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의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의왕후는 조선 정조의 왕비이다. 김시묵의 딸로, 현종비 명성왕후의 친정 가문인 청풍 김씨 가문 출신이다. 영조의 뜻에 따라 세손빈으로 간택되어 정조와 혼인하였으며, 정조 즉위 후 왕비가 되었다. 정조와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으나, 순조를 친아들처럼 아꼈다. 정조 사후에는 왕대비가 되었으며, 69세에 사망하여 융건릉에 정조와 합장되었다. 사후에는 선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신의왕후
    신의왕후는 안변 한씨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 사망하여 왕비로 책봉되지는 못했으나 사후 왕후로 추존되어 왕태후로 격상되는 등 칭호에 대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조선의 왕대비 - 정현왕후
    정현왕후는 조선 성종의 계비로서 중종의 어머니이며, 1462년에 태어나 1480년 왕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에는 왕대비, 중종반정 이후에는 자순화혜왕대비로 불리다가 1530년에 사망하여 선정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의 왕대비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1821년 사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1821년 사망 - 존 키츠
    존 키츠는 179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 외과의사 견습생으로 일하다 시 창작에 몰두하여 "그리스의 옛 항아리에 대한 송가" 등의 명작을 남겼으나 25세에 결핵으로 요절했고 사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국 문학의 거장이 되었다.
효의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위조선의 왕후
재위 기간1776년 - 1800년
왕대비 기간1800년 - 1821년
휘호예경자수(睿敬慈粹)
시호효의선황후(孝懿宣皇后)
출생일1754년 1월 5일
출생지한성부 가회방 사저
사망일1821년 4월 10일
사망 장소창경궁 자경전
능묘융건릉 건릉
아버지김시묵
어머니남양 홍씨 당성부부인
배우자정조
씨족청풍 김씨
생애
세손빈 책봉1762년
왕비 책봉1776년
왕대비1800년, 정조 승하 후
사망1821년 창경궁 자경전에서 사망
추존
대한제국 추존효의선황후
가계
아버지청원부원군 김시묵
어머니당성부부인 남양 홍씨
남편정조
자녀없음
존호 및 시호
최초 존호장휘(莊徽)
휘호예경자수(睿敬慈粹)
시호효의선황후(孝懿宣皇后)

2. 생애

1776년 정조가 즉위하면서 효의왕후는 왕비로 책봉되었다. 수빈 박씨가 낳은 순조를 양자로 삼아 친아들처럼 아꼈다. 정조 승하 후 순조가 왕위에 오르자 왕대비에 봉해졌다. 효심이 깊어 정순왕후와 혜경궁 홍씨를 극진히 모셨다.[10]

1788년(정조 12년), 효의왕후의 상상임신으로 산실청이 설치되었다가 철수되기도 하였다.[12][13]

1821년 69세의 일기로 창경궁 자경전(慈慶殿)에서 승하하였고, 건릉에 정조와 함께 합장되었다. 사후 시호는 예경자수효의왕후(睿敬慈粹孝懿王后)였으나 고종 때 장휘(莊徽)의 존호가 추시되었고, 1899년 대한제국 때 선황후(宣皇后)로 추존되었다.[8]

2. 1. 가계와 출생

효의왕후는 청원부원군 김시묵과 당성 부부인 홍씨의 딸로, 1754년 1월 5일에 태어났다. 현종비 명성왕후의 친정 집안인 청풍 김씨였기에, 영조의 뜻에 따라 세손빈으로 간택되었다.[9] 1761년 삼간택을 거쳐 별궁에 들어갔으나 천연두를 앓아 이듬해인 1762년 2월, 10세에 11세의 세손과 가례를 올렸다.

임오화변 때 영조가 헌경왕후와 효의왕후에게 각자 사가로 가라고 명했으나, 효의왕후는 시어머니인 헌경왕후 곁에 있기를 원했다. 영조는 이를 기특하게 여겨 헌경왕후의 사가로 함께 가도록 허락했다가, 얼마 후 다시 들어오라고 명했다. 효의왕후는 어린 나이에도 어려운 시기에 침착하고 올바르게 처신하여 영조의 환심을 샀다.[10]

효의왕후는 혜경궁 홍씨의 남동생 홍낙륜과 혼인한 사촌 여동생을 통해 왕실과 이중 인척 관계를 맺었다. 효의왕후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아버지김시묵
어머니당성 부부인 홍씨
양조부김성집
친조부김성응
고조부김우명


2. 2. 세손빈 간택과 혼인

1761년(영조 37년) 삼간택을 거쳐 별궁으로 들어갔으나 천연두를 앓아 이듬해 1762년(영조 38년) 2월 10세에 11세인 세손 정조와 가례를 올려 세손빈(世孫嬪)이 되었다.[9] 아버지는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김시묵이고, 어머니는 당성 부부인(唐城府夫人) 홍씨이다.

