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한국인 단체로, 초대 의장은 한덕수이다. 총련은 기관지 조선신보 발행, 조선학교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북한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1950년대 후반부터 북한 이주를 설득하는 운동을 벌였으나, 1990년대 이후 북한 관련 문제로 일본 사회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총련은 조직 내 다양한 단체를 두고 있으며, 법률 및 결혼 상담, 북한 여권 발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0년에는 박구호가 의장을 승계했다. 총련은 북한의 대남 공작에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총련의 활동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정체성 정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의 정체성 정치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1986년 중국에 설립된 주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대사관 내 호텔 건설이 추진되기도 했으며, 이주연, 권오직, 지재룡, 리룡남 등 여러 대사를 거쳤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주재하는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의 역대 대사들이 북소 및 북러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다른 이름조선총련
조총련
로마자 표기Jaeilbon Joseonin Chongnyeonhaphoe
Chosŏnch'ongryŏn
Choch'ongryŏn
한자 표기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朝鮮總聯
朝總聯
일본어 표기在日本朝鮮人総聯合会
ざいにほんちょうせんじんそうれんごうかい
朝鮮総連
ちょうせんそうれん
설립일1955년 5월 25일
창립자한덕수
전신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유형NGO
본부 위치도쿄도 지요다구
활동 지역일본 전역
사용 언어한국어
일본어
회원수200,000명 (추정)
주요 인물허종만 (의장)
박구호 (제1부의장)
남승우 (부의장)
배진구 (부의장)
조일연 (부의장)
송근학 (부의장)
소중언 (부의장)
강주련 (부의장)
조직 구조
주요 조직총회
모기관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활동 목표
목표재일 조선인의 민족적 권익 보호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기타 정보
이전 명칭민전
관련 단체참조
참고오키나와인과 재일 한국인의 상호 시선: 1945년부터 1972년 오키나와 반환까지
Chosen Soren
기사
재일 한국인 단체, 한국 권리, 문화, 조국과의 통일 진전
일본에서 북한 사업 제국의 기이한 흥망성쇠
조총련은 여전히 비밀 작전에서 평양의 꼭두각시: 전 정보 장교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본부

2. 역사

1955년 5월 25일, 한덕수를 초대 의장으로 하여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가 결성되었다.[2] 총련은 '재일본조선인상공인동맹', '재일본조선인노동자동맹', '재일본조선인민주여성동맹' 등 소수 계층을 대표하는 단체들과 '재일본조선인인권위원회', '재일본조선인평화통일위원회' 같은 시민단체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수가 수십여 개에 달한다. 북한 단체들과 교류를 맺고 있는 '고고학자동맹', '사회과학연구소' 등의 학회도 운영하고 있다.

총련은 기관지 조선신보를 발행하고, 조선학교로 불리는 교육기관들을 운영한다. 조선신보1945년 10월 창간 당시 《우리신문》으로 불렸으며,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꾸어 1970년대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학교는 초급학교, 중급학교, 고급학교, 대학교(조선대학교)를 갖추고 있으며, 대부분 지방에 분포해 있다.

2003년 한덕수 의장 사망 후 서만술이 의장을 맡았고, 2012년부터 허종만이 현 의장을 맡고 있다. 총련은 스스로를 북한의 '재일본공민단체'라 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에는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총련은 설립 초기에는 일본에 체류하는 '조선적' 조선인을 위한 민족학교 운영과 융자 등 상호부조 조직으로 기능했지만, 본국의 정치 상황에 따라 변화해 왔다.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는 일본 정부 및 경찰 등 치안기관과의 긴장 관계를 야기했다.[98]

195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총련은 북한을 “지상낙원” 등으로 선전하며 재일조선인과 그 가족 다수를 영주귀국·이주시켰다.[147] 약 8만 7천 명의 재일 한국인과 약 6천 명의 일본인 배우자가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귀환자 출신 탈북자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돌아가기를 청원했고, 그 결과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졌다.[12][13]

1972년 당시 미노베 료키치 도쿄도지사가 총련 시설을 '외교기관에 준하는 기관'이라고 인정한 이래, 많은 지자체가 총련 시설을 사실상 외교 공관이나 공공시설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세금 감면 혜택을 주었다.[140] 그러나 2002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방북 이후 일본 내 북한 관련 조직과 시설에 대한 세금 우대조치가 재검토되었고, 2003년 도쿄도는 총련 관련시설에 대해 '소유자 대부분이 관련 기업이거나, 외교와는 무관한 것'으로 방침을 변경하여 일부에 대해 고정자산세를 부과하기로 하였다.

2. 1. 결성 배경

1955년 5월 25일,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한덕수를 중심으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가 결성되었다.[2] 총련은 재일본조선인연맹이 연합군 점령군에 의해 해체된 후, 1951년에 결성된 재일조선민주전선의 후신이다.[11]

재일 한국인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일본에 정착했다.

  •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한국 지배 기간 동안 이주한 사람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징용된 노동자들
  • 제2차 세계 대전 후 난민, 특히 1948년 제주 4·3 사건을 피해 제주도에서 온 사람들


1953년 정부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93%가 한반도 남쪽 출신이었다.

1948년 남북한의 독립 선언으로 조선 국적을 가진 사람들은 대한민국 국적으로 재등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이 대한민국만을 한국의 합법 정부로 인정했기 때문에 북한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조선 국적을 유지했다.

총련은 1955년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아사쿠사 공회당에서 결성대회를 개최했다.[104] 발족 초기부터 사회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사회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98] 북조선을 지지하며, 2013년 이후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총련은 일본에 체류하는 "조선 국적" 조선인을 대상으로 민족학교를 운영하고, "조선 국적" 조선인 경영자에게 융자를 제공하는 등 상호부조 조직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과거 반일 폭력 사건 등으로 일본 정부경찰 등 치안기관과 긴장 관계를 낳기도 했다.[98]

2. 2. 조총련 결성 (1955년)

1955년 5월 25일, 한덕수를 초대 의장으로 하여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가 결성되었다.[2] 조총련은 '재일본조선인상공인동맹', '재일본조선인노동자동맹', '재일본조선인민주여성동맹' 등 소수 계층을 대표하는 단체들과 '재일본조선인인권위원회', '재일본조선인평화통일위원회' 같은 시민단체들을 운영하며, 북한 단체들과 교류를 맺고 있는 '고고학자동맹', '사회과학연구소' 등의 학회도 운영하고 있다.

조총련은 기관지 조선신보를 발행하고, 조선학교로 불리는 교육기관들을 운영한다. 조선신보1945년 10월 창간 당시 《우리신문》으로 불렸으며, 이후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꾸어 1970년대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학교는 초급학교, 중급학교, 고급학교, 대학교(조선대학교)를 갖추고 있으며, 대부분 지방에 분포해 있다.

2003년 한덕수 의장 사망 후 서만술이 의장을 맡았고, 2012년부터 허종만이 현 의장을 맡고 있다. 조총련은 스스로를 북한의 '재일본공민단체'라 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에는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조총련은 설립 초기에는 일본에 체류하는 '조선적' 조선인을 위한 민족학교 운영과 융자 등 상호부조 조직으로 기능했지만, 본국의 정치 상황에 따라 변화해 왔다.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는 일본 정부 및 경찰 등 치안기관과의 긴장 관계를 야기했다.[98]

1955년 2월, 일조 국교정상화를 요구하는 "남일 성명"과 일본공산당의 노선 전환에 따라 재일조선인 운동이 재편을 요구받는 가운데, 같은 해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아사쿠사 공회당에서 조총련 결성대회가 개최되었다.[104]

2. 3. 북송 사업과 '지상낙원' 선전 (1950년대~1980년대)

195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지상낙원” 등으로 선전하며 재일조선인과 그 가족 다수를 영주귀국·이주시켰다.[147] 이 과정에서 조총련 산하단체인 중외려행사가 개입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47] 1959년 12월에는 대한민국 공작원에 의한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952년 김일성은 사회주의 재일 한국인 운동이 북한 정부와 긴밀히 협조하여 일본의 사회주의 혁명이 아닌 사회주의 한국 통일을 위해 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1955년 5월 25일 한덕수에 의해 설립된 총련은 1950년대 후반, 재일 한국인들에게 북한 이주를 설득하는 운동을 벌였다. 약 8만 7천 명의 재일 한국인과 약 6천 명의 일본인 배우자가 북한으로 이주했다. 귀환자 출신 탈북자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돌아가기를 청원했고, 그 결과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졌다. 일본 연구에 따르면 수용소에 수감된 재일 한국인 귀환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추산된다.[12][13]

이러한 북송 사업은 2000년대 들어 탈북자들을 중심으로 조총련에 대한 소송으로 이어졌다. 2008년 6월, 일본 거주 탈북 여성은 조총련을 상대로 오사카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며, “조총련은 사람을 속여 조직적으로 유괴하였다. 인권과 자유를 무차별적으로 빼앗은 악마와 같은 단체”라고 비판했다.[148] 조총련은 이러한 소송에 대해 “동포사회와 북일 관계를 해하는 것에 불과하다”라고 주장하였다.[149]

한편, 귀환사업 50주년을 기념하여 북한과 조총련이 공동 제작한 영화 ‘동해의 노래’(2부작)가 2009년 12월부터 북한에서 상영되었다.[150][151] 이 영화는 한덕수 전 의장을 비롯한 재일조선인 1세대 활동가들이 ‘애국’을 가슴에 안고 살아가게 된 계기와 조총련 결성, 민족교육 발전, 귀국 실현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2. 4. 일본 사회와의 갈등 심화 (1990년대 이후)

북조선의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스스로를 "재일본 조선인 단체"라 칭하며, 2013년 이후로는 북조선을 지배하는 조선로동당 소속 첩보기관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는다.[103] 1955년 2월 일조 국교정상화를 요구하는 "남일 성명"과 기존 지도기관인 일본공산당의 노선 전환에 따라 재일조선인 운동이 재편을 요구받는 가운데, 같은 해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아사쿠사 공회당에서 결성대회가 개최되었다.[104]

총련은 발족 초기부터 사회주의를 지지하고, 이후 냉전기 사회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과거 반일 폭력 사건을 일으켰으며, 일본 정부경찰 등의 치안기관과의 긴장 관계를 낳는 요인이 되었다.[98]

총련은 비자여권 발행 대리업무를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창구로서, '외교기관에 준하는 기관'이라는 명목으로 과세감면조치를 받고 있었으나,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총리대신의 방북 시 납치문제에 관여하였음을 인정한 것을 계기로 일본 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조직과 시설에 대한 세금 우대조치가 재검토되었다. 도쿄도의 고정자산세 감면조치 철폐 발표 후, 조총련 시설이 '사적 시설이며, 대일·대남 공작기관이다'라는 현상에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전국 130개 지자체 가운데 전액감면하고 있는 지자체는 홋카이도 쿠시로시 뿐이다. 또한 70% 이상의 지자체가 '무감면조치'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쿄도의 조선총련 중앙본부의 부동산에 대한 고정자산세 등의 과세처분을 둘러싸고 등기상 부동산 소유자인 합자회사 '조선중앙회관관리회'가 도쿄 도에 과세처분 취소 등을 요구하여 제소하였다. 1심과 2심은 청구를 기각하였다. 2009년 8월 12일 대법원도 상고를 기각하여 총련 측의 패소가 확정되었다.[137]

조은신용조합의 불법송금에 조선총련 관계자가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본인 납치문제 추적이 진행되는 가운데, 납치사건을 비롯한 일본 국내에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법활동(간첩, 불법송금, 마약, 권총판매 등)에도 많은 수의 조총련 관계자가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조총련은 이러한 범죄행위에 대한 책임추궁에 대해 "악성 유언비어"라고 주장하고, 조총련 관계 시설에 대한 강제수사에 대해서도 "재일 조선인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항의를 반복해 왔다. 또한, 비판기사를 쓴 보도기관 직원에게 많은 항의를 하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비판적인 단체의 집회를 조직원들이 폭력적으로 방해한 적도 있으며, 이에 반발하는 사람들은 '재일조선인의 주권을 인정하면 역차별 등으로 이어진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1972년 당시 미노베 료키치 도쿄 도지사가 '외교기관에 준하는 기관'이라고 인정한 이래, 많은 지자체가 조총련 시설을 사실상 외교 공관이나 공공시설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고정자산세와 부동산취득세의 감면조치를 해왔다. 이는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국이 국교를 정상화하게 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기 때문이었다.[140]

2003년 도쿄도는 조총련 관련시설에 대해 '소유자 대부분이 관련 기업(조총련이 법인이 아닌 이유로)이거나, 외교와는 무관한 것'으로 방침을 변경하여 일부에 대해 고정자산세를 부과하기로 하였다. 다른 지자체도 이에 따라 고정자산세 감면을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한편, 종래대로 계속하려는 지자체도 있다. 조총련과 일부 법학자는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행정소송에서 다투고 있다. 고정자산세 등의 감면조치를 둘러싸고 '북한에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구마모토 모임'의 加納良寛 회장이 구마모토 시장을 상대로 조총련 시설 과세감면조치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하였고, 2006년 2월 2일 후쿠오카 고등법원이 '공익성이 없는 조선총련의 활동에 대해 조세를 감면하는 것은 위법하다'라는 판결을 내렸다. 구마모토 시장이 이에 불복하여 상고하였기 때문에 최종적 결정은 대법원에 맡겨졌다.

