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데사굴리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데사굴리에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영국으로 이주한 위그노교도 출신 과학자이자 목사였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아이작 뉴턴과 교류하며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고, 스티븐 그레이에 이어 전기 연구에 기여하여 도체와 부도체 개념을 정립했다. 뉴턴의 이론을 보급하고, 증기 기관을 개선하는 등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프리메이슨으로도 활동하며 잉글랜드 그랜드 로지의 초기 성장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하트퍼드 칼리지 교수 - 제임스 미드
제임스 미드는 국제 무역 및 자본 이동 이론에 기여한 영국의 경제학자로, 케인즈 혁명에 참여하고 전후 국제 통화 및 무역 체제 확립에 기여했으며, 197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잉글랜드의 과학자 - 샘슨 에이브럼스키
샘슨 에이브럼스키는 게임 시맨틱스, 논리적 형식의 영역 이론, 범주론적 양자 역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한 컴퓨터 과학자로, 영국 왕립 학회 회원, 유럽 이론 컴퓨터 과학 협회(EATCS) 상 수상자, ACM 펠로우, 영국 컴퓨터 학회 러브레이스 메달 수상자이며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교수이다. - 잉글랜드의 과학자 - 오브리 드 그레이
오브리 드 그레이는 노화 연구와 수명 연장 분야의 영국 생물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노화의 원인을 7가지로 분류하고 '엔지니어링 무시할 수 있는 노쇠화 전략'(SENS) 개념을 제시했으며 SENS 연구 재단 공동 설립, 저서 《노화의 종말》 집필, 수학 문제 해결, AgeX 테라퓨틱스 부사장 활동 등의 업적이 있으나, 2021년 성희롱 혐의로 SENS 연구 재단에서 해임되었다. - 건지섬 출신 - 존 사비던트
존 사비던트는 1938년 건지섬에서 태어나 1994년 《코로네이션 스트리트》에서 프레드 엘리엇 역으로 출연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2024년 사망한 영국의 배우이다. - 건지섬 출신 - 맷 르티시에
맷 르티시에는 잉글랜드의 前 축구 선수로, 사우샘프턴 FC에서 100골 이상을 기록하며 핵심 선수로 활약했고 은퇴 후 축구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소셜 미디어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존 데사굴리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테오필러스 데자굴리에 |
원어 이름 | 장 테오필 데자굴리에 (Jean Théophile Desaguliers) |
출생 | 1683년 3월 12일 |
출생지 | 라로셸, 프랑스 왕국 |
사망 | 1744년 2월 29일 |
사망지 | 코번트 가든, 런던, 잉글랜드 |
학력 | |
출신 학교 | 크라이스트 처치, 옥스퍼드 |
학문 지도자 | 존 케일 |
주목할 만한 학생 | 스티븐 데망브레이 빌럼 스 흐라베산더 스티븐 그레이 |
경력 | |
직업 | 자연 철학자, 공학자 |
근무 기관 | 옥스퍼드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뉴턴 사상 보급 플라네타륨 환기 수압 증기 기관 |
수상 | 왕립 학회 회원 (1714년) 코플리 메달 (1734년, 1736년, 1741년) |
2. 생애
위그노 교도의 아들로 프랑스 라로셸에서 태어나 11세 때 낭트 칙령 폐지로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피신했다.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서 신학, 고전을 배우고 1710년에 부제가 되었다. 동시에 자연 과학을 공부했다. 1712년 런던으로 가서 아이작 뉴턴과 다른 왕립 학회 회원들과 교류하며 1714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27]
스티븐 그레이에 이어 도체와 부도체의 차이를 인식한 초기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물질이 마찰을 통해 대전되는지 여부에 주목하여, 부도체를 "electrics", 도체를 "nonelectrics"라고 부르는 용어를 만들었다.[28]
뉴턴의 이론을 보급하는 ''A course of Experimental Philosophy''를 출판했으며, 왕립 학회로부터 1734년, 1736년, 1741년에 걸쳐 코플리 메달을 받았다.