현종비 명성왕후의 친정 집안인 청풍 김씨라는 점이 크게 작용하여 정조의 배필이 되었다. 영조는 명성왕후가 숙종을 낳았듯이, 정조의 배필이 되어 후손을 낳기를 바랐다.[9] 세손빈이 된 후, 사촌 여동생이 혜경궁 홍씨(헌경왕후)의 남동생과 혼인하여 왕실과 이중, 삼중으로 인척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효의왕후가 천연두를 앓아 가례가 일 년이나 미뤄졌다는 설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정조와 효의왕후는 재간택 후 11월에 둘 다 천연두를 앓았으나, 주변의 걱정과 달리 곧 쾌차하였다. 그리하여 12월에 삼간택을 하고 이듬해 2월에 가례를 올렸다.

2. 3. 임오화변과 왕실 생활

임오화변영조가 헌경왕후와 효의왕후에게 각자 사가로 가라고 명하였으나, 효의왕후는 사가로 가지 않고 시어머니(헌경왕후: 혜경궁 홍씨)가 있는 곳에 있기를 원하였다. 그러자 영조는 그 말을 듣고 매우 착하게 여겨 헌경왕후와 같이 사가로 나가라고 허락하였는데, 얼마 안 되어 다시 들어오라고 명하였다.[10] 효의왕후는 어린 나이로 어려운 때를 당하여 차분하게 행동하고 처신을 올바르게 하였으므로, 영조의 환심을 살 수 있었다.[10]

1762년 사도세자가 죽자, 왕세자빈은 젊은 나이였고 사도세자가 죽기 전까지 항상 자신을 친절하게 대해주었기에 “과도한 슬픔에 잠겼다”고 전해진다.[4]

화완옹주는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새 왕세자인 이산(훗날 정조)의 보호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 당시 화완옹주는 아버지 영조의 신임을 받았기에 어린 왕세자는 영조 재위 기간 동안 안전할 것으로 여겨졌다.[5]

그러나 화완옹주는 왕세자를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왕세자와 왕세자빈(후에 효의왕후) 사이의 관계를 멀어지게 만들었다. 화완옹주의 양자인 정후겸은 조선시대 당쟁(노론과 소론 사이)에 깊이 개입했다. 화완옹주 모자는 일부 관료들과 함께 혜경궁 홍씨(정조의 어머니)의 가족들을 실각시켰고,[5] 이는 정조의 왕세자 지위를 위협하는 사건이었다.

2. 4. 왕비 책봉과 정조와의 관계

1761년(영조 37년) 삼간택을 거쳐 별궁으로 들어갔으나 천연두를 앓아 이듬해 1762년(영조 38년) 2월 10세에 11세인 세손과 가례를 올려 세손빈(世孫嬪)이 되었다.[9] 현종의 비 명성왕후의 친정 집안인 청풍 김씨라는 점이 정조의 배필이 된 까닭으로 크게 작용하였다. 영조는 명성왕후가 숙종을 낳았듯이, 정조의 배필이 되어 후손을 낳기를 바랐다.[9] 세손빈이 된 후, 효의왕후의 사촌여동생은 시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남동생과 혼인하여 왕실과 이중삼중으로 인척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임오화변 때 영조가 혜경궁 홍씨와 효의왕후에게 제각기 사가로 가라고 명하였으나, 효의왕후는 사가로 가지 않고 시어머니(혜경궁 홍씨)가 있는 곳에 있기를 원하였다. 영조는 그 말을 듣고 매우 착하게 여겨 함께 혜경궁 홍씨의 사가로 나가라고 허락하였는데, 얼마 안 되어 다시 들어오라고 명하였다. 어린 나이로 어려운 때를 당하여 차분하게 조신과 처사를 올바르게 하였으므로, 영조의 환심을 샀다.[10]

1776년 정조가 즉위하면서 왕비로 책봉되었고, 슬하에 소생은 없고 순조를 친아들처럼 아꼈다. 정조 승하 후 순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비에 봉해졌다. 효심이 깊어 정순왕후와 혜경궁 홍씨를 극진히 모셨다.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따르면, 정조와 효의왕후의 금슬은 세손 시절 화완옹주 등의 방해로 인해 친밀 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조 즉위 이후에는 부부관계가 점차적으로 회복되었다고 한다.

