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표 (조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표는 조조의 아들이자 조위의 제후왕으로, 후한 말에 수춘후에 봉해진 후 여러 차례 작위가 변경되어 오왕, 초왕 등을 역임했다. 그는 학문을 숭상하고 조식과 교류했으며, 231년에는 낙양으로 소환되어 조예를 알현했다. 249년, 왕릉과 영호우가 조표를 옹립하려 모의했으나 발각되어 사마의에 의해 죽음을 맞이했다. 조표는 57세에 자결했으며, 그의 아들 조가는 후에 죄를 사면받고 황족으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년 출생 - 왕숙
왕숙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자 학자로, 왕랑의 아들이며 조예의 신임을 받아 난릉후에 봉해졌고, 자신만의 학설을 펼치며 《공자가어》에 주석을 달았으나 위작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195년 출생 - 주거 (동오)
손권 시대 오나라의 인물인 주거는 손노육과의 혼인으로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나, 이궁의 변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후 복권되었고, 그의 딸은 손휴의 황후가 되었다. - 251년 사망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251년 사망 - 등지
등지는 삼국 시대 촉한의 외교 및 군사 인물로, 유비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오나라와의 동맹을 재건하여 촉한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검소하고 청렴한 삶을 살다가 251년에 사망했다. - 조조의 아들 - 조곤
조곤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황족으로 조조의 아들이며, 문장력이 뛰어나 조비와 조예 시대에 여러 왕에 봉해졌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여 조예의 칭송을 받아 사후 공왕으로 추증되었다. - 조조의 아들 - 조비
조비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로, 조조 사후 위왕과 승상 자리를 이어받아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을 정비했으나 오나라 정벌에 실패하고 요절했으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문장경국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조표 (조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표 (曹彪) |
자 | 주호 (朱虎) |
생년 | 흥평 2년 (195년) |
몰년 | 가평 3년 (251년) |
향년 | 56세 |
출생지 | 예주패국 초현 |
사망지 | 수춘 (壽春, 현재의 안후이성) |
관직 | |
작위 변천사 | 여양공(汝陽公) (221년 ~ 222년) 의양왕(弋陽王) (222년) 오왕(吳王) (222년 ~ 226년) 백마왕(白馬王) (226년 ~ 231년) 초왕(楚王) (232년 ~ 251년) |
가계 | |
아버지 | 조조 |
어머니 | 손희빈(孫姬嬪) |
아들 | 조가(曹嘉) |
기타 정보 | |
섬긴 군주 | 조조, 조비, 조예, 조방 |
2. 생애
조표는 조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손희(孫姬)이다. 후한 말 권력을 잡고 삼국 시대에 조위의 기틀을 마련한 조조의 아들로 태어났다.
216년 (건안 21년), 헌제로부터 수춘후(壽春侯)에 봉해졌다. 221년(황초 2년), 조비가 헌제에게서 선양을 받아 조위를 건국한 후, 여양공(汝陽公)에 봉해졌다. 222년 (황초 3년)에는 익양왕(弋陽王)에 봉해졌다가, 같은 해에 오왕(吳王)으로 작위가 변경되었다. 224년 (황초 5년) 수춘왕, 226년 (황초 7년) 백마왕으로 전봉되었다.
232년 (태화 6년)에 초왕으로 전봉되었다. 233년 (청룡 원년)에 2년 전 조회 때 금령을 위반한 죄로 3개 현 1500호의 영지를 삭감당했다. 234년 (청룡 2년)에 대사면으로 영지를 회복했다. 239년 (경초 3년)에 500호를 더하여 영읍 3000호가 되었다.
249년 (가평 원년), 태위 왕릉과 연주자사 영호우는 황제 조방이 제위를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조표를 황제로 옹립하려는 모의를 꾸몄다. 영호우는 장군 장식(張式)을 파견하여 조표와 왕래하게 하였는데, 조표는 "후의는 알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 일은 발각되어 사마의가 왕릉을 토벌하러 수춘으로 향했다. 왕릉은 자결했고, 영호우도 시체가 전시되는 형벌을 받았다. 사마의는 조표에게 죽음을 내렸고, 결국 조표는 자결했다.
조표의 처자식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평원으로 유배되었고, 모반을 알고도 저지하지 않은 조표의 관속 등은 모두 주살되었다.
254년 (정원 원년), 조표의 아들 조가(曹嘉)는 상산진정왕(常山眞定王)에 봉해졌다.
