하여 개봉 당시부터 논란이 되었다. 혁신적인 영화 기술을 선보였지만,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인해 상영 금지 운동이 벌어지고, 오늘날까지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지만, KKK의 부활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선전 영화 - 언플랜드
    언플랜드는 애비 존슨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제작된 2019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낙태 시술을 돕던 애비 존슨이 낙태 반대 운동가로 전향하는 과정을 그리며, 광고 거부 및 트위터 계정 정지 등의 논란과 함께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감독 영화 - 보이지 않는 적
    1912년 개봉한 무성 영화 《보이지 않는 적》은 의사 사망 후 고아가 된 자매가 가정부와 공범에게 위협받지만 오빠의 도움으로 구출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릴리언 기시, 도로시 기시, 그레이스 헨더슨 등이 출연했다.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감독 영화 - 인톨러런스 (영화)
    《인톨러런스》는 D. W. 그리피스가 제작한 1916년 영화로, 네 개의 시대를 배경으로 불관용을 주제로 다루며, 방대한 세트와 교차 편집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개봉 당시에는 흥행에 실패했으나 평론가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었다.
  • 쿠 클럭스 클랜을 소재로 한 영화 - 배신의 계절 (영화)
    1984년 앨런 버그 살인 사건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된 영화 배신의 계절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잠입한 FBI 요원의 갈등과 위험을 그린 1988년 개봉한 미국의 범죄 스릴러 영화로, 데브라 윙어와 톰 베린저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쿠 클럭스 클랜을 소재로 한 영화 - 블랙클랜스맨
    블랙클랜스맨은 1972년 콜로라도스프링스 경찰국 흑인 형사가 KKK에 잠입하여 수사를 펼치는 실화를 바탕으로 인종차별과 혐오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이다.
국가의 탄생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제목국가의 탄생
원제The Birth of a Nation
감독D. W. 그리피스
제작D. W. 그리피스
해리 에이트킨
각본D. W. 그리피스
프랭크 E. 우즈
토머스 딕슨 주니어
원작토머스 딕슨 주니어의 "클랜즈맨"
출연릴리언 기시
메이 마시
헨리 B. 월솔
미리엄 쿠퍼
랠프 루이스
조지 시그먼
월터 롱
음악조지프 카를 브라일
촬영빌리 비처, D.W. 그리피스
편집D. W. 그리피스, 조세프 헤너베리, 제임스 스미스, 로즈 스미스, 라울 월시
제작사데이비드 W. 그리피스 Corp.
배급사에포크 프로듀싱 Co.
개봉일1915년 2월 8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1915년 3월 3일 (미국 뉴욕)
1924년 4월 25일 (일본)
상영 시간133–193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무성 영화, 영어 자막
제작비100,000 달러 이상
흥행 수익5000만 ~ 1억 달러
일본어 제목國民の創生
장르드라마, 전쟁, 서부극
관련 정보
참고브리태니커 백과사전
filmsite.org
HistoryNet
The New Yorker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화 등급15세 관람가
음악가조지프 카를 브라일
기타
배급에포크 프로듀싱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상영 시간165분 (일본 기준)
미국 국내 흥행 수익3,000,000 달러
전 세계 흥행 수익10,000,000 달러
런타임133–193분(초당 16~24 프레임 투영 속도에 따라 다름)
참고자료Souvenir. The Birth of a Nation
워싱턴 포스트
MovieJustice
The Moving Arts Film Journal
기타 정보이 영화는 국가영화등재소에 등재되었다.
주제 및 논란
내용이 영화는 미국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에 대한 논란이 있는 묘사로 유명하며, 특히 쿠 클럭스 클랜의 긍정적인 묘사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묘사로 비판을 받았다.

2. 줄거리

토머스 딕슨의 소설 《클랜즈먼》(''The Clansman'')을 번안하여 만든 영화로, 미국 영화 첫 장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영화는 남북 전쟁과 그 후의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북부 펜실베이니아주의 스톤맨 가문과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캐머런 가문이라는 두 집안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두 가문은 전쟁과 재건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아들의 전사, 남녀 간의 사랑, 해방된 흑인에 의한 백인 여성 강간 미수와 그로 인한 여성의 투신자살 등 비극적인 사건들을 겪게 된다.

영화는 이러한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남북 전쟁, 노예 해방, 에이브러햄 링컨 암살과 같은 역사적 사건들과 엮어 보여준다. 특히 D. W. 그리피스 감독은 사실성을 추구했다고 주장하며, 링컨 암살 장면을 위해 암살 당일 공연되었던 연극 《우리 미국인 사촌》의 대본을 입수하여 암살 순간의 무대 대사까지 재현하려 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영화는 철저히 백인의 관점에서 서술되며, 특히 쿠 클럭스 클랜(KKK)의 등장을 남부 백인 사회의 질서를 회복하는 영웅적인 행위로 미화하는 등 인종차별적인 시각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는다.[157][158]

영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전개된다. 제1부에서는 전쟁 이전 두 가문의 교류와 사랑, 남북 전쟁 발발과 그 참상, 링컨 대통령의 암살까지를 다룬다. 제2부에서는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해방된 흑인들의 정치적 부상과 이에 대한 남부 백인들의 반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쿠 클럭스 클랜(KKK)이 결성되어 폭력적인 활동을 통해 백인 우월주의 질서를 재확립하려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는 KKK의 활동으로 남부의 "혼란"이 수습되고, 스톤맨 가문과 캐머런 가문의 두 쌍의 연인이 결혼하며 끝을 맺는다.

당시 40~50분 길이의 영화가 주류였던 것에 비해, 《국가의 탄생》은 12장, 상영 시간 2시간 45분이라는 전례 없는 규모로 제작되었다. 제작비는 약 6.1만달러, 광고비 등을 포함한 총 경비는 약 11만달러가 소요되었으나, 개봉 후 엄청난 흥행을 기록하여 뉴욕에서만 44주 동안 연속 상영되었고, 개봉 후 2년 동안 약 2,5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1931년에는 음악과 음향 효과를 추가한 유성 영화 버전도 제작되었다.

2. 1. 1부: 남북 전쟁 이전

토머스 딕슨의 소설 《클랜즈먼》(''The Clansman'')을 번안하여 영화로 만든 작품으로, 미국 최초의 장편 영화로 평가받는다.[157][158] 이야기는 남북 전쟁과 그 후의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북부 펜실베이니아주의 스톤맨 가문과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캐머런 가문이라는 두 주요 가문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스톤맨 가문은 노예폐지론자 하원 의원 오스틴 스톤맨과 그의 아들 필, 딸 엘시 등으로 구성되며, 캐머런 가문은 의사 캐머런 박사와 그의 아들 벤, 딸 마거릿과 플로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화의 1부는 스톤맨 가문의 아들 필이 친구인 캐머런 가문을 방문하기 위해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드몬트를 찾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 방문 동안 필 스톤맨은 캐머런 가문의 딸 마거릿 캐머런과 사랑에 빠지고, 마거릿의 오빠인 벤 캐머런은 필의 여동생 엘시 스톤맨의 사진을 보고 그녀에게 호감을 갖게 된다.

벤 캐머런이 이끈 피터스버그 포위전을 묘사한 영화 장면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두 가문의 젊은이들은 각자 북군남군에 입대한다. 치열한 전투 속에서 스톤맨 가문의 아들 태드와 캐머런 가문의 두 아들이 전사한다. 벤 캐머런은 피터스버그 포위전에서 용맹하게 싸워 '리틀 커널'(Little Colonel)이라는 별명을 얻지만, 부상을 입고 포로로 잡혀 워싱턴 D.C.의 북군 군 병원으로 이송된다.

병원에서 벤은 자신이 교수형에 처해질 것이라는 소식을 듣는다. 그러나 그곳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던 엘시 스톤맨의 도움을 받게 된다. 엘시는 벤의 어머니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만나 아들의 사면을 요청할 수 있도록 돕고, 링컨 대통령은 벤 캐머런을 사면한다.

자막 일부.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연설이 인용된다. 또한 자막 하단에는 그리피스의 이니셜인 “DG”가 적혀 있다


감독 D. W. 그리피스는 사실성을 추구했다고 주장하며, 링컨 암살 장면을 위해 암살 당일 공연되었던 연극 《우리 미국인 사촌》의 대본을 찾아 암살 순간의 대사까지 재현하려 노력했다. 하지만 링컨 대통령이 암살되면서, 그의 관용적인 전후 처리 방침은 힘을 잃게 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엘시의 아버지 오스틴 스톤맨을 비롯한 급진 공화당원들은 남부에 대한 강경한 처벌을 주장하며 영향력을 키워나간다.[16]

2. 2. 2부: 남북 전쟁

오스틴 스톤맨과 그의 제자이자 혼혈인 실라스 린치는 미국 재건 시대 정책의 시행을 감독하기 위해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간다. 린치가 부지사로 선출되는 선거에서는 흑인들이 투표함을 채우는 반면, 많은 백인들은 투표권을 박탈당한다. 새로 선출된 주의회 의원들은 대부분 흑인이다.[16] 오스틴은 딸 엘지를 데리고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이주하여 캐머런 가의 옆집에 살면서 남부에 대한 정치 공작을 시작한다. 해방된 흑인 군인들은 거리에서 행진하고, 선거권을 얻은 흑인들은 백인과의 결혼의 자유를 법제화한다. 혼혈아 린치는 정치 권력을 얻고, 그의 세력과 함께 남부에서 백인들에게 반감을 사는 행위를 시작한다.

백인 아이들이 흰 천을 쓰고 유령으로 가장하여 흑인 아이들을 놀라게 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얻은 벤 캐머런은 남부 백인들과 함께 “보이지 않는 제국” 즉, 쿠 클럭스 클랜(KKK)을 결성하고 그 지도자 중 한 명이 된다. 그 결과 엘지는 벤과 헤어진다.

흑인 하인 거스에게 청혼받은 플로라는 숲 속으로 도망친다


한편, 백인의 교육을 받고 군인으로서의 지위도 얻은 흑인 하인 거스(Gus)는 캐머런의 여동생 플로라 캐머런에게 청혼한다. 플로라는 이를 거절하고 숲으로 도망치지만 거스에게 쫓긴다. 절벽에 몰린 플로라는 거스가 다가오자 스스로 몸을 던져 목숨을 끊는다. 플로라를 찾던 벤은 동생의 죽음을 목격하고 시신을 집으로 옮긴다.

백인 배우 월터 롱이 분장한 흑인 역할의 구스를 잡는 후드를 쓴 쿠 클럭스 클랜 단원들


이에 격분한 캐머런과 KKK 단원들은 거스를 추적하여 사형(私刑)에 처하고 살해한다. 거스의 살인 사건을 발견한 린치는 KKK에 대한 단속을 명령하고, 혼혈 결혼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킨다. 벤의 KKK 복장을 소지한 혐의로 캐머런 박사가 체포되는데, 이는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 그는 필 스톤맨과 그의 흑인 하인 몇 명에 의해 구출되고, 마가렛 캐머런과 함께 도망친다. 마차가 고장 나자 숲을 지나 두 명의 전 남부연합군 병사가 숨겨주는 작은 오두막에 도착한다.

린치의 단속과 연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오스틴 스톤맨 의원은 떠난다. 캐머런 박사의 체포 소식을 들은 엘지는 린치에게 가서 석방을 간청한다. 엘시를 탐내던 린치는 그녀에게 자신과 결혼하도록 강요하려 하지만, 엘시는 기절한다. 스톤맨이 돌아오자 엘시는 다른 방으로 옮겨진다. 처음에 스톤맨은 린치가 백인 여성과 결혼하고 싶다고 말하자 기뻐하지만, 그 대상이 엘시라는 것을 알자 격분한다. 엘시는 창문을 깨고 도움을 요청하고, 잠복 중인 KKK 단원들의 눈에 띈다.