효의왕후는 정조와의 사이에서 자식을 낳지 못했지만, 남편의 후궁인 의빈 성씨수빈 박씨의 아들들을 양자로 들였다. 의빈 성씨의 아들은 어린 나이에 죽었지만, 수빈 박씨의 아들(순조)은 결국 정조의 뒤를 이어 조선 제23대 국왕이 되었다.

2. 5. 상상임신과 문안 문제

1782년(정조 6년), 이택징·이유백은 상소에서 효의왕후에 대한 문후를 지적하였다.[11] 이에 대해 정조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1788년(정조 12년), 정조는 약원에게 이미 아침 문안을 하였으면 저녁 문안은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효의왕후의 상상임신을 알고 '산실청을 철수'[12][13] 하기 며칠 전이었다.

1796년(정조 20년), 약원 제조는 중궁전(효의왕후)의 병증을 걱정하였다.

1801년(순조 1년) 1월과 2월, 이택징·이유백을 두 차례 언급[14][15]한 상소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정순왕후의 하교는 다음과 같다.

정조 사후, 선대왕인 정조에 의해 이택징·이유백의 신원이 복관되었고, 그들이 상소했던 내용은 효의왕후를 위해 충성을 다해 진언한 것이었다고 신하들은 말하고 있다. 다만, 정조·정순왕후·심환지의 말과 일성록에서 볼 수 있듯 효의왕후에 대한 대신의 문후와 약원의 문안이 철폐된 것은 아니다.

정조의 후궁 화빈 윤씨의 임신은 왕실의 첫 임신 소식이었는데, 임신하자마자 미리 설치한 화빈의 산실청은 아이를 낳지 못한 채 30여개월이나 지속되었다. 이후 정조는 화빈 이후 비빈들의 임신과 출산에 공통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해산달이나 해산 당일에야 호산청과 산실청을 설치하고 철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효의왕후의 산실청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1787년(정조 11년), 효의왕후는 임신하였다. 정조는 산실청을 설치하자는 신하들의 청을 두 번이나 거절하고[16][17] 해산달에야 산실청을 설치하였다.[18] 그러나 이후 상상임신임이 드러나 1년 뒤인 1788년(정조 12년) 음력 12월 30일, 산실청이 철수되었다. 효의왕후의 상상임신의 경우 산실청이 철수된 기록이 실록에 남아있는데, 화빈 윤씨의 산실청은 철수 기록이 어디에도 없다.

2. 6. 승하와 추존

1776년 정조가 즉위하면서 왕비로 책봉되었고, 슬하에 소생은 없었으나 순조를 친아들처럼 아꼈다. 정조 승하 후 순조가 왕위에 오르자 왕대비에 봉해졌다. 효심이 깊어 정순왕후와 혜경궁을 극진히 모셨다.[10] 1821년 69세의 일기로 창경궁 자경전(慈慶殿)에서 승하하였고, 건릉(健陵)에 정조와 함께 합장되었다.[7] 사후 시호는 예경자수효의왕후(睿敬慈粹孝懿王后)였으나 고종 때 장휘(莊徽)의 존호가 추시되었고, 1899년 대한제국 때 선황후(宣皇后)로 추존되었다.[8]

3. 정조와의 금슬

정조와 효의왕후의 금슬은 세손 시절 좋지 못했다. 《한중록》에 따르면, 세손의 성품이 담담하여 부부 사이가 친밀하지 못했고, 화완옹주가 이들 사이를 이간질하며 세손이 아들을 낳지 못할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렸기 때문이다.[1] 이러한 상황은 혜경궁 홍씨를 비롯한 가족들에게 큰 걱정을 안겼다.[1]

하지만 정조 즉위 이후 주변의 방해 요소들이 사라지면서 부부 관계는 점차 회복되었다.[2]

