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석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석기 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의 시기로, 기원전 1만 년경부터 시작되어 지역에 따라 농업이 시작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이 용어는 186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수렵과 채집에 기반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중석기 시대 문화는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소형 석기인 세석기를 사용하고, 어로 도구, 카누, 활 등을 제작했다. 유럽에서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나타났으며, 북유럽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도래가 늦춰지기도 했다. 이 시대는 농업의 시작과 함께 끝나며,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을 거부하고 수렵 채집 생활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석기 시대 - 구인류와 현생인류의 혼혈
구인류와 현생인류의 혼혈은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그리고 아직 알려지지 않은 고대 인류와의 유전적 혼합을 포함하며, 유라시아인, 멜라네시아인, 동남아시아인 등에게서 혼혈의 흔적이 발견된다. - 중석기 시대 - 잔석기
잔석기는 작고 날카로운 석기로, 후기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의 전환기에 사용되었으며, 창, 작살, 화살 등에 사용되어 사냥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석기 시대 - 수렵채집사회
수렵채집사회는 인류가 수렵과 채집으로 식량을 얻는 사회 형태이며, 이동 생활과 평등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농업의 등장으로 감소했고, 현재는 극소수만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 석기 시대 - 영거 드라이아스
영거 드라이아스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북반구의 급격한 냉각과 남반구의 온난화를 특징으로 하는 약 12,900년 전부터 11,700년 전 사이의 갑작스럽고 단기적인 기후 한랭화 현상이다. - 홀로세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만 년경부터 기원전 2천 년경까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토기 사용이나 정착 생활 등이 추가적인 기준이 되고, 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문화가 확산되어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고,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또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종료되었다. - 홀로세 - 최종 빙기
최종 빙기는 마지막 빙하기로, 북아메리카와 북부 유라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한 빙하 확장과 함께 기온이 낮아지고 건조한 기후, 해수면 하강 등이 나타났으며, 빙하기 이후 기후는 급격하게 변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중석기 시대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에피팔레올리트 (근동 지역) |
시기 | 석기 시대 중기 |
연대 | 중동: 20,000 ~ 10,000년 전 유럽: 15,000 ~ 5,000년 전 |
지역 | 유럽 |
문화적 맥락 | |
선행 문화 | 후기 구석기 시대 |
후행 문화 | 신석기 시대 |
2. 용어
중석기 시대 사람들은 이전 구석기 시대 후기의 문화와 기술을 계승했지만, 특수한 환경 조건에 맞춰 다양한 적응 방식을 발달시킨 것으로 보인다. 아직 토기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경제 활동은 주로 수렵, 어로, 자연 채집에 의존했다. 이후 문화가 발전하고 정착 생활이 시작되면서 토기 제작과 농경이 이루어졌고, 이는 신석기 시대로 이어지는 기반이 되었다.
중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이음 도구와 잔석기가 있다.
'중석기 시대'(Mesolithiceng)라는 용어는 1865년 존 러벅(John Lubbock)이 그의 저서 《선사 시대》(Pre-historic Timeseng)에서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한 이후, 1866년 호더 웨스트롭(Hodder Westropp)에 의해 두 시대 사이의 중간 시대를 지칭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하지만 웨스트롭의 제안은 즉시 논란에 휩싸였다. 존 에반스(John Evans)를 중심으로 한 영국의 학자들은 중간 시대의 필요성을 부정하며 시대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연속적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가브리엘 드 모르티예(Gabriel de Mortillet)가 이끈 유럽 대륙의 학파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에 뚜렷한 간극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에두아르 피에트(Édouard Piette)는 아질 문화(Azilian)를 통해 이 간극을 메울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크누트 스티에르나(Knut Stjerna)는 '후기 구석기 시대'(Epipaleolithiceng)라는 용어를 제안하며 중석기 시대를 독립된 시대가 아닌 구석기 시대의 마지막 단계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1947년 버 고든 차일드(V. Gordon Childe)가 저서 《유럽의 새벽》(The Dawn of Europeeng)을 통해 중석기 시대 개념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관련 고고학적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이 용어는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석기 시대'와 '후기 구석기 시대'라는 용어는 여전히 혼용되고 있으며, 사용 방식에 대한 통일된 기준은 없다.