또한 방위청(현 방위성)의 미사일 정보 유출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보도되었으나, 조총련 측은 이를 사실을 왜곡한 보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재일조선인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귀환운동에는 산하단체인 중외려행사(中外旅行社)[147]가 일부 개입하였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1959년 12월에는 대한민국 공작원의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원인이 되어 2000년대 들어 탈북자를 중심으로 잇따라 조총련에 대한 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2008년 6월에는 일본 거주 탈북여성이 조총련에 대해 오사카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였다.[148] 소송을 제기한 여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지상낙원이다.'라는 조선총련의 거짓선전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귀환하였지만, 실제로는 가혹한 노동, 고문, 차별을 강요당하였고, 죄수나 노예와 다름없는 생활을 강요당하였으며 '(조선총련은) 사람을 속여 조직적으로 유괴하였다. 인권과 자유를 무차별적으로 빼앗은 악마와 같은 단체이다.',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금도 강제수용소 안에서 필사적으로 삶을 연명해가는 사람이 있다.'라고 호소하였다. 조총련은 이러한 소송에 대해 '동포사회와 일북 관계를 해하는 것에 불과하다'라고 주장하였다.[149]

중앙본부(도쿄도 지요다구 후지미) 토지와 건물은 미쓰이 다다오 전 부동산회사 사장의 중개로, 2007년 5월 31일 오가타 시게타케 전 공안조사청 장관이 대표로 근무하는 하베스트 투자고문 주식회사에 매각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개자인 미쓰이 다다오는 조총련으로부터 수수료 명목으로 4.9억을 받았다.

중앙본부 건물(지상 10층, 지하 2층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연면적 11700m2)과 토지(약 2390m2)는 약 40억을 초과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매각대금은 35억) 도쿄지검 특수부는 당초 조총련이 정리회수기구로부터 제기된 소송에서 패할 경우 압류를 벗어나기 위해 탈법, 불법행위를 할 의도가 있다고 보고 전자적공정증서원본 부실기재 등 혐의로 수사하고 있었다.[155]

수사 결과, 조총련이 소유권 매각양도 후에도 임대물권으로 인정받아 사용할 수 있는 매각처를 알아보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총련 측이 피해자였다면서 오가타 시게타케와 미쓰이 다다오는 '자금조달 목표가 서지 않았음에도 토지, 건물 및 수수료를 편취하려 하였다'라는 이유로 2007년 6월 28일 사기혐의로 체포되었다. 또한 수수료 명목으로 사취한 금전 중 절반밖에 반환되지 않았다고 보도되었다.

2. 5. 조직 약화와 현재 (2000년대 이후)

2003년 한덕수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의장이 사망하자, 서만술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의장이 되었다. 2012년에는 허종만이 의장이 되었다.[2]

1990년, 민주 개혁을 요구하다 1972년 추방된 총련 조직 부위원장 출신인 하수토는 도쿄에서 500명의 시위대를 이끌고 북한의 인권 침해에 항의하는 집회를 열었다. 시위대는 북한이 재일 한국인 귀환자들을 가두어 일본에 있는 친척들로부터 송금을 가로채고 있다고 비난했다.[14]

1950년대 후반, 총련은 재일 한국인들에게 북한 이주를 설득하는 운동을 벌였다. 이 운동은 민단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고, 민단은 단식 투쟁과 열차 방해를 조직했다. 약 8만 7천 명의 재일 한국인과 약 6천 명의 일본인 배우자가 북한으로 이주했다. 귀환자 출신 탈북자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돌아가기를 청원했고, 그 결과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졌다. 일본 연구에 따르면 수용소에 수감된 재일 한국인 귀환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추산된다.[12][13]

2013년 이후, 북조선의 “재일본 조선인 총련합회”(조총련)는 조선로동당 소속 첩보기관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는다.[103]

3. 조직 및 활동

1955년 5월 25일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한덕수 초대 의장을 중심으로 '재일본조선인상공인동맹', '재일본조선인노동자동맹', '재일본조선인민주여성동맹' 등 다양한 단체들과 '재일본조선인인권위원회', '재일본조선인평화통일위원회' 같은 시민단체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수가 수십여 개에 이른다. 이들 단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단체들과 교류하며, 학술 분야에서는 '고고학자동맹', '사회과학연구소' 등이 활동하고 있다.[104]

총련은 기관지 조선신보를 발행하고 있는데, 이 신문은 1945년 10월 《우리신문》으로 창간되어 1960년대 민중신문과 해방신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70년대에 들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조선신보는 월요일과 목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발행되며, 영문판 《The People's Korea》(인민조선)와 자매지 《월간조국》도 발행하고 있다.

총련은 '조선학교'로 불리는 교육기관들을 운영하며, 초급학교, 중급학교, 고급학교, 조선대학교 등의 교육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학교들은 대부분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쿄도에는 조선대학교가 있다.

2003년 한덕수 의장 사망 이후 서만술 의장을 거쳐 2012년부터 허종만이 의장직을 맡고 있다.

3. 1. 조직 체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스스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재일본공민단체'라고 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에는 조선로동당 소속 정보 기관인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

총련은 설립 초기에는 일본에 체류하는 '조선적' 조선인을 위한 민족학교 운영과 '조선적' 조선인 경영자 대상 융자 등 상조회 조직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북한의 정치 상황에 따라 그 실태는 변화해 왔다. 도쿄도에 중앙본부를 두고 일본 전역에 본부를 설치했으며, 각지에 지부 조직을 두고 있다. 중앙본부는 도쿄도 지요다구 후지미 2-14-15에 위치해 있다.[1]

북한 법률상 총련 구성원은 '북한 공민'이지만, 실제로 북한 국적을 가진 사람의 수는 명확하지 않다. 일본은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기 때문에 북한 국적을 인정하지 않는다. 총련 구성원 중에는 일본 법률상 '조선적'에 해당하는 사람이 많고, 대한민국 국적이나 일본 국적을 가진 사람도 많다. 그러나 대부분은 지리적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출신이며, 북한과 지연, 혈연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 정부는 사실상 재일 자국민에 대해 이중국적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 기준으로 허종만 의장을 포함한 5명의 간부가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총련 출신자 중에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단장이 된 경우도 있어, 재일한국-조선인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1]

총련은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로 인해 일본 정부와 경찰 등 치안 기관과의 긴장 관계가 형성되기도 했다.[1]

총련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기관 및 단체들이 있다.

총련 산하 기관 및 단체
종류기관/단체명
교육 기관
금융 기관
예술 단체
상업 기업
기타 단체


3. 2. 주요 활동

1955년 5월 25일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한덕수 초대 의장을 중심으로 '재일본조선인상공인동맹', '재일본조선인노동자동맹', '재일본조선인민주여성동맹' 등 다양한 단체들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단체들과 교류하며, 학술 분야에서는 '고고학자동맹', '사회과학연구소' 등이 활동하고 있다.

총련은 기관지 조선신보를 발행하고 있는데, 이 신문은 1945년 10월 《우리신문》으로 창간되어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한 후 1970년대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신보는 월요일과 목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발행되며, 영문판 《The People's Korea》(인민조선)와 자매지 《월간조국》도 발행하고 있다.

총련은 '조선학교'로 불리는 교육기관들을 운영하며, 초급학교, 중급학교, 고급학교, 조선대학교 등의 교육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학교들은 대부분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쿄도에는 조선대학교가 있다.

2003년 한덕수 의장 사망 이후 서만술 의장을 거쳐 2012년부터 허종만이 의장직을 맡고 있다. 총련은 스스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일본공민단체'라고 칭하며,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

총련은 주체 사상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화국' 또는 '조국'으로 칭한다. 일본 언론의 '북조선' 표현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총련은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 통합에 반대하며, 회원들의 일본 귀화나 일본인과의 결혼을 반대한다. 재일 조선인의 투표권이나 지방 선거 참여도 부정적으로 본다.

총련은 회원들에게 법률 및 결혼 상담, 취업 지원, 북한 여권 발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총련 계열 단체들은 기업과 은행을 운영하며, 1990년 총련 은행 시스템의 자본금은 약 250억 달러에 달했다.[23] 총련은 북한과 일본 간 경제적 연결 고리 역할을 했으며, 파친코 산업의 3분의 1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총련은 조선신보 외에도 다양한 간행물을 발행하며, 문화 활동과 스포츠팀을 운영한다. 또한 회원들의 북한 방문과 한국 학교 학생들의 연수 방문을 주선하며, 만경봉 92호를 운영하기도 했다.

총련의 최고 입법 기관인 대회는 1961년 이후 3년마다 개최된다.[28]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총련은 일본 시민들을 수용하기도 했지만, 일본 외무성이 북한을 인도적 지원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것을 비판했다. 김정일 사망 이후에는 회원들에게 저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시했다.

2012년 일본 대법원은 총련 자산 압류를 승인했으며, 2014년에는 마루나카 홀딩스가 해당 자산을 매입했다.[34]

총련은 조선학교를 운영하며 민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을 찬양하는 친북한 이데올로기를 가르친다.[39] 일본 교육과정을 따르지 않아 정규 학교로 분류되지 않으며,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총련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산하 단체들을 운영하고 있다.

분야단체명
교육
금융
예술
상업
기타


3. 3. 구성원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스스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재일본공민단체'라고 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 조선로동당 소속 정보 기관인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총련은 자체 웹사이트에서 모든 활동이 북한의 공식 국가 이념인 주체 사상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15]

총련은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는 일본 정부와 경찰 등 치안기관과의 긴장감을 낳게 한 요인이 되었다.[98]

총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줄여서 부르는 일본어 표현인 '북조선(Kita-Chosen)'의 사용에 반대하며, '공화국(Kyōwakoku)' 또는 '조국(Sokoku)'이라고 부른다. 1972년 총련은 일본 언론이 북한을 '북조선'이라고 부르는 것을 중단하도록 운동을 벌였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6] 2003년 1월부터는 도쿄 신문을 시작으로[16]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닛케이 신문 등 대부분의 신문에서 이 정책을 포기하기 시작했다.[17]

총련은 자신들이 재일 조선인을 대표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단순한 소수 민족이라는 인식을 거부한다.[18]

일본의 두 주요 조선인 단체 중 총련은 한국 민족 정체성 유지를 더욱 적극적으로 주장해왔다. 총련은 일반적으로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 통합에 반대한다. 예를 들어, 회원들이 일본 시민으로 귀화하거나 일본인과 결혼하는 것을 (총련은 이를 "국제 결혼"이라고 부른다) 반대한다. 심지어 재일 조선인의 투표권이나 일본 지방 선거 참여권도 일본 사회 동화의 용납할 수 없는 시도로 간주하여 거부한다.[19] 이는 일본 정치에 대한 재일 조선인의 더 넓은 참여를 위해 운동하는 민단과 대조적이다.[40]

총련 구성원은 조선적(일본어: 朝鮮籍, Chōsen-seki)으로 등록을 유지한 사람들이 중심이며, 일본 국적이나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았거나 취득하지 않고 태어난 사람들이다. 조선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반도 정부의 지위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일본 정부가 정의한 법적 지위였다. 2022년 기준으로 조선적을 가진 사람은 약 2만 5천 명인 반면, 일본에 등록된 대한민국 국적자는 40만 9천 명이 넘는다.[20]

총련 고위 관계자 5명은 최고인민회의(북한의 국회) 의원이기도 하다.[21]

공안정보원(PSIA)은 2016년 총련 회원 수가 7만 명이라고 보고했다.[22]

총련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조직들이 있다.

