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볼비는 1907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가로, 애착 이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의학을 공부하고 정신분석가 자격을 취득한 후, 전쟁 중 아동들의 분리 경험을 연구하며 아동 발달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볼비는 동물행동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영아의 애착 행동이 생존을 위한 진화적 전략이라는 혁신적인 주장을 제시했다. 그의 주요 저서인 『애착과 상실』 3부작은 애착 이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했으며, 메리 에인스워스의 '낯선 상황' 연구를 통해 애착 유형 연구를 발전시켰다. 볼비의 연구는 아동의 초기 사회성 발달 이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찰스 다윈의 전기 저술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심리학자 - 데이비드 하틀리
데이비드 하틀리는 18세기 영국의 의사이자 철학자로, 감각 경험의 연합을 통해 복잡한 의식이 형성된다는 '진동설'과 '관념연합설'을 제시하며 경험주의적 심리학에 기여했고, 그의 이론은 결정론적 입장과 연결되어 당대 지식인들과 현대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심리학자 - 멜라니 클라인
멜라니 클라인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정신분석가로, 아동 정신분석과 대상 관계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놀이 치료 기법을 개발하고 인간 발달과 방어 기제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 입양, 위탁, 고아 돌봄, 격리 - 가출
가출은 부모 허락 없이 집을 나간 후 돌아오지 않는 행위로, 가정 문제, 또래 관계, 학업 부진, 양육 방식 등이 원인이 되어 청소년의 부적응, 비행, 범죄 피해, 심리적 문제 등을 야기하며, 국가별 현황과 지원 정책이 다르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 입양, 위탁, 고아 돌봄, 격리 - 가정위탁
가정위탁은 친가정에서 양육될 수 없는 아동에게 다른 가정이 일시적인 보호와 양육을 제공하여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는 아동 복지 제도이며, 친족, 비친족, 단기, 장기, 전문 위탁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 발달심리학자 - 제롬 브루너
제롬 브루너는 인지 심리학, 발달 심리학, 교육 심리학에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인지 과학자로, 인지 혁명을 주도하고 발견 학습, 나선형 교육과정, 비계 개념 등을 제시하며 교육 개혁과 서사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발달심리학자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존 볼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볼비 |
출생 | 1907년 2월 26일 |
출생지 | 영국 런던 |
사망 | 1990년 9월 2일 (향년 83세) |
사망지 | 스코틀랜드 스카이 섬 |
국적 | 영국 |
학력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 |
경력 | |
직업 | 정신과 의사, 정신분석학자 |
근무 기관 | 모즐리 병원, 타비 스톡 클리닉, 세계 보건 기구 |
학문 분야 | |
분야 | 심리학, 정신 의학, 정신분석학, 아동 정신 의학, 동물 행동학 |
영향 | 멜라니 클라인, 안나 프로이트 |
주요 업적 | 애착 이론 연구 |
수상 | |
수상 | CBE, FRCP |
2. 가족 배경
볼비는 1907년 런던의 중상류층 가정에서 여섯 자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당시 영국 중상류층의 관습에 따라, 볼비는 주로 유모의 손에서 자랐으며, 어머니와의 접촉은 매일 티타임 후 한 시간 정도로 제한적이었다.[50] 어머니 메리는 아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애정을 주는 것이 아이를 망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50] 볼비는 보조 유모 미니에게 주로 양육되었는데, 미니는 볼비에게 어머니와 같은 존재였다.[46] 볼비가 4살이 되었을 때, 미니가 집을 떠났고, 볼비는 이 사건을 어머니를 잃은 것과 같은 비극으로 느꼈다.[51]
존 볼비는 외과의사인 아버지의 권유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나,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재학 중 발달 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3학년 때 의학을 포기했다. 이후 프라이어리 게이츠라는 학교에서 문제아들을 가르치는 교사로 일했는데, 이 경험이 그의 연구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10][11]
볼비의 아버지 앤서니 볼비 경은 왕실 외과의사였다.[47] 앤서니 볼비 경은 5살 때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종군기자로 활동하던 아버지 토마스 윌리엄 볼비를 잃은 경험이 있었다.[47]