발명가로서도 활약하여 토머스 세이버리의 증기 기관을 분석하고 개량하여 보일러 안전 밸브 부착, 증기를 이용한 난방기, 수신 용기 내로의 냉수 직접 분사를 발명했다.[29]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위그노였던 아버지 장 데사굴리에가 프랑스 정부에 의해 추방된 지 몇 달 후, 라 로셸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 장 데사굴리에는 런던 주교 헨리 콤프턴에 의해 성공회 사제로 서품받고[1] 건지 섬으로 파견되었다. 아기 데사굴리에는 라 로셸의 개신교 사원에서 Jean Théophile Desaguliersfra로 세례를 받았으며,[2] 이후 어머니와 함께 건지 섬으로 탈출하여 아버지와 합류했다.1692년, 가족은 런던으로 이주했다. 아버지 장 데사굴리에는 런던 이즐링턴에 프랑스 학교를 세웠으나 1699년에 세상을 떠났다. 아들 존 테오필 데사굴리에는 영국식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705년까지 서튼 콜드필드에 있는 주교 베지 문법 학교(Bishop Vesey's Grammar School)에 다녔다.[3]
1705년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 입학하여 고전학을 공부했고, 1709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5] 재학 중 존 카일(John Keill)의 강의를 들으며 아이작 뉴턴의 자연 철학을 접했는데, 카일은 어려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혁신적인 시연을 활용했다. 1709년 카일이 옥스퍼드를 떠나자, 데사굴리에는 옥스퍼드 허트퍼드 칼리지의 전신인 하트 홀(Hart Hall)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1712년에는 하트 홀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5]
1719년, 옥스퍼드 대학교는 그에게 법학 박사 명예 학위를 수여했으며, 이 학위는 1726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도 편입되었다.[4][5] 이 명예 학위 수여 이후 그는 종종 '데사굴리에 박사'로 불렸다.[4]
학업과 병행하여 성직자의 길도 걸었다. 1710년 풀럼 궁전에서 부제 서품을 받았고, 1717년에는 런던의 일리 플레이스(Ely Place)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2. 2. 과학 강연자 및 뉴턴주의 전파
1712년, 데사굴리에는 런던으로 돌아와 실험 철학에 대한 공개 강좌를 시작했다.[6] 그는 영어, 프랑스어, 라틴어로 강의를 제공하며 당대 가장 성공적인 과학 강연자로 자리매김했다. 사망할 때까지 역학, 유체정역학, 공기역학, 광학, 천문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각각 약 20개의 강의로 구성된 140개 이상의 강좌를 진행했다. 그는 강의 내용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고, 청중을 위한 강의 노트를 출판했으며, 태양계를 시연하는 천구 모형이나 조석 운동을 설명하는 기계와 같은 자신만의 교육 장치를 직접 설계하여 활용했다. 1714년에는 아이작 뉴턴 등 왕립 학회 회원들과 교류하며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7] 1717년에는 햄프턴 궁전에 머물며 조지 1세 국왕과 그의 가족에게 프랑스어로 직접 강의하기도 했다.[7]데사굴리에는 스티븐 그레이의 연구에 이어 도체와 부도체의 차이를 명확히 인식한 초기 과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마찰 시 대전 여부에 주목하여, 전기를 통하지 않는 물질(부도체)을 'electrics', 전기를 통하는 물질(도체)을 'nonelectrics'라고 명명하는 등 전기 현상 연구에도 기여했다.[28]
뉴턴의 과학 이론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썼으며, 그 결과물 중 하나로 ''A course of Experimental Philosophy''라는 저서를 출판했다. 이러한 과학적 공로를 인정받아 1734년, 1736년, 1741년 세 차례에 걸쳐 왕립 학회로부터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
2. 3. 왕립 학회 활동 및 과학적 업적
1714년, 왕립 학회 회장이었던 아이작 뉴턴은 데사굴리에를 프랜시스 혹스비 (1660–1713)의 후임으로 학회 주간 회의 시연자로 초청했고, 같은 해 데사굴리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임명되었다.[8][27] 그는 뉴턴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옹호했으며, 1727년 뉴턴 사망 후 한스 슬론이 회장직을 맡았을 때도 학회 회의의 과학적 성격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데사굴리에는 왕립 학회 철학회보에 60편이 넘는 논문을 기고하는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쳤다.그는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전기학 연구에 기여했는데, 한때 그의 집에 머물렀던 스티븐 그레이와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데사굴리에는 도체와 부도체의 차이를 명확히 인식한 초기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마찰 시 대전 여부에 주목하여 이들을 구분하는 용어인 'electrics'(부도체)와 'nonelectrics'(도체)를 만들었다.[28] 그의 연구는 1742년 "전기에 관한 논문"(A Dissertation concerning Electricityeng)으로 정리되었고, 이 공로로 보르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또한 이 논문에서 오늘날 사용하는 '도체'(conductor)와 '부도체'(insulator)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데사굴리에는 뉴턴의 이론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썼으며, ''실험 철학 강의''(A Course of Experimental Philosophyeng)를 출판했다. 그의 뛰어난 과학적 공헌을 인정받아 왕립 학회는 그에게 1734년, 1736년, 1741년에 걸쳐 권위 있는 코플리 메달을 세 차례 수여했다. 1741년 마지막 수상은 당시까지 알려진 전기 현상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공로였다.