3. 1. 세손 시절

孝懿王后중국어정조와 세손 시절 금슬이 좋지 못했다. 《한중록》에 따르면, 화완옹주가 세손 부부 사이를 이간질하고, 세손이 아들을 낳지 못할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렸기 때문이다.[1] 이러한 상황은 혜경궁 홍씨를 비롯한 가족들에게 큰 걱정을 안겼다.[1]

그러나 정조 즉위 이후 주변의 방해 요소들이 사라지면서 부부 관계는 점차 회복되었다.[2]

3. 2. 정조 즉위 이후

정조와 효의왕후의 금슬은 세손 시절 화완옹주 등의 이유로 친밀할 수 없었다.[1] 그러나, 주변의 방해 요소들이 사라지면서 부부 관계가 점차적으로 회복된 것을 알 수 있다.[2]

4. 성품과 평가

지성이 시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조차 능가한다고 여겨져 궁중에서 감탄을 자아냈다고 한다.[6] 또한 효심이 지극하여 시어머니인 정순왕후와 혜경궁 홍씨를 잘 섬겼기에 궁중에서 감탄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시아버지의 여동생인 화완옹주의 괴롭힘에도 아랑곳하지 않았다. 시누이인 청연군주와 청선군주와는 사이가 좋았고, 청선군주의 사후에는 그 자녀들을 돌보기도 했다.[6]

5. 가계

아버지는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김시묵(金時默)이고, 어머니는 당성 부부인(唐城府夫人) 홍씨이다. 친정은 명성왕후의 친정 집안인 청풍 김씨이다.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김시묵1722년 - 1772년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어머니홍씨? - 1791년당성부부인(唐城府夫人)
이복 오빠김기대1738년 - 1777년공조참의 역임
친오빠김기종? - ?
남편정조1752년 - 1800년조선 제22대 국왕
양자순조1790년 - 1834년조선 제23대 국왕



효의왕후는 명성왕후가 숙종을 낳은 것처럼, 정조의 배필이 되어 후손을 낳기를 바라는 영조의 뜻에 따라 왕비로 간택되었다.[9] 혜경궁 홍씨의 남동생 홍낙륜과 사촌 여동생이 혼인하여 왕실과 이중으로 인척 관계를 맺었다.

6. 대중문화 속 효의왕후

대중문화에서 효의왕후를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6. 1. 드라마

6. 2. 영화

6. 3. 웹소설

참조

[1] 서적 The Memoirs of Lady Hyegyo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04-22
[2] 서적 The Memoirs of Lady Hyegyo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04-22
[3] 서적 Memoirs of a Korean Queen KPI Limited 1985
[4] 서적 Memoirs of a Korean Queen KPI Limited
[5] 서적 The Memoirs of Lady Hyegyo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09-14
[6] 웹사이트 효의왕후(孝懿王后) http://people.aks.ac[...] 2011-10-29
[7] 문서 정조대왕 능묘 이전 비문 조선왕조실록
[8] 문서 축하를 받고 대사령을 반포하다 조선왕조실록
[9] 웹인용 순조실록 http://sillok.histor[...]
[10] 웹인용 순조실록 http://db.itkc.or.kr[...]
[11] 웹인용 정조실록 http://sillok.histor[...]
[12] 웹인용 일성록 http://db.itkc.or.kr[...]
[13] 웹인용 정조실록 http://sillok.histor[...]
[14] 웹인용 순조실록 http://sillok.histor[...]
[15] 웹인용 순조실록 http://sillok.histor[...]
[16] 웹인용 정조실록 http://sillok.histor[...]
[17] 웹인용 정조실록 http://sillok.histor[...]
[18] 웹인용 정조실록 http://sillok.histor[...]
[19] 웹인용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100.daum.net/[...]
[20]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21] 웹인용 명의록 존현각일기 http://db.itkc.or.kr[...]
[22] 웹인용 정조실록 및 일성록 http://db.itkc.or.kr[...]
[23] 웹인용 정조실록 및 일성록 http://db.itkc.or.kr[...]
[24] 웹인용 정조실록 및 일성록 http://db.itkc.or.kr[...]
[25] 웹인용 일성록 http://db.itkc.or.kr[...]
[26] 웹인용 일성록 http://db.itkc.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