벤이 이끄는 KKK는 마을을 장악하기 위해 모여든다. 엘시의 소식을 들은 벤과 다른 KKK 단원들은 그녀를 구출하러 간다. 린치의 민병대가 캐머런 가족이 숨어 있는 오두막을 공격하는 동안 린치는 체포된다. 벤이 이끄는 KKK 단원들은 캐머런 가족을 구출한다. 다음 선거일에 흑인들은 집 밖에 무장한 KKK 단원들이 줄지어 서 있는 것을 보고 투표하지 못하도록 위협당한다.

이렇게 KKK의 세력은 “남부의 혼란”을 수습하고, 벤 캐머런과 엘지 스톤맨, 필 스톤맨과 마가렛 캐머런 두 쌍의 연인은 마침내 결혼하게 된다.

2. 3. 3부: 재건 시대

오스틴 스토니먼과 그의 영향 아래 있는 혼혈인 실라스 린치는 재건 정책을 시행한다는 명목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향한다. 린치가 부지사로 선출되는 선거에서는 흑인들이 투표함을 부정하게 채우는(Ballot box stuffing) 모습으로 그려지는 반면, 많은 백인들은 투표권을 박탈당한 것으로 묘사된다. 새로 선출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회 의원들은 대부분 흑인으로 채워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벤 캐머런은 백인 아이들이 흰 천을 쓰고 유령처럼 꾸며 흑인 아이들을 놀리는 모습에서 영감을 얻어,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KKK)을 결성하고 지도자가 되어 흑인들의 정치적 부상에 맞서려 한다. 이로 인해 벤을 지지했던 엘시 스토니먼은 그와 결별한다.

한편, 해방된 흑인이자 대위 계급을 가진 구스(월터 롱 분)는 벤의 여동생 플로라 캐머런(메이 마쉬 분)에게 강압적으로 구애한다. 플로라가 이를 거부하고 숲으로 도망치자 구스는 끈질기게 뒤쫓고, 절벽에 몰린 플로라는 결국 스스로 몸을 던져 목숨을 끊는다. 플로라의 죽음에 분노한 벤과 KKK 단원들은 구스를 추적하여 붙잡고, 자체적인 재판을 통해 유죄를 선고한 뒤 린치(Lynching)에 처한다.

구스의 죽음 이후, 린치는 KKK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명령하고 인종간 결혼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킨다. 이 과정에서 캐머런 박사(스포티스우드 에이튼 분)는 아들 벤의 KKK 복장을 소지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사형(Capital punishment)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필 스토니먼(엘머 클리프턴 분)과 그의 흑인 하인들의 도움으로 구출되어 마가렛 캐머런(미리엄 쿠퍼 분)과 함께 피신한다. 이들은 숲 속 작은 오두막에 숨어 추격자들과 맞설 준비를 한다.

엘시 스톤맨(릴리언 기시 분)은 캐머런 가족의 구명을 위해 린치에게 직접 찾아가지만, 린치는 엘시에게 자신과의 결혼을 강요한다. 엘시가 도움을 요청하자, 벤이 이끄는 KKK 단원들이 대규모로 동원되어 린치의 본부를 습격하고 엘시를 구출한다. 동시에 린치의 민병대에게 포위되어 위험에 처했던 캐머런 가족과 필 스토니먼 역시 KKK에 의해 구출된다.

이후 KKK는 다음 선거일에 무장한 채 투표소 주변에 늘어서 흑인들의 투표를 방해하고 위협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화는 결국 벤 캐머런과 엘시 스토니먼, 필 스토니먼과 마가렛 캐머런 두 쌍의 커플이 결혼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며, 이는 KKK의 활동을 통해 남부 백인들의 질서가 회복되었음을 암시하는 결말로 해석된다.

2. 4. 4부: KKK의 반격과 결말

오스틴 스톤맨은 딸 엘지를 데리고 남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이주하여 캐머런 가의 옆집에 살면서 남부에 대한 정치 공작을 시작한다. 해방된 흑인 군인들은 거리에서 행진하고, 선거권을 얻은 흑인들은 백인과의 결혼 자유를 법제화한다. 혼혈인 실라스 린치는 정치 권력을 얻고, 그의 세력과 함께 남부에서 백인들에게 눈에 거슬리는 행위를 시작한다.

이에 대해 벤 캐머런은 백인 아이들이 흰 천을 쓰고 유령으로 가장하여 흑인 아이들을 놀라게 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얻어 남부 백인들과 함께 “보이지 않는 제국” 즉, 쿠 클럭스 클랜(KKK)을 결성하고 그 지도자 중 한 명이 된다. 그 무렵, 백인의 교육을 받고 군인으로서의 지위도 얻은 흑인 하인 가스는 캐머런의 딸 플로라에게 청혼한다.

플로라는 이를 거절하고 숲으로 도망치다 궁지에 몰려 스스로 절벽에서 몸을 던져 죽는다. 이에 격분한 캐머런과 KKK 단원들은 흑인 가스를 사형(私刑)에 처하고 유죄 판결을 내려 살해한다.

이 사건으로 캐머런의 아버지는 KKK 단원의 방조 혐의로 기소된다. 마가렛 캐머런과 약혼한 필 스톤맨은 캐머런의 아버지를 구출하고, 캐머런 부인과 마가렛, 흑인 하인과 함께 숲속 통나무집에 숨어 추격자들과의 전투 준비를 한다. 한편 엘지 스톤맨은 린치에게 직접 찾아가 필과 캐머런 가족의 목숨을 빌며 애원한다. 그러나 린치는 그들의 목숨을 대가로 엘지와의 결혼을 강요한다. 이러한 “위기”에 벤이 이끄는 KKK 단원들은 린치의 본부를 습격하여 린치 일당을 물리치고 엘지를 구출하며, 통나무집에서 죽을 위기에 처한 캐머런 가족과 필 스톤맨을 구한다.

이렇게 KKK의 세력은 영화 속에서 "남부의 혼란"을 수습하는 것으로 묘사되며, 벤 캐머런과 엘지 스톤맨, 필 스톤맨과 마가렛 캐머런 두 쌍의 연인은 마침내 결혼하게 된다.

3. 등장인물

이 영화는 서로 다른 배경과 이념을 가진 두 가문, 스톤맨 가문과 캐머론 가문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북부의 스톤맨 가문은 노예제 폐지론자인 하원의원 오스틴 스톤맨과 그의 두 아들, 딸 엘시로 구성되어 있다. 오스틴 스톤맨은 재건기 상원의원이었던 태디어스 스티븐스를 모델로 했다.[157][158] 남부의 캐머론 가문은 두 딸 마가렛과 플로라, 그리고 세 아들(그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벤)로 이루어져 있다.

영화 속 허구의 인물 중 일부는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오스틴 스톤맨: 미국 하원 의원이자 노예제 폐지론자로, 펜실베이니아주 출신의 급진 공화파 하원의원이었던 태디어스 스티븐스를 모델로 했다.[20][21]
  • 벤 캐머런: 러로이 맥아피(Leroy McAfee)를 모델로 했다.[22]
  • 실라스 린치: 알론조 J. 랜시어(Alonzo J. Ransier)와 리처드 하웰 글리브스(Richard Howell Gleaves)를 모델로 했다.[25][23]


역할배우비고
엘시 스톤먼릴리안 기시오스틴 스톤먼의 딸
필 스톤먼엘머 클리프턴오스틴 스톤먼의 아들
오스틴 스톤먼랄프 루이스노예제 폐지론자 하원의원, 태디어스 스티븐스 모델[20][21]
태드 스톤먼로버트 해런오스틴 스톤먼의 아들
벤 캐머런 대령헨리 월설캐머런 가문의 아들, 러로이 맥아피 모델[22]
플로라 캐머런메이 마쉬캐머런 가문의 어린 딸
마가렛 캐머런미리엄 쿠퍼캐머런 가문의 큰 딸
거스월터 롱
대장장이 제프월리스 리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조셉 헤너베리
그랜트 장군도널드 크리스프
리 장군하워드 게이
존 윌크스 부스라울 월시링컨 대통령 암살범
남군 병사데이비드 버틀러단역
KKK 단원존 포드단역
연합군 병사유진 팔레트단역
(역할 미상)베시 러브
(역할 미상)찰스 킹
(역할 미상)톰 윌슨
(역할 미상)에리히 폰 슈트로하임


4. 제작

토머스 딕슨의 소설 《클랜즈먼》(''The Clansman'')을 번안하여 영화로 만들었다.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사상 첫 장편 작품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1911년 미국 키네마컬러 회사(Kinemacolor Company of America)는 키네마컬러(Kinemacolor) 기법을 사용한 유실 영화인 《클랜스맨》(''The Clansman'') 제작을 시도했으나, 저작권, 재정, 기술 문제, 연출력 부족 등 여러 요인이 겹쳐 완성되지 못했다.[18][19] 당시 각본가였던 프랭크 E. 우즈(Frank E. Woods)가 자신의 미완성 작품을 그리피스에게 보여주었고, 이는 그리피스가 직접 《클랜스맨》을 각색하여 《국가의 탄생》을 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18][19]

1913년 말, 딕슨은 영화 제작자 해리 에이킨(Harry Aitken)을 통해 그리피스를 만났다.[135] 남부 출신이었던 그리피스는 아버지 역시 남북전쟁 당시 남군 대령(colonel)이었으며, 딕슨처럼 재건 시대를 부정적으로 보았다.[51][24] 그리피스는 특히 원작에서 쿠 클럭스 클랜 단원들이 "박해받는 남부 백인들을 구하러" 달려가는 장면이 영화적으로 큰 잠재력을 지녔다고 판단했다.[24] 그리피스는 1914년 《홈 스위트 홈》(Home, Sweet Home) 촬영 후 배우 기시와 월솔에게 딕슨의 희곡을 각색할 의도를 처음 밝혔다.[25]

그리피스는 딕슨에게 희곡 《클랜스맨》의 영화화 권리 대가로 1만달러(1914년 기준 약 28.8만달러 상당)와 영화 수익의 25%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자금 사정으로 초기 계약금 2.5천달러만 지불할 수 있었던 그리피스는 수익 분배 조건을 제시했고, 딕슨은 이를 받아들였다. 영화의 전례 없는 흥행 성공 덕분에 딕슨은 막대한 부를 얻게 되었으며,[31] 이는 당시까지 작가가 영화 스토리로 받은 가장 큰 금액으로 기록되었다.[31]

일부 자료에서는 토머스 딕슨의 다른 소설 《표범의 반점(The Leopard's Spots)》도 원작으로 언급하지만, 이는 영화의 문학적 권위를 높이기 위해 초기 홍보 자료(플레이빌, 프로그램)에 두 작품이 함께 명시되었기 때문이며, 실제 영화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26][27] 역사학자 존 홉 프랭클린(John Hope Franklin)은 흑인 남성에 대한 폭력적인 묘사 등 일부 내용이 그리피스 개인의 관심사라기보다는 원작자 딕슨의 성향을 더 강하게 반영한다고 지적했다.[135]

영화 속 일부 허구 인물은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창조되었다. 예를 들어, 급진적인 폐지론자이자 하원의원인 오스틴 스토니먼은 재건 시대 펜실베이니아 출신의 급진 공화파 하원의원 태디어스 스티븐스를 모델로 삼았다.[20][21] 벤 캐머런은 러로이 맥아피(Leroy McAfee)라는 인물을,[22] 실라스 린치는 알론조 J. 랜시어와 리처드 하웰 글리브스라는 두 흑인 정치인을 모델로 삼아 부정적으로 형상화했다.[25][23]