일반적으로 영국, 독일, 스칸디나비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북유럽 고고학에서는 '중석기 시대'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다른 지역, 특히 근동 고고학에서는 '후기 구석기 시대'라는 용어가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신세계(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북극 지역을 제외하고는 두 용어 모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용어 사용의 차이는 단순히 지역적인 선호도를 넘어 의미론적인 구분과 연결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나투프 문화(Natufian culture)처럼 명확하게 농업으로 이어진 문화를 설명할 때 '중석기 시대'를 사용하고, 농업으로 발전하지 않은 수렵 채집 문화에 대해서는 '후기 구석기 시대'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3] 다른 학자들은 마지막 빙하기 최대 시점 이후의 모든 수렵 채집 문화를 포괄하는 용어로 '중석기 시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석기 시대'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μεσός|메소스grc(중간)와 λίθος|리토스grc(돌)를 합쳐 만든 말이다.
3. 특징
중석기 시대에는 구석기 시대 후기나 신석기 시대에 비해 미술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게 남아 있다. 구석기 시대 후기부터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는 이베리아 지중해 분지 암각화는 널리 퍼져 있었지만, 구석기 시대 후기의 동굴 벽화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중석기 시대의 암각화 유적은 주로 야외 절벽에서 발견되며, 주제는 동물이 아닌 인간이 대부분이다. 작은 인물들이 대규모로 묘사되는데, 예를 들어 로카 델스 모로스에는 45개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그림에는 의복이 묘사되어 있으며, 춤, 싸움, 사냥, 식량 채집 장면 등이 나타난다. 인물들은 구석기 시대 미술의 동물보다 훨씬 작고 도식적으로 표현되었지만, 종종 역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14] 매달기 위한 구멍과 단순한 무늬가 새겨진 작은 펜던트들도 발견된다. 북유럽에서는 호박으로 만들어진 펜던트가, 영국 스타 카르 유적에서는 셰일로 만들어진 펜던트가 발견되었다.[15] 핀란드에서 발견된 후이티넨의 엘크 머리는 활석으로 조각된 희귀한 중석기 시대 동물 조각품이다.
우랄 산맥의 암각화 역시 구석기 시대 이후 비슷한 변화를 보여준다. 나무로 만들어진 시기르 우상은 당시 조각에 흔히 사용되었을 재료가 드물게 남아 있는 예이다. 이것은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진 낙엽송 판자이며 꼭대기에는 사람 머리가 조각되어 있다. 현재는 파편으로 남아 있지만, 원래는 5m가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팔레스타인에서 발견된 아인 사크리 조각상은 방해석으로 만들어진 나투피안 문화의 조각품이다.
스타 카르 유적에서는 총 33개의 스타 카르 앞이마뼈가 발견되었다.[17] 이것은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변형된 붉은 사슴의 두개골이다. 비슷한 유물은 베드부르크-쾨니히스호펜, 호헨 피헬른, 플라우, 베를린-비에스도르프에서도 발견되었다.[18]
직조 기술은 신발과 바구니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바구니는 정교하게 제작되었고 염료로 장식되기도 했다. 2023년 스페인 남부의 동굴 데 로스 무르시엘라로스(Cueva de los Murciélagos)에서는 약 9,500년 전으로 추정되는 이러한 유물이 발견되었다.[20][21]
유럽 북동부, 시베리아, 그리고 일부 남부 유럽 및 북아프리카 유적에서는 약 9,000년에서 5,850년 BP 사이에 "도자기 중석기 시대"를 구분할 수 있다. 러시아 고고학자들은 농경이 없었음에도 이러한 도기 제작 문화를 신석기 시대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도기 제작 중석기 문화는 정착된 신석기 문화 주변에서 발견되며, 신석기 농부들이 사용하지 않은 독특한 형태의 도자기를 만들었다. 이 도자기는 뾰족하거나 손잡이가 달린 바닥과 나팔 모양의 가장자리가 특징이다. 지역마다 독자적인 스타일이 있지만, 공통적인 특징은 단일 기원을 시사한다.[22] 이러한 유형의 도자기는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 주변 지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났을 수 있다. 약 9,000년 전에는 러시아 볼가강 유역의 옐샨카 문화에서 나타났고,[23][24] 이후 드네프르-도네츠 문화를 거쳐 동부 발트해의 나르바 문화로 퍼져나갔다. 해안선을 따라 서쪽으로 확산되어 덴마크의 에르테볼레 문화, 북부 독일의 엘러베크, 그리고 베네룩스 3국의 관련 스위프터반트 문화에서도 발견된다.[25][26]
