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아의 선사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의 선사 시대는 약 180만 년 전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을 통해 인류가 오랫동안 거주해 왔음을 보여준다.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가 발전했고, 특히 신석기 시대에는 농업과 목축이 시작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쿠라-아락세스 문화가 번성했고, 철기 시대에는 카르트벨리아어족의 분화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선사 시대 - 이탈리아의 선사 시대
    이탈리아의 선사 시대는 구석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이탈리아 반도에서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를 형성했던 시기로, 초기 인류의 등장과 정착, 신석기 시대의 압인무늬토기 문화와 거석 문화, 동기 시대를 거쳐 청동기 시대의 다양한 지역 문화 발전, 그리고 철기 시대의 새로운 문화 등장으로 로마 이전 시대의 민족 구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이루었다.
  • 유럽의 선사 시대 - 프랑스의 선사 시대
    프랑스의 선사 시대는 157만 년 전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하여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을 거쳐 라스코 동굴 벽화와 같은 예술 작품이 만들어졌고, 농경과 거석 문화 발달 후 켈트족 문화가 꽃피운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를 포함한다.
  • 아시아의 선사 시대 - 호아빈 문화
    호아빈 문화는 베트남 북부에서 발견된 홀로세 시대의 고고학 유적 집합체로, 뗀석기와 자갈 도구를 특징으로 하며,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고 기원전 1만 7천 년 전부터 기원전 8천 년 전까지 존재했으며, 초기 농업 활동의 증거와 현대 동남아시아 일부 원주민 집단과의 유전적 연관성을 가진다.
  • 아시아의 선사 시대 -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는 기원전 1550년경부터 1200년경까지 이집트,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미케네 등 번성했던 고대 문명들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쇠퇴하고 붕괴한 현상을 일컫는다.
  • 석기 시대 - 수렵채집사회
    수렵채집사회는 인류가 수렵과 채집으로 식량을 얻는 사회 형태이며, 이동 생활과 평등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농업의 등장으로 감소했고, 현재는 극소수만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 석기 시대 - 중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는 빙하기 후 기후 변화에 따른 문화적, 기술적 변화 시기로, 수렵, 어로, 채집 경제와 잔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유럽에서는 홍적세 말기부터 농업 시작 전까지를 지칭한다.
조지아의 선사 시대
개요
문화
전설
왕국

2. 석기 시대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모 게오르기쿠스 화석의 스케치


스위스 주립 지질 박물관에 전시된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의 현대 복제품 (2009)


조지아에는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거주해 왔으며, 이는 1999년과 2002년 남부 조지아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두 개의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 (''H. 게오르기쿠스'')로 입증된다. 인골, 수백 점의 석기, 수많은 동물 뼈가 발굴된 고고학적 지층은 약 160만 년에서 18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13] 이 유적지는 아프리카 대륙 밖에서 초기 인류가 존재했다는 최초의 명확한 증거를 제공한다.[1]

이후 전기 구석기 시대의 아슐리안 유적지가 조지아 고지대, 특히 쿠다로 동굴(해발 1600m)과 Tsona(2100m)에서 발견되었다. 아슐리안 야외 유적지와 유물 발견 지점은 조지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해발 2400m에서 발견된 자바헤티 고원이 있다.

조지아 영토에서 최초로 끊임없이 이어져 온 원시 정착지는 20만 년 이상 전의 중기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의 유적지는 시다 카르틀리, 이메레티, 압하지야 및 기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코카서스 산맥에 의해 보호받고, 흑해의 완화 효과로 이점을 얻은 이 지역은 플라이스토세 동안 생물지리학적 피난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남 코카서스를 심각한 기후 변동으로부터 보호했으며 수천 년 동안 이 지역 대부분에서 인류가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14]