그리피스(왼쪽)는 ''국가의 탄생'' 촬영장에서 배우 헨리 월솔(중앙) 등과 함께


촬영은 1914년 7월 4일 시작되어[28] 같은 해 10월에 완료되었다.[135] 주요 촬영지는 캘리포니아주 빅 베어 레이크,[135] 샌퍼난도 밸리의 그리피스 목장, 포레스트론 메모리얼 파크(피터스버그 전투 장면), 휘티어, 오하이 밸리 등이었다.[29][30] 웨스트포인트의 기술자들이 남북 전쟁 장면에 대한 기술 자문을 제공하고 실제 사용되었던 포병 장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전투 장면 연출에는 로버트 언더우드 존슨의 저서 《남북 전쟁의 전투와 지도자》, 《하퍼의 남북 전쟁 그림 역사》, 《우리 남북 전쟁의 군인》 및 매슈 브래디의 사진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25]

영화에 등장하는 많은 흑인 역할은 백인 배우들이 블랙페이스 분장을 하고 연기했다. 그리피스는 주요 인물에 흑인 배우를 기용하지 않은 것이 "신중한 고려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주장했지만,[25] 마담 술-테-완과 같은 실제 흑인 배우들이 엑스트라로 다수 참여했으며, 이들은 촬영 현장에서 인종 차별적인 숙소 배정 등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25]

초기 예산은 4만달러(1915년 기준 약 110.00000000000001만달러 상당)로 시작했으나,[31] 최종 제작비는 11만달러(1915년 기준 약 300만달러 상당)를 넘어 당시 영화 제작비 최고 기록을 세웠다.[32] 영화는 당시 일반적인 장편 영화 길이(4릴, 약 40~50분)를 훨씬 뛰어넘는 12릴(상영 시간 3시간 이상) 분량으로 제작되었다.

촬영된 필름은 총 약 45720.00m(약 36시간 분량)에 달했으며, 이를 6주 이상 편집하여 최종적으로 약 3962.40m(3시간 이상) 분량으로 완성했다.[28] 초기 상영 후 관객 반응에 따라 일부 장면이 편집되거나 삭제되었으며, 현존하는 필름 판본에는 누락된 장면들이 존재한다.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면에는 백인 노예 상인들이 서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납치하여 노예선에 가두는 장면, 하원의 남부 의원들, 1860년 대선 결과에 대한 북부인들의 반응, 제14조 수정안 통과 과정, 남부 연합 회의 장면,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계엄령 묘사 등이 포함된다. 특히 뉴욕 개봉을 앞두고는 당시 뉴욕 시장이었던 존 퍼로이 미첼의 요청에 따라, 흑인 소년의 체취에 불쾌감을 느끼는 백인 여성 폐지론자, 길거리에서 백인 여성을 위협하는 흑인 남성, 그리고 "링컨의 해결책"이라는 제목 하에 흑인들을 아프리카로 추방하는 내용을 담은 장면 등 매우 노골적인 인종차별적 장면들이 추가로 삭제되었다.[25] 한때 거스(Gus)가 플로라(Flora)를 강간하는 장면이 촬영되었으나 삭제되었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1974년 촬영 감독 칼 브라운은 해당 장면이 촬영된 적 없다고 공식적으로 부인했다.[25]

영화 음악은 조셉 칼 브레일(Joseph Carl Breil)이 작곡한 전용 오케스트라 반주곡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미국 영화에서 본격적인 영화 음악 활용의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 리하르트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과 같은 기존 클래식 음악도 일부 차용되었다.

그리피스는 역사적 사실성을 추구했다고 주장하며 세부적인 고증에 노력을 기울였다. 링컨 암살 장면을 위해서는 암살 당일 포드 극장에서 실제로 공연되었던 연극 《우리 미국인 사촌》(Our American Cousin)의 대본을 입수하여 암살 순간의 무대 위 대사까지 재현하려 했으며, 포드 극장 세트는 야외에 건설되었다. 군복을 비롯한 각종 의상 역시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재현하고자 했다. 다만, 남북 전쟁 장면 촬영 시에는 부족한 엑스트라 규모를 감추기 위해 발연탄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전장의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제작 과정에는 훗날 할리우드에서 유명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게 되는 래울 왈시, W. S. 밴 다이크, 에리히 폰 슈트로하임, 도널드 크리스프, 존 포드 등이 조감독이나 엑스트라로 참여하여 경험을 쌓았다.

1931년에는 음악과 음향 효과를 동기화시킨 유성 영화 버전이 제작되기도 했다.

5. 개봉 및 반응

토머스 딕슨의 소설 《클랜즈먼》(''The Clansman'')을 원작으로 하여 데이비드 워크 그리피스가 감독한 영화이다. 미국 영화사상 첫 장편 서사 영화로 평가받으며, 남북 전쟁과 그 이후 미국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북부의 스톤맨 가문과 남부의 캐머런 가문이라는 두 집안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두 가문 구성원들의 로맨스, 전쟁의 비극, 해방된 흑인에 의한 백인 여성 강간 미수와 자살 등의 사건을 에이브러햄 링컨 암살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엮어 보여준다. 그리피스는 역사적 사실성을 추구했다고 주장하며, 링컨 암살 장면 재현을 위해 당시 공연 대본까지 찾아내 대사를 복원했다고 한다.[25]

당시 주류였던 4릴(약 40~50분) 길이 영화들과 달리, 이 영화는 12릴(약 3시간)에 달하는 파격적인 길이를 가졌다. 총 제작비는 광고비를 포함하여 약 11만달러가 소요되었다.[32]

영화는 개봉 후 엄청난 흥행 성공을 거두었다. 뉴욕에서는 44주 동안 연속 상영되었으며,[83] 개봉 후 2년 동안 2,5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은 티켓 가격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1931년에는 음악과 효과음을 추가한 유성 영화 버전도 제작되었다.

그러나 영화는 흥행 성공과 별개로 심각한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남부 백인의 관점에서 서술되며 쿠 클럭스 클랜(KKK)을 영웅적으로 미화하고 흑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여[150][118] 거센 비판과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다. 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NAACP)를 중심으로 상영 금지 운동이 벌어졌고, 일부 도시에서는 실제로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78] 이러한 논란과 사회적 영향, 그리고 영화에 대한 구체적인 비판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5. 1. 개봉

영화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한 개봉 2주차 ''국가의 탄생'' 포스터 및 광고


영화는 원래 ''클랜스맨''(The Clansman)이라는 제목으로 1915년 1월 1일과 2일, 리버사이드의 로링 오페라 하우스(Loring Opera House)에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00] 이틀째 상영은 매진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표를 구하지 못해 입장하지 못했다.[40] 이후 1915년 2월 8일,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의 클룬 오디토리엄(Clune's Auditorium)에서 3,000명의 관객 앞에서 상영되었다.[41] 이 로스앤젤레스 초연에서는 조셉 칼 브레일(Joseph Carl Breil)이 작곡한 음악 대신 칼리 엘리너(Carli Elinor)가 편집한 악보가 연주되었으며, 이 악보는 미국 서부 해안 상영에서만 사용되었다.[38][39]

한 달 뒤인 3월 3일, 영화는 ''국가의 탄생''(The Birth of a Nation)으로 제목을 바꾸어 뉴욕의 리버티 극장(Liberty Theatre)에서 오케스트라 반주와 함께 초연되었다. 이때부터 브레일이 작곡한 음악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8][39] 뉴욕 초연 중간 휴식 시간에는 원작 소설가이자 영화 각색에 참여한 토머스 딕슨 주니어(Thomas Dixon Jr.)가 무대에 올라, 9년 전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연극 ''클랜스맨''이 공연되었음을 상기시키며 "남부연합군 병사의 아들이 아니었다면 영화 연출을 허락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하며 인종차별적이고 편협한 시각을 드러냈다.[42]

제작자들은 막대한 제작비를 회수하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을 벌였는데, 특히 로드쇼 방식을 적극 활용했다. 이는 영화표 가격을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2USD로 높게 책정하고, 기념품을 판매하고, 광범위한 배급 전에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키는 전략이었다. 그리피스(Griffith)의 팀은 여러 도시를 순회하며 짧게 상영하는 방식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28] 뉴욕에서는 높은 입장료에도 불구하고 44주 동안 장기 상영되었으며, 개봉 후 2년 동안 2,500만 명이 관람했다고 기록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1000만달러 이상, 미국 내에서만 300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물가 상승률을 고려할 때 미국 영화 역사상 가장 큰 흥행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 영화는 백악관(White House)에서 상영된 최초의 영화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이 직접 관람했는데, 이는 영화가 담고 있는 인종차별적 메시지에 대한 논란을 더욱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1924년에 『國民の創生』(국민의 창생)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 현재 통용되는 『國家の創生』 표기는 1990년대 비디오 출시 때 사용된 것이고, 개봉 당시나 1992년 이전 출판물에서는 『國民の創生』으로 표기되었다.

영화는 이후 정치적인 이유로 1921년과 1927년에 단축 버전이 제작되었고, 1931년에는 그리피스의 감수 하에 재편집 및 단축이 이루어지면서 오케스트라 음악과 효과음을 동기화한 사운드 버전도 만들어졌다. 비디오 시장에는 125분짜리 단축 버전도 있지만, 현재 미국에서는 190분 분량의 무삭제 버전 DVD도 판매되고 있다.

5. 2. 사회적 영향



이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동시에 심각한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영화는 남부 백인의 관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되며, 특히 후반부 미국 재건 시대를 다루면서 쿠 클럭스 클랜(KKK)을 영웅적으로 묘사하고 흑인을 악역으로 그렸다. 이로 인해 "남부 재건과 질서 회복에 KKK가 필수적이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연구에 따르면 이 영화는 KKK에 대한 지지를 확산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71][72][73] 백인 관객들에게 KKK를 미화하면서[74] 영화는 전국적인 문화 현상이 되었다. KKK 모자나 주방 앞치마 같은 상품이 만들어졌고, 영화관 직원들이 개봉 시 KKK 복장을 하기도 했다. 뉴욕에서는 KKK 테마 무도회가 열렸고, 시카고에서는 수천 명의 대학생들이 핼러윈에 KKK 복장을 입고 파티를 열었다.[75] 역사학자 존 홉 프랭클린은 《국가의 탄생》이 없었다면 1915년 11월 윌리엄 조셉 시몬스에 의한 KKK 부활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135][114]

영화 개봉 후 필라델피아 등 주요 도시에서는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영화의 선동적인 내용이 백인들이 흑인을 공격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1916년 시카고 아메리칸지는 영화를 본 백인 남성이 인디애나주 라파예트에서 흑인 십대를 살해했다고 보도했으나, 실제 영화 관람 여부는 논란이 있다.[76] 한 세기 이상 지난 후 발표된 하버드 대학교 연구 논문은 영화가 상영된 달에 해당 지역의 린치 사건이 평균 5배 증가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72] 2023년 연구 역시 1915년부터 1920년 사이 영화의 순회 상영이 린치와 인종 폭동 급증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71]

이러한 문제 때문에 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NAACP)와 같은 반인종차별 단체들은 역사 왜곡과 인종차별 조장을 이유로 강력히 항의하며 상영 금지 운동을 벌였다. 로스앤젤레스에서는 경찰의 보호 아래 상영되었고, 시카고 등 일부 도시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아이오와주 시더 래피즈 시장은 흑인 시민 대표단과의 면담 후 인종 갈등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며 1915년 영화 상영을 금지했는데, 이는 당시 12명의 시장 중 첫 사례였다.[77] NAACP는 영화에 대한 전국적인 불매 운동을 조직했으며, 이는 상당한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보스턴에서 영화가 상영될 때 대규모 시위를 조직했고, 3개 주와 여러 도시에서 상영 금지를 이끌어냈다.[78]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국가의 탄생》은 "미국 영화 최대의 수치"로 불리기도 했다. 후에 대통령이 된 로널드 레이건의 아버지는 인종차별을 혐오하여 아들에게 이 영화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또한 당시 할리우드에는 흑인 배우가 거의 없었고, 차별 때문에 출연이 제한되어 백인 배우가 얼굴을 검게 칠하고 우스꽝스러운 흑인을 연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150] 민스트럴 쇼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 역시 인종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1952년 볼티모어에서는 영화 필름을 불태우는 항의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까지도 이 작품은 영화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인종차별을 조장하는 내용 때문에 적극적인 상영이 기피되고 있다. 1931년에 공개된 사운드 버전에서는 차별적인 장면이 일부 삭제되었지만, 주연 배우였던 릴리안 기시는 자서전에서 장면 연결이 어색해졌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 영화는 백악관에서 상영된 최초의 영화이기도 하며, 당시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관람하였다.