2012년 사이언스 저널 발표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도자기는 중국 셴런둥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도자기는 현세 이전 20,000년에서 19,000년 사이, 즉 최후 빙하기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28][29] 연대 측정은 주변 퇴적물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이루어졌다.[29][30] 많은 도자기 조각에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어, 도자기가 요리에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30] 이 초기 도기 용기는 농업의 발명(기원전 10,000~8,000년경으로 추정)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최후 빙기 극대기 동안 음식을 사냥하고 채집하며 이동 생활을 했던 수렵 채집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30]
사회의 형태는 수렵 채집 사회였다. 이 시대의 유적은 극히 드물며, 대부분 조개 무덤(패총) 형태로 남아 있다. 중석기 시대는 주로 소형 복합 부싯돌 도구(세석기와 세각기)로 특징지어진다. 일부 유적에서는 어로 도구, 석제 손도끼, 그리고 카누나 활과 같은 목제품도 발견된다. 세계의 삼림 지대에서는 최초의 벌채 흔적이 나타나지만, 본격적인 벌채는 농경을 위한 토지가 필요해진 신석기 시대 초기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4. 도구
이음 도구톱, 활, 창, 작살 등이 있으며, 이러한 도구들이 발전하여 잔석기가 등장했다.
잔석기잔석기(세석기)는 중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도구이다. 빙하기가 끝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동물들의 움직임이 빨라지자, 기존의 방식으로는 사냥이 어려워져 작고 정교한 잔석기를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전 시대의 석기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중석기 시대는 작고 여러 부품을 조합해 만든 부싯돌 도구(세석기와 세각기)를 특징으로 한다.
한국의 경우, 오랫동안 중석기 시대의 존재가 불분명했으나, 1995년 홍천군 북방면 하화계리 유적을 시작으로 웅기군 굴포리, 통영시 상노대도 조개더미, 공주시 석장리 등 여러 곳에서 잔석기가 발견되면서 중석기 문화의 존재가 확인되었다.[41]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대략 기원전 8000년에서 기원전 6000년 사이를 중석기 시대로 본다.
기타 도구 및 기술어로 도구, 석제 손도끼, 카누나 활과 같은 목제품도 일부 유적에서 발견된다. 세계의 삼림 지대에서는 최초의 벌채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본격적인 벌채는 농경을 위해 땅이 필요해진 신석기 시대 초기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직조 기술도 발달하여 신발과 바구니를 만들었다. 특히 바구니는 정교하게 제작되었고 염료로 장식되기도 했다. 2023년 스페인 남부의 동굴 데 로스 무르시엘라로스(Cueva de los Murciélagos)에서는 약 9,5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바구니 유물이 발견되었다.[20][21]
도자기의 등장2012년 사이언스 저널 발표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자기는 중국 셴런둥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도자기는 최후 빙하기 말기인 약 20,000년에서 19,000년 전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8][29] 연대 측정은 주변 퇴적물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이루어졌다.[29][30] 많은 도자기 조각에서 그을린 흔적이 발견되어, 이 도자기들이 요리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30] 이 초기 도기들은 농업의 발명(기원전 10,000~8,000년경)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이동 생활을 하던 수렵 채집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30]
이후 유럽 북동부, 시베리아, 특정 남부 유럽 및 북아프리카 유적에서는 기원전 9,000년에서 5,850년 사이에 "도자기 중석기 시대"가 나타난다. 러시아 고고학자들은 농업이 없었음에도 이러한 문화를 신석기 시대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도자기는 정착 농경민들이 사용하던 것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로, 바닥이 뾰족하거나 손잡이가 달렸고 입구는 나팔처럼 벌어진 모양이었다. 지역마다 독자적인 양식이 발달했지만, 공통적인 특징으로 보아 단일한 기원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2] 이러한 도자기의 가장 이른 형태는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 주변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약 9,000년 전 러시아 볼가강 유역의 옐샨카 문화에서 등장하여,[23][24] 드네프르-도네츠 문화를 거쳐 동부 발트해의 나르바 문화로 퍼져나갔다. 해안선을 따라 서쪽으로 전파되어 덴마크의 에르테볼레 문화, 북부 독일의 엘러베크, 베네룩스 3국의 스위프터반트 문화 등에서도 발견된다.[25][26]
중석기 시대 사회는 기본적으로 수렵 채집 사회였으며, 유적은 매우 드물어 대부분 조개 무덤 형태로 발견된다.
