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86년 7월 6일 실시되어 국회 상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했다. 중의원 선거와 동시에 치러졌으며, 2022년 제26회 참의원 선거까지 중참 양원 동시 선거는 이 선거가 마지막 사례이다. 선거권자는 86,426,845명이었으며, 126석의 개선 의석을 선거구와 비례대표로 나누어 선출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신자유클럽과의 연립이 해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일본의 선거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86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에 대한 중간 평가로, 자유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전후 최다 의석을 기록하여 나카소네 총재의 임기를 연장시키고 야당들은 의석을 감소시켜 정치적 재편을 맞이한 선거이다.
  • 1986년 7월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86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에 대한 중간 평가로, 자유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전후 최다 의석을 기록하여 나카소네 총재의 임기를 연장시키고 야당들은 의석을 감소시켜 정치적 재편을 맞이한 선거이다.
  • 1986년 7월 - 198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86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3차전에 걸쳐 맞붙은 올스타전 시리즈로, 각 경기 MVP는 야마모토 가즈노리, 기요하라 가즈히로,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수상했다.
  •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3년 4월 24일 치러졌으며, 자유당이 46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고, 투표율은 63.18%를 기록했다.
  •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자유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획득했으나 야당도 상당수 의석을 확보했다.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선거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의회 선거
이전 선거1983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전 선거 연도1983년
다음 선거1989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다음 선거 연도1989년
선출 의석252석 중 127석
과반 의석127석
선거일1986년 7월 6일
선거 결과
투표율71.4%
정당별 결과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대표나카소네 야스히로
정당자유민주당
이전 선거 의석137석, 35.3%
선거 후 의석140석
의석 변동3
득표수22,132,573
득표율38.6%
득표율 변동3.3pp
이시바시 마사시
이시바시 마사시
당대표이시바시 마사시
정당일본사회당
이전 선거 의석44석, 16.3%
선거 후 의석41석
의석 변동3
득표수9,869,088
득표율17.2%
득표율 변동0.9pp
다케이리 요시카쓰
다케이리 요시카쓰
당대표다케이리 요시카쓰
정당공명당
이전 선거 의석26석, 15.7%
선거 후 의석24석
의석 변동2
득표수7,438,501
득표율13.0%
득표율 변동2.7pp
미야모토 겐지
미야모토 겐지
당대표미야모토 겐지
정당일본공산당
이전 선거 의석14석, 8.9%
선거 후 의석16석
의석 변동2
득표수5,430,838
득표율9.5%
득표율 변동0.6pp
당대표쓰카모토 사부로
정당민주사회당
이전 선거 의석11석, 8.4%
선거 후 의석12석
의석 변동1
득표수3,940,325
득표율6.9%
득표율 변동1.5pp
당대표다가와 세이이치
정당신자유클럽
이전 선거 의석2석, 2.7%
선거 후 의석2석
득표수1,367,291
득표율2.4%
득표율 변동0.3pp
참의원 의장
선거 전 의장기무라 마쓰오
선거 전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선거 후 의장후지타 마사아키
선거 후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2. 선거 배경

중의원 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참의원 선거로, 1980년 이후 6년 만에 중의원과 참의원이 동시에 선거를 치렀다.[1] 2022년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까지 중참 양원 동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아, 이 선거가 가장 최근의 사례이다.[1]

3. 선거 정보

'''참의원 선거'''는 1986년 7월 6일 일본에서 국회 상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선거는 중의원 선거와 동시에 치러졌으며, 1980년 이후 두 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사례이다.

개선 의석 수는 126석(선거구 76석, 비례대표제 50석)이었다.

선거 제도는 소선거구제중선거구제, 비례대표는 구속 명부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구성되었다. 소선거구제에서는 2인 선거구(개선 1명) 26곳, 중선거구제에서는 4인 선거구(개선 2명) 15곳, 6인 선거구(개선 3명) 4곳, 8인 선거구(개선 4명) 2곳에서 의원을 선출하였다. 비밀 투표로 진행되었으며, 20세 이상 남녀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1]

총 후보자는 506명(지역구 263명, 비례대표 243명)이었다.

3. 1. 투표일

1986년 7월 6일

3. 2. 선거권자

선거권자는 86,426,845명이었다.

3. 3. 개선 의석 수

参議院議員通常選挙|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일본어는 1986년 7월 6일 일본에서 국회 상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선거는 중의원 선거와 동시에 치러졌으며, 1980년 이후 두 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사례이다.