5. 3. 비판

토머스 딕슨의 소설과 희곡을 각색한 영화 ''국가의 탄생''은 개봉 전후로 상당한 비판에 직면했다. 영화의 원작자이자 영화가 역사적으로 정확하다고 믿었던 딕슨은 이러한 비판을 남부에 대한 "진실"에 적대적인 "지역주의자"들의 탓으로 돌렸으며,[51] 이러한 "사악한 세력"에 맞서기 위해 우드로 윌슨 대통령과 대법원의 지지를 구하려 했다.[51]

개봉 직후 언론과 지식인 사회에서도 비판이 제기되었다. '''뉴욕 타임스'''는 영화를 "멜로드라마적"이고 "선동적"이라 평하며, "딕슨 씨의 재건 시대의 불행한 장에 대한 평론에 드러난 정신과 오래된 상처를 건드리는 것으로 인해 제공되는 불쌍한 봉사"라고 지적했다.[79] '''뉴 리퍼블릭'''은 더욱 신랄하게 비판하며, 영화를 "공격적으로 악의적이고 중상적인" "정신적 암살"이라 부르고 "이를 통과시킨 검열관과 이를 견뎌낸 백인 인종을 저하시킨다"고 주장했다.[81] 미국의 대표적인 사회개혁가이자 헐 하우스 설립자인 제인 애덤스는 ''뉴욕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가장 불행한 점 중 하나는 반세기 전의 상황을 근거로 인종적 편견을 부추긴다는 점이며, 이는 오늘날 우리가 고려해야 할 사실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비판하고, "역사는 남용하기 쉽다"고 덧붙였다.[95] 뉴욕의 스티븐 새뮤얼 와이즈 랍비는 영화 관람 후 "인류의 한 종족에 대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불쾌하고 역겨운 중상"이라고 말했다.[135]

신문 편집자이자 활동가였던 윌리엄 몬로 트로터는 영화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도했다.


특히 미국 유색인종 지위 향상 협회(NAACP)는 영화 상영에 조직적으로 반대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NAACP 로스앤젤레스 지부는 시의 영화 심의위원회에 상영 금지를 요청했으나, 백인 위주로 구성된 위원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91] NAACP는 여러 도시에서 시사회 항의 시위를 벌이고, 영화의 허구와 역사 왜곡을 비판하는 기사를 발표했으며, 상영 반대 청원 운동과 함께 남북 전쟁 및 재건 시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교육 캠페인을 전개했다.[92] 비록 상영 금지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93] 이러한 활동은 NAACP의 존재를 미국 사회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94] 부커 T. 워싱턴은 신문 칼럼을 통해 영화 보이콧을 촉구했고,[135] 보스턴에서는 시민권 운동가 윌리엄 몬로 트로터가 영화가 인종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며 시위를 주도했다. 트로터와 흑인 시위대는 극장 앞에서 경찰과 충돌하여 체포되기도 했으며,[96] 이후 파뉴엘 홀에서 대규모 항의 집회가 열렸다.[12][97] 워싱턴 D.C.의 프랜시스 제임스 그림케 목사는 "악의적인 영화와의 싸움"이라는 소책자를 발간하여 영화의 역사적 정확성을 조목조목 반박했다.[135]

이에 대해 그리피스와 딕슨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항의를 일축했다.[98] 그리피스는 ''뉴욕 글로브''에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영화가 "흑인과 백인의 혼혈에 대한 영향"을 다룬다고 주장했으며,[98] 딕슨은 NAACP를 "흑인 혼혈 사회"라고 부르며 그들이 영화에 반대하는 이유가 "흑인과 백인의 결혼에 반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98] 그리피스는 또한 영화의 역사 왜곡을 비판한 언론인 셔윈 루이스에게 "대중은 비록 그것을 좋아하지 않을지라도 진실을 받아들이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답하며, 루이스를 "거짓말쟁이이자 겁쟁이"라고 비난했다.[100]

영화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비판은 노골적인 인종차별적 내용에 집중된다. 영화는 남부 백인의 시각에서 전개되며, 특히 후반부 재건 시대 묘사에서는 악명 높은 인종차별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KKK)을 남부를 구하는 영웅으로 미화하고 흑인들을 폭력적이고 우둔하며 성적으로 위협적인 존재로 그린다.[150][118] 이는 "남부 재건과 질서 회복에 KKK가 필수적이었다"는 심각한 역사 왜곡과 인종적 편견을 조장한다는 점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150] 또한 당시 할리우드의 인종차별적 관행에 따라 흑인 배우 대신 백인 배우가 얼굴을 검게 칠하고( 블랙페이스) 흑인 역할을 희화화하여 연기한 것 역시 민스트럴 쇼의 인종차별적 전통을 답습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50]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시카고 등 일부 도시에서는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으며,[150]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최대의 수치"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50] 인종차별을 혐오했던 로널드 레이건의 아버지가 어린 레이건에게 이 영화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50] 1952년 볼티모어에서는 영화 필름을 불태우는 항의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으며,[150] 오늘날에도 이 영화는 영화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인종차별 조장 내용 때문에 적극적인 상영이 기피되고 있다.[150] 1931년 공개된 사운드 버전에서는 일부 차별적인 장면이 삭제되었으나, 배우 릴리안 기시는 자서전에서 "결과적으로 각 장면이 앞뒤가 맞지 않게 되었다"고 비판했다.[150]

로저 에버트는 ''국가의 탄생''을 "악을 옹호하는 위대한 영화"라고 평가했다.


후대의 평론가들 역시 영화의 기술적 혁신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인종차별적 메시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영화 평론가 로저 에버트는 ''국가의 탄생''을 "악을 옹호하는 위대한 영화"라고 평가하며, "초기와 전쟁 장면은 훌륭하지만, 전후와 재건 시대의 장면들, 즉 낡은 민스트럴 쇼나 악의적인 만화 팜플렛처럼 서투른 방식으로 인종차별적인 장면들을 보면 몸서리친다"고 썼다.[116] 그는 이 영화를 통해 "영화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고, 심지어 악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배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116] 영화 역사가 케빈 브라운로우는 이 영화가 "당시에는 놀라운 작품"이었고 "영화 제작 기법에서 많은 발전을 이끌어냈지만 몇 년 안에 구식이 되었다"고 평가했다.[115]

영화의 해악은 단순히 스크린 안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2002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 영화가 1915년 쿠 클럭스 클랜의 재탄생에 크게 기여했다고 분석했으며,[117] History.com 역시 영화가 KKK에 대한 대중적 수용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118] 실제로 악명 높은 KKK 지도자 데이비드 듀크는 1970년대에 이 영화를 클랜 회원 모집에 활용하기도 했다.[119]

리처드 브로디는 2013년 ''뉴요커'' 기고문에서 ''국가의 탄생''을 "획기적인 상업적 스펙터클이지만 결정적으로 독창적인 예술 작품"이라면서도 "거짓을 현실로 위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영화의 "웅장하고 지속적인 미학적 장점 때문에 무시할 수 없고, 역겨운 내용에도 불구하고 사랑하지 않기 어렵다"는 점이 영화를 더욱 비열하게 만든다고 지적하며, 그리피스가 "막대한 재능을 증오의 대의명분에 묶었다"고 개탄했다.[145] 브로디는 또한 그리피스가 영화 속 장면들을 통해 의도치 않게 자신의 주장을 약화시킨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남부 캐머런 가문의 호화로운 생활이 노예들의 고된 노동 덕분임을 암시하는 장면이나, 남부 연합의 승리를 축하하는 장면이 오히려 다가올 패배와 파괴를 예고하는 것처럼 보이는 점, 흑인 남성 거스의 린치 장면이나 KKK가 흑인들의 투표를 방해하는 마지막 장면 등이 현대 관객에게는 옹호가 아닌 비판의 대상으로 읽힌다는 것이다.[145] ''애틀랜틱''의 타이 버 역시 이 영화를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중 하나로 꼽으면서도 흑인 남성을 야만적으로 묘사한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120]

이러한 격렬한 비판에 대한 반응으로 여러 후속 작품들이 제작되기도 했다. 그리피스 자신은 ''국가의 탄생''에 대한 비판에 부분적으로 응답하기 위해 1916년 영화 《탄압》(Intolerance)을 만들었다.[107] 같은 해 토머스 딕슨 주니어는 자신이 직접 감독한 속편 《국가의 멸망》(The Fall of a Nation)을 내놓았으나 흥행에 실패하고 현재는 유실 영화가 되었다.[109] ''국가의 탄생''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으로 에밋 제이 스콧이 제작한 《민족의 탄생》(The Birth of a Race, 1918)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화감독 오스카 마이초의 《우리의 문 안에서》(Within Our Gates, 1920) 등이 제작되었으며,[110][112] 현대에 와서는 DJ 스푸키가 영화를 리믹스한 《국가의 재탄생》(Rebirth of a Nation, 2004)을 선보였고,[113]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은 자신의 영화 《장고: 분노의 추격자》(Django Unchained, 2012)가 ''국가의 탄생''의 허위 사실을 반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145]

6. 영화 기술적 특징

미국 영화 연구소는 1998년 AFI 선정 100년…100대 영화 목록에서 이 영화를 44위로 선정했으며,[123] 1992년 미국 의회도서관은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영화로 간주하여 국가영화등록부에 보존하기로 결정했다.[122] 영화 평론가 조너선 클라인은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에서 이 영화에 대해 "그리피스는 무수한 예술적 혁신을 통해 현대 영화 언어를 사실상 창조했다"며, "극적인 클로즈업, 트래킹 샷, 병렬 액션 시퀀스, 크로스 컷팅, 그리고 다른 편집 기법" 등을 도입했다고 평가했다.[138] 그는 또한 "『국가의 탄생』이 그 주제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존중받고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 영화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138]