볼비의 부모는 1897년 파티에서 만나 1년 후 결혼했다. 결혼 생활은 앤서니의 누이와의 갈등, 그리고 앤서니와 메리가 떨어져서 생활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힘들게 시작되었다.[48]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버지 앤서니는 군 복무로 인해 1년에 한두 번만 집에 올 수 있었고, 자녀들과 거의 접촉하지 못했다. 어머니 메리는 앤서니로부터 편지를 받았지만, 아이들에게 알리지 않았다.[52]
7세 무렵, 볼비는 당시 같은 계층 소년들에게 흔한 기숙학교에 보내졌다. 볼비는 훗날 이 경험을 매우 끔찍하게 여겼다고 기술했다.[54]
3. 경력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심리학과 임상 전 과학을 공부한 후,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26세에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의과대학 재학 중 정신분석학연구원에서 정신분석학을 공부했고, 모즐리 병원에서 성인 정신의학을 훈련받은 후 1936년 30세에 정신분석가 자격을 취득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영국 육군 의무단 중령으로 복무하며 장교 선발의 심리적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0] 전쟁 기간 동안 가족과 떨어진 아이들을 관찰하며 분리 연구를 확장했다.
종전 후, 타비스톡 클리닉 부소장이 되었고, 1950년부터 세계보건기구 정신 건강 자문관을 역임했다. 적응 장애 아동 및 비행 청소년과의 이전 작업을 바탕으로 아동 발달에 관심을 갖고 이즐링턴의 런던 아동지도 클리닉에서 일했다.[13]
멜라니 클라인의 감독하에 정신분석 훈련을 받았으나, 아이의 어머니에 대한 환상보다 실제 관계의 역사를 강조하여 정신분석계에서 배척당하기도 했다.[18] 1977년 인터뷰에서 그는 당시 정신분석을 둘러싼 무의식적 환상 이론과 자신의 발달 이론이 완전히 달랐기 때문에 정신분석계가 자신의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10]
3. 1. 대학 시절
볼비는 아버지의 권유로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의학을 전공하기 시작했지만, 해부학이나 자연과학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58][10] 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발달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3학년 때 의학 공부를 중단했다.[58][10] 의학을 관둔 후, 프리어리 게이츠라는 학교에서 부적응 아동들을 가르치는 기회를 얻었다.[58][10] 볼비는 이 학교에 간 이유가 총명한 직원 존 알포드(John Alford) 때문이라고 했다.[59][11] 그는 이곳에서 자신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는 경험을 했다고 회고했다. "이 일에 재밌었기에 일은 나에게 잘 맞았다. 그리고 그곳에 있었을 때, 내가 아는 모든 것을 배웠다. 내 인생에서 정말로 가장 가치 있는 6개월이었다. 분석학으로 지향할 만하였다."[59][11] 그는 오늘날 문제들이 발달 과정과 관련하여 이해하고 다뤄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프리어리 게이츠에서의 경험이 연구 경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덧붙였다.[59][11]
3. 2. 정신분석가로의 길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심리학과 사전임상과학을 공부하여 뛰어난 성적으로 상을 받았다. 22세에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병원에 입학하여 의학 공부를 계속했고, 26세에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의과대학 재학 중 정신분석학연구원에 들어가 정신분석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의과대학 졸업 후 모즐리 병원에서 성인정신의학을 수련하였으며, 1936년 30세에 정신분석가 자격을 취득했다.[10][11]
3. 3. 2차대전 시기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6개월 동안 볼비는 런던 캐넌버리(Canonbury)에 있는 런던 아동 보호 클리닉에서 내과의사로 일했다.[60] 이후 왕립육군의무대 소속 중령으로 참전하여, 심리학적 장교 선발 방식 연구를 지휘했다. 이는 전시장교선발청(War Office Selection Boards) 설립으로 이어졌다. 복무 중 타비스톡 클리닉 회원들과 접촉하기도 했으며, 1940년 5, 6월 동안 긴급구조대(Emergency Medical Services)에서 전쟁신경증(war neurosis)을 다뤘다.[61]