  • 학교
  • 유치원 3곳
  • 초등학교 19곳
  • 초중학교 병설학교 34곳
  • 초중고등학교 병설학교 5곳
  • 중학교 2곳
  • 중고등학교 병설학교 3곳
  • 고등학교 4곳
  • 대학교 1곳 – 고려대학교(Korea University)
  • 학원 1곳 – 조선총련중앙학원(朝鮮総聯中央学院|Chongryon Central Academy일본어)
  • 은행 8곳
  • 보험회사 1곳 – 금강보험(Kumgang Insurance Company)
  • 예술단체 12곳
  • 조선총련 영화 스튜디오(Chongryon Film Studio)
  • 한국 문학예술 스튜디오(Korean Literature and Art Studio)
  • 한국 음악 스튜디오(Korean Music Studio)
  • 금강산 가극단(金剛山歌劇団|Kumgangsan Opera Troupe일본어)
  • 도쿄 한국 노래와 춤단(Tokyo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간토 북부 한국 노래와 춤단(Northern Kanto Song and Dance Ensemble)
  • 도카이 한국 노래와 춤단(Tokai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교토 한국 노래와 춤단(Kyoto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오사카 한국 노래와 춤단(Osaka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효고 한국 노래와 춤단(Hyogo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히로시마 한국 노래와 춤단(Hiroshima Korean Song and Dance Ensemble)
  • 교쇼 한국 노래와 춤단(Kyoshyo Song and Dance Ensemble)
  • 상업 기업
  • 중외여행사(Chugai Travel)
  • 한국-일본 수출입 무역회사(Korean—Japanese Export-Import Trading Company)
  • 동해상사(Donghae Commercial Company)
  • 한국 특산품 무역회사(Korean Speciality Treading Company)
  • 치요다 국제 무역회사(Chiyoda International Treading Company)
  • 공동흥업(Kongtong Hungye Company)
  • 경화상사(Kyonghwa Commercial Company)
  • 룽훙상사(Runghung Merchant Company)
  • 근해운수(Near Ocean Transportation Company)
  • 해양약품(Haeyang Medicine Company)
  • 재일본조선인과학기술협회(在日本朝鮮人科学技術協会|Zainichi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일본어)
  • 재일본조선인상공연맹(Zainichi Korean Business and Industry League)
  • 재일본조선인청년상공회(Zainichi Korean Youth Business and Industry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교원연맹(Zainichi Korean Teachers' League)
  • 재일한국중앙교육협회(Korean Central Education Association in Japan)
  • 재일본조선인신용협동조합연합회(United Zainichi Korean Credit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인권협회(在日本朝鮮人人権協会|Zainichi Korean Human Rights Association일본어)
  • 재일본조선인논평출판협회(Zainichi Korean Comment Publisher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사회과학자협회(Zainichi Korean Social Scientist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보건협회(Zainichi Korean Health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문학예술연맹(Zainichi Korean Literature and Art League)
  • 한국예술연구소(Korean Art Research Institute)
  • 재일본조선인체육연맹(Zainichi Korean Sport League)
  • 재일본조선인축구단(United Koreans in Japan football team)
  • 재일한국유학생연맹(Korean Overseas Student League in Japan)
  • 재일본조선인학생위원회(Zainichi Korean Student Committee)
  • 재일본조선인종교연맹(Zainichi Korean Religious League)
  • 재일본조선인불교협회(Zainichi Korean Buddhist Association)
  • 재일본조선인역사고고학회(Zainichi Korean Historicism and Archaeology Association)
  • 재일본한국민주부녀회(Korean Democratic Woman Association in Japan)
  • 재일본조선청년동맹(在日本朝鮮青年同盟|Korean Youth League in Japan (Chochong)일본어)
  • 재일본조국통일동지회(Korean Reunification Comrades' Association in Japan)
  • 재일본평화옹호위원회(Korean Peace Upholding Committee in Japan)
  • 조선신보 출판사(Choson Sinbo Publishing House)
  • 박소방(Haku Sopang)
  • 한국청년회(Korean Youth Society)
  • 한국문제연구소(Korean Issue Research Institute)
  • 조선총련통일기업추진위원회(Chongryon Unified Enterprise Propulsion Committee)
  • 동포결혼주선센터(Compatriots' Marriage Introducing Center)

4. 북한과의 관계



1955년 5월 25일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북한의 '재일본공민단체'라고 자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에는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

총련은 조선신보 발행, 조선학교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조선대학교는 총련이 운영하는 대학교육기관이다.

1972년 미노베 료키치 도쿄도지사는 총련 시설을 '외교기관에 준하는 기관'으로 인정, 고정자산세와 부동산 취득세 감면 조치를 했으나, 2003년 도쿄도는 일부 시설에 대해 과세로 방침을 변경했다.

총련은 북한의 주체 사상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북한을 '북조선'이 아닌 '공화국' 또는 '조국'으로 부른다.

1950년대~1980년대 총련은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을 '지상낙원'으로 선전, 많은 재일 조선인과 가족들이 북한으로 이주했지만 가혹한 노동과 차별을 겪었다는 증언이 잇따랐고, 2008년에는 일본 거주 탈북 여성이 총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008년 대한민국에서 체포된 탈북자 위장 여성 북한 스파이는 일본에서도 정보 수집 활동을 벌였으며, 일본 내 공범으로 조총련 산하 단체 간부 이름이 거론되었으나, 해당 간부는 연루 사실을 부인했다.[128]

북한은 기념우표에 총련을 자주 등장시키는데, 1965년 '총련결성 10주년' 기념우표를 시작으로 1970년, 1975년, 1985년, 2005년에도 총련 건물이 그려진 우표를 발행했다.

2022년 2월, 북한은 '해외 동포 권익 옹호법'을 채택했고, 조선신보는 이 법이 해외 동포 원조 사업을 확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114]

2022년 5월, 김정은 총비서는 조선총련 제25회 전체대회에 1만 자 분량의 서한을 보냈는데, 이는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행동 강령과 같다는 평가를 받는다.[116]

4. 1. 대남 공작 협력 의혹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행사가 서울 국립극장에서 열리던 중,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 여사가 재일 한국인 문세광에게 피살되었다(육영수 저격 사건). 문세광은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목표로 하였으며, 대한민국 경찰 수사 결과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의 지원을 받아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 문세광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고쓰 파출소에서 권총을 훔치고, 위조 비자와 위조 여권을 만드는 등 조총련의 지원을 받았다.[142]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조총련의 개입을 부정하여 대한민국 내 반일감정이 고조되었고, 한일 관계는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당시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교 정상화 직후였기 때문에 조총련을 자극하지 않으려 했다는 추측이 있지만,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당시 북중 관계가 냉각되어 있었기 때문에 진위는 불분명하다.

박근혜북한을 방문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의 개입을 인정하고 사과함으로써, 조총련이 박정희 대통령 암살 공작에 관여했다는 증거가 되었다.

2013년 이후 조총련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 조선은행 신용조합의 대북 불법 송금에 조총련 관계자가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있으며,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내 북한의 불법 활동(스파이, 불법 송금, 마약·권총 매매 등)에 많은 조총련 관계자가 연루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조총련은 이러한 범죄 행위에 대한 책임 추궁에 대해 "악의적인 데마"라고 주장하며, 조총련 관련 시설 강제수사에 대해 "재일 조선인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항의해 왔다.[140]

  • 1973년 사이타마현 가미후쿠오카시 (현 후지미노시)에서 발생한 2명의 조선족 아동 납치 사건에 조총련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피해 여성의 남편은 북한 공작원이었으며, 그가 근무했던 무역회사 직원은 "북한 본국의 판단을 요청했다"고 진술했다.[141][142]
  • 1978년 6월 발생한 다구치 야에코(田口八重子) 납치사건에 조총련이 관여한 것이 명백하다.[142]
  • 1980년 6월 발생한 신광수 사건(하라 다다아키(原敕晁) 납치사건)에 조총련이 관여한 것이 명백하다.[142]


2007년 4월 25일, 일본 경찰청 공안부는 가미후쿠오카시 사건과 관련하여 재일본조선류학생동맹 중앙본부(류학동) 등 조총련 산하단체 및 관련단체 4곳을 가택수색하였다.[143] 또한, 공안부는 조총련 서만술 의장, 허종만 책임부의장, 남승우 부의장에게 참고인 조사를 위해 출석을 요구했으나, 조총련 측은 이를 거부했다.[145]

5. 일본 사회와의 관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는 북한을 '공화국' 또는 '조국'으로 부르며, 일본 사회에서 '북조선'이라는 표현 사용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대부분의 일본 언론은 기사에서 최소 한 번은 북한의 공식 명칭을 사용하기로 타협했으나, 2003년 이후 도쿄 신문을 시작으로 많은 언론사가 이 관행을 포기했다.[16][17]

총련은 스스로를 재일 조선인을 대표하는 단체로 주장하며, 단순한 소수 민족이라는 인식을 거부한다.[18] 한국 민족 정체성 유지를 강조하며,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회원들의 일본 귀화나 일본인과의 결혼을 반대하고, 지방 선거 참정권 획득 운동에 대해서도 민단과 대립하고 있다.[19][40]

총련은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러한 점은 일본 정부 및 경찰 등 치안 기관과의 긴장 관계를 야기하는 요인이 되었다.[98] 과거 재일 조선인들이 일본 공산당에서 활동했던 경험으로 일본 공산당과 깊은 관계를 맺었으며, 1970년대 중반부터는 일본 사회당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다. 사회민주당과는 현재까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회당 출신 민주당 의원에게 정치 헌금을 한 사실도 밝혀졌다.[130]

총련은 북한의 사실상 대사관 역할을 하며, 2013년 이후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도쿄도 지요다구에 중앙본부를 두고 일본 전역에 지부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5. 1. 일본 정부와의 갈등

1955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총련)가 결성된 이래, 총련은 공산주의를 지지하고 냉전 시기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해왔다. 이는 일본 정부 및 경찰 등 치안 기관과의 긴장감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다.[98]

총련은 북한비자여권 발행 대리 업무를 하는 창구로서 '외교 기관에 준하는 기관'이라는 명목으로 과세 감면 조치를 받았으나,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총리대신의 방북 시 납치 문제 관여를 인정한 것을 계기로 세금 우대 조치가 재검토되었다. 도쿄도의 고정자산세 감면 조치 철폐 발표 후, 총련 시설이 '사적 시설이며, 대일·대남 공작 기관'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09년 기준, 전국 130개 지자체 중 전액 감면 지자체는 홋카이도 구시로시뿐이며, 70% 이상의 지자체가 무감면 조치를 시행했다. 도쿄도의 총련 중앙본부 부동산에 대한 고정자산세 등 과세 처분 취소 소송에서 2009년 8월 12일 대법원은 총련 측의 상고를 기각하여 패소가 확정되었다.[137]

총련은 일본 공산당과 관계가 깊었으나, 1970년대 중반부터 일본 사회당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다. 사회민주당과는 현재까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회당 출신 민주당 의원에게 정치 헌금을 한 사실도 밝혀졌다.[138]

2010년 6월 12일, 총련이 조선학교 학부모들에게 문부과학성에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를 요청하는 전화 공세를 하도록 지시하고, 일본인 행세를 하여 전화 횟수를 늘리도록 지시한 사실이 내부 문서에서 드러났다. 산케이 신문은 이를 "총련의 무상화 운동이 도덕성을 크게 일탈"하고 "북한처럼 통제된 조직 동원 형태로 전개"되었다고 평가했다.[139]

조은신용조합의 불법 송금에 총련 관계자가 관여한 의혹, 일본인 납치 문제 추적 과정에서 납치 사건을 비롯한 북한의 불법 활동(간첩, 불법 송금, 마약, 권총 판매 등)에 많은 총련 관계자가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련은 이러한 범죄 행위 책임을 "악성 유언비어"라고 주장하며, 총련 시설 강제 수사에 대해 "재일 조선인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항의했다. 또한, 비판 기사를 쓴 언론사 직원에게 항의하거나, 북한 비판 단체의 집회를 조직원들이 폭력적으로 방해한 적도 있어, '재일 조선인의 주권을 인정하면 역차별 등으로 이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

1972년 미노베 료키치 도쿄 도지사가 '외교 기관에 준하는 기관'으로 인정한 이래, 많은 지자체가 총련 시설을 외교 공관이나 공공 시설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고정자산세와 부동산취득세 감면 조치를 해왔다. 이는 일본과 북한이 국교를 정상화하면 '북한 대사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었다.[140]

2003년 도쿄도는 총련 관련 시설에 대해 '소유자 대부분이 관련 기업이거나 외교와 무관'하다는 방침으로 변경하여 일부에 고정자산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른 지자체도 이에 따라 감면을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종래대로 유지하는 지자체도 있었다. 총련과 일부 법학자는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행정 소송을 제기했다. 2006년 2월 2일 후쿠오카 고등법원은 '공익성이 없는 총련 활동에 대한 조세 감면은 위법'이라는 판결을 내렸고, 구마모토 시장이 상고하여 최종 결정은 대법원에 맡겨졌다.