후기 구석기 시대 유물은 사투르블리아,[3] 데비스 흐브렐리, 사카지아, 사그바르질레, 드주주아나, 사메르츠클레 클데, 그바르질라스 클데 및 기타 동굴 유적지에서 조사되었다. 드주주아나의 한 동굴에서는 36,000 BP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염색된 아마 섬유가 발견되었다.[15][16] 당시 남 코카서스의 동부 지역은 서부 조지아의 리오니강과 크비릴라강 계곡과는 대조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구석기 시대는 약 10,000~12,000년 전에 끝나고 중석기 시대 문화(코티아스 클데[6])가 그 뒤를 이었다. 이때 코카서스의 지리적 환경과 풍경이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7]

신석기 시대 문화의 징후와 채집과 수렵에서 농업과 목축으로의 전환은 기원전 6천 년기 초부터 조지아에서 발견된다. 소위 초기 신석기 시대 유적지는 주로 서부 조지아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후추바니, 아나세울리, 키스트리키, 코불레티, 테트라미차, 아피안차, 마흐빌라우리, 코티아스 클데, 팔루리 등이다. 기원전 5천 년기에는 쿠라 (므트크바리) 분지도 안정적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며, 동부 조지아의 쿠라강을 따라 위치한 초피, 아루크로,[8] 및 사다클로와 같은 정착지는 오래 지속되는 문화적 전통, 독특한 건축 양식, 상당한 석공 기술로 구별된다. 이 유적지 대부분은 슐라베리-쇼무 문화로 알려진 번성하는 후기 신석기 시대/금석 병용기 고고학 복합체와 관련이 있다. 슐라베리 유적지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에 따르면, 이곳의 가장 초기의 정착지는 기원전 6천 년기 말 − 5천 년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9]

아나톨리아 동부와 남캅카스 고원에서는 가축화 가능한 동물과 파종 가능한 곡물 및 콩과의 조합으로 최초의 농업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지역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10]

기원전 4천 년기 마지막 분기부터 시작된 이 시기에 이 지역 전체는 아마도 민족적으로 관련이 있고 후리족 혈통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2,000년의 민족적 및 문화적 통일성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채석기 시대 또는 금석 병용기로 특징지어진다.

2. 1. 구석기 시대



조지아에는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거주해 왔다. 1999년과 2002년에 남부 조지아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두 개의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H. 게오르기쿠스'')이 이를 증명한다. 인골, 수백 점의 석기, 수많은 동물 뼈가 발굴된 고고학적 지층은 약 160만~180만 년 전의 지층이다.[13] 이 유적은 아프리카 대륙 이외 지역에서 초기 인류의 존재를 증명하는 가장 뚜렷한 증거를 보여준다.[1]

이후 전기 구석기 시대의 아슐리안 유적들은 조지아 고지대, 해발 1,600m의 쿠다로 동굴과 2,100m의 초나에서 발견되고 있다. 아슐리아인의 옥외 유적들과 출토지들은 조지아의 다른 지역에도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아슐리아인의 손도끼는 해발 2,400m의 자바케티 고원에서 발견됐다.

조지아 영토에서 처음으로 연속되는 원시인의 정착은 중기 구석기 시대와 함께, 더 이전인 20만 년 전의 연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기간의 유적들은 시다 카르틀리, 이메레티아, 압하지아와 다른 지역들에서 발견되고 있다.

코카서스산에 의해 완충되고, 흑해의 개선된 효과들로부터 편의를 누리는 그 지역은 플라이스토세를 통해 생물지리학적 역할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리학적인 특징은 남코카서스가 극심한 기후 변화를 모면하게 해주었고, 인류가 수천년동안 그 지역 전체에 걸쳐 번영을 누리도록했다.[14]