5. 지역별 양상
중석기 시대의 양상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유럽발칸 중석기 시대는 약 15,000년 전에 시작되었다. 서유럽에서는 초기 중석기 시대인 아질 문화(Azilian)가 약 14,000년 전 북부 스페인과 프랑스 남부의 프랑코-칸타브리아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가 약 11,500년 전(홀로세 시작)에 시작되어, 농업이 도입되면서 지역에 따라 기원전 6500년(8,500 BP)에서 기원전 3500년(5,500 BP) 사이에 끝났다. 최후 빙하기가 끝나면서 환경 변화가 컸던 지역일수록 중석기 시대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수천 년 동안 지속되었다.[4] 예를 들어, 북유럽에서는 따뜻해진 기후로 인해 넓게 형성된 습지에서 풍부한 식량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했다. 이러한 환경 조건은 마글레모스 문화(Maglemosian culture)나 아질 문화와 같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이는 유물 기록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북유럽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도래가 기원전 3500년(5,500 BP)경까지 지연되기도 했다.
스톤헨지 근처에서 발견된 동서로 정렬된 큰 구멍 기둥 유적이나 스코틀랜드 워렌 필드(Warren Field) 유적의 다양한 크기의 구멍 기둥들은 중석기 시대에 이미 의례나 천문학적 목적을 가진 건축 활동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워렌 필드 유적은 달의 위상 변화를 기록한 달력으로 추정되며, 두 유적 모두 기원전 8000년(9,000 BP) 이전의 것으로 보인다.[6]
덴마크 남부에서는 약 5,700년 전의 자작나무 껍질 송진으로 만든 껌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당시 한 여성이 개암과 오리를 먹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7][8] 중석기 시대 사람들은 개암나무와 같이 선호하는 식물을 퍼뜨리며 유럽의 숲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9]
농업, 목축, 간석기 도끼, 목조 장방형 가옥, 토기 등을 포함하는 "신석기 패키지"가 유럽으로 확산되면서 중석기 시대의 수렵 채집 생활 방식은 점차 사라졌다. 정착 생활, 인구 증가, 식물성 식량 활용 증가 등 중석기 시대의 적응 양상은 농업으로의 전환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0] 하지만 일부 중석기 시대 공동체는 이념적 이유나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정착 농경 생활 방식을 거부하기도 했다.[11] 독일 하겐의 블래터회(Blätterhöhle) 동굴 유적에서는 농경 사회가 들어선 후에도 2,000년 이상 수렵 채집 생활을 유지한 중석기 시대 후손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2] 이러한 사회는 "준신석기(Subneolithic)"로 불리기도 한다. 기존 농경 공동체와의 오랜 접촉과 통합은 수렵 채집민들이 농경 생활 방식을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새로운 구성원을 받아들이는 농경 사회의 개방적인 성격 덕분에 가능했다.[11] 북동 유럽과 같이 농업에 불리한 지역에서는 수렵과 어로 생활 방식이 중세 시대까지 이어지기도 했으며, 스칸디나비아 일부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구석기 시대"에서 바로 "신석기 시대"로 전환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13]
도기 제작 중석기 문화유럽 북동부, 시베리아, 그리고 일부 남부 유럽 및 북아프리카 유적에서는 9,000년에서 5,850년 BP 사이에 "도자기 중석기 시대(Ceramic Mesolithic)"를 구분할 수 있다. 러시아 고고학자들은 농경이 부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토기 제작 문화를 신석기 시대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 문화는 정착 신석기 문화 주변에서 발견되며, 신석기 농부들이 사용하지 않은 독특한 형태의 토기(뾰족하거나 둥근 바닥, 벌어진 입구)를 만들었다. 지역마다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지만, 공통된 특징은 단일 기원을 시사한다.[22] 이러한 토기의 가장 이른 형태는 시베리아 바이칼 호 주변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9,000년 전 러시아 볼가강 유역의 옐샨카 문화(Yelshanka culture)에서 나타났고,[23][24] 이후 드네프르-도네츠 문화(Dnieper-Donets culture)를 거쳐 동부 발트해의 나르바 문화(Narva culture)로 퍼져나갔다. 해안선을 따라 서쪽으로 확산되어 덴마크의 에르테볼레 문화(Ertebølle culture), 북부 독일의 엘러베크(Ellerbek), 그리고 베네룩스 3국의 관련 스위프터반트 문화(Swifterbant culture)에서도 발견된다.[25][26]
아시아
아프리카중앙 사하라의 타실리 나제르 등지에서 발견된 사하라 암각화는 당시 북아프리카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일부 그림에는 현재는 사막이 된 지역에 하마와 같이 물에 의존하는 동물이 풍부했던 사바나 환경에서 살았던 수렵 민족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6] 북아프리카에서는 이베로마우리 문화(Iberomaurusian)와 캅시안 문화(Capsian)가, 동아프리카에서는 케냐 중석기 시대 문화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카아메리카 고고학에서는 석기 시대 이후에 나타나는 아르카익기(Archaic period) 또는 메소-인디언 시대(Meso-Indian period)가 유럽의 중석기 시대와 시기적으로 유사하다.
