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가 된 후 처음 치러진 선거로, 2014년에 실시되었다. 이 선거는 김정일 사망 및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 정권의 안정성을 과시하고, 주민들의 지지 여론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선거는 1인 1표의 소선거구제, 공개 투표, 의무 투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선거 결과, 조선로동당은 607석, 조선사회민주당 50석, 천도교청우당 22석, 조총련 5석, 기타 3석을 확보했다. 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는 최룡해가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박봉주가 내각 총리로 재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사건
    2014년 11월, 해커 집단 '평화의 수호자'의 소니 픽처스 내부 네트워크 침입으로 발생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 사건은 100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 유출, 미개봉 영화 유포, 그리고 영화 《더 인터뷰》 관련 협박으로 큰 논란을 야기했으며, FBI는 북한의 소행으로 단정했으나 배후에 대한 의혹은 여전히 존재한다.
  • 201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4년 평양 아파트 붕괴 사고
    2014년 5월 13일 평양에서 부실 공사로 23층 아파트가 붕괴되어 450명에서 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김정은은 사고 수습을 지시하고 책임자들을 처벌했고, 조사 결과 무단 층수 변경, 철근 부족, 불량 자재 사용 등의 문제가 드러났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거에 관한 - 최고인민회의
    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주권 기관으로,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심의, 주요 기관 선출, 법안 심의 확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5년에 한 번 대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거에 관한 -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0년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일성 주석의 권력 승계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되며, 조선로동당의 의석 감소와 다른 정당 및 단체의 의석 확보라는 특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 최고인민회의 -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0년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일성 주석의 권력 승계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되며, 조선로동당의 의석 감소와 다른 정당 및 단체의 의석 확보라는 특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 최고인민회의 - 제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98년에 실시된 제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김일성 사망 후 유훈통치 이후에 진행된 형식적인 선거로,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차지했으며 투표율은 99.85%를 기록하여 조선로동당의 독점적인 정치 지배력을 보여주었다.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지도
기본 정보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2009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
이전 선거 연도2009년
다음 선거2019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19년
선거일2014년 3월 9일
선출 의석687
선거 결과
김정은
김정은
지도자김정은
지도자 선거구백두산 111
정당조선로동당
연합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석607
의석 변동1
직책 정보
직책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선거 전 직책김정은
선거 전 정당조선로동당
선거 후 직책김정은
선거 후 정당조선로동당
추가 정보
개정 의석 수687
조선사회민주당 의석50
천도교청우당 의석22
김영대 직책중앙위원장
김영대 취임일1998년 8월
김영대 선거구77
류미영 직책중앙위원장
류미영 취임일1993년 7월
류미영 선거구670
김정은 취임일2011년 12월 17일
김정은 제1비서 취임일2012년 4월

2. 선거 배경

김정일 사망 및 장성택 처형 이후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처음 치러진 선거였다.

외부 관측통들은 이 선거가 북한 정부에 대한 국민 여론을 조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고 주장했다.[7] 또한, 북한 정부가 자국 내에서 불법적으로 투표구를 변경한 시민이 있는지, 아니면 국외로 이탈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했다. 북한 정부는 유권자 참여율을 확인하기 위해 국경 통제와 감시를 강화했다.[2]

2014년 2월 4일, 조선중앙통신(KCNA)는 백두산 제111선거구 유권자 회의가 김정은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추천했다고 보도했다.[3] ''노동신문''에 따르면, 이 회의에는 최룡해, 리영길, 장정남 등 군부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4][5][6]

2. 1. 김정은의 최고지도자 승계

김정일 사망 및 장성택 처형 이후 김정은조선로동당의 지도자이자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처음 치러진 선거였다.