후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은 사투르블리아,[3] 데비스 흐브렐리, 사카지아, 사그바르질레, 드주주아나, 사메르츠클레 클데, 그바르질라스 클데와 다른 동굴 유적지에서 발굴되고 있다. 드주드주아나의 동굴은 최초의 염색된 아마 섬유가 발굴되고 있다. 그 섬유의 연대는 BP 3,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5][16] 당시에 남부 코카서스의 동부 지역에는 서부 조지아의 리오니 강과 크빌리라 강의 계곡보다 사람들이 드물게 거주하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구석기 시대는 약 10,000~12,000년 전에 끝났고, 중석기 시대 문화(코티아스 클데[6])가 뒤를 이었다. 지리적으로 중간인 곳과 코카서스의 전경은 오늘날 우리들이 보는 것과 흡사한 형태가 되었다.[7]

2. 2. 중석기 시대

코카서스 산맥에 의해 보호받고, 흑해의 완화 효과로 이점을 얻은 이 지역은 플라이스토세 동안 생물지리학적 피난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남 코카서스를 심각한 기후 변동으로부터 보호했으며 수천 년 동안 이 지역 대부분에서 인류가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14]

후기 구석기 시대 유물은 사투르블리아,[3] 데비스 흐브렐리, 사카지아, 사그바르질레, 드주주아나, 사메르츠클레 클데, 그바르질라스 클데 및 기타 동굴 유적지에서 조사되었다. 드주주아나의 한 동굴에서는 36,000 BP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염색된 아마 섬유가 발견되었다.[15][16] 당시 남 코카서스의 동부 지역은 서부 조지아의 리오니강과 크비릴라강 계곡과는 대조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구석기 시대는 약 10,000~12,000년 전에 끝나고 중석기 시대 문화(코티아스 클데[6])가 그 뒤를 이었다. 이때 코카서스의 지리적 환경과 풍경이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7]

2. 3. 신석기 시대

인류는 오랜 기간 동안 조지아에서 거주하고 있었다. 1999년과 2002년에, 남부 조지아의 드마니시에서, 두개의 호모 에렉투스의 두개골 (H. 게오르기쿠스) 발견으로 증명되었다.[13] 유적은 아프리카 대륙 이외 지역의 초기 인류의 존재를 증명하는 가장 뚜렷한 증거를 보여준다. 코카서스산에 의해 완충되고, 흑해의 개선된 효과들로부터 편의를 누리는 그 지역은 플라이스토세를 통해 생물지리학적 역할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리학적인 특징은 남코카서스가 극심한 기후 변화를 모면하게 해주었고, 인류가 수천년동안 그 지역 전체에 걸쳐 번영을 누리도록했다.[14]

후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은 데비스 스브렐리, 사카지아, 사그바르지레, 드주드주아나, 그바르질라스 크르데와 다른 동굴 유적지에서 발굴되고 있다. 드주드주아나의 동굴은 최초의 염색된 섬유가 발굴되고 있다. 그 섬유의 연대는 BP 3,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5][16] 구석기 시대는 약 10,000~12,000년 전에 끝났고, 중석기 시대 문화가 뒤를 이었다.

신석기 시대에는 수렵과 사냥에서 농경과 목축으로의 변화가 최소한 기원전 5000년 조지아에 있었음이 발견되었다. 초기의 신석기 시대 유적들은 주로 서부 조지아에서 발견된다. 그 곳은 쿠트수바니, 아나세우리, 키스키리키, 코부레티, 테트라미트사, 아피아느차, 마크빌리아우리, 코티아스 크리데, 바루리 등이 있다. 기원전 제5천년기에는 쿠라(므트크바리) 유역에도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거주하게 되었고, 트소피, 아루크로[8]와, 사다클로에서 거주지로의 정착은 오래 지속되는 문화 전통, 독특한 건축 양식과, 석기를 사용하는 기술은 다른 신석기 문화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적지대부분은 슐라베리-쇼무 문화로 알려진 후기 신석기 시대/금석 병용 시대의 고고학적 문화의 번영과 관련이 있다. 슈라베리 유적지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에 의하면 기원전 제6천년기 ~ 기원전 제5천년기의 최초의 정착지로 나타난다.[9]

동부 아나톨리아와 남 코카서스의 고원에는 길들이기 쉬운 동물의 적당한 결합과 씨를 뿌리는 작살과 콩류는 농경을 가능하게 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지역은 "문명의 요람"의 한 곳으로 여겨질 수있다.[10]

전체 지역은기원전 제4천년기의 1/4분기에, 민족적으로 관련된 후르리인이 농축산물을 비축하며 살고 있던 시대가 시작된 기간의 지역으로 짐작된다. 2,000년 동안의 민족과 문화의 통합은 몇몇 학자들이 금석 병용 시대나 동기 시대로 특징짓고 있다.