지역별 문화 및 연대다음 표는 주요 지역별 중석기 시대 문화와 연대(BP: 현재로부터 몇 년 전)를 정리한 것이다.
지리적 범위 | 시대 구분 | 문화 | 기간 (BP) | 주요 유적 |
---|---|---|---|---|
남동유럽 (그리스, 에게 해) | 발칸 중석기 시대 | 15,000–7,000 BP | 프랑크티 동굴, 테오페트라 동굴[31] | |
남동유럽 (루마니아/세르비아) | 발칸 중석기 시대 | 철문 문화 | 13,000–5,000 BP | 레펜스키 비르[32] |
서유럽 | 초기 중석기 시대 | 아질 문화 | 14,000–10,000 BP | |
북유럽 (노르웨이) | 포스나-헨스바카 문화 | 12,000–10,500 BP | ||
북유럽 (노르웨이) | 초기 중석기 시대 | 콤사 문화 | 12,000–10,000 BP | |
중앙아시아 (중부 우랄) | 12,000–5,000 BP | 시기르 우상, 브토라야 베레고바야[33] | ||
북동유럽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및 북서부 러시아) | 중기 중석기 시대 | 쿤다 문화 | 10,500–7,000 BP | 람마스매기, 풀리 정착지 |
북유럽 | 마글레모세 문화 | 11,000–8,000 BP | ||
서유럽 및 중앙 유럽 | 소베테르 문화 | 10,500–8,500 BP | ||
서유럽 (영국) | 영국 중석기 시대 | 11,000–6,000 BP | 스타 카르, 호윅 하우스, 고프 동굴, 크라몬드, 아벨린의 구멍 | |
서유럽 (아일랜드) | 아일랜드 중석기 시대 | 11,000–5,500 BP | 마운트 샌들 | |
서유럽 (벨기에 및 프랑스) | 타르데노아 문화 | 10,000–5,000 BP | ||
중앙 및 동유럽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 | 후기 중석기 시대 | 네만 문화 | 9,000–5,000 BP | |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 뇌스트베트 및 리훌트 문화 | 8,200–5,200 BP | ||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 콩게모세 문화 | 8,000–7,200 BP | ||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 후기 중석기 시대 | 에르테볼레 문화 | 7,300–5,900 BP | |
서유럽 (네덜란드) | 후기 중석기 시대 | 스위프터반트 문화 | 7,300–5,400 BP | |
서유럽 (포르투갈) | 후기 중석기 시대 | 7,600–5,500 BP | ||
북아프리카 (모로코) | 후기 구석기 시대에서 초기 중석기 시대 | 이베로마우리 문화 | 24,000–10,000 BP | |
북아프리카 | 캅시안 문화 | 12,000–8,000 BP | ||
동아프리카 | 케냐 중석기 시대 | 8,200–7,400 BP | 갬블 동굴[37] | |
동아시아 (일본) | 조몬 문화 | 16,000–2,350 BP | ||
동아시아 (한국) | 즐문토기 시대 | 10,000–3,500 BP | ||
남아시아 (인도) | 남아시아 석기 시대 | 12,000–4,000 BP[39] | 빔베트카, 레카히아 |
6. 대표적 유적
한국의 중석기 시대 유적으로는 통영시 욕지면 상노대도 조개더미의 최하층이 알려져 있다.