개선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3. 4. 선거 제도

선거구는 소선거구제중선거구제, 비례대표는 구속 명부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구성되었다. 소선거구제에서는 2인 선거구(개선 1명, 단기 투표) 26개 선거구에서 26석을 선출하였고, 중선거구제에서는 4인 선거구(개선 2명, 단기 투표) 15개 선거구, 6인 선거구(개선 3명, 단기 투표) 4개 선거구, 8인 선거구(개선 4명, 단기 투표) 2개 선거구에서 50석을 선출하였다. 비례대표는 개선 수 50석이었다. 비밀 투표로 진행되었으며, 20세 이상 남녀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 유권자는 총 86,426,845명으로, 남성은 41,842,106명, 여성은 44,584,739명이었다.[1]

3. 5. 기타

총 후보자는 506명으로, 지역구 후보 263명, 비례대표 후보 243명이었다.

4. 선거 결과

1986년 7월 6일에 실시된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개선 의석 72석을 포함하여 총 140석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1][2] 이는 1983년 제13회 참의원 선거보다 3석 증가한 결과이다. 반면, 일본 사회당은 총 41석을 얻는 데 그쳐, 이전 선거보다 3석 감소했다. 공명당은 24석, 일본 공산당은 16석, 민사당은 12석을 획득하였다.

정당별 득표율과 의석수 변화 등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4. 1. 투표율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투표율
구분전체 투표율남성 투표율여성 투표율
전국구71.32%70.14%72.44%
지역구71.36%70.17%72.47%



총 유권자 수는 86,426,845명이었으며, 전국구 무효표는 4,280,530표, 지역구 무효표는 3,735,135표였다.[1][2]

4. 2. 정당별 의석

정당명개선 의석비개선 의석합계
자유민주당7271143
일본사회당202141
공명당101424
일본공산당9716
민사당5712
샐러리맨 신당123
신자유클럽112
제2원클럽112
세금당112
사회민주연합011
무소속606
합계126126252


4. 3. 정당별 득표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정당별 득표 결과[1][2]
정당명지역구비례대표의석 합계
득표수득표율(%)의석수득표수득표율(%)의석수
자유민주당26,111,258align="right" |5022,132,57338.62272
일본 사회당12,464,579align="right" |119,869,088align="right" |920
공명당2,549,037align="right" |37,438,501align="right" |710
일본 공산당6,617,487align="right" |45,430,838align="right" |59
민사당2,643,370align="right" |23,940,325align="right" |35
세금당327,444align="right" |01,803,051align="right" |11
샐러리맨 신당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759,484align="right" |11
제2원클럽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455,532align="right" |11
신자유 클럽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1,367,291align="right" |11
기타 정당1,192,801align="right" |02,166,059align="right" |00
무소속6,032,259align="right" |6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6
합계57,938,2367657,326,74250126


