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좌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좌씨는 중국 노나라의 좌구명을 시조로 하는 성씨로, 1273년 고려 원종 때 몽골의 제주도 지배 이후 제주에 정착한 좌형소의 후손들이 주류를 이룬다. 좌형소는 원나라의 감목관으로 제주에 와서 정착했으며, 그가 들여온 몽골말은 제주 조랑말의 시조가 되었다. 좌씨는 고려 시대에 감목관직을 세습하다가 6세손 좌한기 대에 고려에 귀화하여 제주에 정착했으며, 청주를 본관으로 삼았으나 일제강점기에 청주(淸州)로 변경했다. 고려 시대 명의 좌자이, 일제강점기 의생 좌임관, 조선 시대의 유학자 좌시우 등 인물을 배출했으며,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금성리, 곽지리, 한경면,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 좌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제주 좌씨 (濟州 左氏) |
| 이칭 | 청주 좌씨 (淸州 左氏) |
| 관향 | 제주 |
| 창성 시기 | 불명 |
| 시조 | 좌형소(左亨蘇) |
| 중시조 | 없음 |
| 집성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
| 인구 (2021년) | 약 3,000여 명 |
| 인물 | |
| 주요 인물 | 좌시우, 좌승희 |
| 유래 | |
| 기원 |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魯)의 좌구명(左丘明) |
| 설명 | 좌씨는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인 좌구명(左丘明)을 기원으로 한다. 좌구명은 주(周)나라에서 천관시랑(天官侍郞)이라는 벼슬을 지냈다. |
| 한국으로의 이주 | 좌씨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 것은 고려 때 좌형소(左亨蘇)가 귀화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2. 기원
중국 노나라 때의 태사 좌구명(左丘明)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문헌에 따르면, 춘추좌씨전을 주석한 대학자이자 유학자로 후배인 공자도 그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 좌씨는 중국 노나라 때의 태사 좌구명(左丘明)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좌구명은 《춘추좌씨전》을 주석한 대학자이자 유학자로, 공자도 그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 좌씨의 기원은 1273년(고려 원종 14)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이 삼별초를 평정한 후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여 몽골에 귀속시키고 일본 정벌을 위한 준비로 목마장을 설치하여 명마(名馬)를 사육하면서부터이다.[1]
3. 역사
한국 좌씨의 기원은 1273년(고려 원종 14)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이 삼별초를 평정한 후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고 몽골에 귀속시키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일본 정벌을 위한 준비로 목마장을 설치하여 명마(名馬)를 사육하였다. 시조 좌형소는 원나라의 천관시랑으로, 고려 충렬왕 초기에 탐라 목마장의 감목관으로 부임하여 제주도에 정착했다.
3. 1. 고려 시대
시조 좌형소(左亨蘇)는 원나라 천관시랑(天官侍郞)으로 고려 충렬왕 초기인 1270년경 탐라(耽羅) 목마장(牧馬場)의 감목관(監牧官)으로 부임하여 제주에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전해진다. 좌형소가 들여 온 몽골말의 후손은 오늘날 제주도의 제주마이다.[5] 좌형소는 조상 대대로 살아오던 중국 산동성 청주(靑州)를 본관으로 할 것을 유언으로 남겨 후손들이 청주를 관향으로 삼아왔으나, 1922년 조선 호적령에 따라 청주(靑州)라는 지명이 한국에 없기 때문에 음이 같은 청주(淸州)로 본관을 바꾸었고, 일부는 자손 대대로 살아온 제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제주는 탐라총관부가 폐지되어 탐라가 고려에 반환된 후에도 목호들의 지배하에 있다가 최영 장군이 1374년(공민왕 23) 8월 목호의 난을 진압한 후 고려의 영역으로 재편입되었다. 이후 후손에게 세습되던 감목관직을 6세손 좌한기(左漢棄) 대에 이르러 고려에 반납하면서 완전 귀화되었다. 이때 좌한기는 구좌읍 한동리를 떠나 한경면 두모리로 이주하여 정착하여 고려인으로서 생활 기반을 잡았고, 이때부터 가세가 번영하였다.[5]