이 영화가 현재까지 회자되는 주된 이유는 획기적인 기술적 성취 때문이다. D. W. 그리피스는 이 작품을 통해 이전에 바이오그래프(Biograph) 사 시절 단편 영화들에서 시도했던 카메라 기법, 화면의 박력, 다양한 동적 효과, 관객에게 호소하는 편집 방식 등을 집대성하여 영화 예술의 기초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편집: 당시 영화들이 주로 한 장면을 한 컷으로, 고정된 카메라로 촬영했던 것과 달리, 그리피스는 하나의 장면을 여러 개의 숏으로 나누어 촬영하고 이를 정교하게 계산하여 연결함으로써 화면 내 움직임을 다채롭게 만들고 끊임없는 이야기 흐름을 만들어냈다.
  • 몽타주와 크로스 컷팅: 여러 숏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사건 전체를 보여주는 기법을 사용했다. 특히 병렬 몽타주라고도 불리는 크로스 컷팅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예를 들어 흑인들에게 습격당하는 백인들과 이들을 구출하러 가는 KKK의 장면을 교차 편집하여 극적인 긴장감과 서스펜스를 높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 시간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박진감과 감정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 다양한 촬영 기법: 컷백, 플래시백, 클로즈업, 팬(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이는 촬영), 이동 촬영 등 다양한 기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시각적 효과를 높였다.
  • 숏의 거리 조절: 한 장면을 롱숏, 와이드숏, 표준숏, 버스트숏, 클로즈업 등 다양한 거리의 숏으로 분해하고 각 숏의 길이도 조절하여 조합함으로써 박력 있는 장면을 만들어냈다. 롱숏과 극단적인 클로즈업을 번갈아 연결하는 편집도 시도되었다. 당시 사용된 오르토크로매틱 필름은 계조는 낮지만 근경부터 원경까지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특성(이는 필름 자체의 특성이라기보다는 광각 렌즈를 조여서 촬영하는 팬 포커스 기법의 결과로 볼 수 있다)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다양한 촬영 기법 구현에 유리했다.
  • 아이리스 인/아웃: 화면의 일부만 조리개를 열거나(아이리스 인) 닫아(아이리스 아웃)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장면 전환 효과를 주는 기법이다. 이 영화에서는 렌즈 앞에 구멍 뚫린 종이를 놓고 조작하는 원시적인 방식으로 구현된 것으로 추정되며, 특정 사건의 원인을 극적으로 제시하거나 인물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 상징적 표현: 화면 속 사물을 통해 등장인물의 심리나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기법을 사용했다. 이는 이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과 같은 감독들이 자주 활용하게 되는 기법이다.
  • 기타: 극적인 효과를 위한 색조 처리(틴팅), 영화만을 위해 작곡된 오케스트라 스코어 사용, 수백 명의 엑스트라를 동원하여 수천 명처럼 보이게 연출한 대규모 전투 장면[139], 페이드 아웃[139] 등도 이 영화에서 시도된 새로운 기술적 요소들이다.[31]

7. 논란과 유산

토머스 딕슨의 소설 《클랜즈먼》(''The Clansman'')을 번안한 작품으로, 미국 영화 첫 장편 작품이기도 하다. 이야기는 남북 전쟁과 그 후의 연방 재건 시대의 격랑을 겪는 미국 북부, 남부의 두 명가(펜실베니아의 스톤맨 가문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카메론 가문)에서 일어나는 아들의 전사, 양가 아이들(릴리안 기슈, 헨리 B. 월솔)의 연애, 해방 흑인 노예의 백인 딸 강간 미수와 투신 자살 등의 사건을 다룬다. 남북 전쟁, 노예 해방과 에이브러햄 링컨의 암살 등이 다큐멘터리 영화를 연상시키는 박진감 넘치는 영상과 함께, 백인의 관점에서 그려진다.

그리피스는 철저하게 사실만을 추구했다고 주장하며(이는 그의 관점에 한정된 것이지만), 링컨 암살 장면을 위해 암살 당일 공연했던 《우리 미국인 사촌》의 대본을 찾아 암살 순간 무대 대사까지 재현했다고 한다.

장편 영화가 4릴(약 40~50분) 정도였던 당시로서는 전례 없는 12릴(상영 시간 2시간 45분) 분량이었고, 제작비는 6.1만달러, 광고비 등을 합친 총 경비는 약 11만달러가 소요되었다.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어 뉴욕에서 44주 동안 연속 상영되었고, 완성 후 2년 동안 2,500만 명이 관람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31년에는 음악과 음향 효과를 동기화시킨 유성 영화 버전도 제작되었다.

7. 1. 논란

영화 《국가의 탄생》은 개봉 직후부터 그 내용과 영향력으로 인해 격렬한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인종차별적인 묘사와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에 대한 왜곡된 역사 해석, 쿠 클럭스 클랜(KKK) 미화 등이 주요 비판 대상이 되었다.

=== 백악관 상영과 윌슨 대통령의 입장 ===

1915년 2월 18일, 《국가의 탄생》은 백악관 동쪽 집무실에서 상영되었으며, 이는 백악관에서 상영된 최초의 장편 영화였다.[48] (이보다 앞서 1914년 이탈리아 영화 카비리아(Cabiria)가 백악관 정원에서 상영된 바 있다.) 상영회에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과 그의 가족, 내각 구성원들이 참석했으며, D. W. 그리피스 감독과 원작 소설가이자 각본가인 토머스 딕슨 주니어(Thomas Dixon Jr.)도 자리를 함께했다.[49][50]

윌슨 대통령이 영화에 대해 어떤 입장을 보였는지는 논란거리다. 영화 상영 이후, 윌슨이 영화를 지지했다는 주장에 항의하는 편지가 백악관에 쇄도했다.[49] 이에 윌슨의 비서관 조셉 패트릭 텀멀티는 윌슨이 "상영 전까지는 영화의 성격을 전혀 알지 못했고, 결코 그 영화에 대한 찬사를 표명한 적이 없다"고 해명하며, 상영은 오랜 지인인 딕슨에게 베푼 예의일 뿐이었다고 밝혔다.[49] 딕슨은 자신의 자서전에서 윌슨이 "오래전에 당신이 바쁜 생활에서 하루를 내어 나를 위해 무언가를 해주었기 때문에, 이 작은 일을 당신을 위해 해줄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51] (딕슨이 윌슨을 위해 한 일은 딕슨의 모교인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에서 윌슨이 명예 학위를 받도록 추천한 것이었다.[55])

그러나 윌슨이 영화의 내용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정황 증거도 강력하다. 윌슨과 딕슨은 존스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동문이었으며, 딕슨은 자신의 소설 《남부인》(The Southerner)을 윌슨에게 헌정하기도 했다. 또한 영화의 원작인 소설과 연극 《클랜스맨》(The Clansman)은 이미 인종차별적인 내용으로 악명이 높았고, 여러 도시에서 항의 시위와 상영 금지 논란을 일으키며 언론에 자주 보도되었다.[55] 워싱턴 D.C.의 유력지였던 《워싱턴 이브닝 스타》(The Washington Evening Star)가 상영 전 딕슨과 윌슨의 친분을 언급하며 윌슨이 영화에 관심을 보인다고 보도했을 때도 윌슨 측은 아무런 항의를 하지 않았다.[48]

결정적으로 영화에는 윌슨의 저서 ''미국 국민의 역사''(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에서 발췌한 문구들이 자막으로 삽입되었다.[55] 이 인용문들은 흑인들을 무지하고 오만한 존재로 묘사하고, 공화당 의회 지도자들이 남부 문명을 파괴했다고 비난하며, KKK의 등장을 "남부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자기 보존 본능의 발현으로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모험가들이 북쪽에서 몰려들었고, 한 종족의 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종족의 적이기도 하여, 흑인들을 속이고, 기만하고, 이용했다... [원문의 생략] 마을에서 흑인들은 공무원이었고, 권력의 용도를 오만함을 제외하고는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었다."

"... 의회 지도자들의 정책은... 남부의 문명을 실질적으로 파괴했다... '백인 남부를 흑인 남부의 발 아래 두려는' 결정에서..."[원문의 생략과 밑줄]

"백인들은 단순한 자기 보존 본능에 의해 자극받았다... 마침내 남부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남부의 진정한 제국인 위대한 쿠 클럭스 클랜이 탄생했다." [원문의 생략]



윌슨은 같은 책에서 클랜의 본래 목표와 그 클랜이 몰락한 상태 사이의 깊은 틈에 대해 가혹한 비판을 하고 있지만[52][53], 영화에 인용된 부분은 명백히 인종차별적이고 KKK를 옹호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어 딕슨이 윌슨의 말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5]

후일 1937년 한 유명 잡지는 윌슨이 이 영화에 대해 "마치 번개로 역사를 쓰는 것 같다. 내 유일한 후회는 모든 것이 너무나도 사실이라는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4] 이 발언의 진위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55][56]

=== 대법원 상영 ===

백악관 상영 다음 날인 1915년 2월 19일, 딕슨은 해군 장관 조지프스 다니엘스의 주선으로 대법원장 에드워드 더글러스 화이트를 만났다. 딕슨이 영화가 재건 시대와 KKK의 역할에 대한 "실화"라고 설명하자, 루이지애나 출신으로 젊은 시절 KKK 단원이었다고 밝힌 화이트 대법원장은 영화 관람에 동의했다.[58] 결국 화이트 대법원장을 비롯한 대법관 전원과 다수의 하원의원, 외교관, 상원의원 등 600여 명이 롤리 호텔에서 영화를 관람했으며, 청중은 영화 내내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고 전해진다.[59][60][135][61][62]

=== 사회적 파장과 항의 운동 ===

《국가의 탄생》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동시에 미국 사회에 심각한 갈등과 폭력을 야기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 영화는 KKK에 대한 지지를 확산시키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71][72][73] 영화가 KKK를 영웅적으로 미화하자[74], KKK 단복을 모방한 모자나 앞치마 같은 상품이 등장했고, 일부 극장 직원들은 KKK 복장을 하고 관객을 맞이하기도 했다. 뉴욕에서는 KKK 테마 무도회가 열렸고, 시카고에서는 수천 명의 대학생들이 할로윈 파티에서 KKK 복장을 입었다.[75]

영화 개봉 이후 필라델피아를 비롯한 여러 주요 도시에서는 폭동이 발생했으며, 영화의 선동적인 내용이 백인들의 흑인에 대한 공격을 부추기는 촉매제가 되었다. 시카고 아메리칸지는 영화를 본 백인 남성이 인디애나주 라파예트에서 흑인 십대를 살해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살인자의 영화 관람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76] 2023년 하버드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1915년부터 1920년 사이 영화가 순회 상영된 지역에서는 린치와 인종 폭동이 급증했으며, 영화가 상영된 달에는 린치 사건이 평균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71][72]

이러한 폭력성과 인종차별적 내용 때문에 영화 상영을 금지하려는 움직임도 거셌다. 아이오와주 시더 래피즈 시장은 흑인 시민 대표단과의 면담 후 인종 갈등을 조장할 것이라는 우려로 영화 상영을 금지했으며, 이는 전국 12개 도시의 상영 금지 조치 중 첫 사례였다.[77] 시카고 등의 도시에서도 상영이 금지되었다.

