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오쿠마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오쿠마 내각은 1898년 6월 30일에 출범하여 11월 8일에 붕괴된 일본 최초의 정당 내각이다. 이토 히로부미의 사임 이후, 중의원 제1당이었던 헌정당의 오쿠마 시게노부와 이타가키 다이스케에게 대명이 내려 조각되었다. 내각은 헌정당 내 자유당 계열과 진보당 계열의 갈등, 오쿠마의 외무대신 겸임 문제, 공화 연설 사건 등으로 인해 헌정당이 분열되면서 4개월 만에 붕괴되었다. 이러한 붕괴는 일본 정당 정치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며, 이후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일본 - 이토시마 지진
- 1898년 일본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오쿠마 시게노부 - 와세다 대학
와세다 대학은 1882년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게이오기주쿠 대학과 함께 일본 최초의 사립 대학으로 인정받았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고 여러 캠퍼스를 통해 국제적인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오쿠마 시게노부 - 구로다 내각
구로다 내각은 1888년부터 1889년까지 자유민권 운동 단속 강화와 불평등 조약 개정을 추진했으나, 외국인 재판관 임용 문제로 오쿠마 시게노부가 피습당하면서 붕괴되었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1차 야마가타 내각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총리대신으로 하는 제1차 야마가타 내각은 내각관제 도입 후 대일본 제국 헌법 시행 및 제1회 제국의회 개원 등 격변기에 교육 칙어 반포와 지방 제도 개혁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근대 국가로서의 기틀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제1차 오쿠마 내각 | |
---|---|
기본 정보 | |
![]() | |
내각 정보 | |
내각 명칭 | 제1차 오쿠마 내각 |
일본어 명칭 | 第1次大隈内閣 |
후리가나 | だいいちじ おおくまないかく |
대수 | 8대 |
성립일 | 1898년 6월 30일 |
종료일 | 1898년 11월 8일 |
존속 기간 | 1898년 6월 – 1898년 11월 |
전임 내각 | 제3차 이토 내각 |
후임 내각 | 제2차 야마가타 내각 |
총리 | 오쿠마 시게노부 |
총리 전직 | 백작, 전 외무대신 겸 농상무대신 |
정치 정보 | |
국가 원수 | 메이지 |
여당 | 헌정당 |
임기 당시 의회 | 1898년 3월 - 8월 1898년 8월 - 1902년 |
선거 | 1898년 8월 총선거 |
의회 해산 | 없음 |
관련 자료 | |
관저 링크 | 수상 관저 역대 내각 각료 명단 |
기타 | |
관련 명칭 | 隈板内閣 (구마이타 내각) |
2. 성립 배경
1890년(메이지 23년) 제국의회가 창설된 이후, 역대 번벌 내각은 표면적으로는 초연주의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중의원의 협력 없이는 법률이나 예산이 성립되지 않아 정권 운영이 어려웠다. 민력 휴양·정비 절감을 내건 야당 세력(민당)이 중의원 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9] 역대 내각은 중의원의 양대 세력인 자유당(이타가키 다이스케 총리)과 진보당(오쿠마 시게노부 당수) 중 한쪽과 제휴하여 다수파를 형성, 정권 운영을 도모했다.[9]
제3차 이토 내각이 이토 히로부미의 정당 조직 준비(훗날 입헌정우회) 때문에 총사직한 후, 원로가 의회 세력에 타협하여 당시 중의원 제1당인 헌정당의 오쿠마 시게노부와 이타가키 다이스케에게 대명이 내려 조각되었다.[1] 비록 수반이 중의원 의원이 아니라는 흠결은 있었지만, 군부대신을 제외하고는 정당인으로 구성되어 일본 최초의 정당 내각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제도상 군부대신은 장성이 아니면 취임할 수 없었고, 작위를 가진 사람은 중의원 의원 피선거권이 없었기 때문에 메이지 유신 이후 공로로 백작 작위를 받은 오쿠마는 중의원 의원에 입후보할 수 없었다.
제3차 이토 내각은 각료들의 반대로 두 거대 정당과의 연대에 실패하고 의회와 대립, 1898년(메이지 31년) 6월 10일 중의원을 해산했다. 그러자 6월 22일, 자유당과 진보당은 헌정당을 결성하여 중의원의 거대 세력으로 떠올랐다.[9]
이토 히로부미는 번벌 정부 주도의 정당 결성을 시도했으나,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정권 유지가 어려워진 이토는 사임을 결심하고, 6월 24일 원로 회의에서 오쿠마 시게노부와 이타가키 다이스케를 후임으로 추천했다.[8] 6월 27일, 메이지 천황은 두 사람에게 대명을 내렸고, 이타가키가 내무대신 자리를 원했기 때문에 오쿠마가 총리 겸 외상이 되어 6월 30일 오쿠마 내각이 발족했다.[9]
3. 내각 구성
그러나 헌정당은 이합집산으로 구성되어 내부적으로 옛 진보당 계열과 옛 자유당 계열 간의 알력이 심했다. 특히 자유당 계열이 요구했던 호시 도루의 외무대신 임명을 오쿠마가 거부하고 스스로 겸임한 것과, 공화 연설 사건으로 문부대신 오자키 유키오가 파면된 후 후임 인사를 둘러싼 분규는 양측 간의 갈등을 심화시켜 헌정당 분열로 이어졌다. 결국 조각 후 4개월여 만에 내각은 총사직하였다.
1898년 6월 30일, 메이지 천황은 오쿠마 시게노부와 이타가키 다이스케에게 대명을 내려 제1차 오쿠마 내각이 성립되었다. 오쿠마 시게노부는 내각총리대신 겸 외무대신,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내무대신에 취임했다. 가쓰라 다로 육군대신과 사이고 주도 해군대신은 유임되었고, 나머지 각료는 모두 헌정당원으로 구성되었다.[1]
3. 1. 국무대신
직책 | 대수 | 성명 | 사진 | 출신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8 | 오쿠마 시게노부 | ![]() | 사가번 / 헌정당(옛 진보당 계열) / 백작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외무대신 | 13 | 오쿠마 시게노부 | -- | 사가번 / 헌정당(옛 진보당 계열) / 백작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내각총리대신 겸임 |
내무대신 | 17 | 이타가키 다이스케 | ![]() | 도사번 / 헌정당(옛 자유당 계열) / 백작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대장대신 | 10 | 마쓰다 마사히사 | ![]() | 중의원 / 헌정당(옛 자유당 계열)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제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1898년 8월 10일) |
육군대신 | 10 | 가쓰라 다로 | ![]() | 조슈번 / 자작 / 육군대장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해군대신 | 10 | 사이고 주도 | ![]() | 사쓰마번 / 귀족원 / 국민협회 회두 / 백작 / 해군대장 / 육군중장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사법대신 | 12 | 오히가시 기테쓰 | ![]() | 중의원 / 헌정당(옛 진보당 계열)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제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1898년 8월 10일) |
문부대신 | 16 | 오자키 유키오 | ![]() | 중의원 / 헌정당(옛 진보당 계열)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0월 27일 | |
17 | 이누카이 쓰요시 | ![]() | 중의원 / 헌정당(옛 진보당 계열) | 1898년 10월 27일 | 1898년 11월 8일 | ||
농상무대신 | 15 | 오이시 마사미 | ![]() | 헌정당(옛 자유당 계열)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
체신대신 | 12 | 하야시 유조 | ![]() | 중의원 / 헌정당(옛 자유당 계열) | 1898년 6월 30일 | 1898년 11월 8일 |
3. 2. 기타 관료
귀족원
헌정당
(옛 진보당 계열)

헌정당
(옛 진보당 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