런던 대공습으로 캐넌버리 클리닉의 아동들이 캠브리지로 대피하면서, 볼비는 부모와 분리된 아동들을 관찰하고 연구할 기회를 얻었다.[62] 이때 런던과 캠브리지를 왕복하며 사적으로 환자를 돌봤다고 한다.[63] 이 경험을 통해 볼비는 부모와 유모로부터 떨어져 런던에서 캠브리지로 대피해 온 아동들과 함께 연구하며, 전쟁 이전부터 관심을 가져온 분리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3. 4. 비행청소년 연구 : 『44명의 청소년 도둑』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볼비는 『44명의 청소년 도둑(Forty-four Juvenile Thieves)』을 집필하기 시작하여 1944년에 출판하였다. (1946년 재판)[64] 볼비는 캐넌버리 클리닉에서 만난 비행청소년 44명과 비행 경험이 없는 대조군 44명을 비교 연구하였다.[66] 비행 청소년들은 정상, 우울, 동료, 앙양자, 애정결핍, 조현병의 여섯 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되었다.[67]
연구 결과, 비행청소년 중 17명이 5세 이전에 주 양육자와 6개월 이상 장기간 분리된 경험이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단 2명만이 그러한 경험을 하였다.[66] 특히, '애정결핍' 성향을 보인 청소년 14명 중 12명이 이러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67] 이 연구는 초기 환경 경험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볼비의 관심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3. 5. 전후 활동 : 전쟁과 아동 분리, 애착
종전 후, 볼비는 타비스톡 클리닉의 부원장이 되었고, 1950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신건강고문위원을 맡았다.[68] 전쟁 기간 동안 가족과 분리된 아동들(킨더트랜스포트 협의에 따라 구조된 유대인 아동, 런던대공습을 피해 대피한 아동, 집단 보육에 맡겨진 아동 등)의 사례에 주목하였다.[69]
볼비는 분리 문제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켰다.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와 도로시 벌링험(Dorothy Burlingham)의 피난민 연구, 르네 스피츠(René Spitz)의 고아 연구에 관심을 보였다.[69] 1950년대 말, 볼비는 탄생 이후 인간의 발달에 있어 애착(attachment)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 실측적 이론적 연구를 축적하였다.[7]
4. 연구에 끼친 영향들
볼비의 연구와 애착 이론 발전에 영향을 미친 주요 경험은 다음과 같다.
- 프리어리 게이츠 학교에서 부적응 아동 및 비행 청소년들과 함께 연구를 수행하였다.[71]
- 전쟁으로 가족과 떨어진 아동들을 연구하여 『44명의 청소년 도둑』을 집필하였다.[72]
- 제자 메리 애인스워스의 '낯선 상황' 실험, 애착 유형 모델, '안전 기지' 개념이 볼비에게 영향을 주었다.[73]
- 제임스 로버트슨의 다큐멘터리 'A Two-Year Old Goes to Hospital'은 주 양육자로부터 분리된 아동들의 고통을 보여주었고, 이는 병원 방문 규제 완화 캠페인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정신분석가들은 아이들의 슬픔을 무의식적 환상으로 치부했다.[74]
- 멜라니 클라인과의 정신분석 훈련 과정에서, 볼비는 클라인과 엄마의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클라인은 아이의 환상을, 볼비는 실제 관계를 강조했다. 이로 인해 볼비는 정신분석학계에서 소외되었다.[75] 그는 자신의 관점이 클라인 학파와 다르다고 진술했다.[75] 1977년 인터뷰에서는 정신분석학계가 자신의 발달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76]
- 도널드 위니컷은 볼비의 연구와 경력에 큰 영향을 주었다. 둘은 유년 초기 사회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간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소인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했다.[78],[79] 그러나 볼비는 환경의 내면화에, 위니컷은 내면세계와 외부 사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졌다.[80] 위니컷은 볼비의 연구가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도왔다.[81]
5. 모성 박탈
1949년, 볼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위임을 받아 전후 유럽의 전쟁 고아들의 정신 건강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84] 1951년, 『모성 양육과 정신건강(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이 보고서에서,[85] 볼비는 영유아기에 엄마 또는 엄마를 대체하는 양육자와 따뜻하고 친밀하며 지속적인 관계가 결핍될 경우, 아동의 정신 건강에 심각하고 불가역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보고서는 영유아 시설 보호 관행과 병원 방문 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나, 동시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88]