3. 청동기 시대

기원전 약 3,400년부터 기원전 약 2,000년까지 그 지역은 쿠라와 아렉세스 유역이 중심이 된 쿠라알렉시스나 초기 트란스캅카스 문화의 발전을 보았다.[19] 그 시기 동안에는 가축과 양을 기르는 것으로 기반이 된 경제적 안정과 현저한 문화적 발달이 이룩되었다.[19] 지역의 족장들은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로 나타났다. 그 시대, 그 지역 사람들의 무덤 고분에서 금과 은으로 훌륭하게 가공한 선박들이 출토되었다.[19] 그 출토품들의 몇몇 점들에는 중동 문화의 영향을 암시하는 종교 의식 장면들이 새겨져 있다.[19] 그 거대하고 융성한 문화는 아카디안 메소포타미아의 더 진보된 문화와 접촉했지만, 점진적으로 단절되어, 기원전 약 2300년경에는 침체되었고, 그 상태로 결국에는 다수의 문화들로 나뉘었다.[19] 그러한 문화들의 뒤를 잇는 최초의 문화는 동부 조지아의 베데니 문화이다.[19]

기원전 3천년기의 끝자락에, 그 부족들의 상당한 경제적인 발전과 증대된 상업의 증거가 있다. 서부 조지아에서는 콜키시안으로 알려진 독특한 문화가 기원전 1800에서 기원전 7000년 사이에 발달하였고, 서부 조지아에서는 트리알레티의 쿠르간(봉분) 문화가 기원전 1500년 쯤에 절정에 달했다.[19] 기원전 2천년기의 후반부 세기들에는 철제품이 남부 코카서스에서 만들어져서 출현하게 되었고, 사실상 철기 시대는 대규모이고, 그 때까지 구리와 청동으로 만들어진 것들보다 더 우월한 품질의, 도구들과 무기들의 도입으로 시작되었다. 가까운 동부 지역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런 변화를 기원전 8세기나 9세기 전에는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9]

그 기간 동안에는 현재까지 언어학적으로 최초의 조지아인들이, 끝내 남부 코카서스나 카르트벨리아인 혈통과의 민족적 문화적인 관계를 끊어 버림으로써, 통합된 증거가 되고 있다. 첫 번째로, 기원전 약 19세기에, 남동부 조지아의 스반어가 분리되었다, 기원전 8세기에는 밍그렐리아어와 라즈어의 기반이 되는 잔어가 분리되었으며, 전혀 다른 언어가 되었다. 언어의 기원으로 보면, 최초의 조지아/카르트벨리아 민족이 확립되었고, 주로 관련된 4 부족의 언어가 더해졌다. 조지아인 고유인 ("카르트스")는 잔스(메그렐로라즈, 콜키스인)과, 스반스를 통틀은 민족이며, 결국 현대 조지아 국가의 기반이 되었다.[19]

바쿠-트빌리시-제이한 송유관 (BTC) 건설로 클데, 오르초사니, 사파르-하라바의 고고학 유적지가 드러났다.[12]

