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의 왕세자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의 왕세자빈은 왕세자의 정실 배우자로서 왕위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품계는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였다.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동일하게 저하로 불렸으며, 곤룡포를 착용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와 세자궁이 구분되어 왕비와 함께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는 여러 왕세자빈이 있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태자비로 불렸다.

2. 왕세자빈의 지위와 역할

왕세자빈은 왕세자의 정실 배우자로서, 왕위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왕세자빈은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였으며,[1]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로 불렸다.[2]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왕세자빈은 곤룡포(사조룡보)를 착용하여 가슴, 등, 양 어깨에 부착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었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3] 왕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을 보아 무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1. 품계와 경칭

왕세자빈은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이다.[1]

정1품 빈(嬪)은 왕의 후궁을 일컫는 것이고, 세자빈의 품계는 무계이다.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로 불렸는데,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복장에 곤룡포(사조룡보)가 가슴, 등, 양 어깨에 붙어 있다.

경국대전 이전 1면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고, 왕비와 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3] 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무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2. 내명부와의 관계

왕세자빈의 품계는 왕비와 마찬가지로 무계(無階)이다.[1] 정일품 빈(嬪)은 왕의 후궁을 일컫는 것이고, 세자빈은 품계가 없다.

왕세자빈의 경칭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저하(邸下)인데, 이는 배위(配位) 원칙에 따른 것이다.[2] 따라서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마찬가지로 복장에 곤룡포(사조룡보)가 가슴과 등, 양 어깨에 붙어 있다.

경국대전 이전에는 내명부(內命婦)와 세자궁(世子宮)이 구분되어 있었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품계에 포함되지 않았다.[3] 왕세자빈은 세자궁 소속으로,[3] 왕비와 마찬가지로 표기되지 않은 점을 보아 무계(無階)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역대 왕세자빈

왕태자비
황태자비순명효황후여흥 민씨1882년 2월 19일(4월 6일) ~ 1897년 10월 14일유릉1897년 10월 14일 ~ 1904년 11월 5일고종황태자 척황태자비 윤씨황후(대한제국 멸망)순정효황후해평 윤씨1906년 1월 24일 ~ 1907년 7월 23일유릉