일부에선, 사람으로서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엄마 혹은 그에 상응하는 존재의 사랑이 필요하며[86] 아이와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은 부모의 양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볼비의 주장에[87] 반대하였다. 또한, 볼비의 가설이 어느 정도까지 증거를 통하여 증명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특히 최초 애착 대상(primary attachment figure)이 아예 없었다는 의미의 '모성 결핍(maternal privation)'과 최초 애착 대상이 중간에 상실되었다는 의미의 '모성 박탈(maternal deprivation)'의 효과에 대한 혼동, 그중에서도 최초 애착 대상 결핍의 효과와, 시설 내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박탈과 자극부족(understimulation)이라는 형태를 구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다.[88]
1962년, 세계보건기구는 『모성 양육의 박탈 : 그 효과에 대한 재평가(Deprivation of maternal care: A Reassessment of its Effects)』를 출판하여, 기존 연구의 오해를 해소하고 부성 박탈 효과에 대한 증거 부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90]
6. 애착 이론
볼비는 기존 정신분석학 이론에 불만을 느끼고, 진화생물학, 동물행동학, 발달심리학, 인지과학, 제어체계이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애착 이론을 정립하였다.[93] 그는 영아기 유대가 진화 압력의 결과로 나타난 생존 기제라고 보았으며, 애착 행동이 아동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진화적 생존 전략이라고 주장하였다.[70]
볼비는 1950년대 이후의 연구활동과 애착이론 발전 과정에 있어 중요한 경험으로 다음 여섯 가지를 언급하였다.
번호 | 내용 |
---|---|
1 | 프리어리 게이츠 학교에서의 강의를 통해 부적응 아동과 비행청소년들과 함께 연구 작업을 수행하였다.[71] |
2 | 전쟁으로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피난하게 된 아동들과의 연구 수행은 『44명의 청소년 도둑』 집필로 이어졌다.[72] |
3 | 제자 메리 애인스워스의 낯선 상황 연구, 애착유형 모델 개발, 안전 기지 개념 등이 볼비에게 영향을 주었다.[73] |
4 | 제임스 로버트슨의 다큐멘터리 A Two-Year Old Goes to Hospital 제작에 참여하여, 주 양육자로부터 분리된 아동들이 경험한 상실과 고통의 충격을 알리고, 관련 정책 변화를 이끌어냈다.[74] |
5 | 멜라니 클라인과의 정신분석 훈련 과정에서, 엄마의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인해 정신분석학계에서 소외되는 경험을 하였다.[75] |
6 | 도널드 위니컷과의 교류를 통해 유년 초기 사회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고, 연구와 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78] |
1949년, 볼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위임을 받아 전후 유럽의 전쟁 고아들의 정신 건강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1951년 『모성 양육과 정신건강(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을 출간하였다.[84][85] 이 책에서 볼비는 영유아가 엄마(혹은 엄마를 대체하는 인물)와 따뜻하고 친밀하며 지속적인 관계를 경험해야 건강한 정신 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당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영유아 시설 보호 정책과 병원 방문 정책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볼비의 이론은 '모성 결핍'과 '모성 박탈'의 개념 혼동, 증거 부족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88] 또한, 여성의 취업과 아동의 주간보호(daycare)를 저해하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는 비판도 있었다.[89] 1962년 세계보건기구는 『모성 양육의 박탈 : 그 효과에 대한 재평가(Deprivation of maternal care: A Reassessment of its Effects)』를 출판하여 오해를 해소하고 부성 박탈 효과에 대한 증거 부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90]
볼비는 『모성 양육과 정신건강』 출간 당시 데이터가 어떠한 이론에도 적용되지 않았다고 회고하며, 이후 애착 이론을 개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92] 그는 프로이트의 정신 에너지 모델과 같은 낡은 이론 대신 최신 과학 성과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이론을 개발해야 함을 깨달았다.[94]
6. 1. 동물행동학과 진화학 개념 도입