3. 1. 쿠라-아락세스 문화

기원전 약 3,400년부터 기원전 약 2,000년까지 조지아 지역은 쿠라와 아렉세스 유역이 중심이 된 쿠라알렉시스 문화가 발전했다.[19] 이 시기에는 가축과 양을 기르는 것으로 기반이 된 경제적 안정과 현저한 문화적 발달이 이루어졌다.[19] 지역의 족장들은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로 나타났으며, 그들의 무덤 고분에서 금과 은으로 훌륭하게 가공한 선박들이 출토되었다.[19] 그 출토품들의 몇몇 점들에는 중동 문화의 영향을 암시하는 종교 의식 장면들이 새겨져 있다.[19]

이 문화는 아카디안 메소포타미아의 더 진보된 문화와 접촉했지만, 기원전 약 2300년경에는 침체되었고, 그 상태로 결국에는 다수의 문화들로 나뉘었다.[19] 그러한 문화들의 뒤를 잇는 최초의 문화는 동부 조지아의 베데니 문화이다.[19]

바쿠-트빌리시-제이한 송유관 (BTC) 건설로 클데, 오르초사니, 사파르-하라바의 고고학 유적지가 드러났다.[12]

3. 2. 베데니 문화와 트리알레티 문화

기원전 약 3,400년부터 기원전 약 2,000년까지 조지아 지역은 쿠라알렉시스 문화의 발전을 보였다.[19] 이 시기 동안 경제적 안정과 문화적 발달이 이루어졌으며, 지역 족장들은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로 나타났다. 그들의 무덤에서는 금과 은으로 만든 선박들이 출토되었는데, 일부는 중동 문화의 영향을 받은 종교 의식 장면들이 새겨져 있었다.[19] 이 문화는 아카디안 메소포타미아의 문화와 접촉했지만, 기원전 약 2300년경에는 침체되었고, 여러 문화들로 나뉘었다. 그 뒤를 잇는 최초의 문화는 동부 조지아의 베데니 문화이다.[19]

기원전 3천년기 말에는 부족들의 경제적 발전과 상업 증대 증거가 나타난다. 서부 조지아에서는 콜키시안 문화가 기원전 18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에 발달하였고,[19] 동부 조지아에서는 트리알레티 문화가 기원전 1500년경에 절정에 달했다.[19]

바쿠-트빌리시-제이한 송유관 (BTC) 건설로 클데, 오르초사니, 사파르-하라바의 고고학 유적지가 드러났다.[12]

3. 3. 콜키스 문화

기원전 3천년기 말, 서부 조지아에서는 기원전 18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에 콜키시안 문화가 발달하였다.[19] 이와 동시대에 동부 조지아에서는 쿠르간(봉분) 트리알레티 문화가 기원전 1500년경에 전성기를 맞았다.[19]

4. 철기 시대

기원전 2천년기 마지막 몇 세기에 걸쳐 남아 코카서스 지역에 철기 기술이 등장했고, 구리나 청동으로 만들어진 도구와 무기보다 더 우수한 품질의 도구와 무기가 대규모로 도입되면서 본격적인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근동 지역 대부분에서 기원전 10세기나 9세기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10]

언어학자들의 추정에 따르면, 이 시기에 원(原)카르트벨인들의 민족적, 언어적 통일성이 마침내 여러 갈래로 나뉘어 현재의 카르트벨어족을 형성하게 되었다. 가장 먼저 분리된 것은 기원전 19세기경 조지아 북서부 지역의 스반어였으며, 기원전 8세기경에는 잔어가 메그렐어와 라즈어의 기반이 되어 별개의 언어가 되었다.