주요 유적
- 유럽
- 시기르 우상: 우랄 산맥 동쪽에서 발견된 목조 유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조각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
- 테비에크 (프랑스): 기원전 6740년에서 5680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성 유골 2구가 발견되었다. 두 유골 모두 폭력적인 죽음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
- 스톤헨지 인근 (영국): 동서로 정렬된 큰 구멍 기둥(posthole)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약 9,000 BP (기원전 8천 년)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의식이나 천문학적 목적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6]
- 워렌 필드 (스코틀랜드): 다양한 크기의 구멍 기둥들이 발견되었으며, 달 위상을 기록하기 위한 일종의 달력으로 해석된다. 이 역시 약 9,000 BP (기원전 8천 년)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6]
- 서아시아 (레반트)
- 키바라 동굴: 이스라엘에 위치하며, 후기 구석기 시대에서 중석기 시대로 넘어가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케바라 문화(Kebaran, 기원전 18000년 ~ 기원전 11000년 경)의 표지 유적이다. 중석기 시대 제1기에서 제2기로의 이행기에 해당하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 엘 와드 동굴: 이스라엘 카르멜 산에 위치한 동굴 유적으로, 나투프 문화를 포함한 중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9970년, 기원전 9525년 등으로 나타났다.
- 예리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알려진 곳으로, 중석기 시대 나투프 문화의 정착 흔적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9216년경의 유물도 확인되었다.
- 텔 아부 후레이라: 시리아에 위치한 유적으로, 나투프 문화 시기(기원전 11000년 ~ 기원전 9000년 경)에 야생 곡물을 적극적으로 이용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는 농업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7. 중석기 시대의 의의
중석기 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의 전환기로, 인류 사회와 기술에 중요한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다. 이 시대의 사회 형태는 기본적으로 수렵 채집 사회였으며, 유적은 드물지만 주로 조개 무덤 형태로 발견된다. 중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는 작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소형 복합 부싯돌, 즉 세석기와 세각기가 있다. 이 외에도 어로 도구, 석제 손도끼, 그리고 카누나 활과 같은 목제품들이 일부 유적에서 출토되어 당시의 기술 발전을 보여준다. 세계 곳곳의 삼림 지대에서는 최초의 벌채 흔적이 나타나지만,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본격적인 벌채는 신석기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자연환경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식물이 번성하고 동물의 종류와 수가 늘어나면서 인류는 채집과 수렵을 통해 이전보다 풍부한 식량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중석기 시대 생활 방식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특히 근동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후기에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기원전 11000년경부터 기원전 9000년경까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지역에 나타난 나투프 문화가 대표적이다. 텔 아부 후레이라 유적(기원전 9050년경)에서는 야생 곡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흔적이 발견되는데, 이는 이후 본격적인 농업으로 발전하는 초기 단계로 평가받는다. 나투프 문화 시기 사람들은 야생 곡물에 식량을 의존하며 정착 생활을 시작했으며, 영거 드라이아스기와 같은 급격한 기후 변화는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해 농업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중석기 시대 후기에는 신석기 시대의 특징인 농경과 정착 생활의 초기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신석기 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전환기적 의미를 지닌다.
중석기 시대의 양상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홍적세 말기(약 1만 년 전)부터 농업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시기를 중석기 시대로 구분한다. 반면, 근동 지역(지중해 연안의 시리아, 이집트, 소아시아 등)에서는 비교적 일찍 농업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중석기 시대가 매우 짧거나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중석기 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은 유럽, 특히 서부와 북부 유럽 지역의 문화를 통해 주로 연구된다. 빙하의 영향이 비교적 적었던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대신 후기 구석기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최후 빙기 종료 후 뚜렷한 환경 변화를 겪은 지역에서는 중석기 시대 구분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예를 들어 북유럽에서는 온난화로 인해 형성된 늪지대 등에서 풍부한 식량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했다. 이러한 환경은 마글레모세 문화나 Azilian|아질 문화영어와 같이 풍부한 물질문화를 남긴 독특한 문화를 발달시켰다. 이 지역에서는 풍족한 자연환경 덕분에 농경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신석기 시대로의 전환이 기원전 5000년경까지 지연되기도 했다.