1950년대부터 볼비는 니코 틴베르겐, 콘라드 로렌츠, 로버트 힌데와 같은 유럽의 동물행동학자들과 교류하였다.[96] 볼비는 거위 새끼들이 태어나면서 처음 본 살아있는 물체에 각인된다는 로렌츠의 연구에 감명받았다. 줄리안 헉슬리의 영향을 받았는데, 헉슬리는 볼비에게 틴베르겐의 『본능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Instinct)』를 소개시켜 주었고, 볼비는 자신의 정신분석학 연구에 도움을 줄 동물행동학을 깊이 연구하였다.[97][98] 정신분석학을 다시 쓰기 위하여 헉슬리의 지침에 따라, 탄탄한 이론을 기반으로 한 동물행동학 분야에 주목하고 관심을 가졌다. 볼비는 정신분석학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동물행동학적 연구 방법에 감명받았다.[99] 광범위한 자료를 접하면서, 볼비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데이터를 통하여 동물행동학자들이 이론적 사상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00]이를 통해 볼비는 인간 애착 행동이라는 새로운 설명적 가설을 개발하였다. 특히 동물행동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하여, 1940, 50년대 정신분석학에서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던 애착의 '찬장 이론(Cupboard Love theory of attachment)'과 학습 이론에 반대하였다. 또한 볼비는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혹은 불안한 인간 행동 개념을 소개했다. 이는 인간 애착의 종 특이성 성향과 종 유전성 성향이라는 이론, 특정한 양육 보금자리에 적응하기 위하여 취하는 환경적으로 불안정한 전략으로서 애착 안정에서 개인차가 발생한다는 개념, 이 두 가지를 결합하는 파격을 선보였다. 양육자-아이 관계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볼비의 발상은 동물행동학 연구에 영향을 주었고, 틴베르겐, 힌데, 해리 할로 등의 동물행동학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할로우의 제자 스티븐 수오미는 볼비의 이론이 동물행동학에 공헌하였다고 말하였다.[101] 일례로, 붉은털원숭이나 기타 원숭이 혹은 영장류 연구에 볼비의 애착 연구를 할로우가 도입하였다는 것이다.[102] 또한, 볼비의 영향으로 동물 연구자들이 동물의 분리 경험을 연구하게 되었다는 점, 각각의 애착 유형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초래되는 결과들에 관한 지식을 동물행동학(할로우 연구에서의 붉은털원숭이 사례)에 도입시켰다는 점을 들었다. 수오미는 볼비는 겉으로는 정신분석학자이지만 마음속으로는 진정한 동물행동학자라고 하였다.[103]
반 더 호르스트, 반 더 베르, 반 에이젠도른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볼비는 힌데가 영장류의 애착과 분리라는 기존의 틀을 깨는 연구를 시행하는데 자극을 주었고, 인간의 발달 과정에 관한 진화적 발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발상은 여러 학문이 결합된 진화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한다. 동물행동학과 애착 이론의 만남은 말 그대로 학문 융합이었던 것이다."[104]
6. 2. 『애착과 상실』 3부작
Attachment and Loss영어 3부작은 1969년 『애착(Attachment)』, 1972년 『분리 : 불안과 분노(Separation: Anxiety and Anger)』, 1980년 『상실 : 슬픔과 우울(Loss: Sadness and Depression)』로 구성되어 있다.[105] 볼비는 이 3부작을 통해 애착 이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애착 이론에 따르면, 영아는 생존을 위해 애착 대상으로 판별된 사람에게 접근하고자 하는 행동을 보인다. 영아는 자신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생후 6개월에서 2년 사이에 몇 달간 지속적인 양육자가 된 성인에게 애착을 형성한다. 이러한 애착 형성은 반드시 생물학적 어머니일 필요는 없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이 양보다 더 중요하다.[107]
부모의 반응은 애착 유형 발달로 이어지며, 이는 이후의 대인관계에서의 감정, 생각, 기대를 유도할 내적작동모델 형성에 기반이 된다.[106] 볼비는 모든 인간이 자아에 대한 내적작동모델과 타자에 대한 내적작동모델을 개발하며, 이는 초기 양육자와의 경험에서 형성된다고 보았다. 자아모델은 자신감, 자존감, 의존성에 영향을 주며, 타자모델은 회피나 접근 지향, 고독, 고립,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준다.[106]
볼비 이론에서, 영아는 성인 양육자와의 안정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관계가 결핍될 경우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 애착 대상을 안전 기지로 이용하여 세상을 탐색한다. 메리 애인스워스는 '낯선 상황' 연구를 통해 애착 유형을 구분하고, '안전 기지' 개념을 발전시키는 등, 볼비의 애착 이론을 확장하고 검증하는 데 기여하였다.[107]
7. 다윈의 전기
볼비의 마지막 저서는 사후 출간된 찰스 다윈의 전기였다. 이 책에서 볼비는 다윈의 수수께끼 같은 질병과 그 질병이 심인성 질환인지에 대해 다루었다.[108] 볼비는 다음과 같이 썼다.
"가족 구성원 간의 현재 관계를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가족 관계 유형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는 이전 세대, 재난, 그리고 그들의 삶과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준 사건들에 대한 연구로 이어진다. 다윈이 성장한 가족의 경우, 이 연구가 충분한 보상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만으로도, 다윈의 조부 세대에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109]