방위청(현 방위성)의 미사일 정보 유출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으나, 총련 측은 사실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총련은 2010년 연평도 포격에 대해 북한의 입장을 지지했다. 조직원 내부 교양 자료에서 연평도에서 숨진 민간인 2명은 해병대 시설 공사에 동원된 본토 사람이고, 사망 장소도 군사 시설 내부이므로 민간인 희생자는 없었다고 발표했다.[153] 이후 일본 정부는 총련계 조선학교에 대한 지원을 공식적으로 미루었다.[154] 일본 사회의 연평도 포격 비판 여론으로 2010년 12월 26일 일본 16개 도·현의 고교 무상화 적용 대상에서 조선학교가 제외되었다.

중앙본부(도쿄도 지요다구 후지미) 토지와 건물은 2007년 5월 31일 오가타 시게타케 전 공안조사청 장관이 대표로 있는 회사에 매각되었으나, 실제로는 총련 측이 피해자였으며 오가타 시게타케 등은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155]

오랫동안 총련은 북한의 사실상 대사관 역할에 대한 존중과 소수 민족 정치적 압력 단체로서의 영향력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압수수색 및 조사 면제를 누려왔다.[10]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일본 상공 미사일 발사, 일본인 납치 등 여러 문제를 둘러싼 긴장 고조는 총련에 대한 항의와 여론 악화로 이어졌다.[62] 총련 관계자들이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행위에는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마약 밀수,[62] 간첩 행위, 전자 제품 및 미사일 부품 밀수 등이 포함된다.[63] 워싱턴 포스트는 총련을 "매우 효과적인 제재 회피 기업"으로 묘사했다.[23]

1990년대 초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주장이 처음 제기된 이후,[66] 총련은 혐오 메일, 악의적인 전화, 수많은 사건들을 겪었다고 보고했다. 총련 시설은 일본 우익 단체들의 시위 장소가 되기도 했다. 조선총련 학교 학생들이 언어 폭력을 당하거나 교복이 찢어지는 등의 폭행 사건도 발생했다.[49] 1998년에는 도쿄에 있는 총련 본부에 소형 폭탄이 투척되었고, 2003년 6월에는 니가타현에 있는 총련 창고에 총격이 가해졌다. 2006년 10월 북한의 첫 핵실험 이후 미토에 있는 총련 학교 안의 대나무 숲이 방화로 추정되는 공격을 받았다.[66] 재특회는 총련 관련 학생들을 괴롭힌 혐의로 지방 법원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67]

일본 당국은 최근 총련 활동에 대한 단속을 시작했는데, 이는 총련에 의해 정치적 탄압 행위로 비판받고 있다.[68] 2000년에는 북한 원산항에서 필로폰 250kg을 구입한 일본 범죄 집단원이 체포되었다. 일본은 북한이 후원하는 메스암페타민 마약 밀매의 주요 목표 시장이었다.[70] 2003년 8월 요미우리 신문은 탈북자가 만경봉-92호를 통해 북한을 위해 마약을 일본으로 밀수했다고 자백했다고 보도했다.

2001년 11월 경찰은 고위 관계자의 횡령 혐의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총련 도쿄 본부와 도쿄 지부를 급습했다.[72][73] 2002년 공안정보청 차장은 중의원 재무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혐의로 총련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74] 2003년 탈북자는 미국 상원 위원회에 북한이 미사일 제작에 사용한 부품의 90% 이상이 만경봉-92호를 통해 일본에서 반입되었다고 진술했다.[75] 2003년 AP통신은 일본 당국이 위장 신분을 사용한 간첩 활동에 연루된 72세의 총련 전 고위 간부를 기소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6년 5월 총련과 친남한 단체인 민단은 화해하기로 합의했지만, 다음 달 민단의 총련 불신으로 합의가 결렬되었다. 2006년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갈등을 심화시켰다.[66]

2006년 11월 경찰은 총련 도쿄 본부를 급습하여 만경봉-92호에 실린 정맥주사액을 북한으로 불법 수출하려던 시도를 조사했다. 2007년 2월 홋카이도 경찰은 탈세 혐의로 삿포로에 있는 홋카이도 본부 등을 급습했다.

2007년 3월 3일 수천 명의 총련 회원들이 히비야 공원에서 집회를 열어 조직에 대한 경찰 조사와 학생 괴롭힘에 항의했다.[80][81]

2011년 김정일 사망 후 일본 정부는 총련 직원들이 장례식에 참석하고자 할 경우 재입국 허가를 발급하지 않았다.[31]

2014년 일본 법원은 몽골 기업이 총련 건물을 매입하는 것을 막았다.[10]

2015년 경찰은 북한에서 불법 밀반입된 송이버섯과 관련하여 총련 의장 허종만의 도쿄 자택을 급습했다.[84]

2017년 교토대학 원자로 실험소 조교수 편철호 박사를 비롯해 총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국 과학자들이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간첩 행위를 한 혐의를 받았다.[63]

2018년 2월 23일 새벽, 밴에 탄 두 사람이 총련 건물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공격이 발생했다.[85] 이들은 우익 활동가와 전 야쿠자 조직원으로 확인되었다.[86]

2019년 일본 정부가 평양계 학교를 새로운 정부 보조금 사업에서 제외하자 총련 학생들이 도쿄에서 시위를 벌였지만, 지방 정부는 총련 학생들에게 계속 지원금을 지급했다.[62]

2019년 5월 17일 일본 법 집행 기관은 북한과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총련 활동을 계속 감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2020년 7월 9일 총련 인근에 배치된 진압 경찰관이 비번 중 자신의 권총으로 자살했다.[88]

2023년 12월 통일부는 총련 학교의 차별을 부각하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배우 권해효, 제작자 조은성, 영화감독 김지운을 북한 주민과의 무단 접촉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89]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9조는 대한민국 국민이 해외에 있더라도 북한 주민과 접촉하려면 통일부에 사전 통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90]

5. 2. 일본 내 여론

조선총련은 자신들이 재일 조선인을 대표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단순한 소수 민족이라는 인식을 거부한다.[18]

일본의 두 주요 조선인 단체 중 총련은 한국 민족 정체성 유지를 더욱 적극적으로 주장해왔다. 총련은 일반적으로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 통합에 반대한다. 예를 들어, 회원들이 일본 시민으로 귀화하거나 일본인과 결혼하는 것을 (총련은 이를 "국제 결혼"이라고 부른다) 반대한다. 심지어 재일 조선인의 투표권이나 일본 지방 선거 참여권도 일본 사회 동화의 용납할 수 없는 시도로 간주하여 거부한다.[19] 이는 일본 정치에 대한 재일 조선인의 더 넓은 참여를 위해 운동하는 민단과 대조적이다.[40]

총련은 북조선을 줄여서 부르는 일본어 표현인 ‘북조선(Kita-Chosen)’의 사용에 반대한다. 총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공화국(Kyōwakoku)’ 또는 ‘조국(Sokoku)’이라고 부른다. 1972년 총련은 일본 언론이 북한을 ‘북조선’이라고 부르는 것을 중단하도록 운동을 벌였다. 이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타협으로 대부분의 언론사는 모든 기사에서 적어도 한 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명칭을 완전히 사용하는 데 동의했다. 2003년 1월부터 도쿄 신문이 더 이상 전체 명칭을 쓰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16]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닛케이 신문을 비롯한 대부분의 신문에서 이 정책을 포기하기 시작했다.[17]

2010년에 일어난 연평도 포격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조선총련은 조직원 내부교양자료에서 연평도에서 숨진 민간인 2명은 연평도 주민이 아니라 해병대 시설 공사에 동원된 본토 사람이고, 숨진 장소도 군사시설 내부이므로 민간 희생자는 없었다고 발표하였다.[153] 그 이후로 일본 정부는 조총련계 조선학교에 대한 지원을 공식적으로 미루었다.[154] 일본 사회의 연평도 포격 비판 여론으로 2010년 12월 26일 일본 16개 도·현의 고교 무상화 적용 대상에서 조선학교가 제외되었다.

조선총련과 그 관련 시설은 비자 및 여권 발급 대행 업무 등을 수행하는 등 북한의 행정 창구 기능이 있다는 명목으로 “사실상의 대사관” 또는 “시민회관적 시설”로 취급되어 각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고정자산세 및 도시계획세의 과세 감면 조치가 이루어졌다.[98] 그러나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수상의 방북을 계기로 북한이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관여를 인정함에 따라 국내 조선총련 관련 시설에 대한 우대 조치가 재검토되기 시작했다. 2007년 11월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조선총련의 활동에 공익성은 없으며 세금 감면 조치는 불법이다”라는 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감면 조치의 폐지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2015년도에 조선총련 관련 시설에 대한 고정자산세 감면 조치를 실시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처음으로 하나도 없어졌다.[98]

5. 3. 조선학교 문제

도쿄조선중고급학교 교실. 김일성김정일의 사진이 보인다.


총련은 일본 전역에 유치원과 조선대학교를 포함하여 140개[38]의 재일조선인학교(朝鮮学校, 조선학교, Chōsen gakkō|조선 각꼬일본어)를 운영하고 있다. 초기에는 북한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학교의 모든 수업과 대화는 한국어로 진행된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을 찬양하는 친북한 이데올로기를 강하게 가르친다.[39] 일본의 교육과정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일본 법률상 정규 학교로 분류되지 않는다.[40]

이 학교들은 일본에 있는 재외한국학교(Kankoku gakkō|간코쿠 각꼬일본어)와는 다르다. 재외한국학교(한국학교)는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을 받고 대한민국 교육과정과 일반적인 일본 교육과정을 포함한다.[41]

이 학교들의 강경한 입장은 학생, 학부모, 그리고 대중 모두로부터 점점 더 비판을 받고 있다. 총련계 학교에서 민족 교육을 받는 학생 수는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감소하여 1970년대 초 4만 6천 명에서 2009년에는 약 1만 명으로 줄었다.[42] 재일조선인 대다수가 자녀들을 일본의 일반 학교에 보내고 있다. 2010년 3월 기준으로 재학생 약 2,000명의 조선 고등학교가 12개 있었다.[43]

이 학교들은 초기에는 북한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지만, 그 지원은 중단되었다. 현재는 일본 지방 자치단체로부터 일부 자금을 지원받고 있지만, 많은 학교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 정부는 "공적 통제를 받지 않는 계획"에 의한 교육에 공적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일본국헌법 제89조를 이유로 총련의 조선학교 지원 요청을 거부했다. 총련은 이를 인종차별 행위라고 주장한다. 제89조의 명백한 위반을 피하기 위해 지방 자치단체의 자금 지원은 학교에 직접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가정에 특별 지원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44]

또 다른 문제는 고등학교 졸업자격 검정시험(대검)이다. 이 시험은 정규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사람이 국립대학교에 지원하고 입학시험을 볼 자격을 얻게 해 준다. 최근까지는 의무교육(중학교)을 마친 사람만 대검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조선학교 학생들은 시험 응시 전에 추가 과정을 이수해야 했다. 1999년에는 일정 연령 이상이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도록 요건이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일본 고등학교가 아닌 학교 졸업생은 대검을 치러야 한다는 점에서 운동가들의 불만이 남았다. 2003년 교육부는 중국 학교, 민단 운영 한국 학교, 미국 및 영국 기관의 인가를 받은 서구 국가 소속 국제 학교 졸업생에 대해서는 대검 응시 요건을 면제했지만, 총련 학교 졸업생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을 승인할 수 없다는 이유로 면제하지 않았다. 이 결정은 개별 대학에 맡겨졌고, 70%의 대학이 총련 학교 졸업생의 직접 지원을 허용했다.[45]

북한 정부는 50년 동안 총액 약 460억에 달하는 "교육 지원금"과 "장학금"으로 총련 학교를 지원했다.[46] 일본 정부는 총련 학교를 제외한 일본의 모든 사립 고등학교 수업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43][47] 총련 고등학교가 수업료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총련 내부에서는 학교 정책을 수정할지 아니면 현행대로 유지할지 갈등이 발생했다.[48]