3. 1. 조선

(富有 沈氏)1397년 9월 27일(10월 18일) - 1398년 8월 26일(10월 6일)의안대군묘정종왕세자 방원정빈 민씨왕대비원경왕후
(元敬王后)여흥 민씨
(驪興 閔氏)1400년 3월 4일(3월 29일) - 1400년 11월 13일(11월 28일)헌릉
(獻陵)태종폐세자 제숙빈 김씨부부인수성부부인
(隨城府夫人)광산 김씨
(光山 金氏)1407년 7월 15일(8월 17일) - 1418년 6월 3일(7월 6일)양녕대군묘왕세자 도경빈 심씨왕비소헌왕후
(昭憲王后)청송 심씨
(靑松 沈氏)1418년 6월 5일(7월 8일) - 1418년 8월 11일(9월 10일)영릉
(英陵)세종왕세자 향휘빈 김씨폐서인안동 김씨
(安東 金氏)1427년 4월 9일(5월 5일) - 1429년 7월 19일(8월 18일)순빈 봉씨폐서인하음 봉씨
(河陰 奉氏)1429년 10월 15일(11월 11일) - 1436년 10월 26일(12월 4일)빈궁 권씨왕세자빈현덕왕후
(顯德王后)안동 권씨
(安東 權氏)1436년 12월 28일(1437년 2월 3일) - 1441년 7월 24일(8월 10일)현릉
(顯陵)세조의경세자 장수빈 한씨대왕대비소혜왕후
(昭惠王后)청주 한씨
(淸州 韓氏)1455년 7월 26일(9월 7일) - 1457년 12월 14일(12월 30일)경릉
(敬陵)왕세자 황빈궁 한씨왕세자빈장순왕후
(章順王后)청주 한씨
(淸州 韓氏)1460년 4월 11일(5월 1일) - 1461년 12월 5일(1462년 1월 5일)공릉
(恭陵)성종왕세자 융빈궁 신씨군부인거창군부인
(居昌郡夫人)거창 신씨
(居昌 愼氏)1488년 1월 26일(3월 9일) - 1494년 12월 29일(1495년 1월 25일)연산군묘
(燕山君墓)중종왕세자 호빈궁 박씨왕대비인성왕후
(仁聖王后)반남 박씨
(潘南 朴氏)1524년 3월 6일(4월 9일) - 1544년 11월 20일(12월 4일)효릉
(孝陵)명종순회세자 부덕빈 윤씨왕세자빈공회빈
(恭懷嬪)무송 윤씨
(茂松 尹氏)1561년 10월 21일(11월 27일) - 1563년 9월 20일(10월 6일)순창원
(順昌園)선조왕세자 혼빈궁 유씨군부인문성군부인
(文城郡夫人)문화 류씨
(文化 柳氏)1592년 4월 29일(6월 8일) - 1608년 4월 22일(6월 4일)광해군묘
(光海君墓)광해군폐세자 지빈궁 박씨폐서인밀양 박씨
(密陽 朴氏)1611년 10월 25일(11월 29일) - 1623년 3월 14일(4월 13일)인조소현세자 왕빈궁 강씨폐서인민회빈 강씨
(愍懷嬪)진주 강씨
(晉州 姜氏)1627년 12월 4일(1628년 1월 10일) - 1645년 9월 26일(11월 13일)영회원
(永懷園)왕세자 호빈궁 장씨왕대비인선왕후
(仁宣王后)덕수 장씨
(德水 張氏)1645년 9월 27일(11월 14일) - 1649년 5월 13일(6월 22일)영릉
(寧陵)효종왕세자 연빈궁 김씨왕대비명성왕후
(明聖王后)청풍 김씨
(淸風 金氏)1651년 11월 21일(1652년 1월 2일) - 1659년 5월 9일(6월 28일)숭릉
(崇陵)현종왕세자 순빈궁 김씨왕비인경왕후
(仁敬王后)광산 김씨
(光山 金氏)1671년 3월 22일(4월 30일) - 1674년 8월 23일(9월 22일)익릉
(翼陵)숙종왕세자 윤빈궁 심씨왕세자빈단의왕후
(端懿王后)청송 심씨
(靑松 沈氏)1696년 5월 20일(6월 19일) - 1718년 2월 7일(3월 8일)혜릉
(惠陵)빈궁 어씨왕대비선의왕후
(宣懿王后)함종 어씨
(咸從 魚氏)1718년 9월 13일(11월 5일) - 1720년 6월 15일(7월 19일)의릉
(懿陵)경종왕세제 금빈궁 서씨왕비정성왕후
(貞聖王后)달성 서씨
(達城 徐氏)1721년 9월 26일(11월 15일) - 1724년 8월 30일(10월 16일)홍릉
(弘陵)영조효장세자 행현빈 조씨왕세자빈효순소황후
(孝純昭皇后)풍양 조씨
(豐壤 趙氏)1727년 9월 27일(11월 10일) - 1735년 3월 16일(4월 8일)영릉
(永陵)사도세자 선혜빈 홍씨왕세자빈헌경의황후
(獻敬懿皇后)풍산 홍씨
(豊山 洪氏)1744년 1월 12일(2월 24일) - 1762년 5월 21일(7월 12일)융릉
(隆陵)왕세손 산빈궁 김씨왕대비효의선황후
(孝懿宣皇后)청풍 김씨
(淸風 金氏)1762년 2월 3일(2월 26일) - 1776년 3월 10일(4월 27일)건릉
(健陵)순조효명세자 영빈궁 조씨대왕대비신정익황후
(神貞翼皇后)풍양 조씨
(豐壤 趙氏)1819년 10월 11일(11월 28일) - 1830년 9월 15일(10월 31일)수릉
(綏陵)고종왕태자 척왕태자비 민씨왕세자빈
왕태자비순명효황후
(純明孝皇后)여흥 민씨
(驪興 閔氏)1882년 2월 19일(4월 6일) (왕세자빈) - 1894년 12월 17일(1895년 1월 12일)유릉
(裕陵)1894년 12월 17일(1895년 1월 12일) (왕태자비) - 1897년 10월 14일


3. 2. 대한제국

(純明孝皇后)여흥 민씨
(驪興 閔氏)1897년 10월 14일 ~ 1904년 11월 5일유릉
(裕陵)황태자 척(坧)황태자비(皇太子妃) 윤씨황후(皇后) (대한제국 멸망)순정효황후
(純貞孝皇后)해평 윤씨
(海平 尹氏)1906년 1월 24일 ~ 1907년 7월 23일유릉
(裕陵)


4. 예외적인 경우

조선 제10대 연산군의 폐세자 황(皇+頁)은 정세명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았으나 길례를 행하기 전에 중종반정이 일어나 정식 세자빈이 되지 못했다.[1] 그 뒤 정세명의 딸은 강희신에게 시집갔다.[1]

참조

[1] 역사기록 고종 32권, 31년(1894 갑오 / 청 광서(光緖) 20년) 12월 17일(기미) 1번째기사
[2] 웹사이트 김재문 교수의 한국전통민족문화의 광장 사이트 중 경국대전 이전(吏典) 1면 http://wwwk.dongguk.[...] 2016-03-06
[3] 역사기록 영조 40권, 11년(1735 을묘 / 청 옹정(雍正) 13년) 3월 16일(병술) 3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