이는 볼비의 모든 경력이 아동의 초기 환경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볼비는 정신 질환은 물론 찰스 다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어린 시절 환경의 중요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다.
8. 볼비의 업적
비판이 있긴 하지만, 볼비의 애착 이론은 초기 사회성 발달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배적인 접근법으로 여겨지며, 아동의 밀접한 관계 형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크게 증가시켰다.[110] 볼비의 애착 이론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원칙들을 강조한다.[111]
번호 | 내용 |
---|---|
1 | 생후 6개월에서 30개월 사이의 아이들은, 특히 양육자가 아이와의 의사소통에 민감하고 반응을 잘 할 경우, 친밀한 양육자와 정서적 애착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
2 | 어린아이의 정서적 애착은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는 특정한 친숙한 사람들에 대한 선호, 고통을 느낄 때 이런 친숙한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경향, 주위 환경 탐색의 출발점이 되는 안전 기지로서 친숙한 성인을 사용하는 능력에서 엿보인다. |
3 | 아이의 정서적 애착 형성은 이후의 정서 발달과 인격 발달의 기반이 된다. 또한 걷기 시작할 무렵의 아이가 친숙한 성인에게 보여주는 행동 유형은 이후 삶에서 보여줄 사회적 행동과 다소의 연속성을 보인다. |
4 | 걷기 시작할 무렵 아이가 친숙한 사람들과 갑작스럽게 헤어지거나, 상호작용에 대하여 양육자가 민감하거나 반응하지도 않고 지속적이지도 않게 행동하는 등, 애착에 지장을 주는 사건들은 아이의 정서적, 인지적 측면에 있어 단기적이거나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
이외에도, 키르기스스탄의 한 산 이름은 볼비이다.[112]
9. 관련 인물
메리 애인스워스(Mary Ainsworth)는 '낯선 상황(Strange Situation)'이라는 구조화된 관찰 기법, 애착 유형 모델 개발, '안전 기지(secure base)' 개념 등의 연구를 통해 볼비에게 영향을 주었다.[73]
도널드 위니컷(Donald Winnicott)은 소아과의사이자 아동정신분석가로, 볼비의 연구와 경력에 중대한 영향을 주었다. 볼비와 위니컷은 유년 초기 사회관계의 중요성을 처음 강조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78] 두 사람은 모두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사회적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건강한 발달을 위해 이러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소인(predisposition)이 있다고 주장하였다.[79] 그러나 볼비는 아동의 환경이 어떻게 내면화되어 아동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을 보인 반면, 위니컷은 아동의 내면세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이를 통해 외부 사건이 어떻게 내면세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80] 볼비는 위니컷이 자신의 연구를 정책으로 바꾸는 데 중요한 인물이었다고 말했다.[83]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은 볼비의 정신분석 훈련 과정에서 감독을 맡았으나, 3세 아동 치료에서 엄마의 역할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다. 클라인은 엄마에 대한 아이의 환상을 중요시했지만, 볼비는 실제 관계의 역사를 강조하였다. 볼비는 아이가 무의식적 환상이 아닌 실제 생활의 사건에 반응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신분석가들은 이 주장을 거부하여 볼비는 정신분석학계에서 소외되었다. 이후 볼비는 자신의 관점이 클라인 학파와는 이질적이었다고 말했다.[75]
참조
[1]
논문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2]
간행물
Edward John Mostyn Bowlby
http://munksroll.rcp[...]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18-03-01
[3]
웹사이트
Dr Edward John Bowlby
https://www.rcpch.ac[...]
The Royal College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17-02-28
[4]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
논문
Keeping on Pushing: An Interview with Richard Bowlby
https://firingthemin[...]
Karnac books
2007-03
[6]
서적