언어를 바탕으로, 가장 초기의 카르트벨인들은 네 개의 주요 관련 부족, 즉 카르트족, 잔족(메그렐인-라즈인, 콜키스인), 그리고 스반인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들은 결국 현대의 카르트벨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기반이 되었다.[10]

4. 1. 카르트벨리어족의 분화

기원전 3,4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까지 쿠라와 아렉세스 유역을 중심으로 쿠라알렉시스 문화가 발전했다.[19] 이 시기에는 가축과 양을 기르는 경제적 안정과 문화적 발달이 이루어졌고, 지역 족장들은 부와 권력을 가졌다.[19] 무덤 고분에서는 금과 은으로 만든 훌륭한 가공품들이 출토되었으며, 중동 문화의 영향을 받은 종교 의식 장면들이 새겨진 유물도 발견되었다.[19] 이 문화는 아카디안 메소포타미아의 문화와 접촉했지만, 기원전 2300년경 침체되어 여러 문화로 나뉘었다.[19] 동부 조지아의 베데니 문화가 그 뒤를 이었다.[19]

기원전 3천년기 말에는 부족들의 경제적 발전과 상업 증대가 나타났다.[19] 서부 조지아에서는 콜키시안 문화가 기원전 1800년에서 기원전 7000년 사이에 발달했고,[19] 트리알레티의 쿠르간(봉분) 문화는 기원전 1500년경 절정에 달했다.[19] 기원전 2천년기 후반에는 남부 코카서스에서 철제품이 만들어져 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19]

이 기간 동안, 언어학적으로 최초의 조지아인들이 카르트벨리아인 혈통과의 민족적, 문화적 관계를 끊고 통합되었다.[19] 기원전 19세기경 스반어가 분리되었고,[10] 기원전 8세기에는 밍그렐리아어와 라즈어의 기반이 되는 잔어가 분리되었다.[10] 언어의 기원으로 보면, 최초의 조지아/카르트벨리아 민족은 카르트족, 잔족(메그렐로-라즈, 콜키스인), 스반인의 네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이 현대 조지아 국가의 기반이 되었다.[10]

5. 참고 문헌

wikitext


  • 카리네 흐리스토포로브나 쿠슈나레바/Karinė Khristoforovna Kushnareva영어 (H. N. Michael영어 번역), ''The southern Caucasus in prehistory : stages of cultural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eighth to the second millennium B.C.영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물관), .

참조

[1] 논문 A new skull of early Homo from Dmanisi, Georgia 2002
[2] 간행물 The Implications of the Middle-Upper Paleolithic Chronological Boundary in the Caucasus to Eurasian Prehistory http://www.anth.ucon[...] 2006
[3] 논문 Qiaomei Fu et al. The genetic history of Ice Age Europe, 2016. http://www.nature.co[...]
[4] 논문 Clothes Make the (Hu) Man 2009
[5] 논문 30,000-Year-Old Wild Flax Fibers http://www.sciencema[...] 2009
[6] 간행물 Jones, E. R. et al. Upper Palaeolithic genomes reveal deep roots of modern Eurasians, 2015 2015-11-16
[7] 서적 National Atlas of Georgia Steiner Verlag 2018
[8] 웹사이트 Aruchlo: An Early Neolithic Tell Settlement of the 6th Millennium BC http://www.dainst.or[...] 2007-05-04
[9] 서적 The Neolithic of Georgia Peeters 2004
[10]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2nd e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1] 웹사이트 THE GOLD MINE OF SAKDRISI AND EARLIEST MINING AND METALLURGY IN THE TRANSCAUCASUS AND THE KURA-VALLEY SYSTEM http://saunje.ge/ind[...] 2014
[12] 웹사이트 Ancient Heritage in the BTC-SCP Pipeline Corridor http://agt.si.edu/si[...] 2014-04-21
[13] 논문 A new skull of early Homo from Dmanisi, Georgia 2002
[14] 간행물 The Implications of the Middle-Upper Paleolithic Chronological Boundary in the Caucasus to Eurasian Prehistory http://www.anth.ucon[...] 2006
[15] 논문 Clothes Make the (Hu) Man 2009
[16] 논문 30,000-Year-Old Wild Flax Fibers http://www.sciencema[...] 2009
[17] 웹사이트 Aruchlo: An Early Neolithic Tell Settlement of the 6th Millennium BC http://www.dainst.or[...] 2007-05-04
[18] 서적 The Neolithic of Georgia Peeters 2004
[19]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2nd e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