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94군사경찰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4군사경찰대대는 미합중국 육군 소속 군사경찰대대로, 1945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독일 주둔, 주한 미군 재편성 등을 거치며 여러 차례 재창설 및 해체 과정을 겪었다. 현재는 대한민국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제501지원여단 및 제19원정지원사령부의 관리 통제를 받는다. 예하 부대로는 여러 군사경찰중대와 분견대를 두고 있으며, 주한 미군 교정처의 행정 통제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해체된 단체 - 동성애 해방 전선
    동성애 해방 전선은 1971년 아르헨티나에서 엑토르 아나비타르테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아나키즘적 조직 구조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이념을 바탕으로 성소수자, 여성, 노동자 권리를 옹호하며 기관지 『오모섹수알레스』와 잡지 《소모스》를 발행했으나, 1976년 군부 쿠데타 이후 탄압으로 해체된 동성애자 해방 운동 단체이다.
  • 1976년 해체된 단체 - 제3원정수송여단
    제3원정수송여단은 대한민국 군 수송 부대로서, 2차 세계 대전부터 한국 전쟁, 그리고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수송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제3군수사령부 예하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1953년 해체된 단체 - 제44공병건설단
    제44공병건설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 건설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기반 시설 건설을 지원했다.
  • 1953년 해체된 단체 - 유엔 한국 민사지원단
    유엔 한국 민사지원단은 한국 전쟁 중 설립되어 휴전 협정 이후 해체된 국제 기구로, 회원국들의 지원을 받아 한국 전역에서 민간 원조 활동을 펼쳤으며, 이후 기능은 미국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민사원조처로 이관되어 원조 체제가 미국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제94군사경찰대대
제94헌병대대
DUI
부대 표장
활동 기간1945년 6월 8일 ~ 현재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병과군사경찰대
종류주한 미군 육군 군사경찰대
역할법집행, 보안 및 기동 지원, 군 범죄자 격리
규모대대
명령 체계제19원정지원사령부
본부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캠프 험프리스
별명94th MP BN
표어When In Need
마스코트북극곰
참전한국 전쟁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인 1945년 6월 8일 창설되었다.[1] 초기에는 프랑스에서 활동하다 해체되었으며, 6.25 전쟁에 참전한 후 다시 해체되었다. 이후 독일에서 재편성되어 활동하다가 1976년 해체되었다.

1996년 4월 16일 대한민국 용산기지에서 제8군사경찰여단 예하 부대로 재창설되었다.[1] 2006년 주한 미군 재편에 따라 제728군사경찰대대가 하와이로 이전하면서 주한 미군 육군의 유일한 군사경찰대대가 되었고, 제501지원여단의 관리통제를 받게 되었다. 2013년에는 본부를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였고, 2015년에는 상급 부대가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변경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945년 6월 8일에 창설되었다.[1]

초기에는 프랑스에서 1945년 6월 13일에 전시 편성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6년 2월 25일에 해체되었다. 이후 1950년 10월 24일 미합중국 육군에 편성되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10월 30일에 다시 전시 편성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전쟁 말기인 1953년 3월 20일에 다시 해체되었다.

전쟁 이후 1959년 6월 24일 독일에서 재편성되어 주독 미군 산하 군사경찰대대로 활동하였다. 당시 A, B, C 중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1976년 6월 21일에 다시 해체되었다.

2. 2. 한국 전쟁 참전

6.25 전쟁 발발 이후인 1950년 10월 30일에 전시 편성되어 참전하였으며, 전쟁 말기인 1953년 3월 20일에 전시 해체되었다.

2. 3. 독일 주둔 및 해체

6.25 전쟁 말기인 1953년 3월 20일에 전시 해체되었던 제94군사경찰대대는 이후 1959년 6월 24일 독일에서 다시 편성되었다. 주독 미군 산하 군사경찰대대로 활동하였으며, 당시 A, B, C 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후 1976년 6월 21일에 해체되었다.[1]

2. 4. 대한민국 재창설

1996년 4월 16일 대한민국 용산기지에서 제8군사경찰여단과 함께 재창설되었으며, 제728군사경찰대대와 함께 제8군사경찰여단 소속 대대로 편성되었다.[1]

2004년 10월 16일 금요일에는 용산기지에서 제14군사경찰분견대가 재소집되었다.[2][3]

2006년 주한 미군 재편 계획에 따라 변화를 맞이했다. 6월 27일, 캠프 캐롤의 제57군사경찰중대와 캠프 하야리아의 제552군사경찰중대가 이라크 전쟁 배치를 위해 한반도를 떠났다. 7월에는 제728군사경찰대대 소속 부대 중 캠프 워커의 제188군사경찰중대가 제94군사경찰대대로 전속되었다. 나머지 제728군사경찰대대 부대들은 제8군사경찰여단 본부와 함께 하와이의 스코필드 막사로 이동하여 새로 창설된 제8전구지원사령부 소속이 되었다. 이 재편으로 제94군사경찰대대는 주한 미군 육군 군사경찰 부대 중 유일한 대대가 되었고, 제501지원여단의 관리통제를 받게 되었다.