Fifty Years of Attachment Theory: Recollections of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Karnac Books
[7]
서적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Viking/Allen Lane
[8]
서적
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
Schocken
[9]
간행물
Burke's Peerage
[10]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11]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12]
서적
Forty-Four Juvenile Thieves: Their Character and Home-Life
Bailliere, Tindall & Cox
[13]
서적
The Use of Psychoanalytic Concepts in Therapy with Families
Karnac Books
[14]
서적
Understanding attachment
Praeger
[15]
논문
John Bowlby and James Robertson: theorists, scientists and crusaders for improvements in the care of children in hospital
https://onlinelibrar[...]
2001-07
[16]
서적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논문
A two year old goes to the hospital
[18]
논문
Zur Theorie der Abelschen Funktionen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23
[19]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20]
서적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personal and professional perspectives
Karnac Books Ltd
[21]
논문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22]
서적
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3]
논문
In the interests of the child: psychiatry, adoption, and the emancipation of the single mother and her child – the case of the Netherlands (1945–1970)
2019-01-02
[24]
논문
This house is not a home: residential care for babies and toddlers in the two Germanys during the Cold War
2021-07-03
[25]
논문
Discovering Bowlby: infant homes and attachment theory in West Germany after the Second World War
2021-07-20
[26]
서적
A Social Scientist's Approach to Maternal Depriv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7]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Concepts: Retrospect and Prospect
[28]
서적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Penguin
[29]
서적
Deprivation of Maternal Care: A Reassessment of its Effe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서적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Routledge
[31]
서적
The Nature of a Childs Ties
Guilford press
[32]
잡지
This Week's Citation Classic
http://www.garfield.[...]
2008-03-27
[33]
서적
John Bowlby- From Psychoanalysis to Ethology. Unraveling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John Wiley & Sons Ltd
[34]
논문
"When strangers meet": John Bowlby and Harry Harlow on attachment behavior
[35]
서적
Influence of attachment theory on ethological studies of biobehavioral development in nonhuman primates
The Analytic Press
[36]
논문
John Bowlby and ethology: An annotated interview with Robert Hinde
[37]
서적
Attachment
Basic Books
[38]
서적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Guilford press
[39]
서적
Charles Darwin: A New Life
Norton
[40]
서적
John Bowlby and attachment theory
Routledge
[41]
서적
Introducing Child Psychology
Blackwell
[42]
서적
Understanding Attachment
Praeger
[43]
웹사이트
Mt. John Bowlby & Peak Mary Ainsworth
http://www.psycholog[...]