전미흑인지위향상협회(NAACP)는 영화 상영에 반대하는 전국적인 불매 운동과 항의 시위를 조직했다. NAACP는 영화의 역사 왜곡과 인종차별적 편견을 비판하는 공공 교육 캠페인을 벌였고, 여러 도시에서 상영 금지를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78][91][92] 보스턴에서는 NAACP 활동가 윌리엄 몬로 트로터가 주도한 항의 시위가 격렬한 충돌로 번져 트로터를 포함한 11명이 체포되기도 했다.[96][12][97] NAACP의 이러한 활동은 비록 영화의 전국적인 상영을 막지는 못했지만, 조직의 인지도를 높이고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었다.[94]

헐 하우스 설립자인 사회개혁가 제인 애덤스는 영화가 "반세기 전의 상황을 근거로 인종적 편견을 부추긴다"며 비판했고[95], 스티븐 새뮤얼 와이즈 랍비는 "인류의 한 종족에 대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불쾌하고 역겨운 중상"이라고 규탄했다.[135] 저명한 흑인 교육자 부커 T. 워싱턴은 신문 칼럼을 통해 영화 보이콧을 촉구했으며[135], 프랜시스 제임스 그림케 목사는 영화의 역사적 오류를 조목조목 반박하는 소책자를 발간했다.[135]

언론의 반응도 엇갈렸다. '''뉴욕 타임스'''는 영화를 "멜로드라마적"이고 "선동적"이라고 평하며 "오래된 상처를 건드리는" 점을 비판했다.[79] 반면 '''베라이어티'''는 그리피스의 연출력을 높이 평가했고[80], '''뉴욕 데일리 뉴스'''와 '''뉴욕 트리뷴''' 등은 영화의 오락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뉴 리퍼블릭'''은 "공격적으로 악의적이고 중상적인" "정신적 암살"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81]

=== 제작자들의 반박과 옹호론 ===

영화에 대한 격렬한 비판에 직면하자 감독 그리피스와 원작자 딕슨은 적극적으로 반박에 나섰다. 딕슨은 비판이 남부에 대한 진실을 왜곡하려는 "지역주의자"들의 음해라고 주장하며[51], 윌슨 대통령과 대법원의 지지를 얻으려 시도했다.[51] 그리피스는 자신의 영화가 "흑인과 백인의 혼혈"이 초래하는 문제점을 다룬 것이라고 주장했으며[98], 비평가들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검열을 시도한다고 비난하는 소책자를 발간하기도 했다.[99] 그는 영화의 역사 왜곡을 지적한 한 언론인에게 "대중은 진실을 받아들이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답하며 비판자를 "거짓말쟁이이자 겁쟁이"라고 비난했다.[100] 딕슨은 NAACP를 "흑인 혼혈 사회"라고 부르며, 그들이 영화에 반대하는 진짜 이유는 "흑인과 백인의 결혼에 반대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98]

한편, 영화의 기술적 성취와 흥행 성공을 칭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위대한 영화이자, 지금까지 촬영된 가장 위대한 드라마"라고 칭했다.[102] 영화배우 메리 픽포드는 "'국가의 탄생'은 영화 산업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게 만든 최초의 영화였다"고 말했다.[103] 일부 종교 지도자들은 영화가 인종차별적이지 않다고 옹호하기도 했다. 찰스 헨리 파크허스트 목사는 영화가 흑인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여 역사에 부합하며, 오히려 재건 시대 이후 흑인들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흑인에 대한 칭찬"이라고 주장했다.[105]

관객들의 반응은 매우 열광적이었다. 비평가 돌리 달림플은 상영관 내에서 "끊임없는 긍정적인 속삭임, 폭소, 불안한 숨소리, 그리고 박수갈채가 스크린의 새로운 장면마다 터져 나왔다"고 묘사했다.[106] 심지어 한 남성은 영화 속 백인 여성 플로라 카메론이 흑인 남성 거스에게 쫓기는 장면에서 격분하여 권총을 꺼내들고 그녀를 돕기 위해 스크린에 발포하기 시작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06] 캐서린 듀프럼프킨은 1947년 자서전에서 1915년 영화를 본 경험을 회상하며 "여기에는 흑인의 모습과 백인 소녀의 공포가 있었다... 여기에는 남부가 경멸하는 사악한 남자들과 남부가 존경하는 고귀한 남자들이 있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통해 KKK단이 질주했다. 내 주위의 사람들은 숨을 쉬고 떨었고, 때로는 그들의 격렬함 속에서 소리 지르거나 울었다"고 적었다.[127]

=== 역사 해석과 인종차별적 묘사 ===

《국가의 탄생》은 오늘날까지도 미국 역사, 특히 재건 시대에 대한 왜곡된 해석 때문에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역사학자 스티븐 민츠는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재건 시대는 완전한 실패였고, 흑인들은 백인 사회에 동등하게 통합될 수 없었으며,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의 폭력적인 행동은 정직한 정부를 재건하기 위한 정당한 것이었다"는 것으로 요약한다.[124] 영화는 남부를 전쟁의 피해자로 묘사하면서 남북 전쟁의 발단이 된 남부 연합의 섬터 요새 공격은 언급하지 않는다.[125] 대신 북부의 급진파 공화당 정치인들과 해방된 흑인 노예들이 남부를 위협에 빠뜨렸고, 이에 맞서 KKK가 질서를 회복했다는 식으로 서사를 전개한다. 이는 당시 일부 백인 역사학자들이 주장했던 더닝 학파(Dunning School)의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126] 영화는 원작 소설보다는 다소 덜 극단적이지만, 원작에서 딕슨은 재건 시대를 흑인 남성들이 백인 여성을 자유롭게 강간하는 악몽 같은 시대로 왜곡했다.[127]

영화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남부의 친구로 묘사하고 "위대한 심장(the Great Heart)"이라고 부른다.[128] 영화에 묘사된 필 스토니먼과 마가렛 캐머런, 벤 캐머런과 엘시 스토니먼의 두 가지 로맨스는 그리피스의 역사 재해석을 반영한다. 이 커플들은 은유로 사용되어, 백인 우월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남북의 화해 필요성이라는 영화의 더 광범위한 메시지를 나타낸다.[129] 자막 중 하나는 통합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요약한다. "남북의 옛 적들은 아리아 인종의 권리를 방어하기 위해 다시 연합했다."[130]

이러한 왜곡된 역사관은 재건 시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대중에게 각인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클로드 바우어스는 1929년 저서 "비극의 시대: 링컨 이후의 혁명(The Tragic Era: The Revolution After Lincoln)"에서 "국가의 탄생"을 재건 시대에 대한 사실적으로 정확한 설명으로 다루었다.[135] "비극의 시대"에서 바우어스는 남부의 모든 흑인 정치인을 부패한 것으로 묘사하고, 공화당 대표 태디어스 스티븐스를 흑인을 백인과 동등하게 만들려는 악의적인 "인종 반역자(race traitor)"로 묘사했으며, 클랜이 남부의 "문명을 구원했다"고 칭찬했다.[135]

영화는 흑인을 폭력적이고 우둔하며 성적으로 문란한 존재로 묘사하는 등 노골적인 인종차별적 시각을 드러낸다. 특히 백인 배우가 얼굴을 검게 칠하고 과장된 행동으로 흑인을 희화화하는 블랙페이스 분장은 당시부터 큰 비판을 받았다.[150] 이는 인종차별적인 민스트럴 쇼의 전통을 스크린으로 옮겨온 것이었다.

=== 지속되는 논란과 평가 ===

《국가의 탄생》은 영화 촬영 기법과 서사 구조 면에서 혁신을 이룬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그 내용이 담고 있는 심각한 인종차별과 역사 왜곡 때문에 "미국 영화 최대의 수치"라는 비판을 받는다. 영화가 KKK의 부활과 인종 폭력에 미친 영향은 부인할 수 없으며, 1952년 볼티모어에서는 영화 필름을 불태우는 항의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에도 이 작품이 가진 영화사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차별을 조장하는 내용 때문에 적극적인 상영은 기피되고 있다. 후일 대통령이 된 로널드 레이건의 아버지는 인종차별을 싫어하여 아들에게 이 영화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7. 2. 유산

D. W. 그리피스는 《국가의 탄생》이 받은 비판에 대한 부분적인 반응으로 1916년 영화 《탄압》(Intolerance)을 제작했다.[107] 그리피스는 여러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제목과 주제가 《국가의 탄생》에 대해 편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응으로 선택되었음을 밝혔다.[107] 같은 해, 영화 역사상 최초의 장편 속편으로 평가받는 《국가의 멸망》(The Fall of a Nation)이 개봉되었다.[108] 이 영화는 토머스 딕슨 주니어가 자신의 동명 소설을 각색하고 직접 감독했으며, 독일 주도의 유럽 군주국 연합이 미국을 침략하는 내용을 담아 제1차 세계 대전의 맥락에서 평화주의를 비판했다. 해외에서는 성공했지만 미국에서는 흥행에 실패했고,[109] 현재는 유실 영화로 분류된다.[109]

《국가의 탄생》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제작된 다른 영화들도 있다. 1918년 존 W. 노블 감독의 《민족의 탄생》(The Birth of a Race)은 제작자 에밋 제이 스콧이 그리피스 영화에 도전하며 이야기의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자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110][111] 1920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화 제작자 오스카 마이초는 《우리의 문 안에서》(Within Our Gates)를 개봉하여 짐 크로 법 시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난을 묘사하며 《국가의 탄생》에 응답했다.[112] 2004년에는 DJ 스푸키가 《국가의 재탄생》(Rebirth of a Nation)이라는 제목으로 그리피스의 영화를 리믹스했으며,[113] 퀀틴 타란티노는 자신의 영화 《장고: 분노의 추격자》(2012)가 《국가의 탄생》의 허위 사실을 반박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고 밝혔다.[145]

《국가의 탄생》은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 KKK)의 부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1915년 11월, 윌리엄 조셉 시몬스는 조지아주 애틀랜타 근처 스톤 마운틴에서 십자가를 불태우며 KKK를 재건했다.[135][114] 역사학자 존 홉 프랭클린은 《국가의 탄생》이 없었다면 KKK가 부활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135] History.com 역시 이 영화가 KKK에 대한 대중적 수용을 얻는 데 기여했으며, 영화 전반에 걸쳐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잔인하고, 게으르며, 도덕적으로 타락하고 위험한 존재로 묘사한다고 밝혔다.[118] 실제로 데이비드 듀크와 같은 인물은 1970년대에 이 영화를 KKK 단원 모집에 활용하기도 했다.[119]

영화 자체에 대한 평가는 양면적이다. 영화사학자 케빈 브라운로우는 이 영화가 개봉 당시 "놀라운 작품"이었고 "영화 제작 기법에서 많은 발전을 이끌어냈지만 몇 년 안에 구식이 되었다"고 평가했다.[115] 그러나 노골적인 인종차별적 내용은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다.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현대 관객에게 이 영화가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고 언급하며, 초기와 전쟁 장면은 훌륭하지만 재건 시대 장면들은 "낡은 민스트럴 쇼나 악의적인 만화 팜플렛처럼 서투른 방식으로 인종차별적"이라고 비판했다.[116] 그럼에도 에버트는 이 영화를 역사적 도구로서의 가치를 인정하며,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처럼 "악을 옹호하는 위대한 영화"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것이 어떻게 그렇게 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영화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는 것이고, 심지어 악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배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116]

2013년 평론가 리처드 브로디는 이 영화를 "획기적인 상업적 스펙터클이지만 결정적으로 독창적인 예술 작품"이며 "사실상 영화적 리얼리즘의 창시 작품이지만, 거짓을 현실로 위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평했다. 그는 영화의 "특이하고 불쾌할 정도로 고귀한 아름다움"과 "역겨운 내용" 사이의 갈등이 영화를 더욱 비열하게 만들고 관람 경험을 고통스럽게 만든다고 지적했다.[145] 브로디는 또한 그리피스가 의도치 않게 영화 속 자신의 주장을 약화시키는 장면들을 포함했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캐머런 가문의 부가 노예 노동에 기반한다는 점, 남부의 승리 축하 장면이 다가올 패배를 암시하는 "죽음의 춤"처럼 보이는 점, KKK의 린치 장면이나 흑인 투표 방해 장면이 현대 관객에게는 "역겹고 끔찍하며", "불의하고 잔인하게" 보인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145]

