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세자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의 왕세자빈은 왕세자의 정실 배우자로서 왕위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품계는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였다.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동일하게 저하로 불렸으며, 곤룡포를 착용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와 세자궁이 구분되어 왕비와 함께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는 여러 왕세자빈이 있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태자비로 불렸다.
왕세자빈은 왕세자의 정실 배우자로서, 왕위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왕세자빈은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였으며,[1]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로 불렸다.[2]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왕세자빈은 곤룡포(사조룡보)를 착용하여 가슴, 등, 양 어깨에 부착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었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3] 왕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을 보아 무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왕태자비
2. 왕세자빈의 지위와 역할
2. 1. 품계와 경칭
왕세자빈은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이다.[1]
정1품 빈(嬪)은 왕의 후궁을 일컫는 것이고, 세자빈의 품계는 무계이다.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로 불렸는데,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복장에 곤룡포(사조룡보)가 가슴, 등, 양 어깨에 붙어 있다.
경국대전 이전 1면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고, 왕비와 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3] 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무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2. 내명부와의 관계
왕세자빈의 품계는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이다.[1] 정일품 빈(嬪)은 왕의 후궁을 일컫는 것이고, 세자빈은 품계가 없다.
왕세자빈의 경칭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인데,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따라서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복장에 곤룡포(사조룡보)가 가슴과 등, 양 어깨에 붙어 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었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3] 왕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3]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을 보아 무계(無階)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역대 왕세자빈
황태자비순명효황후 여흥 민씨 1882년 2월 19일(4월 6일) ~ 1897년 10월 14일 유릉 1897년 10월 14일 ~ 1904년 11월 5일 고종 황태자 척 황태자비 윤씨 황후(대한제국 멸망) 순정효황후 해평 윤씨 1906년 1월 24일 ~ 1907년 7월 23일 유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