발명가로서도 활동하여 토머스 세이버리의 증기 기관을 분석하고 개량했다. 그는 보일러 안전 밸브를 부착하고, 증기를 이용한 난방기, 수신 용기 내로 냉수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고안했다.[29]
2. 4. 공학 분야 활동
데사굴리에는 자신의 과학 지식을 실용적인 공학 분야에 적극적으로 응용했다. 그는 증기 기관과 수력 공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1721년에는 에든버러 시의 급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11] 또한 환기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발휘하여, 영국 상원 의사당에서 사용되던 비효율적인 벽난로를 개선하고[12], 영국 하원 의사당의 탁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송풍 장치를 개발했다.[13]그는 토머스 세이버리의 증기 기관을 분석하고 개량하여 보일러 안전 밸브를 부착하고, 증기를 이용한 난방기와 수신 용기 내로 냉수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고안하는 등 중요한 개선을 이루었다.[29]
데사굴리에는 인간의 몸이 기계처럼 작동하는 방식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당시 유명했던 괴력의 사나이 토마스 토펌과 교류하며 그가 선보인 여러 재주들을 기록으로 남겼다. 토펌을 보디가드로 고용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
토목 공학 분야에서는 최초의 웨스트민스터 다리 건설과 관련된 위원회에서 의회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14] 템스강을 가로지르는 두 번째 다리였던 이 다리는 데사굴리에 사후인 1750년에 완공되었지만, 공사 과정에서 그의 집이 철거되기도 했다.
트라이볼로지(마찰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점착력이 마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인식한 인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덩컨 도슨에 의해 "트라이볼로지 거장" 23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5]
전기 연구 초기에도 기여했는데, 스티븐 그레이에 이어 도체와 부도체의 차이를 명확히 인식했다. 그는 물질이 마찰 시 대전되는지 여부에 주목하여, 부도체를 "electrics"(전기적 성질), 도체를 "nonelectrics"(비전기적 성질)라는 용어로 구분하여 명명했다.[28]
2. 5. 프리메이슨 활동
데사굴리에는 웨스트민스터 채널 로우(Channel Row)의 럼머 & 그레이프스 태번(Rummer & Grapes Tavern)에서 모임을 갖던 로지의 회원이었다. 이 로지는 후에 뉴 팰리스 야드(New Palace Yard)의 혼 태번(Horn Tavern)으로 이전했다.[16] 제임스 앤더슨 목사에 따르면, 이 로지는 1717년 6월 24일 다른 세 개의 로지와 합류하여 잉글랜드 최초 그랜드 로지를 결성했다. 새로운 그랜드 로지는 더 많은 로지가 합류하면서 빠르게 성장했고, 데사굴리에는 그 초기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719년에 세 번째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고, 이후 세 번이나 부 그랜드 마스터를 역임했다. 그는 1723년에 출판된 "프리메이슨 헌법(Constitutions of the Freemasons)"에서 제임스 앤더슨이 규칙을 제정하는 것을 도왔고, 메이슨 자선 단체의 설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731년 네덜란드로의 강연 여행 동안 데사굴리에는 로렌 공작 프란츠 (1708–1765)를 프리메이슨으로 입회시켰는데, 그는 후에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다. 데사굴리에는 또한 웨일스 공 프레데릭이 1731년에 프리메이슨이 되었을 때 사회를 주재했으며,[17] 그는 또한 공의 채플린이 되었다.