2013년, 용산 기지 폐쇄 준비에 따라 본부를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14군사경찰분견대는 해산하였다.

2015년 7월 10일, 제501지원여단이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으로 재편되어 사단 직속 부대가 되면서, 제94군사경찰대대는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2. 5. 주한미군 재편과 현재

2004년 10월 16일 금요일, 용산기지에서 제14군사경찰분견대가 재소집되었다.[2][3]

2006년 주한 미군 재편성 계획에 따라 대대 구조에 큰 변화가 있었다. 6월 27일에는 캠프 캐롤의 제57군사경찰중대와 부산광역시 캠프 하야리아의 제552군사경찰중대가 이라크 전쟁 파병을 위해 한반도를 떠났다. 이어 7월에는 제728군사경찰대대 예하 부대 중 대구광역시 캠프 워커에 주둔하던 제188군사경찰중대가 제94군사경찰대대로 소속을 옮겼다. 제728군사경찰대대의 나머지 부대와 상급 부대인 제8군사경찰여단 본부는 하와이의 스코필드 막사로 이동하여 새로 창설된 제8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이 재편 과정을 통해 제94군사경찰대대는 한반도에 주둔하는 유일한 미국 육군 군사경찰대대가 되었으며, 제501지원여단의 지휘 통제를 받게 되었다.

2013년, 용산기지 폐쇄 및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로의 기지 이전 계획에 따라 대대 본부를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였다. 이 시기에 제14군사경찰분견대는 해산되었다.

2015년 7월 10일, 제501지원여단이 제2보병사단 직할 지원여단으로 개편됨에 따라, 제94군사경찰대대는 상급 부대인 제19원정지원사령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3. 부대 구성

wikitext

부대 명칭주둔지
본부 및 본부중대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제55군사경찰중대동두천시 캠프 케이시
제142군사경찰중대서울특별시 캠프 코이너
제188군사경찰중대대구시 캠프 워커
제557군사경찰중대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제903군사경찰분견대 (군경)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주한 미국 육군 교도처 (United States Army Correctional Activity-Koreaeng)평택시 캠프 험프리스[4]


3. 1. 본부 및 예하 부대

3. 2. 주한 미군 교정처

[https://www.facebook.com/USACAK/ 주한 미국 육군 교도처](United States Army Correctional Activity-Korea영어)는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 위치하고 있다.[4]

주한 미군 교정처의 기원은 제249군사경찰분견대(249th Military Police Detachment영어)로, 1943년 8월 23일에 재정되어 같은 해 9월 10일 네덜란드령 기아나의 캠프 오'레일리(Camp O’Reilly영어) 내 잰드라이 필드(Zandry Field영어)에서 창설되었다. 이후 1946년 2월 28일 제249군사경찰경비소대(249th Military Police Guard Platoon영어)로 규모가 축소되었고, 수리남의 간데리 필드(Gandery Field영어)에서 해산하였다.

별도로, 1942년 6월 20일에는 제249군사경찰 경비소 및 영창분견대(249th Military Police Guardhouse and Stockade Detachment영어)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4일 미국 아칸소주의 캠프 채피에서 재소집되었다. 1954년 10월 4일에는 다시 최초의 이름인 제249군사경찰분견대로 명칭이 환원되었으나, 1959년 5월 1일에 해산하였다.

이 부대는 1960년 6월 24일 대한민국에서 주한 미군의 영창 운영 부대로서 다시 소집되었다. 2007년 10월 2일 미국 육군교정사령부가 창설되면서 기존 부대는 해산하였고, 소속 부대원들은 TDA(Table of Distribution and Allowances) 부대인 '주한 미국 육군 교정처'로 인사이동하였다. 현재 주한 미국 육군 교정처는 제94군사경찰대대의 행정통제(Administrative control영어)를 받고 있다.

4. 시설

참조

[1]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94th Military Police Battalion https://history.army[...] 2023-06-04
[2] 웹인용 14th Military Police Detachment https://history.army[...] 2021-02-23
[3] 뉴스 Pacific briefs: New MP unit to activate at Yongsan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21-02-23
[4] 웹인용 about details https://www.facebook[...] United States Army Correctional Activity-Korea facebook 2023-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