4. 4. 주요 정당

정당의석 수주요 직책 및 인물
자유민주당142석
일본사회당41석
공명당24석
일본공산당16석
민사당12석
신자유클럽2석
사회민주연합1석


4. 5. 선거구별 결과



홋카이도아오모리현이와테현미야기현아키타현야마가타현rowspan=2|
다이마 코우스케 (일본사회당)이와모토 마사미츠 (자유민주당)타카기 마사아키 (자유민주당)오가사와라 사다코 (일본공산당)야마자키 타츠오 (무소속)타카하시 키요타카 (자유민주당)엔도 요 (자유민주당)사사키 밋 (자유민주당)스즈키 사다토시 (자유민주당)
후쿠시마현이바라키현토치기현군마현사이타마현
스즈키 쇼고 (자유민주당)야오이타 마사시 (일본사회당)이와가미 지로 (자유민주당)야타베 오사무 (일본사회당)모리야마 마유미 (자유민주당)오시마 토모하루 (자유민주당)나카소네 히로후미 (자유민주당)후쿠다 코이치 (자유민주당)세야 히데유키 (일본사회당)나오 리요타카 (자유민주당)
지바현가나가와현야마나시현도쿄도rowspan=2|
이노우에 유타카 (자유민주당)아카기 미사오 (일본사회당)사이토 후미오 (자유민주당)치바 케이코 (일본사회당)나카무라 타로 (자유민주당)미키 타다오 (공명당)오노 키요코 (자유민주당)타나베 테츠오 (자유민주당)우에다 코이치로 (일본공산당)
니가타현토야마현이시카와현후쿠이현나가노현기후현시즈오카현
하세가와 신 (자유민주당)시토마 유타카 (일본사회당)나가타 요시오 (자유민주당)쿠츠카케 테츠오 (자유민주당)쿠마가이 타이스부로 (자유민주당)코야마 이치페이 (일본사회당)무카이야마 카즈토 (자유민주당)후지이 타카오 (자유민주당)아오키 신지 (일본사회당)키미야 카즈히코 (자유민주당)
아이치현미에현시가현교토부오사카부
오오키 히로시 (자유민주당)타카기 켄타로 (무소속)미하루 시게노부 (일본사회민주당)사이토 주로 (자유민주당)야마다 코우사부로 (무소속)하야시다 유키오 (자유민주당)카미야 신노스케 (일본공산당)니시카와 키요시 (무소속)미네야마 아키노리 (공명당)쿠츠누케 타케코 (일본공산당)
효고현나라현와카야마현돗토리현시마네현오카야마현rowspan=2|
나카니시 이치로 (자유민주당)모토오카 쇼지 (일본사회당)카타가미 쿠니토 (공명당)하토리 야스지 (자유민주당)마에다 이소오 (자유민주당)사카노 시게노부 (자유민주당)아오키 미키오 (자유민주당)카토 타케노리 (자유민주당)이이이 준지 (무소속)
히로시마현야마구치현도쿠시마현가가와현에히메현고치현후쿠오카현
미야자와 히로시 (자유민주당)코니시 히로유키 (일본사회민주당)에지마 준 (자유민주당)마츠우라 코우지 (자유민주당)히라이 타쿠시 (자유민주당)나카가와 유키오 (자유민주당)타니가와 칸조 (자유민주당)후쿠다 유키히로 (자유민주당)와타나베 시로 (일본사회당)혼무라 카즈키 (자유민주당)
사가현나가사키현쿠마모토현오이타현미야자키현가고시마현오키나와현rowspan=2|
오오츠카 세이지로 (자유민주당)하츠무라 타키이치로 (자유민주당)타시로 유키오 (자유민주당)마모리즈미 아리노부 (자유민주당)고토 마사오 (자유민주당)우에스기 미츠히로 (무소속)이노우에 요시오 (자유민주당)카와하라 신지로 (자유민주당)오오시로 마스준 (자유민주당)


5. 선거 이후

자민당은 선거에서 승리한 후 신자유클럽과의 연립을 해소했다. 1989년 1월 7일 쇼와 천황이 붕어하고 아키히토 친왕이 황위를 계승함에 따라 이 선거는 쇼와 시대 마지막 참의원 선거가 되었다.

5. 1. 보궐선거

여러 의원의 사망 및 사퇴로 인해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구결원사유보궐선거 당선자
야마구치현 선거구에지마 준1987년 5월 25일 사망니키 히데오 (1987년 7월 12일 당선)
후쿠오카현 선거구후쿠다 유키히로1988년 12월 23일 사망후치가미 사다오 (1989년 2월 12일 당선)
니가타현 선거구시토마 유타카니가타현 지사 선거 출마에 따른 사퇴오부치 키누코 (1989년 6월 25일 당선)
이바라키현 선거구이와가미 지로1989년 8월 16일 사망노무라 고오 (1989년 10월 1일 당선)
아이치현 선거구타카기 켄타로1990년 9월 24일 사망오시마 요시히사 (1990년 11월 4일 당선)
니가타현 선거구하세가와 신1990년 10월 28일 사망마시마 카즈오 (1990년 12월 9일 당선)
아오모리현 선거구야마자키 타츠오아오모리현 지사 선거 출마에 따른 사퇴마츠오 칸페이 (1991년 2월 24일 당선)
사이타마현 선거구나오 요시타카1991년 5월 6일 사망세키네 노리유키 (1991년 6월 16일 당선)
후쿠오카현 선거구혼무라 카즈키1991년 8월 17일 사망시게토미 키치노스케 (1991년 9월 29일 당선)
아오시마 유키오사임 (1989년 6월 16일)[3]이즈미 타쿠 (제2원 클럽)
시오데 케이텐중의원 선거 출마 (1990년 2월 23일)[3]하리우 오키치 (공명당)
미야타 테루사망 (1990년 8월 20일)[3]야마구치 코이치 (자유민주당)
이즈미 타쿠사망 (1992년 5월 25일)[3]야마다 토시아키 (제2원 클럽)


참조

[1] 웹사이트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11-03-23
[2]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06-01-04
[3] 서적 国政選挙総覧 1947-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