위에서 설명한 문제들로 인해 총련 운영 학교의 입학률이 급격히 감소했고, 재일조선인 자녀들의 대다수가 일반 일본 학교에 다니고 있다.[49] 일본의 조선인 대다수는 일반 일본 학교 또는 대한민국 국제학교에 다닌다. 예를 들어, 2012년 오사카의 조선인 중 87%가 이중언어 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순수 일본 학교에 다녔다.[50]

2019년 1월, 조선총련의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인 조선대학교가 디포대학교 미국 학생들과 최초의 교환 프로그램을 개최했다. 이 프로그램은 디포대학교의 데릭 포드 교수,[51] 웨스트체스터 대학교의 커리 말롯 교수,[52] 그리고 정기율(Kiyul Chung)에 의해 기획되었다.[53] 포드 교수는 교육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이다.[54] 정기율 교수는 칭화대학교와 조선대학교의 방문 교수이다. 그는 대한민국 출신이지만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 방문 교수이기도 하다. 말롯 교수는 웨스트체스터 대학교 교육 및 기초 정책 연구소 부교수이다.[55]

2019년 2월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의 정상회담 직전에 개최된 이 방문은 북한 매체에서 널리 보도되었다. ''조선신보''는 여러 기사를 게재했는데, 그중 하나는 이 교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 개선 및 정상화를 예측했다.[56] 대한민국 ''코리아 타임스''의 정다민 기자는 이 방문이 "정부 및 비정부 차원에서 두 국가 간 관계 개선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57][58]

디포대학교 학생들은 2020년 1월에 다시 조선총련 학교를 방문했지만, 2021년 1월 방문 계획은 COVID-19로 연기되었다. 일본의 여행 제한이 해제된 후, 2022년 11월 20일부터 26일까지 또 다른 대표단이 조선총련을 방문했다.[59] 2024년 1월, 포드 교수와 디포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 및 연극학과 교수인 하울리(Howley) 교수가 이끄는 디포대학교-조선대학교 공식 교류 프로그램이 재개되었다.[60][61]

2010년 6월 12일, 조총련이 조선학교 학부모들에게 문부과학성에 조선학교의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를 요청하는 전화공세를 걸도록 할당량을 부과하였던 것과 동시에 여러 명의 일본인 행세를 하여 전화횟수를 늘리도록 지시하였던 것이 내부문서에서 밝혀졌다.[139] 산케이 신문은 “총련의 무상화운동이 도덕성을 크게 일탈하였으며, 북조선처럼 통제된 조직동원의 형태로 전개되었다는 실태가 명백해졌다”고 평가하고 있다.[139]

조총련은 2010년에 일어난 연평도 포격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조선총련은 조직원 내부교양자료에서 연평도에서 숨진 민간인 2명은 연평도 주민이 아니라 해병대 시설 공사에 동원된 본토 사람이고, 숨진 장소도 군사시설 내부이므로 민간 희생자는 없었다고 발표하였다.[153] 그 이후로 일본 정부는 조총련계 조선학교에 대한 지원을 공식적으로 미루었다.[154] 일본 사회의 연평도 포격 비판 여론으로 2010년 12월 26일 일본 16개 도·현의 고교 무상화 적용 대상에서 조선학교가 제외되었다.

5. 4. 중앙본부 건물 매각 문제

2007년 5월 31일, 중앙본부(도쿄도 지요다구 후지미)의 토지와 건물은 전 부동산회사 사장인 만이 타다오의 중개로 전 공안조사청 장관 오가타 시게타케가 대표로 있는 하베스트 투자고문 주식회사에 매각되었다. 조선총련은 중개자인 만이에게 수수료 명목으로 4.9억을 전달했다.[155]

중앙본부 건물(지상 10층, 지하 2층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연면적 약 11700m2)과 토지(약 2390m2)는 40억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매각 대금은 35억이었다. 도쿄지검 특수부는 조선총련이 정리회수기구로부터 제기된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압류를 피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했다고 보고 전자적 공정증서 원본 불실기록 등의 혐의로 수사했다.[155]

수사 결과, 조선총련이 소유권 매각 후에도 임대물권으로 계속 사용을 허가받는 매각처를 찾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실제로는 조선총련이 피해자였던 것으로 판단되어, 오가타와 만이는 "자금 조달 계획이 없음에도 토지와 건물, 수수료를 가로채려 했다"는 혐의로 2007년 6월 28일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 착복한 금전 중 수수료의 절반만 반환되었다고 보도되었다.

2013년, 건물은 경매에 부쳐져 종교법인 최복사가 낙찰받았으나 포기했고, 이어 몽골 기업이 낙찰받았으나 법원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2014년, 마루나카홀딩스가 낙찰받았으나, 2015년 1월 22일 야마가타현에 본사가 있는 그린 포레스트에 전매할 방향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철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134]

현재 조선총련의 본부 기능은 조선출판회관(코리아북센터)이나 동포법률·생활센터로 이전되고 있다.

6. 비판 및 논란

조선총련은 오랫동안 북한의 사실상 대사관 역할을 해왔고, 소수민족 정치 단체로서의 영향력 덕분에 압수수색이나 조사에서 비공식적인 면제를 받아왔다.[10]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일본 상공 미사일 발사, 일본인 납치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일본과 북한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조선총련은 북한 정권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는 이유로 비판과 여론 악화에 직면했다.[62]

조선총련 관계자들은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마약 밀수,[62] 간첩 행위, 전자 제품 및 미사일 부품 밀수 등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63] 워싱턴 포스트는 조선총련을 "매우 효과적인 제재 회피 기업"으로 묘사하며, 이들이 은행과 파칭코 업소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북한 정부에 자금을 조달한다고 보도했다.[23]

1990년대 초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주장이 처음 제기된 이후,[66] 조선총련은 혐오 메일, 악의적인 전화 등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조선총련 시설은 일본 우익 단체들의 시위 장소가 되기도 했다. 조선총련 학교 학생들이 언어 폭력을 당하거나, 1994년 5월과 6월에는 교복이 찢어지는 등의 폭행 사건도 발생했다.[49] 1998년에는 도쿄도 조선총련 본부에 소형 폭탄이 투척되었고, 2003년 6월에는 니가타현 조선총련 창고에 총격이 가해졌다. 2006년 10월 북한의 첫 핵실험 이후 미토시 조선총련 학교 안의 대나무 숲이 방화로 추정되는 공격을 받았다.[66] 재특회는 조선총련 관련 학생들을 괴롭힌 혐의로 지방 법원으로부터 비판받았다.[67]

일본 당국은 조선총련 활동에 대한 단속을 시작했는데, 조선총련은 이를 정치적 탄압 행위로 비판하고 있다.[68] 1994년 탈북자를 돕는 일본 시민단체 북한인민구원의 집회가 폭도들에 의해 공격받고 해산되었는데, 경찰 조사 결과 조선총련이 조직한 것으로 밝혀졌다.[69]

2000년 북한 원산시항에서 필로폰 250kg을 구입한 일본 범죄 집단원이 체포되었다. 판매자 조규선은 시모노세키시 조선총련 학교 교장을 지낸 후 무역 회사를 설립했으며, 일본 경찰의 수배 명단에 올라 있다.[62] 2003년 8월 요미우리 신문은 탈북자가 만경봉-92호를 통해 북한을 위해 마약을 일본으로 밀수했다고 자백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 마약을 조선총련원에게 전달했고, 조선총련원은 다시 일본 야쿠자에게 마약을 전달했다. 이는 미국 국무부 증언과 일치한다.[71][70]

2001년 경찰은 횡령 혐의 조사의 일환으로 조선총련 도쿄도 본부와 지부를 급습했다. 조선총련 관계자들이 1999년 파산한 친북 주민을 위한 신용조합인 도쿄 조긴(Tokyo Chogin)으로부터 650만달러를 횡령했다고 자백한 후였다. 약 400명의 조선총련 지지자들이 항의하며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72][73]

2002년 공안조사청 차장은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혐의로 조선총련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74] 2003년 탈북자는 미국 상원 위원회에 북한 미사일 부품의 90% 이상이 만경봉-92호를 통해 일본에서 반입되었다고 진술했다.[75] 2003년 AP통신은 일본 당국이 간첩 활동에 연루된 조선총련 전 고위 간부를 기소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범죄에 이용되지 않도록 (선박을)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76]

2003년 7월 도쿄도1972년 미노베 료키치 도지사가 내린 조선총련의 부동산세 면제 결정을 번복했다. 조선총련은 납부를 거부했고, 조선총련 소유 부동산 3곳이 압류되었다.[77] 2006년 3월 후쿠오카 고등법원 판결에 따라 총무성은 일본 전역의 도도부현 정부에 조선총련 부동산에 대한 부동산세 면제를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78]

2006년 5월 조선총련과 민단은 화해하기로 합의했지만, 다음 달 민단의 조선총련 불신으로 합의가 결렬되었다. 2006년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갈등을 심화시켰다.[66]

2006년 11월 경찰은 조선총련 도쿄도 본부를 급습하여 만경봉-92호에 실린 정맥 주사액을 북한으로 불법 수출하려던 시도를 조사했다. 이 용액은 일본 세관에 의해 압수되었는데, 생물학 무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도되었으나, 조선총련은 부인했다.

2007년 홋카이도 경찰은 탈세 혐의로 삿포로시 홋카이도 본부 등을 급습했다. 식당 주인과 조선총련 간부 등 4명이 체포되었다. 고베시 조선총련 효고현 본부 등도 무면허 회계 혐의로 급습당했다.[79]

2007년 3월 3일 수천 명의 조선총련 회원들이 히비야 공원에서 집회를 열었다. 도쿄도는 시위 금지를 시도했지만 법원 판결에 의해 기각되었다. 2007년 6월 조선총련 본부 건물이 오가타 시게타케에게 매각되려 했지만, 채권자들의 신청으로 법원이 일본 채권 추심 회사에 부동산 처분 권한을 부여했다.[82]

2011년 김정일 사망 후 일본 정부는 조선총련 직원들의 장례식 참석을 위한 재입국 허가를 발급하지 않았다.[31]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선총련 거주민들의 투표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83]

2014년 일본 법원은 몽골 기업의 조선총련 건물 매입을 막았다.[10] 2015년 경찰은 불법 밀반입된 1200kg의 송이버섯과 관련하여 조선총련 의장 허종만도쿄도 자택을 급습했다.[84]

2017년 교토 대학 조교수 편철호 박사 등 조선총련과 관계있는 과학자들이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 지원 간첩 혐의를 받았다. 편철호 박사의 중성자 연구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핵탄두 소형화에 이용될 수 있다.[63]

2018년 2월 23일 조선총련 건물에 총격 공격이 발생했다. 우익 활동가와 전 야쿠자 조직원이 체포되었다.[85][86]

2019년 일본 정부의 평양계 학교 보조금 제외에 조선총련 학생들이 도쿄도에서 시위를 벌였지만, 지방 정부는 지원금을 계속 지급했다.[62] 아시아 인권(Human Rights in Asia) 국장은 "일본 납세자의 돈을 살인 정권 홍보에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87]

2019년 일본 법 집행 기관은 조선총련 활동을 계속 감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2020년 조선총련 인근 경찰관이 권총으로 자살했다.[88]

2023년 통일부는 조선총련 학교 차별 다큐멘터리 제작진을 북한 주민 무단 접촉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89]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은 북한 주민 접촉 시 통일부에 사전 통보해야 한다.[90] 그러나 접촉 대상자가 대한민국 국민인 경우에는 통보가 필요 없다.[91] 재일 한국인 사회는 북한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만으로 스파이 의심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93]

6. 1. 북한 관련

2013년 이후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북한에 대한 조은신용조합의 불법 송금과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를 비롯하여 일본 내 북한의 불법 활동(스파이, 불법 송금, 마약, 권총 판매 등)에 많은 수의 조총련 관계자가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8]

이에 대해 조총련은 "악의적인 유언비어"라고 주장하며, 관련 시설 강제수사에 대해 "재일 조선인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항의해왔다.[98] 또한, 북한 비판 단체의 집회를 조직원들이 폭력적으로 방해하기도 했다.

1972년 미노베 료키치 도쿄도지사가 조총련 시설을 ‘외교 기관에 준하는 기관’으로 인정하면서, 많은 지자체가 고정자산세와 부동산 취득세 감면 조치를 해왔다. 이는 일본과 북한이 국교를 정상화하면 ‘북한 대사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었다.[140]

방위청(현 방위성)의 미사일 정보 유출에 조총련이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으나, 조총련은 사실 왜곡이라고 주장한다.