2016-08-16
[44]
서적
精神分析事典
岩崎学術出版社
[45]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46]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47]
서적
Attachment. Vol. 1,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and relational psychoanalysis
Karnac books
[48]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49]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0]
서적
Fifty Years of Attachment Theory: Recollections of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Karnac Books
[51]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2]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3]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4]
서적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Viking/Allen Lane
[55]
서적
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
Schocken
[56]
서적
John Bowlby: His Early Life: A Biographical Journey into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Free Association Books
[57]
서적
Burke's Peerage
[58]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59]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0]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1]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2]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3]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4]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5]
웹사이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66]
서적
Forty-Four Juvenile Thieves: Their Character and Home-Life
Bailliere, Tindall & Cox
[67]
서적
Forty-Four Juvenile Thieves: Their Character and Home-Life
Bailliere, Tindall & Cox
[68]
서적
The Use of Psychoanalytic Concepts in Therapy with Families
Karnac Books
[69]
서적
Understanding attachment
Praeger
[70]
서적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Viking/Allen Lane
[71]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72]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73]
서적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4]
서적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Viking/Allen Lane
[75]
서적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Viking/Allen Lane
[76]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77]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78]
서적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personal and professional perspectives
Karnac Books Ltd
[79]
서적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personal and professional perspectives
Karnac Books Ltd
[80]
서적
Donald Winnicott and John Bowlby: personal and professional perspectives
Karnac Books Ltd
[81]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82]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83]
논문
John Bowlby, Interview with Dr. Milton Senn
http://www.beyondthe[...]
[84]
논문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85]
서적
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
World Health Organisation WHO
[86]
논문
A Social Scientist's Approach to Maternal Depriv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Public Health Papers
[87]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Concepts: Retrospect and Prospect
[88]
서적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Penguin
[89]
서적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Penguin
[90]
서적
Deprivation of Maternal Care: A Reassessment of its Effe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Public Health Papers
[91]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Concepts: Retrospect and Prospect
[92]
서적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Routledge
[93]
서적
The Nature of a Childs Ties
Guilford press
[94]
논문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95]
간행물
This Week's Citation Classic
1986-12-15
[96]
논문
John Bowlby and ethology: An annotated interview with Robert Hinde
[97]
논문
John Bowlby and ethology: An annotated interview with Robert Hinde
[98]
서적
John Bowlby- From Psychoanalysis to Ethology. Unraveling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John Wiley & Sons Ltd
[99]
서적
John Bowlby- From Psychoanalysis to Ethology. Unraveling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John Wiley & Sons Ltd
[100]
서적
John Bowlby- From Psychoanalysis to Ethology. Unraveling the Roots of Attachment Theory
John Wiley & Sons Ltd
[101]
논문
""When strangers meet": John Bowlby and Harry Harlow on attachment behavior
[102]
논문
Influence of attachment theory on ethological studies of biobehavioral development in nonhuman primates
The Analytic Press
[103]
논문
Influence of attachment theory on ethological studies of biobehavioral development in nonhuman primates
The Analytic Press
[104]
논문
John Bowlby and ethology: An annotated interview with Robert Hinde
[105]
서적
Attachment
Basic Books
[106]
서적
A Construct Revisited
Guilford press
[107]
서적
Attachment
Basic Books
[108]
서적
Charles Darwin: A New Life
Norton
[109]
서적
Charles Darwin: A New Life
Norton
[110]
서적
Introducing Child Psychology
Blackwell
[111]
서적
Understanding Attachment
Praeger
[112]
웹사이트
Mt. John Bowlby & Peak Mary Ainsworth
2016-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