3. 2. 조선 시대
시조 좌형소(左亨蘇)는 원나라 천관시랑(天官侍郞)으로 고려 충렬왕 초기인 1270년경 탐라(耽羅) 목마장(牧馬場)의 감목관(監牧官)으로 부임하여 제주에 정착하였다.[5] 좌형소가 들여 온 몽골말의 후손은 오늘날 제주마이다. 좌형소는 조상 대대로 살아오던 중국 산둥성 청주(靑州)를 본관으로 할 것을 유언으로 남겨 후손들이 청주를 관향으로 삼아왔으나, 1922년 조선 호적령에 따라 청주(靑州)라는 지명이 한국에 없기 때문에 음이 같은 청주(淸州)로 본관을 바꾸었고, 일부는 자손 대대로 살아온 제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제주는 탐라총관부가 폐지되어 탐라가 고려에 반환된 후에도 목호들의 지배하에 있다가 최영 장군이 1374년(공민왕 23) 8월 목호의 난을 진압한 후 고려의 영역으로 재편입되었다. 이후 후손에게 세습되던 감목관직을 6세손 좌한기(左漢棄) 대에 이르러 고려에 반납하면서 완전 귀화되었다. 이때 좌한기는 구좌읍 한동리를 떠나 한경면 두모리로 이주하여 정착하여 고려인으로서 생활 기반을 잡았고, 이때부터 가세가 번영하였다.[5]
4. 인물
- 좌자이 : 고려 때의 명의. 고려 왕후의 중병을 완쾌시켜 왕으로부터 제주도 구좌읍 한동리 일대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지금도 이곳은 좌가장(左哥場)으로 불린다.[6]
- 좌임관 : 일제강점기 때 독학으로 의생 시험에 합격하여 2대조 좌자이처럼 명의로 명망이 높았다.[6]
- 좌시우 : 조선 말기 유학자‧항일운동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곽지리 출신. 호는 송암(松菴)이다. 1894년(고종 31) 곽지리를 둘로 나누어 서쪽 마을을 금성리(錦城里)라고 이름하고 독자적인 마을로 다스렸다. 일본인 중태랑(重太郞)이 곽지리와 금성리의 어장을 강제로 점령하고 착취하자 고을 사람들을 규합하여 어장 보호운동을 펼치고 지역민들의 권익을 지켰다. 1905년(광무 9) 을사늑약 후 1907년(융희 1)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그는 『좌전(左傳)』과 『삼도부(三都賦)』 등 소장하고 있던 책을 팔아 105JPY을 헌납하였으며, 직접 거리로 나가 북을 치며 사람들이 운동에 동참하도록 고무시켰다. 조정에서는 그의 애국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08년(융희 2) 4월 정3품을 종2품의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올리도록 명하였다.[6]
- 좌승희 : 경제학자[6]
조선 시대에 좌씨는 종2품 가선대부 5명, 정3품 통정대부 107명, 무과 11명이 등과했다고 한다.[6]
5. 본관
시조 좌형소는 원나라의 천관 시랑으로, 고려 충렬왕 초기인 1270년에 탐라의 목마장 감목관으로 부임하여 제주도에 정착한 것이 시작이라고 전해진다. 제주도의 제주마(제주마)는 이때 좌형소가 데려온 몽골마의 자손이다. 좌씨는 좌형소의 유언에 따라, 선조 누대(累代)의 땅 중국 산동성의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으나, 1922년 조선호적령에 따라 청주라는 지명이 한국에 없기 때문에 음이 같은 청주로 본관을 변경했다. 한편, 대대로 살아온 제주를 본관으로 한 사람도 있었다.[3]
6. 집성촌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좌 左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3]
웹사이트
한국향토문화전자사전 - 제주 좌씨
http://m.grandcultur[...]
[4]
웹사이트
(35)청주좌씨(淸州左氏) 시조 원나라 좌형소… 조랑말 들여와
https://www.ccdailyn[...]
2012-11-08
[5]
웹사이트
한국향토문화전자사전 - 제주 좌씨
http://m.grandcultur[...]
[6]
뉴스
청주좌씨(淸州左氏) 시조 원나라 좌형소… 조랑말 들여와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12-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