  • 1973년 사이타마현 가미후쿠오카시(현 후지미노시)에서 발생한 조선족 아동 2명 납치 사건(2아동납치사건)에, 여성의 남편이자 북한 공작원이 근무하던 유니버스 트레이딩 전직 여직원이 ‘북한 본국의 판단을 요청했다’고 진술하여, 일본 정부는 조총련 개입을 확신했다.[141][142]
  • 1978년 6월 다구치 야에코(田口八重子) 납치사건, 1980년 6월 신광수 사건(하라 다다아키(原敕晁) 납치사건)에도 조총련이 관여한 것이 명백하다.[142]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조총련은 북한을 “지상낙원”으로 선전하며 재일조선인과 가족들의 영주귀국·이주를 추진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탈북자를 중심으로 조총련에 대한 소송이 잇따랐고, 2008년 6월에는 일본 거주 탈북 여성이 오사카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148]

2008년 8월, 대한민국에서 탈북자로 위장한 여간첩이 체포되었는데, 대한민국 검찰은 이 여간첩이 대한민국 국군 장병과 ‘허니트랩’을 통해 기밀정보를 수집하고, 2007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일본에서도 정보수집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일본 협력자로 조총련 산하단체 간부와 ‘사장’ 직함을 가진 오사카 거주자 2명이 실명 기재되었으나, 해당 간부는 연루를 부인했다.[152]

조총련은 2010년 연평도 포격에 대해 북한 입장을 지지하며, 내부 교양자료에서 민간인 희생자는 없었다고 발표했다.[153]

총련은 자체 웹사이트에서 모든 활동이 북한의 주체 사상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15]

2017년 8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 14" 발사 성공을 축하하며 재미 동포는 조국과 함께 한다고 주장했다.[111]

북한은 여러 차례 기념우표에 조총련을 등장시켰다. 1965년 4월 27일 "조총련 결성 10주년" 기념우표에는 조총련 건물과 한일기본조약 반대 운동 군중이 묘사되었다.

2022년 5월 28일과 29일, 김정은 총비서가 조선총련 제25회 전체대회에 1만 자 분량의 서한을 보냈다.[119][116]

6. 2. 일본 사회 관련

조선총련은 스스로를 '재일본공민단체'라고 칭하며, 북한 정부 및 조선로동당 지도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2013년 이후에는 조선로동당 산하 정보 기관인 통일전선부 제225부(구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103] 초기에는 일본 내 '조선적' 조선인들을 위한 상호부조 조직으로 기능했으나, 북한의 정치 상황에 따라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발족 당시부터 공산주의를 지지했고, 냉전 시기에는 공산주의 진영을 지지하는 단체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했다. 이는 일본 정부 및 경찰 등 치안기관과의 긴장 관계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다.[98]

조선총련은 비자여권 발행 대리 업무를 수행하는 북한의 창구로서, '외교기관에 준하는 기관'이라는 명목으로 세금 감면 조치를 받아왔다.[98] 그러나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의 방북 시 북한이 납치 문제에 관여했음을 인정하면서, 일본 내 북한 관련 조직 및 시설에 대한 세금 우대 조치가 재검토되었다. 도쿄도의 고정자산세 감면 조치 철폐 발표 이후, 조선총련 시설이 '대일·대남 공작 기관'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전국 130개 지자체 중 전액 감면을 유지하는 곳은 홋카이도 구시로시뿐이며, 70% 이상의 지자체가 '무감면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도쿄도의 조선총련 중앙본부 부동산에 대한 고정자산세 등 과세 처분을 둘러싼 소송에서, 2009년 8월 12일 대법원은 조선총련 측의 상고를 기각하여 패소가 확정되었다.[137]

조선총련 창립 이전 재일조선인들이 일본공산당에서 활동했던 영향으로 일본공산당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는 일본사회당에도 접근하여 우호 관계를 구축했으며, 사회당 좌파를 계승한 사회민주당과도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회당 출신 민주당 의원에게 정치 헌금을 제공한 사실도 밝혀졌다.[138]

조은신용조합의 북한 불법 송금에 조선총련 관계자가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추적 과정에서 납치 사건을 비롯한 북한의 불법 활동(간첩, 불법 송금, 마약, 권총 판매 등)에 많은 조선총련 관계자가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총련은 이러한 범죄 행위 책임 추궁에 대해 "악성 유언비어"라고 주장하며, 조선총련 관계 시설 강제 수사에 대해서도 "재일 조선인의 권리 침해"라며 항의를 반복해 왔다. 또한, 비판 기사를 쓴 언론사 직원에게 항의하거나, 북한에 비판적인 단체의 집회를 조직원들이 폭력적으로 방해한 사례도 있어, 이에 반발하는 사람들은 '재일 조선인의 주권을 인정하면 역차별 등으로 이어진다'라고 비판한다.

1972년 당시 미노베 료키치 도쿄도 지사가 '외교 기관에 준하는 기관'으로 인정한 이래, 많은 지자체가 조선총련 시설을 사실상 외교 공관이나 공공시설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고정자산세와 부동산취득세 감면 조치를 해왔다. 이는 일본과 북한이 국교를 정상화하면 '북한 대사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었다.[140]

2003년 도쿄도는 조선총련 관련 시설에 대해 '소유자 대부분이 관련 기업이거나 외교와 무관하다'는 방침으로 변경하여 일부에 대해 고정자산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른 지자체도 이에 따라 고정자산세 감면을 해제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종전대로 유지하는 지자체도 있었다. 조선총련과 일부 법학자는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행정 소송을 제기했다.

'북한에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구마모토 모임'의 加納良寛 회장은 구마모토시 시장을 상대로 조선총련 시설 과세 감면 조치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고, 2006년 2월 2일 후쿠오카 고등법원은 '공익성이 없는 조선총련 활동에 대한 조세 감면은 위법'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구마모토 시장이 상고하여 최종 결정은 대법원에 맡겨졌다.

방위성(당시 방위청)의 미사일 정보 유출에 조선총련이 관여했다는 의혹도 보도되었으나, 조선총련 측은 사실 왜곡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앙본부(도쿄도 지요다구 후지미) 토지와 건물은 2007년 5월 31일 오가타 시게타케 전 공안조사청 장관이 대표로 있는 회사에 매각된 것으로 밝혀졌다. 중개자인 미쓰이 다다오는 조선총련으로부터 수수료 명목으로 4.9억을 받았다.

중앙본부 건물(지상 10층, 지하 2층)과 토지(약 2390m2)는 40억을 초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매각 대금은 35억). 도쿄지검 특수부는 조선총련이 정리회수기구로부터 제기된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압류를 피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할 의도가 있다고 보고 수사했다.[155]

수사 결과, 조선총련이 소유권 매각 후에도 임대 물권으로 인정받아 사용할 수 있는 매각처를 찾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오가타 시게타케와 미쓰이 다다오는 '자금 조달 목표가 없었음에도 토지, 건물 및 수수료를 편취하려 했다'는 이유로 2007년 6월 28일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 수수료 명목으로 사취한 금전 중 절반만 반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총련은 자체 웹사이트에서 모든 활동이 북한의 공식 국가 이념인 주체 사상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15]

총련은 북한을 줄여 부르는 일본어 표현인 '기타조센(北朝鮮)' 사용에 반대하며, '공화국(共和国)' 또는 '조국(祖国)'이라고 부른다. 1972년 총련은 일본 언론이 북한을 '기타조센'이라고 부르는 것을 중단하도록 운동을 벌였다. 대부분의 언론사는 기사에서 최소 한 번은 북한의 공식 명칭을 사용하기로 합의했지만, 2003년 1월부터 도쿄 신문을 시작으로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닛케이 신문 등 대부분의 신문이 이 정책을 포기했다.[16][17]

총련은 자신들이 재일 조선인을 대표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단순한 소수 민족이라는 인식을 거부한다.[18]

일본의 두 주요 조선인 단체 중 총련은 한국 민족 정체성 유지를 더욱 적극적으로 주장해왔다. 총련은 일반적으로 재일 조선인의 일본 사회 통합에 반대하며, 회원들이 일본 시민으로 귀화하거나 일본인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한다. 심지어 재일 조선인의 투표권이나 일본 지방 선거 참여권도 일본 사회 동화의 용납할 수 없는 시도로 간주하여 거부한다.[19] 이는 일본 정치에 대한 재일 조선인의 더 넓은 참여를 위해 운동하는 민단과 대조적이다.[40]

오랫동안 조선총련은 북한의 사실상 대사관 역할에 대한 존중과 소수 민족 정치적 압력 단체로서의 영향력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압수수색 및 조사 면제를 누려왔다.[10]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일본 상공 미사일 발사, 일본인 납치 등 여러 문제를 둘러싼 긴장 고조는 조선총련에 대한 항의와 여론 악화로 이어졌다.[62] 조선총련 관계자들이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행위에는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마약 밀수,[62] 간첩 행위, 전자 제품 및 미사일 부품 밀수 등이 포함된다.[63] 워싱턴 포스트는 조선총련을 "매우 효과적인 제재 회피 기업"으로 묘사했다.[23] 은행과 파칭코 업소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북한 정부에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23]

오사카의 조선총련 학교 전직 교장 김길욱은 1980년대 일본인 납치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국제형사경찰기구의 수배 명단에 올라 있다.[62] 2006년 3월 오사카 경찰은 납치 피해자 하라 다다아키(原田昭昭)의 1980년 6월 실종 사건을 조사하면서 북한 상공회의소를 포함한 6개 시설을 급습했다.[64][65]

1990년대 초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주장이 처음 제기된 이후,[66] 조선총련은 혐오 메일, 악의적인 전화, 수많은 사건들을 겪었다고 보고했다. 조선총련 시설은 일본 우익 단체들의 시위 장소가 되기도 했다. 조선총련 학교 학생들이 언어 폭력을 당하거나, 1994년 5월과 6월에는 교복이 찢어지는 등의 폭행 사건도 발생했다.[49] 1998년에는 도쿄도 조선총련 본부에 소형 폭탄이 투척되었고, 2003년 6월에는 니가타현 조선총련 창고에 총격이 가해졌다. 2006년 10월 북한의 첫 핵실험 이후 미토시 조선총련 학교 안의 대나무 숲이 방화로 추정되는 공격을 받았다.[66] 재특회는 조선총련 관련 학생들을 괴롭힌 혐의로 지방 법원으로부터 비판받았다.[67]

일본 당국은 최근 조선총련 활동에 대한 단속을 시작했는데, 조선총련은 이를 정치적 탄압 행위로 비판하고 있다.[68] 1994년 탈북자를 돕는 일본 시민단체 북한인민구원의 집회가 100명이 넘는 폭도들에 의해 공격받고 해산되었는데, 경찰 조사 결과 조선총련이 조직한 것으로 밝혀졌다.[69]

2000년 북한 원산시항에서 필로폰 250kg을 구입한 일본 범죄 집단원이 체포되었다. 판매자 조규선은 시모노세키시 조선총련 학교 교장을 지낸 후 무역 회사를 설립했으며, 일본 경찰의 수배 명단에 올라 있다.[62] 일본은 북한의 메스암페타민 마약 밀매의 주요 목표 시장이었다.[70] 2003년 8월 요미우리 신문은 탈북자가 만경봉-92호를 통해 북한을 위해 마약을 일본으로 밀수했다고 자백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이 마약을 조선총련원에게 전달했고, 조선총련원은 다시 일본 야쿠자에게 마약을 전달했다. 이는 그해 5월 미국 국무부 증언, 즉 일본 내 북한의 메스암페타민 시장이 북한 정부에 최대 70억달러의 이익을 가져다준다는 증언과 일치한다.[71][70]

2001년 11월 경찰은 고위 관계자의 횡령 혐의 조사의 일환으로 조선총련 도쿄도 본부와 도쿄도 지부를 급습했다. 이는 조선총련 중앙상임위원회 위원이자 재정국장을 역임한 강영관(66세) 등 조선총련 관계자들이 1999년 파산한 친북 주민을 위한 신용조합인 도쿄 조긴(Tokyo Chogin)으로부터 조선총련을 대신해 650만달러를 횡령했다고 자백한 후였다. 약 400명의 조선총련 지지자들이 정치적 탄압과 인종차별이라고 주장하며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72][73]

2002년 공안조사청 차장 도치기 쇼타로(栃木 渉)는 중의원 재무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으로의 불법 자금 이체 혐의로 조선총련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74] 2003년 탈북자는 미국 상원 위원회에 북한이 미사일 제작에 사용한 부품의 90% 이상이 조선총련이 운영하는 만경봉-92호를 통해 일본에서 반입되었다고 진술했다. 만경봉-92호는 북한과 일본을 잇는 유일한 정기 직항 노선이다.[75] 2003년 AP통신은 일본 당국이 위장 신분을 사용한 간첩 활동에 연루된 72세의 조선총련 전 고위 간부를 기소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간첩 지시는 만경봉-92호 선장이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범죄에 이용되지 않도록 (선박을)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76]

2003년 7월 도쿄도1972년 미노베 료키치 도지사가 내린 조선총련의 부동산세 면제 결정을 번복했다. 조선총련은 납부를 거부했고, 그 결과 조선총련 소유 부동산 3곳이 압류되었다.[77] 2006년 3월 후쿠오카 고등법원 판결에 따라 총무성은 일본 전역의 도도부현 정부에 조선총련 부동산에 대한 부동산세 면제를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78]

2006년 5월 조선총련과 친남한 단체인 민단은 화해하기로 합의했지만, 다음 달 민단의 조선총련 불신으로 합의가 결렬되었다. 2006년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조선총련이 미사일 발사 자체가 아닌 반발을 비난하면서 갈등을 심화시켰다.[66] 민단 회원들은 이 합의에 강하게 반대했고, 미사일 발사 후 비밀 화해 회담을 가진 것으로 최고 경영진을 비난했다.[40] 민단 회장과 다른 경영진은 여파 속에서 7월에 사임했다.[40]

2006년 11월 경찰은 조선총련 도쿄도 본부를 급습하여 만경봉-92호에 실린 60포대의 정맥 주사액을 북한으로 불법 수출하려던 시도를 조사했다. 이 용액은 일본 세관에 의해 압수되었는데, 생물학 무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도되었으나, 조선총련은 부인했다. 조선총련 지지자들이 건물 출입을 막으려 하자, 경찰이 배치되었다.