외부 관측통들은 이 선거가 북한 정부에 대한 국민 여론을 조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고 주장했다.[7] 또한, 북한 정부가 자국 내에서 불법적으로 투표구를 변경한 시민이 있는지, 아니면 국외로 이탈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했다. 북한 정부는 유권자 참여율이 인구를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경 통제와 감시를 강화했다. 사람이 없으면 지역 주민과 노동자들이 책임을 지게 되므로, 지역 노동자들은 지역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2]

2014년 2월 4일, 조선중앙통신(KCNA)는 백두산 제111선거구 유권자 회의가 조선로동당 제1비서 김정은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추천했다고 보도했다.[3] ''노동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을 선출하는 회의는 인민군 총정치국장 최룡해,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리영길, 인민무력부장 장정남 등 고위 군부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4][5][6]

2. 2. 장성택 처형의 영향

김정일 사망 및 장성택 처형 이후,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가 되고 처음 치러진 선거였다. 장성택 처형은 권력 내부의 불안정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김정은 중심의 유일 지배 체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선거 제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은 1인 1표제 선거구에서 선출되며, 각 선거구에는 조선로동당이 승인한 후보 1명만 출마한다.[8] 투표용지에는 후보 이름이 적혀 있고, 찬성 또는 반대 의사를 표시할 수 있지만, 반대표를 던지려면 다른 사람에게 보이도록 펜으로 이름을 지워야 하므로 사실상 비밀 투표가 보장되지 않는다.[7] 북한은 투표를 의무화하고 있어[10] 투표에 불참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기근 이후 중국으로 탈북한 일부 주민들은 선거에 불참하면 처벌받을 것을 우려했다고 밝혔다.[7]

3. 1. 선거 방식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인 1표제 소선거구제로 치러지며, 각 선거구에는 조선로동당이 승인한 후보 1명만 출마한다.[8] 유권자는 투표용지에 있는 단일 후보의 이름에 찬성 또는 반대 의사를 표시할 수 있지만, 반대 의사를 표시하려면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펜으로 이름을 지워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비밀 투표가 보장되지 않는다.[7] 북한은 투표를 의무화하고 있어[10], 투표 불참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선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 공개 투표, 의무 투표제, 신임 투표, 기호식, 1인 1표제

3. 2. 선거권 및 피선거권

만 17세 이상의 모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민은 선거권이 있다.[7] 그러나 북한에서는 투표가 의무화되어 있으며,[10] 사실상 찬반 투표 형태로 진행된다.[9] 투표 용지에는 후보자 한 명의 이름만 적혀 있으며, 유권자가 후보의 이름을 지우는 행위는 감시받는다.[7] 1990년대 중반 기근 이후 중국으로 탈북한 일부 북한 주민들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불참하면 처벌받을 것을 우려했다고 밝혔다.[7]

3. 3. 참여 정당

조선로동당,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 등과 무소속 후보들이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참여했다.[11] 그러나 모든 후보들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소속이었다. 북한에는 공식적으로 네 개의 정당이 있지만, 모든 후보는 북한 정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선거 결과

조선로동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차지했으며,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 조총련 및 기타 정당이 나머지 의석을 차지했다.[17] 주요 참여 정당은 조선로동당,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 그리고 무소속 후보들이었다.[11] 모든 후보들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소속이었다. 북한 정치에는 공식적으로 네 개의 정당이 있지만, 모든 후보는 북한 정치의 주도적인 정당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당의석 수
조선로동당607석
조선사회민주당50석
천도교청우당22석
조총련5석
기타3석
합계687석


4. 1. 당선자 명단 (일부)

당선자 명단 (일부)
선거구이름정당
제111호 백두산선거구김정은조선로동당
제21호 개선선거구양형섭조선로동당
제55호 은하선거구김영남조선로동당
제112호 봉수산선거구리설주조선로동당
제143호 옥천강선거구최룡해조선로동당


5. 평가 및 비판

외부 관측통들은 이 선거가 북한 정부에 대한 국민 여론을 조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고 주장했다.[7] 또한, 이 선거는 북한 정부가 자국 내에서 불법적으로 투표구를 변경한 시민이 있는지, 아니면 국외로 이탈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는 수단으로도 기능했다.[2] 북한은 유권자 참여율이 인구를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경 통제와 감시를 강화했으며, 사람이 없으면 지역 주민과 노동자들이 책임을 지게 되므로, 지역 노동자들은 지역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2]