애틀랜틱의 타이 버는 이 영화를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중 하나로 꼽으면서도 흑인 남성을 야만적으로 묘사한 점을 비판했다.[120] 타임의 리처드 콜리스는 그리피스가 "영화 예술을 발명했다"고 평가하며 《국가의 탄생》에서 그 결실을 맺었다고 썼다. 그는 영화의 "훌륭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칭찬하며, 남북 전쟁 장면에 대해서는 "국가적 영광이 아니라 전투의 인적 비용을 강조한다"며 그리피스를 "영화적 인본주의자"로 평가하기도 했다.[121]

영화 속 스토니먼 의원 캐릭터는 1860년대 가장 강력한 급진 공화당원 중 한 명이었던 태디어스 스티븐스(사진)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는 미국 역사, 특히 재건 시대에 대한 해석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휴스턴 대학교의 스티븐 민츠는 영화의 메시지를 "재건 시대는 완전한 실패였고, 흑인들은 백인 사회에 동등하게 통합될 수 없으며, KKK의 폭력은 정직한 정부를 재건하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었다"는 것으로 요약했다.[124] 영화는 남부를 피해자로 묘사하며, 남북 전쟁의 발단이 된 섬터 요새 공격은 언급하지 않은 채 에이브러햄 링컨이 북부 자원병을 모집하는 장면부터 보여준다.[125] KKK가 폐지론자, 해방 노예, 북부 출신 공화당원들로부터 남부를 구하고 질서를 회복시킨 구원자로 묘사되는데, 이는 당시 학계에서 유행했던 더닝 학파의 역사관을 반영한다.[126] 원작 소설보다는 덜 극단적이지만, 여전히 재건 시대를 왜곡하고 있다.[127]

영화는 에이브러햄 링컨을 남부 백인에 대한 화해 정책을 지지한 "위대한 심장(the Great Heart)"으로 긍정적으로 묘사한다.[128] 이는 영화 속 악역인 오스틴 스토니먼 의원의 강경한 입장과 대조된다. 링컨 암살 장면은 전쟁에서 재건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점을 나타내며,[133] 영화의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고 있다.[134] 영화 속 스토니먼 의원 캐릭터는 급진 공화당원이었던 태디어스 스티븐스와 유사점이 있지만, 스티븐스는 영화와 달리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이주하지 않았고 1868년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 다만, 스티븐스에게는 혼혈 가정부이자 사실혼 관계로 여겨진 리디아 해밀턴 스미스가 있었다.[132]

영화 속 두 쌍의 남북 커플(필 스토니먼과 마가렛 캐머런, 벤 캐머런과 엘시 스토니먼) 로맨스는 백인 우월주의 수호를 위한 남북 화해라는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129] 한 자막은 "남북의 옛 적들은 아리아 인종의 권리를 방어하기 위해 다시 연합했다"며 이러한 메시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130]

《국가의 탄생》은 재건 시대가 남부 백인에게 재앙이었다는 잘못된 믿음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클로드 바우어스는 1929년 저서 《비극의 시대》에서 이 영화를 사실적인 역사 기록처럼 다루며, 남부 흑인 정치인들을 부패했다고 매도하고 태디어스 스티븐스를 "인종 반역자"로 비난했으며 KKK가 남부 "문명을 구원했다"고 칭송했다.[135] 그는 흑인 참정권 확대가 강간과 같은 범죄를 만연하게 했다는 식의 왜곡된 주장을 펼쳤다.[135] 역사학자 E. 머턴 쿨터 역시 이 영화를 역사적 사실로 취급하며 재건 시대를 흑인들이 마구잡이로 폭력을 행사한 시대로 묘사했다.[135] 그러나 존 홉 프랭클린은 영화의 묘사와 달리 대부분의 해방 노예들은 이전 주인을 위해 계속 일했으며, 복수를 추구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고 반박했다.[135] 영화에서 묘사된 대규모 KKK의 준군사적 행동 역시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1871년 KKK 단체들이 지역 방위군을 무장 해제시킨 사례는 있었다.[136]

1960년대 시민권 운동 이후 에릭 포너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역사가들은 W. E. B. 듀보이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재건 시대에 대한 재평가를 이끌었다. 이들은 흑인과 백인 공화당 연합이 이룬 보편적 공교육 도입, 자선 단체 설립, 흑인 남성 투표권 확대 등의 성과에 주목했다. 반면, 남부 민주당과 연계된 백인 우월주의 민병대는 1870년대에 테러, 협박, 암살 등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인 지도자와 유권자를 억압하고 권력을 되찾으려 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37]

1992년 미국 의회도서관은 이 영화를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하여 국가영화등록부에 보존하기로 결정했다.[122] 미국 영화 연구소(AFI)는 1998년 AFI 선정 100년…100대 영화 목록에서 이 영화를 44위로 선정했다.[123]

오랫동안 《국가의 탄생》은 저화질 상태로 유통되었는데, 이는 그리피스를 포함한 여러 사람이 영화를 자주 재편집하여 확정된 버전이 없었기 때문이다. 많은 가정용 매체 출시본은 편집, 음악, 상영 속도가 제각각인 저품질 상태였다.[140] 1992년 영화 보존 전문가 데이비드 셰퍼드가 16mm 필름 인화본을 바탕으로 고화질 버전을 VHS레이저디스크로 출시했으며, 이는 이후 DVD로도 발매되었다.[140] 영국에서는 포토플레이 프로덕션이 현대미술관의 35mm 필름 인화본과 영국영화협회 자료를 바탕으로 복원 작업을 진행하고 오케스트라 연주 음악을 추가했지만, 가정용 비디오로는 출시되지 않았다.[140] 2011년 키노는 35mm 네거티브 필름을 HD로 복원하여 미국 의회 도서관 자료를 추가하고 새로운 음악을 삽입한 버전을 블루레이로 출시했다.[140] 2015년 개봉 100주년을 맞아 포토플레이 프로덕션과 영국영화협회는 원본 카메라 네거티브 등 초기 세대 자료를 사용하여 4K 해상도로 완전 복원 작업을 수행했다. 이 버전은 최초로 영화의 원본 색조 처리를 복원했으며, 다양한 부가 자료와 함께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140]

《국가의 탄생》은 후대 대중문화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종종 비판과 풍자의 대상이 되었다.

연도작품감독/제작자내용
1974《블레이징 새들스》멜 브룩스KKK를 숭배하는 듯한 묘사를 풍자적으로 비판.[141]
1976《니켈로디언》피터 보그다노비치주인공이 시사회에 참석하여 영화의 파급력을 깨닫는 장면 포함.[142]
1994포레스트 검프로버트 저메키스주인공의 조상인 네이선 베드퍼드 포레스트를 묘사하는 장면에 영화 일부 사용.[143]
2000《뱀부즐드》스파이크 리20세기 초 영화 속 흑인 비하 묘사를 모은 마지막 장면에 영화 일부 포함.[112]
2004《C.S.A.: 남부연합 미국》케빈 윌못남부연합이 승리한 가상 역사 속에서 《국가의 탄생》과 유사한 가상 영화 등장.[145]
2014《디어 화이트 피플》저스틴 시미언주인공이 《국가의 재탄생》이라는 제목의 풍자 단편 영화 상영.[112]
2016국가의 탄생네이트 파커냇 터너의 노예 반란을 다룬 영화. 파커는 원작 제목을 되찾아 인종차별과 백인 우월주의에 맞서는 도구로 사용하고자 했다고 밝힘.[146]
2016《힐러리의 미국: 민주당의 비밀 역사》디네시 드수자윌슨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영화를 보는 장면 묘사. 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과거 인종차별 역사를 비판하려는 의도.[147]
2018《국가의 죽음》디네시 드수자제목에서 《국가의 탄생》을 차용. 미국 민주당과 좌파의 인종차별 역사를 비판하려는 의도.[147]
2018블랙클랜스맨스파이크 리영화가 제시 워싱턴 린치 사건에 미친 영향을 언급하고, 현대 KKK가 선전 도구로 사용하는 모습 묘사.[144]
2019《나는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다》원본 자료를 재편집하여 영화를 조롱하고 인종차별을 비판하는 코미디 영화.[148]



2019년에는 볼링 그린 주립대학교가 배우 릴리언 기시의 이름을 딴 교내 영화관 명칭을 변경했는데, 이는 《국가의 탄생》 출연 경력이 부적절하다는 학생들의 항의에 따른 것이었다.[149]