2007년 2월 홋카이도 경찰은 수천만 엔 탈세 혐의로 삿포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본부와 조선총련 고위 간부가 소유한 유명 양고기 야키니쿠 식당을 포함한 조선총련 관련 10곳을 급습했다. 식당 주인과 조선총련 삿포로 상공회의소 고위 간부 등 4명이 체포되었다. 또한 2007년 2월 경찰은 고베시에 있는 조선총련 효고현 본부 등 여러 곳을 급습하여 조선총련 효고 상공회의소 회계부장 등 3명을 무면허 회계 혐의로 체포했다. 경찰은 항의하는 조선총련 지지자들과 몸싸움을 벌였다.[79]

2007년 3월 3일 수천 명의 조선총련 회원들이 조직에 대한 경찰 조사와 학생 괴롭힘에 항의하며 히비야 공원에서 집회를 열었다. 도쿄도는 폭력을 우려하여 시위 금지를 시도했지만 법원 판결에 의해 기각되었다. 경찰은 맞불 시위를 벌인 극우 단체와 몸싸움을 벌여 1명이 체포되었다. 2007년 6월 조선총련이 재정난과 일본 정부와의 긴장으로 본부 건물을 오가타 시게타케에게 매각하려 했지만, 채권자들이 법원에 매각 금지 가처분 신청을 하고, 북한 공식 뉴스 서비스의 2007년 6월 22일 기사에 따르면 법원은 일본 채권 추심 회사에 부동산 처분 권한을 부여했다.[82]

2011년 김정일 사망 후 일본 정부는 조선총련 직원들이 장례식에 참석하고자 할 경우 재입국 허가를 발급하지 않았다.[31]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선총련 거주민들의 투표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83]

2014년 일본 법원은 몽골 기업이 조선총련 건물을 매입하는 것을 막았다.[10]

2015년 경찰은 북한에서 불법 밀반입된 1200kg의 송이버섯과 관련하여 조선총련 의장 허종만도쿄도 자택을 급습했다.[84]

2017년 교토 대학 원자로 실험소 조교수 편철호 박사를 비롯해 조선총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국 과학자들이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간첩 행위를 한 혐의를 받았다.[63] 특히 편철호 박사의 중성자 연구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사용되는 핵탄두 소형화에 이용될 수 있다.[63] 편철호 박사는 1992년부터 2008년 사이에 7차례 북한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63]

2018년 2월 23일 새벽 4시 이전에 밴에 탄 두 사람이 조선총련 건물을 향해 총격을 가하는 공격이 발생했다.[85] 이들은 결국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우익 활동가 가쓰라다 사토시(勝田 智)와 전 야쿠자 조직원 가와무라 요시노리(川村 佳則)였으며, 후자가 5발의 총격을 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86]

2019년 일본 정부가 평양계 학교를 새로운 정부 보조금 사업에서 제외하자 조선총련 학생들이 도쿄도에서 시위를 벌였지만, 지방 정부는 조선총련 학생들에게 계속 지원금을 지급했다.[62] 학생들은 "한국인에 대한 차별과 박해"를 규탄하는 플래카드를 들었다.[62] 아시아 인권(Human Rights in Asia)의 케이토 켄(加藤 健) 국장은 "일본 납세자의 돈을 살인적이고 부패한 정권을 홍보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절대 옳지 않다"고 말했다.[62] [87]

2019년 5월 17일 일본 법 집행 기관은 북한과의 긴밀한 관계 때문에 조선총련 활동을 계속 감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2020년 7월 9일 조선총련 인근에 배치된 진압 경찰관이 비번 중 자신의 권총으로 자살했다.[88]

2023년 12월 통일부는 조선총련 학교의 차별을 부각하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배우 권해효, 제작자 조은성, 영화감독 김지운을 북한 주민과의 무단 접촉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89]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9조는 대한민국 국민이 해외에 있더라도 북한 주민과 접촉하려면 통일부에 사전 통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특히 조선총련계 학교와 연계된 사람들과 접촉하려는 경우에 해당된다.[90] 그러나 접촉 대상자가 대한민국 국민인 경우에는 사전 통보가 필요 없다.[91] 조은성은 "지난 10년 동안 재일 한국인 관련 다큐멘터리를 여러 편 제작했는데 이런 일이 처음"이라고 말했다.[92]

서울의 조사 소식은 재일 한국인 사회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사람들이 북한 사람과 이야기하기만 해도 스파이로 의심받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재일 3세인 한 식당 주인은 "몇 세대 동안 일본에 살아온 한국인이 북한 사람들과 친분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당국에 신고할 일은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93]