이 선거의 목적은 유권자의 거주지를 확인하고, 이론적으로는 그들의 정치적 충성심을 확인하며, 김정은에게 충성하는 새로운 의원들로 국회 의석을 채우는 것이었다.[7] 최고인민회의 의원들은 1인 1표제 선거구에서 선출되었으며, 각 선거구에는 승인된 후보 1명만이 제시되었다.[8] 투표 부스를 통과하는 동안 많은 수의 유권자들에게 단일 후보의 이름에 체크할 수 있는 상자가 하나 있는 투표용지가 제시되었다.[9] 유권자들은 후보의 이름을 지우기 위해 멈춰 서야 했기 때문에, 이 과정은 감시되는 행사였다.[7] 북한에서는 투표가 의무화되어 있다.[10] 1990년대 중반 고국에서 기근이 발생한 후 중국에서 한국으로 탈북한 일부 북한 주민들은 국회의원 선거에 참석하지 않으면 고국에서 처벌을 받을까 두려워 탈북했다고 말했다.[7]

6. 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직은 리용무와 오극렬이 유지했지만, 김영춘은 최룡해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인민무력성 장관 장정남과 조춘룡은 새롭게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최부일, 김원홍, 박도춘은 위원직을 유지했다. 행정·경제 기구를 관리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서는 박봉주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그리고 2013년부터 다시 내각총리 직에 재선출되었다. 내각 구성은 대부분 변화가 없었고, 내각을 총괄하는 총리 또한 동일인이었다. 또한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언급되어, 그의 정치적 영향력이 증가했음을 시사했다.[15] 그는 국가 동지이자 고위 관리로 확인되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투표를 하러 가는 김정은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내각에서 가장 큰 변화는 박의춘 외무상이 리수용으로 교체된 것이었다.

내각의 기타 인사는 다음과 같다.[16]

직책전임후임
탄광공업상리용용문명학
제철공업상한효연김영광
광업상강민철리학철
임업상김광용한룡국
상업상리송호김경남
문화상홍광선박춘남
조선중앙은행 총재백룡천김천균
최고인민재판소장 (내각 직책 아님)김병렬박명철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to hold parliamentary elections http://www.aljazeera[...] 2014-01-10
[2] 뉴스 North Korea election: Kim Jong-un faces the vote – but of course there's only one name on the ballot box https://www.independ[...] 2014-03-06
[3] 웹사이트 Personnel Celebrate Kim Jong Un's Nomination as Candidate for Deputy to SPA http://www.kcna.co.j[...] 2014-02-04
[4] 웹사이트 Kim Chosen to Win in Military SPA District http://www.dailynk.c[...] 2014-02-04
[5] 뉴스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정은동지를 인민군장병들이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후보자로 높이 추대 http://www.rodong.re[...] 2014-02-04
[6] 뉴스 Kim Jong Un Nominated as Candidate for Deputy to SPA http://www.rodong.re[...] 2014-02-05
[7] 뉴스 North Korea Uses Election To Reshape Parliament https://www.nytimes.[...] 2014-03-10
[8] 뉴스 North Korea holds Parliament 'election' http://zeenews.india[...] 2014-03-09
[9] 웹사이트 Why does autocratic North Korea hold elections? It's not merely a political ruse. http://newfocusintl.[...]
[10] 참조 2014 North Korean parliamentary election#cite note-T-11
[11]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lection for Ch'oego Inmin Hoeui (Supreme People's Assembly) http://www.electiong[...] IFES Election Guide
[12] 웹사이트 중앙선거위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선거결과에 대하여 http://www.kcna.co.j[...] 2014-03-11
[13] 웹사이트 Associated Press, North Korean general believed behind 2010 South Korea attacks dies http://bigstory.ap.o[...] 2019-03-20
[14] 웹사이트 Central Election Committee Reports on Kim Jong Un's Election as Deputy to SPA http://www.kcna.co.j[...] 2014-03-10
[15] 뉴스 BBC News – North Korea's Kim Jong-un in 'unanimous poll win' https://www.bbc.com/[...] 2014-03-10
[16] 웹사이트 Supreme People's Assembly session results in leadership changes http://www.nknews.or[...] 2014-04-10
[17]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18] 웹인용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687명 명단 {{!}} DailyNK https://www.dailynk.[...] 2014-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