참조

[1] 웹사이트 D. W. Griffith: Hollywood Independent http://www.cobbles.c[...] Cobbles.com 1917-06-26
[2]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U) http://www.bbfc.co.u[...]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3] 서적 The Birth of a Nat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4]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1915) http://www.filmsite.[...]
[5]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When Hollywood Glorified the KKK https://www.historyn[...] 2005-10
[6] 서적 Celluloid Symphonies: Texts and Contexts in Film Music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7] 웹사이트 Souvenir. The Birth of a Nation https://digitalcommo[...]
[8] 뉴스 'The Birth of a Nation': The most racist movie ever made https://www.washingt[...] 2015-03-03
[9] 웹사이트 MJ Movie Reviews – Birth of a Nation, The (1915) by Dan DeVore http://www.moviejust[...]
[10] 웹사이트 Revered and Reviled: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http://themovingarts[...] 2010-02-26
[11] 서적 Stand Your Ground: A History of America's Love Affair with Lethal Self-Defense Beacon Press 2017
[12] 뉴스 The Black Activist Who Fought Against D. 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https://www.newyorke[...]
[13] 서적 A to Z of American Women in the Performing Arts Facts on File, Inc. 2002
[14]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15]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Documents History https://www.latimes.[...] 1993-01-04
[16] 간행물 Griffith followed the then-dominant Dunning School or "Tragic Era" view of Reconstruction presented by early 20th-century historians such as William Archibald Dunning and Claude G. Bowers. 2007
[17] 서적 Index of Titles: 1914–15 https://books.google[...] British Film Institute 2004
[18] 서적 Charles Urban: Pioneering the Non-Fiction Film in Britain and America, 1897–1925 University of Exeter Press
[19] 서적 The Griffith Project, Volume 8 Bloomsbury Publishing
[20] 서적 Forgeries of Memory and Mean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7
[21] 웹사이트 The Tragic Era Exposed http://digital.lib.l[...] Lehigh University Digital Library 2011-2012
[22] 서적 Realism and the birth of the modern United States : cinema, literature, and cultur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3] 학술지 Psychopathy and the Cinema: Fact or Fiction? 2014-01
[24] 웹사이트 Still lying about history http://www.slate.com[...] 2015-03-31
[25] 간행물 2007
[26] 학술지 Dixon, Griffith, and the Southern Legend 1972-09
[27] 서적 Southern horizons : the autobiography of Thomas Dixon IWV Publishing
[28] 서적 America's film legacy: the authoritative guide to the landmark movies in the National Film Regist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0
[29] 뉴스 When Hollywood's Big Guns Come Right From the Source https://www.nytimes.[...] 2002-06-10
[30] 웹사이트 Cal Parks, Griffith Ranch http://ohp.parks.ca.[...]
[31] 서적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A History of "the most Controversial Motion Picture of All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Epics, spectacles, and blockbusters: a Hollywood histor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3] 간행물 2006
[34] 간행물 2006
[35] 뉴스 The Anthemic Allure Of 'Dixie,' An Enduring Confederate Monument https://www.npr.org/[...] 2018-09-20
[36] 웹사이트 Birth of a Nation [Original Soundtrack] https://www.allmusic[...] All Media Network, LLC 2014-02-06
[37] 뉴스 Why Remix The Birth of a Nation? https://www.theatlan[...] 2018-02-28
[38] 서적 (페이지 정보 부족)
[39] 서적 Music and the Silent Film: Contexts and Case Studies, 1895–1924 Oxford University Press
[40] 뉴스 A Riot https://www.newspape[...] 1915-01-12
[41] 뉴스 Trouble over ''The Clansman'' https://www.newspape[...] 1915-02-09
[42] 뉴스 The Birth of a Nation https://www.nytimes.[...] 1915-03-04
[43] 서적 Causes Won, Lost, and Forgotten: How Hollywood & Popular Art Shape What We Know About the Civil W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4] 서적 Southern horizons : the autobiography of Thomas Dixon IWV Publishing
[45] 뉴스 Fashion's Freaks https://www.newspape[...] 1915-01-02
[46] 뉴스 Blow at Free Speech https://www.newspape[...] 1915-01-27
[47] 뉴스 'The Clansman' Opens Sunday, Opera House.Costliest Motion Picture Drama Ever Produced https://www.newspape[...] 1915-10-08
[48] 뉴스 President to See Movies [''sic''] https://www.newspape[...] 1915-02-18
[49] 뉴스 Dixon's Play Is Not Indorsed by Wilson https://www.newspape[...] 1915-04-30
[50] 서적 The Fiery Cross: The Ku Klux Klan in America Simon & Schuster
[51] 서적 Southern horizons: the autobiography of Thomas Dixon IWV Publishing
[52] 서적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53] 서적 Wilson: The New Freedo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6
[54] 서적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https://thenewpress.[...] The New Press 2018
[55] 학술지 Birth of a Quotation: Woodrow Wilson and 'Like Writing History with Lightning' 2010-10
[56] 서적 The Birth of a Nation Palgrave 2015
[57] 웹사이트 "Art [and History] by Lightning Flash": The Birth of a Nation and Black Protest http://chnm.gmu.edu/[...] George Mason University 2020-02-13
[58] 서적 Fire from the Flint: The Amazing Careers of Thomas Dixon https://archive.org/[...] J. F. Blair
[59] 뉴스 'The Birth of a Nation' Shown https://www.newspape[...] 1915-02-20
[60] 뉴스 Chief Justice and Senators at 'Movie' https://www.newspape[...] 1915-02-20
[61] 뉴스 Movies at Press Club https://www.newspape[...] 1915-02-20
[62] 뉴스 'Birth of a Nation'. Noted Men See Private Exhibition of Great Picture https://www.newspape[...] 1915-02-22
[63] 서적 The Fiery Cross: The Ku Klux Klan in America Simon & Schuster
[64] 웹사이트 Thomas Dixon, Jr.: Conflicts in History and Literature http://docsouth.unc.[...] Documenting the American South,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19-05-06
[65] 서적 Racism in the Nation's Service: Government Workers and the Color Line in Woodrow Wilson's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13
[66] 서적 D. W. Griffith: An American Life Limelight Editions
[67] 웹사이트 DW GRIFFITH THE BIRTH OF A NATION PART 1 1915 (YouTube 링크 포함) https://archive.org/[...]
[68] 서적 Modernism, Ireland and the erotics of mem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Memory and myth: the Civil War in fiction and film from Uncle Tom's cabin to Cold mountain https://archive.org/[...] Purdue University Press
[70] 서적 Realism and the birth of the modern United States:cinema, literature, and cultur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71] 논문 The Birth of a Nation: Media and Racial Hate https://www.aeaweb.o[...] 2023
[72] 뉴스 A Tarnished Silver Screen: How a racist film helped the Ku Klux Klan grow for generations. https://www.economis[...] 2021-04-01
[73] 논문 Reconciliation Narratives: The Birth of a Nation after the US Civil War https://www.aeaweb.o[...] 2023
[74] 서적 Out of the Shadows: A Biographical History of African American Athletes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2006
[75] 팟캐스트 A 1905 Silent Movie Revolutionizes American Film—and Radicalizes American Nationalists http://www.southernh[...] 2018-06-03
[76] 서적 D.W. Griffith's 100th Anniversary The Birth of a Nation 2014
[77] 서적 Fire and Desire: Mixed-Race Movies in the Silent Er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78] 서적 Reel Politics, American Political Movies from Birth of a Nation to Platoon https://archive.org/[...] Basil Blackwell Inc.
[79] 서적 The Birth of a N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6-24
[80] 잡지 Film Reviews: The Birth of a Nation https://archive.org/[...] 2021-08-11
[81] 서적 Causes Won, Lost, and Forgotten: How Hollywood & Popular Art Shape What We Know About the Civil W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8
[82] 웹사이트 Distribution: States Rights or Road Show http://www.cobbles.c[...] 2014-05-02
[83] 잡지 'The Birth of a Nation' at 100: "Important, Innovative and Despicable" (Guest Column) http://m.hollywoodre[...] 2015-02-08
[84] 서적 The Hollywood Film Industry: A Reader Routledge
[85] 서적 The international movie industry https://books.google[...]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86] 서적 D.W. Griffith: An American Lif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87] 서적 The Hollywood Story Wallflower Press
[88] 서적 The international movie industry https://books.google[...] 2023-08
[89] 잡지 Show Business: Record Wind http://www.time.com/[...] 2014-04-29
[90] 서적 How to Read a Film: Movies, Media,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91] 서적 The Media's Role in Defining the Nation: The Active Voice Peter Lang Publisher 2010
[92] 웹사이트 NAACP – Timeline http://www.naacp.org[...]
[93] 웹사이트 An NAACP Official Calls for Censorship of The Birth of a Nation http://historymatter[...] 2015-05-09
[94] 서적 W. E. B. Du Bois: Biography of a Race, 1868–1919 Henry Holt 1993
[95] 참고자료
[96] 뉴스 Race Riot at Theater https://www.newspape[...] 1915-04-18
[97] 뉴스 When 'Birth of a Nation' sparked a riot in Boston https://www.bostongl[...] 2018-02-28
[98] 잡지 Breech Birth: The Receptions To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2005-12
[99] 서적 Stagestruck Filmmaker: D.W. Griffith & the American Theatre University of Iowa Press 2009
[100] 논문 Myth and Fact: The Reception of The Birth of a Nation http://web.uvic.ca/~[...] 2019-06-16
[101] 서적 The Birth of a Nation Palgrave 2015
[102] 잡지 Breech Birth: The Receptions To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2005-12
[103] 잡지 Mary Pickford's Favorite Stars and Films https://archive.org/[...] 2015-09-04
[104] 뉴스 News of plays and players https://www.newspape[...] 1915-04-25
[105] 잡지 Breech Birth: The Receptions To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2005-12
[106] 간행물 Breech Birth: The Receptions To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2005-12-00
[107] 서적 The Birth of a Nation (BFI Film Classics) BFI/Palgrave Macmillan
[108] 서적 The Story of Hollywood: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www.storyofhollywood.com 2018-02-07
[109] 서적 American Racist: The Life and Films of Thomas Dixon https://muse.jhu.edu[...]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8-09-16
[110] 뉴스 Notorious silent movie drew local protests http://www.pantagrap[...] 2016-02-07
[111] harvnb
[112] 웹사이트 Deride the lightning: assessing The Birth of a Nation 100 years on https://www.theguard[...] 2015-03-05
[113] 웹사이트 Rebirth of a Nation at Paula Cooper Gallery http://www.paulacoop[...] Paulacoopergallery.com 2004-06-18
[114] 웹사이트 Essay: The Ku Klux Klan https://www.splcente[...]
[115] 서적 The Parade's Gone B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6]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1915) https://www.rogerebe[...] 2003-03-30
[117] 웹사이트 A Painful Present as Historians Confront a Nation's Bloody Past http://www.hartford-[...]
[118] 웹사이트 Birth of A Nation Opens http://www.history.c[...] A+E Networks
[119] 웹사이트 100 Years Later, What's The Legacy Of 'Birth Of A Nation'? https://www.npr.org/[...] 2015-02-08
[120] 웹사이트 What Was the Most Influential Film in History? https://www.theatlan[...] 2017-03-00
[121] 웹사이트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100 Years Later: Still Great, Still Shameful https://time.com/372[...] 2015-03-03
[122]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Documents History https://www.latimes.[...] 1993-01-04
[123]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Movies https://www.washingt[...] 1998-00-00
[124] 웹사이트 Slavery in film: The Birth of a Nation (1915) http://www.digitalhi[...]
[125] harvnb
[126] harvnb
[127] 웹사이트 Thomas Dixon, Jr.: Conflicts in History and Literature http://docsouth.unc.[...] Documenting the American South 2004-00-00
[128] harvnb
[129]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The Significance of Love, Romance, and Sexuality http://filmracepolit[...] Weebly 2015-03-06
[130]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as American Myth http://www.unomaha.e[...] 2004-10-00
[131] 웹사이트 Great Movies: 'Broken Blossoms' http://rogerebert.su[...] Rogerebert.suntimes.com 2000-01-23
[132] 서적 Clash of Extremes
[133] 웹사이트 The Assassination in 'The Birth of a Nation' https://boothiebarn.[...] 2013-06-15
[134] 웹사이트 Reel American History – Films – List http://digital.lib.l[...]
[135] 학술지 'The Birth of a Nation': Propaganda as History 1979-09-00
[136] 서적 The Reconstruction Ku Klux Klan in York County, South Carolina, 1865–1877
[137] 서적 Redemption: The Last Battle of the Civil War Farrar Straus and Giroux
[138] 서적 1001 Movies You Must See Before You Die http://www.barronsbo[...] Barron's Educational Series
[139] 서적 A People and a Nation, Volume II: Since 1865, Brief Edition Cengage Learning
[140]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Controversial Classic Gets a Definitive New Restoration http://www.brentonfi[...] 2016-02-17
[141] 뉴스 From Birth of a Nation to BlacKkKlansman: Hollywood's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KKK https://www.theguard[...] 2024-08-09
[142] 웹사이트 The Birth of a Nation: DW Griffith's Distortion of History and its Legacy https://www.walesart[...] Wales Arts Review 2024-08-09
[143] 뉴스 Still lying about history https://www.salon.co[...] 2018-02-26
[144] 뉴스 Review: Spike Lee's provocative 'BlacKkKlansman' https://www.cbsnews.[...] 2018-08-12
[145] 뉴스 'C.S.A.: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a Faux Documentary Skewers Real White Supremacy https://www.newyorke[...] 2018-02-26
[146] 웹사이트 Five Questions with the Birth of a Nation director Nate Parkr http://filmmakermaga[...] 2016-01-25
[147] 웹사이트 'Hitler was liberal' is just one insight offered by Dinesh D'Souza's fraudulent Death Of A Nation https://www.avclub.c[...] 2018-08-04
[148] 웹사이트 I Am Not a Racist https://www.peliplat[...] 2023-03-15
[149] 뉴스 When the Names on Campus Buildings Evoke a Racist Past https://www.nytimes.[...] 2019-05-23
[150] 웹사이트 アングル:「黒塗りメイク」、なぜ米国でタブーであり続けるの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02-10
[151] 웹사이트 D. W. Griffith: Hollywood Independent http://www.cobbles.c[...]
[152]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race riot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3] 웹사이트 MJ Movie Reviews – Birth of a Nation, The (1915) by Dan DeVore http://www.moviejust[...]
[154] 웹인용 Revered and Reviled: D.W. Griffith’s ‘The Birth of a Nation’ http://themovingarts[...] 2010-04-13
[155] 웹사이트 Mass Moments: “The Birth of a Nation” Sparks Protest http://massmoments.o[...]
[156] 웹인용 Top Ten – Top 10 Banned Films of the 20th century – Top 10 – Top 10 List – Top 10 Banned Movies – Censored Movies – Censored Films http://www.alternati[...] 2013-07-03
[157] 서적 Forgeries of Memory and Meanin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58] 웹사이트 The Tragic Era Exposed http://digital.lib.l[...] 201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