참조

[1] 웹사이트 Japan to keep North Korea-linked association Chongryon under surveillance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 웹사이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https://encykorea.ak[...]
[3] 웹사이트 North Korea appointed next leader of its de facto embassy in Japan, sources say. https://www.nknews.o[...] 2020-11-25
[4] 웹사이트 2. Focal Issues of International Public Security in 2006 http://www.moj.go.jp[...] 2009-01-17
[5] 웹사이트 The Mutual Gaze of Okinawans and Zainichi Koreans in Post-War Japan: From 1945 to the 1972 Okinawa Reversion https://apjjf.org/20[...]
[6] 웹사이트 Chosen Soren http://www.globalsec[...] 2010-10-01
[7] 뉴스 Stage set for Japan to seize North Korea's 'embassy' https://web.archive.[...] Agence France-Presse 2007-06-18
[8] 웹사이트 Ethnic Korean Groups in Japan Advance Korean Rights, Culture and Unification with Homeland https://www.voanews.[...] 2024-01-26
[9] 웹사이트 The Strange Rise and Fall of North Korea's Business Empire in Japan https://www.theatlan[...] 2012-07-26
[10] 웹사이트 Chongryon still Pyongyang's pawn in covert operations: Former intelligence officer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eb.archive.[...] 2022-01-11
[11] 논문 Reimagining the homeland: Zainichi Koreans' transnational longing for North Korea https://web.archive.[...] 2022-01-11
[12] 뉴스 Spy's escape from North Korean 'hell' http://news.bbc.co.u[...] 2003-01-06
[13] 뉴스 N. Korean defector says best to leave North alone for now https://web.archive.[...] Findarticles.com 2003-11-03
[14] 웹사이트 MAR Data Chronology for Koreans in Japan http://www.mar.umd.e[...] 2024-01-28
[15] 웹사이트 ja:主体性の原則 https://web.archive.[...] 2010-10-02
[16] 웹사이트 Lexical Leavings 13 http://www.gally.net[...] 2019-01-17
[17] 웹사이트 Lexical Leavings 22 http://www.gally.net[...] 2019-01-17
[18] 웹사이트 ja:たびかさなる試練 https://web.archive.[...] 2010-10-02
[19] 웹사이트 Yonhap News https://web.archive.[...] 2006-10-10
[20] 웹사이트 在留外国人統計テーブルデータ(令和4年末現在) https://www.e-stat.g[...] 2023-07-17
[21] 뉴스 ko: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재일동포들 https://web.archive.[...] 2019-03-17
[22] 웹사이트 ja:朝鮮総連は約7万人 自民会合で公表 公安調査庁 https://news.tv-asah[...]
[23] 뉴스 North Korea is losing a crucial source of income: Koreans in Japan https://www.washingt[...] 2024-01-26
[24] 논문 The Dilemmas of Dependency: China’s Controversial Role in North Korea’s Economic Transformation 2013-03-01
[25] 뉴스 ja:総連が平壌に飲食店3店 (Chosen Soren to open three restaurants in Pyongyang) https://archive.toda[...] 2010-03-17
[26] 웹사이트 People's Korea https://web.archive.[...]
[27] 뉴스 Ferry Ban Turns Tide on Korean Smuggling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Times 2006-10-16
[28] 웹사이트 U.S. peace delegation calls on Japanese government to end racist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https://www.answerco[...] 2022-12-14
[29] 뉴스 ko:후쿠시마 조선학교 방사능 제거하러 가다 http://jpnews.kr/sub[...] 2012-01-15
[30] 뉴스 ko:北성금 빼놓은 日에 조총련 `불쾌' https://archive.toda[...] 2012-01-15
[31] 뉴스 No re-entry for Chongryon execs who go to Kim's funeral https://web.archive.[...] 2012-12-06
[32] 웹사이트 Top court approves seizure of Chongryon HQ for auction | the Japan Times Online https://web.archive.[...] 2022-01-11
[33] 웹사이트 Sunday Times Sri Lanka https://web.archive.[...] 2015-12-06
[34] 웹사이트 Real estate firm Marunaka makes payment for Chongryon's Tokyo headquarters https://www.japantim[...] 2015-12-06
[35] 뉴스 ja: 在日問題を扱ったナイキのCM動画が話題 https://www.donga.co[...] The Dong-a Ilbo 2022-01-10
[36] 뉴스 '재일 한국인' 차별 담은 나이키 광고 화제..日 누리꾼 반응은? https://news.v.daum.[...] The Dong-a Ilbo 2020-12-01
[37] 웹사이트 조선총련이 4년 만에 대회 김정은씨가 1만 자로 권리 문제를 제기 https://www.koreawor[...] 2022-05-30
[38] 뉴스 Standoff Amplifies Angst Over Pro-Pyongyang Schools in Japan - WSJ.com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0-11-29
[39] 웹사이트 EDITORIAL: Subsidies for Korean schools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40] 웹사이트 Chongryun never gets out from under a cloud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007-07-10
[41] 웹사이트 学校法人金剛学園 韓国語と英語が学べるインタナショナル系私立学校 ABOUT「OKIS」 https://www.kongogak[...]
[42] 웹사이트 Debts, Mergers, Collapses and Foreclosures http://www.dailynk.c[...] 2009-11-23
[43] 웹사이트 DPJ needs schooling on equality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010-03-07
[44] 웹사이트 Fukuoka Prefecture Faces Lawsuit After Tax Funds Used For North Korean School http://www.japanprob[...] Japan Probe
[45] 웹사이트 Ed-Info Japan New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3 http://www.childrese[...] Childresearch.net
[46] 뉴스 북, 일조총련계 학교에 460억엔 지원 (North Korea Sponsored 46 Billion Yen To Chosen Soren Schools) http://www.yonhapnew[...] 2010-02-11
[47] 웹사이트 Kids at pro-North high schools fret tuition waiver snub | the Japan Times http://www.japantime[...] 2010-03-10
[48] 뉴스 【疑惑の濁流】朝鮮学校無償化先送りで総連に分裂危機...偽装韓国籍、ソフト化もやまぬ生徒離れ http://sankei.jp.msn[...] 2010-05-01
[49] 논문 Nationalisms of and Against Zainichi Koreans in Japan http://dornsife.usc.[...]
[50] 서적 Diversity in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51] 웹사이트 Ford, Derek R., PHD – Faculty Bio https://www.depauw.e[...]
[52] 웹사이트 Curry Malott – West Chester University https://www.wcupa.ed[...]
[53] 웹사이트 Kiyul Chung – the 21st Century https://www.21cir.co[...] 2018-04-09
[54] 웹사이트 Ford, Derek R., Ph.D. - Faculty Bio https://www.depauw.e[...]
[55] 웹사이트 Curry Malott - WCU of PA https://www.wcupa.ed[...]
[56] 웹사이트 "미국"과 "일본 속의 조선"이 처음 만나다/정기열 https://www.chosonsi[...] 2019-02-07
[57] 웹사이트 'Nuclear confrontation with US is ending': Choson Sinbo https://www.koreatim[...] 2019-02-08
[58] 웹사이트 Diplomatic moves in Tokyo, Seoul and Pyongyang precede Trump-Kim summit https://www.worldtri[...] 2019-02-09
[59] 웹사이트 조선학교를 위한 련대투쟁을/금요행동에 230명이 참가, 남조선과 미국의 유지들이 합세 https://chosonsinbo.[...] 2022-11-29
[60]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An Audio Travelogue https://constituentn[...] 2024-07-15
[61] 웹사이트 Howley, Kevin, Ph.D. - Faculty Bio https://www.depauw.e[...]
[62] 웹사이트 Japan's North Koreans protest children's exclusion from free education https://www.scmp.com[...] 2019-11-02
[63] 웹사이트 Pyongyang's 'nuclear spies' – DW – 04/03/2017 https://www.dw.com/e[...]
[64]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Japan Considered Podcast for April 7, 2006 http://www.japancons[...]
[65]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Japan Considered Podcast Volume 02, Number 14 - Relations with North Korea http://www.japancons[...] 2006-04-07
[66] 웹사이트 Nuke test sparks backlash against North Korean community in Japan http://www.nkeconwat[...]
[67] 뉴스 조선학교에 대한 시위 "지방법원 결정 위반은 100만엔" http://www.yomiuri.c[...] 2010-05-22
[68] 웹사이트 FM 대변인, 일본에 총련 탄압 중단 촉구 http://www1.korea-np[...] .korea-np.co.jp
[69] 웹사이트 리드 http://www.bekkoame.[...] Bekkoame.ne.jp
[70] 논문 A Government-Sponsored Drug Trafficking Network https://apps.dtic.mi[...]
[71] 웹사이트 North Korean Supporters in Japan: Issues for U.S. Policy http://www.ncnk.org/[...] 2009-07-09
[72] 뉴스 Tokyo police raid N Korea HQ http://news.bbc.co.u[...] 2010-06-15
[73] 뉴스 Kang allegedly admits 2.6 bil. yen loans for Chongryon http://www.findartic[...] Findarticles.com
[74] 웹사이트 JPRI Working Paper No. 101 http://www.jpri.org/[...]
[75] 뉴스 N Korea ferry struggling against the tide http://news.bbc.co.u[...] 2003-06-09
[76] 뉴스 N Korea's Japan ferry 'spying' http://news.bbc.co.u[...] 2003-01-29
[77] 뉴스 N Korea group's Tokyo offices 'seized' http://news.bbc.co.u[...] 2003-09-09
[78] 웹사이트 Yet Another Lost Decade? Whither Japan's North Korea Policy under Abe Shinzō https://apjjf.org/20[...] 2013-04-14
[79] 웹사이트 Hyougo Sousa http://elufa.net/mai[...]
[80] 뉴스 North Koreans rally in Japan over alleged human rights abuses https://www.theglobe[...] 2007-03-03
[81] 웹사이트 N Koreans protest 'abuse' in Japan https://www.aljazeer[...]
[82] 웹사이트 Chongryun HQ sold to ex-intelligence head http://search.japant[...] Search.japantimes.co.jp 2007-06-13
[83] 뉴스 http://jpnews.kr/sub[...] 2011-09-13
[84] 웹사이트 Police search home of Chongryon leader over suspected North Korea mushroom shipment https://www.japantim[...] 2015-03-26
[85] 뉴스 Shots fired at North Korea-linked group HQ in Japan https://www.reuters.[...] 2018-02-23
[86] 웹사이트 Chongryon calls shooting an act of 'inhumane terrorism':The Asahi Shimbun http://www.asahi.com[...]
[87] 웹사이트 https://www.koreawor[...] 2022-06-04
[88] 웹사이트 Tokyo riot policeman shoots self to death on street after duty - the Mainichi https://mainichi.jp/[...]
[89] 웹사이트 정부, 조총련계 학교 '무단접촉' 영화인 조사‥권해효 씨 단체도 https://imnews.imbc.[...] 2023-12-12
[90] 웹사이트 The Strange Rise and Fall of North Korea's Business Empire in Japan https://www.theatlan[...] 2012-07-26
[91] 웹사이트 통일부, 조선학교 접촉한 시민단체 영화감독 무더기 제동... 교류행사도 위법? https://m.hankookilb[...] 2023-12-12
[92] 웹사이트 정부, 조총련계 학교 '무단접촉' 영화인 조사‥권해효 씨 단체도 https://imnews.imbc.[...] 2023-12-12
[93]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voice fears of witch hunt as Seoul investigates contact with Chongryon https://english.hani[...] 2023-12-15
[94] 웹사이트 在日本朝鮮人総連合会 https://kotobank.jp/[...] 2018-09-22
[95] 웹사이트 在日本朝鮮人総連合会 https://kotobank.jp/[...] 2018-09-22
[96] 웹사이트 在日本朝鮮人総連合会 https://kotobank.jp/[...]
[97] 웹사이트 朝鮮総聯について~朝鮮総聯の性格と活動原則(主体性の原則) http://www.chongryon[...]
[98] 서적 第二章 移民国家日本の歴史
[99] 웹사이트 同音の漢字による書きかえ, 大韓民国, 조총련
[10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01] 뉴스 在日同胞6人も選出 https://megalodon.jp[...] 朝鮮新報 2009-03-11
[102] 간행물 内閣衆質一六六第四七五号平成十九年七月十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103] 뉴스 総連、北朝鮮での発言力低下? 指導機関が別組織傘下に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3-10-17
[104] 서적 日朝冷戦構造の誕生1945-1965 平凡社
[105] 웹사이트 在日本朝鮮人総聯合会 : 朝鮮総聯について http://www.chongryon[...]
[106] 웹사이트 朝鮮籍と韓国籍の違い 日本では北朝鮮の国籍は存在しない? https://www.koreawor[...] 2022-06-02
[107] 뉴스 総連系5人、北の代議員に 金正恩ら半数以上が改選 http://news.onekorea[...] 統一新報 2014-03-19
[108] 웹사이트 パスポートでノービザ訪問が可能な国…韓国189カ国、北朝鮮42カ国 https://japanese.joi[...] 2019-03-17
[109] 간행물 SAPIO(サピオ) 2016-08-04
[110] 뉴스 毎日新聞 2007-06-14
[111] 웹사이트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7年8月2日 http://dailynk.jp/ar[...]
[112] 웹사이트 総聯の発展における業績/総聯結成66周年に際し朝鮮中央通信が言及 https://www.chosonsi[...] 2021-06-24
[113] 웹사이트 朝鮮総連結成66周年で北メディア称賛 朝鮮学校の民族教育を評価 https://www.koreawor[...] 2021-12-29
[114] 웹사이트 海外同胞権益擁護法が採択された意義 https://chosonsinbo.[...] 2022-05-29
[115] 웹사이트 北朝鮮の新法「海外同胞法」でわかっていること 条文は未公表 https://www.koreawor[...] 2022-04-01
[116] 웹사이트 朝鮮総連も驚く? 金正恩氏が異例の1万字の書簡で課題提示その内容 https://www.koreawor[...] 2022-06-05
[117] 웹사이트 金正恩総書記、総聯第25回全体大会の参加者に書簡 https://chosonsinbo.[...] 2022-06-05
[118] 웹사이트 北朝鮮の金づるも今は昔、苦境に陥る朝鮮総連に金正恩氏が感じている不安 朝鮮総連の第25回全体大会に送った長文書簡のその中身 JBpress (ジェイビープレス) https://jbpress.isme[...] 2022-06-05
[119] 웹사이트 朝鮮総連が4年ぶりの大会 金正恩氏が1万字で権利問題を提起 https://www.koreawor[...] 2022-06-02
[120] 뉴스 拉致、北朝鮮が指示か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10
[121] 뉴스 拉致事件で警視庁が初捜索・朝鮮総連系団体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25
[122] 간행물 金曜アンテナ http://www.kinyobi.c[...] 週刊金曜日 2007-06-08
[123] 뉴스 朝鮮総連、2児拉致での聴取要請を拒否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26
[124] 뉴스 朝鮮総聯中央本部広報室の強制捜索に関するコメント https://web.archive.[...] 朝鮮新報 2007-04-26
[125] 뉴스 朝日新聞, 産経新聞 2008-06-13
[126] 뉴스 映画「東海の歌」 朝鮮国内で大反響 https://web.archive.[...] 朝鮮新報 2010-02-05
[127] 뉴스 同胞愛の結晶、好評上映中の映画「東海の歌」 監督、出演者、独占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朝鮮新報 2010-02-12
[128] 뉴스 北の女スパイ日本で暗躍、指令「総連傘下団体幹部に会え」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09-03
[129] 웹사이트 http://news.tv-asahi[...]
[130] 뉴스 角田参院副議長:陣営が寄付2517万円を「裏金処理」 http://www.mainichi-[...] 毎日新聞 2007-01-27
[131] 뉴스 総連、朝鮮学校無償化へ攻勢 「日本人になりすませ」 文科省への電話指示、ノルマも https://sankei.jp.ms[...] 産経ニュース 2010-06-13
[132] 뉴스 在日問題を扱ったナイキのCM動画が話題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2-01-10
[133] 뉴스 '재일 한국인' 차별 담은 나이키 광고 화제..日 누리꾼 반응은? https://news.v.daum.[...] 東亜日報 2022-01-10
[134] 뉴스 朝鮮総連立ち退き回避か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5-01-23
[135] 웹사이트 総聯の各級機関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08-09-27
[136] 웹사이트 総聯地方歌舞団 http://www.chongryon[...] 在日本朝鮮人総聯合会
[137] 뉴스 課税訴訟で総連側の敗訴確定 最高裁 http://sankei.jp.msn[...] 産経ニュース 2009-08-12
[138] 뉴스 角田参院副議長:陣営が寄付2517万円を「裏金処理」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07-01-27
[139] 뉴스 総連、朝鮮学校無償化へ攻勢 「日本人になりすませ」 文科省への電話指示、ノルマも http://sankei.jp.msn[...] 産経ニュース 2010-06-13
[140] 뉴스 毎日新聞 2007-06-14
[141] 뉴스 拉致、北朝鮮が指示か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10
[142] 간행물 平成十九年七月三日衆議院議 員河村たかし提出の「公安調査庁に関する質問主意書」に対する日本国政府の答弁書 http://www.shugiin.g[...] 衆議院 2007-07-10
[143] 뉴스 拉致事件で警視庁が初捜索·朝鮮総連系団体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25
[144] 간행물 金曜アンテナ http://www.kinyobi.c[...] 週刊金曜日 2007-06-08
[145] 뉴스 朝鮮総連、2児拉致での聴取要請を拒否 http://www.nikkei.co[...] Nikkei Net 2007-04-26
[146] 뉴스 朝鮮総聯中央本部広報室の強制捜索に関するコメント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07-04-26
[147] 웹사이트 http://www.chugai-tr[...]
[148] 뉴스 조총련 상대 손배소 탈북여성 ‘구겨진 인생’ 풀스토리 https://www.dailynk.[...] 데일리NK 2008-06-19
[149] 뉴스 朝日新聞, 産経新聞 2008-06-13
[150] 뉴스 朝鮮国内で大反響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10-02-05
[151] 뉴스 同胞愛の結晶、好評上映中の映画「東海の歌」 監督、出演者、独占インタビュー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10-02-12
[152] 뉴스 北の女スパイ日本で暗躍、指令「総連傘下団体幹部に会え」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08-30
[153] 뉴스 조총련, "민간인 희생자 없었다" 내부 선전 http://www.ytn.co.kr[...] YTN 2010-11-28
[154] 뉴스 日, 조총련계 고교 수업료 지원 미루기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11-24
[155] 뉴스 ‘조총련 본부’ 를 둘러싼 日・北의 수상한 거래 의혹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4-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