2. 6. 말년
존 테오필루스 데사굴리에는 오랫동안 통풍으로 고생했다.[22] 그는 1744년 2월 29일 베드포드 커피 하우스(Bedford Coffee House)의 숙소에서 사망했으며, 1744년 3월 6일 런던 사보이 예배당의 명망 있는 장소에 묻혔다.[23] 이 예배당은 데사굴리에의 위그노 출신 배경을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언론은 그를 '보편적으로 알려지고 존경받는 신사'로 언급했다.데사굴리에의 유언[24]에 따라 그의 재산은 장남에게 상속되었으며, 장남은 아버지의 저서 "실험 철학 강좌"의 두 번째 판을 출간했다. 데사굴리에는 생전에 결코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시인 제임스 코손이 그의 시 "인간 향락의 허영심"(1749)에서 묘사한 것처럼 극심한 가난 속에서 죽지는 않았다. 코손의 시구는 다음과 같다.
가련하고 무시받은 데사굴리에는 어떻게 쓰러졌는가!
두 명의 자애로운 왕에게
모든 보일이 고귀하게 하고, 모든 베이컨이 아는 것을 가르친 그는
친구 없이, 동전 한 푼 없이, 무덤 없이, 감옥에서 죽었네.
이 시는 데사굴리에 개인의 불행보다는 당시 과학자들이 겪었던 재정적 어려움과 사회적 지원 부족이라는 일반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3. 주요 업적
존 데사굴리에는 18세기 영국에서 과학, 공학, 그리고 프리메이슨 활동 등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아이작 뉴턴의 실험 철학을 계승하고 대중화하는 데 힘썼으며, 특히 증기 기관 개량, 수력 공학 문제 해결, 환기 시스템 개발 등 실용적인 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또한 초기 전기 연구에서 도체와 부도체의 개념을 구분하고 마찰학 분야 발전에 기여했으며, 물리학 연구에도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코플리 메달을 세 차례 수상했다.
더불어 데사굴리에는 프리메이슨 역사에서도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했다. 그는 잉글랜드 그랜드 로지의 설립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랜드 마스터와 부 그랜드 마스터를 여러 차례 역임했다. 또한 프리메이슨 헌법 제정에 참여하고 자선 활동을 이끄는 등 조직의 기틀을 다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럽의 주요 인물들을 프리메이슨으로 입회시키는 등 국제적인 영향력도 행사했다.
3. 1. 과학 및 공학
데사굴리에는 자신의 지식을 다양한 실용 분야에 적용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토머스 세이버리의 증기 기관을 분석하고 개량하여 보일러 안전 밸브를 부착하고, 증기를 이용한 난방기와 수신 용기 내로 냉수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발명하는 등 증기 기관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29] 또한 수력 공학에도 관심을 기울여 1721년 에든버러 시의 급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1]환기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발휘하여, 상원 의사당에서 사용될 더 효율적인 벽난로를 고안했으며[12], 하원 의사당의 탁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송풍기를 개발하여 수년간 사용되도록 했다.[13] 그는 최초의 웨스트민스터 다리 건설과 관련된 위원회에서 의회 고문 역할을 맡기도 했다.[14] 이 다리는 그가 사망한 후인 1750년에 완공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그의 집이 철거되기도 했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스티븐 그레이에 이어 도체와 부도체의 차이를 초기에 인식한 인물 중 하나였다. 그는 물질이 마찰 시 대전하는지 여부에 주목하여, 전기적 성질을 가진 물질을 "electrics"(현재의 부도체 해당), 그렇지 않은 물질을 "nonelectrics"(현재의 도체 해당)라는 용어로 구분했다.[28] 또한 트라이볼로지(마찰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점착력이 마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최초로 인식했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덩컨 도슨에 의해 23명의 "트라이볼로지 거장"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5]
데사굴리에는 아이작 뉴턴의 이론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썼으며, ''A course of Experimental Philosophy''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는 이러한 과학적 공헌을 인정받아 왕립 학회로부터 1734년, 1736년, 1741년 세 차례에 걸쳐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 그는 1714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27]
이 외에도 인간의 몸이 기계처럼 작동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당시 괴력으로 유명했던 토마스 토펌과 교류하며 그의 능력을 기록하기도 했다.