참조
[1]
학술지
Mapping Post-Glacial expansions: The Peopling of the middle east
2017-01-06
[2]
서적
Social differentiering i mesolitiska jägar-samlarsamhällen
Institutionen för arkeologi och antik historia, Uppsala universitet
1997
[3]
서적
The Penguin archaeology guide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2
[4]
학술지
The Resettlement of the British Landscape: Towards a chronology of Early Mesolithic lithic assemblage types
2016
[5]
학위논문
The early prehistory in the west of Ireland: Investigations into the social archaeology of the Mesolithic, west of the Shannon, Ireland.
http://lithicsirela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06
[6]
웹사이트
Time and a Place: A luni-solar 'time-reckoner' from 8th millennium BC Scotland
http://intarch.ac.uk[...]
2013-07-16
[7]
학술지
A 5700 year-old human genome and oral microbiome from chewed birch pitch
2019-12-17
[8]
웹사이트
5,700-Year-Old Lola, Her Genome Sequenced from Gum, Joins Other Named Forebears
https://dnascience.p[...]
2021-01-05
[9]
웹사이트
The Lost Forest Gardens of Europe
https://www.shelterw[...]
2021-01-05
[10]
서적
Europe's first farmers
Cambridge Univ. Press
2000
[11]
학술지
Mobility and Social Change: Understanding the European Neolithic Period after the Archaeogenetic Revolution
2021
[12]
학술지
2000 Years of Parallel Societies in Stone Age Central Europe
http://pdfs.semantic[...]
2013
[13]
서적
Mesolithic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4]
서적
Prehistoric Art in Europe
Penguin (Pelican, now Yale, History of Art)
1968
[15]
웹사이트
11,000 year old pendant is earliest known Mesolithic art in Britain
https://www.york.ac.[...]
University of York
[16]
웹사이트
This Eerie, Human-Like Figure Is Twice As Old As Egypt's Pyramids
https://www.livescie[...]
2018-04-28
[17]
서적
STAR CARR Volume 1: a persistent place
White Rose University Press
2018
[18]
서적
No Stone Unturned. Papers in Honour of Roger Jacobi
2015
[19]
학술지
Animated GIFs as Expressive Visual Narratives and Expository Devices in Archaeology
2017
[20]
뉴스
Hunter-Gatherers Were Making Baskets 9,500 Years Ago, Researchers Say
The New York Times
2023-09-30
[21]
학술지
The earliest basketry in southern Europe: Hunter-gatherer and farmer plant-based technology in Cueva de los Murciélagos (Albuñol)
2023-09-27
[22]
문서
De Roevers
[23]
서적
The Black Sea Flood Question: changes in coastline, climate and human settlement
Springer
2007
[24]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5]
학술지
Beyond the models: Neolithisation in Central Europe
2007
[26]
간행물
Beyond the models: Neolithisation in Central Europe
2007
[27]
웹사이트
Ancient China: Neolithic
https://www.flickr.c[...]
2019-04-13
[28]
뉴스
Pottery found in China cave confirmed as world's oldest
http://content.usato[...]
2012-06-29
[29]
학술지
Early Pottery at 20,000 Years Ago in Xianrendong Cave, China
2012-06-29
[30]
학술지
Early Pottery at 20,000 Years Ago in Xianrendong Cave, China
2012-06-29
[31]
뉴스
Face of 9,000-Year-Old Teenager Reconstructed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8-01-19
[32]
서적
Europe's First Monumental Sculpture: New Discoveries at Lepenski Vir
Thames and Hudson
1972
[33]
웹사이트
metmuseum.org
https://www.metmuseu[...]
[34]
간행물
The Mesolithic and the Neolithic in China
1999
[35]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New Age International
1999
[36]
웹사이트
Tassili n'Ajjer
https://whc.unesco.o[...]
UNESCO
[37]
웹사이트
Africa-Paleolithic
https://www.britanni[...]
2018-11-28
[38]
간행물
Radiocarbon chronology of the Shigir and Gorbunovo archaeological bog sites, Middle Urals, Russia
2012
[39]
논문
Chronology of Indian prehistory from the Mesolithic period to the Iron Age
1978-01
[40]
문서
この用語は、アフリカの先史時代(prehistory, 歴史時代より前の時代)の区分である中期石器時代を指す場合がある
[41]
웹인용
중석기문화 (12,000~8,000년 전)
http://museum.kookmi[...]
국민대학교 박물관
2009-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