2. 1. 초기 생애와 왕작 책봉
曹彪|조표중국어는 조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손희(孫姬)이다.[1] 216년, 헌제로부터 수춘후(壽春侯)에 봉해졌다.[2] 이 무렵 이복형 조비가 주최한 연회에 참석했는데, 점쟁이 주건평은 조표에게 57세에 군사 관련 재앙을 겪을 것이라고 예언했다.[3]221년, 조비가 헌제에게서 선양을 받아 조위를 건국한 후, 조표는 여양공(汝陽公)에 봉해졌다. 222년에는 익양왕(弋陽王)에 봉해졌다가, 같은 해에 오왕(吳王)으로 작위가 변경되었다.[4] 223년 형제들과 함께 조회를 가졌는데, 그 직후 이복형 조창이 사망했다. 조표는 조식과 함께 귀환하려 했으나, 감국사자에 의해 저지되어 서로 다른 길로 돌아가야 했다. 이에 조식은 분개하여 조표에게 시를 보냈다.[24]
224년 수춘왕, 226년 백마왕으로 봉해졌으며, 가홍을 스승으로 섬겼다.[25] 231년 겨울, 조예는 조표를 낙양으로 불러 문안 인사를 받았다.[5] 232년, 조표는 초왕(楚王)으로 봉해졌으며, 초국(楚國)은 현재의 안휘성 수현을 중심으로 했다.[6]
2. 2. 학문 숭상과 조식과의 관계
조식은 황초 4년(223년)에 형제들과 함께 조회를 갔는데, 그 직후 이복형인 조창이 사망했다.[23] 조표와 조식은 함께 귀로에 오르려 했으나, 제후왕을 감시하는 관리인 감국사자에 의해 방해받아 서로 다른 길로 돌아가야 했다.[24] 이 처분에 분개한 조식은 시(「백마왕 표에게 보낸다」)를 지어 조표에게 보냈다.[24]조표는 문학을 좋아하여 백마 국상이자 학자인 가홍을 스승으로 섬겼으며, 그 예우는 대신에도 비할 정도였다.[25]
다음은 조식이 조표에게 보낸 시의 일부이다.
: (서문)
:;…황초 4년 여름 5월, 백마왕 조표, 임성왕 조창
:; 나와 함께 낙양으로 조회하러 가서 절기를 맞이했다.
:; 낙양에 도착하여 임성왕이 훙거했다. 가을 7월에 이르러
:; 백마왕과 함께 나라로 돌아가려 했다. 이후 유사는
:; 두 왕이 봉국으로 돌아가는 데, 길에서 숙소를 달리해야 한다고 했다.
:; 마음은 매우 이를 원망했고
:; 아마도 영원한 이별이 며칠 안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이에 스스로 마음을 가르고 왕에게 작별을 고하며
:; 분노하여 시를 지었다...
: (그 7)
:'''''고심하며 무엇인가를 생각하니'''''
:'''''천명은 진실로 의심할 만하네'''''
:'''''허무 속에서 열 선인을 찾으니'''''
:'''''송자(선인)가 오랫동안 나를 속였네'''''
:'''''변고(수난)는 잠깐 사이에 있으니'''''
:'''''이별하면 영원히 만날 수 없네'''''
:'''''손을 잡는 것은, 장차 어느 때인가'''''
:'''''왕이여, 그 옥체를 아끼소서'''''
:'''''함께 황발(장수)의 기약을 누리세'''''
:'''''눈물을 거두고 먼 길을 떠나'''''
:'''''붓을 들어, 여기서 작별을 고하네'''''
2. 3. 왕릉의 난과 죽음
태화 5년(231년) 겨울, 조표는 서울에 입조했다. 이듬해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당초 입조했을 때 금령을 어긴 것이 문제가 되어 청룡 원년(233년)에 3현, 1500호의 영지를 삭감당했다. 이듬해 대사면 때 영지를 회복했고, 경초 3년(239년)에는 5백 호가 늘어 3천 호가 되었다.[6]가평 원년(249년), 태위 왕릉과 연주자사 영호우는 당시 황제 조방이 제위를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조표를 황제로 옹립하려는 모의를 꾸몄다.[7] 영호우는 장군 장식(張式)을 파견하여 조표와 왕래하게 하였는데, 조표는 "후의는 알겠다"고 답했다.[10]
그러나 이 일은 발각되어 사마의가 왕릉을 토벌하러 수춘으로 향했다. 왕릉은 사마의에게 나아가 연행되던 도중 항 땅에서 약을 먹고 자결했으며, 영호우도 이미 죽은 뒤였지만 시체가 전시되는 형벌을 받았다.[15] 사마의는 수춘으로 들어온 후 일을 철저하게 규명하여 조표에게 죽음을 내렸고, 결국 조표는 자결했다.[16][17][18]
조표의 비와 아들들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평원으로 유배되었고, 조표의 모반 의사를 알고도 저지하지 않은 조표의 관속 이하 감국알자는 모두 주살되었다.[19][20]
2. 4. 사후
정원 원년(254년), 조표의 아들 조가(曹嘉)를 상산진정왕(常山眞定王)에 봉했다.[26] 조모는 조표의 가족을 사면하고 귀족 지위를 회복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경원 원년(260년) 조환의 치세 동안 조가의 왕국은 2,500호를 거느리게 되었다. 위나라 멸망 후에는 서진에 종사하여 고읍공으로 전임했다.3. 주건평의 예언
당초, 주건평은 조비가 오관중랑장이 되었을 때 초청을 받아 여러 사람의 수명을 예언했는데, 조표에 대해서는 "당신은 번국에 웅거하다가, 57세에 이르면 병란의 재앙을 당할 것이니, 마땅히 이를 막아야 합니다."라고 예언했다. 조표가 왕릉의 일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했을 때, 나이가 57세였다.[4]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문서
[6]
서적
Sanguozhi
[7]
서적
Weilue
[8]
서적
Weilue
[9]
서적
Weilue
[10]
서적
Weilue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Han Jin Chunqiu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Sanguozhi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Han Wei Chunqiu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三国志
[23]
웹사이트
季節ごとの朝廷の会合
https://yanagawa2019[...]
[24]
서적
三国志
[25]
서적
三国志
[26]
서적
三国志
[27]
서적
三国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