3. 2. 프리메이슨
데사굴리에는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채널 로우(Channel Row)의 럼머 & 그레이프스 태번(Rummer & Grapes Tavern)에서 모임을 갖던 로지(lodge)의 회원이었다. 이 로지는 후에 뉴 팰리스 야드(New Palace Yard)의 혼 태번(Horn Tavern)으로 이전했다.[16] 제임스 앤더슨 목사에 따르면, 이 로지는 1717년 6월 24일 다른 세 개의 로지와 합류하여 잉글랜드 최초 그랜드 로지를 결성했다.새로운 그랜드 로지는 더 많은 로지가 합류하면서 빠르게 성장했고, 데사굴리에는 그 초기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1719년에 세 번째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고, 이후 세 번이나 부 그랜드 마스터를 역임했다. 또한 1723년에 출판된 "프리메이슨 헌법(Constitutions of the Freemasons)"에서 제임스 앤더슨이 규칙을 제정하는 것을 도왔으며, 메이슨 자선 단체의 설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731년 네덜란드로 강연 여행을 갔을 때, 데사굴리에는 로렌 공작 프란츠 (1708–1765)를 프리메이슨으로 입회시켰다. 프란츠 공작은 후에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다. 데사굴리에는 또한 웨일스 공 프레데릭이 1731년에 프리메이슨이 되었을 때 입회 의식을 주관했으며,[17] 그의 채플린이 되기도 했다.
4. 저술
데사굴리에는 왕립 학회 철학 논문집에 다양한 주제에 관해 기고했으며, 자신의 강연을 듣는 청중들을 위해 여러 판의 강의 노트를 제작했다. 가끔 시를 쓰기도 했다. 또한,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된 기술 서적을 영어로 번역하는 작업도 했는데, 이때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아이작 뉴턴의 이론을 보급하기 위해 출판한 《실험 철학 강좌》(''A course of Experimental Philosophy'')가 있으며, 이 책은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참조
[1]
기록
Ordination Records
[2]
기록
Registers of l’Eglise reformée de La Rochelle
[3]
기록
[4]
서적
Alumni oronienses :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Oxford, 1500-1714: their parentage, birthplace, and year of birth, with a record of their degrees
http://archive.org/d[...]
Oxford and London, Parker and Co.
1891
[5]
웹사이트
John Theophilus Desaguliers
http://search.ancest[...]
Venn, J. A., Alumni Cantabrigien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2–1954.
2017-02-13
[6]
뉴스
Advertisement for Course of Lectures
1712-12-30
[7]
뉴스
Report on Court Affairs
1717-09-14
[8]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Sackler Archive
https://web.archive.[...]
2014-05-14
[9]
간행물
A Document Rescued from Oblivion. Accurate Autobiographical Details of the Career of Bro. the Rev. J. T. Desaguliers, Grand Master of England, 1719; Deputy Grand Master, 1722–23 and 1725
1925
[10]
서적
The Motion of Water and Other Fluids: Being a Treatise of Hydrostaticks
J Senex and W Taylor
1718
[11]
간행물
Edinburgh’s First Water Supply: The Comiston Aquesduct, 1675–1721
1997
[12]
기록
House of Lords Journal
1718
[13]
서적
The Mechanics' Magazine, Museum, Register, Journal, and Gazette, Volume 27
W A Robertson
1837
[14]
서적
Old Westminster Bridge: The Bridge of Fools
David & Charles
1979
[15]
학술지
Men of Tribology: Leonardo da Vinci (1452–1519)
https://asmedigitalc[...]
1977-10-01
[16]
서적
"The Foundations of Modern Freemasonry"
Sussex Academic Press.
2012
[17]
서적
Ars Quatuor Coronatorum
W J Parrett, Ltd.
1924
[18]
학술지
Descendants of Jean Desaguliers
[19]
뉴스
Advertisement
1743-01-13
[20]
문서
A Description of the Machine for the Fireworks, with all its Ornaments, and a Detail of the Manner in which they are to be Exhibited in St James's Park, Thursday 27 April 1749
W. Bowyer
1749
[21]
웹사이트
Index of officers: D
http://www.british-h[...]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University of London
2017-02-14
[22]
서적
A Treatise on Dissolvents of the Stone; and on Curing the Stone and Gout by Aliment
https://archive.org/[...]
James Buckland
1739
[23]
뉴스
Announcement
1744-03-07
[24]
기록
Will Registers
1744
[25]
웹사이트
Art UK
https://artuk.org/di[...]
[26]
웹사이트
The Newtonian system of the world, the best model of government : An allegorical poem. With a plain and intelligible account of the system of the world, by way of annotations: With copper plates: To which is added, Cambria's complaint against the intercalary day in the leap-year
https://archive.org/[...]
[27]
FRS
Desaguliers; John Theophilus (1683 - 1744)
2011-12-11
[28]
서적
エレクトロニクスを中心とした年代別科学技術史(第5版)
日刊工業新聞社
2001
[2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