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하워드 그리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하워드 그리핀은 미국의 작가이자 인권 운동가로, 1920년 댈러스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유학하며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시력을 잃었으나 회복했으며, 가톨릭교로 개종하여 두 번 결혼했다. 1959년 흑인으로 변장하여 미국 남부의 인종 차별 현실을 고발한 논픽션 《나처럼 검은 밤》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 책은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며, 그는 시민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리핀은 1980년 당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뇨병으로 죽은 사람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당뇨병으로 죽은 사람 - 장면
장면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제2공화국 초대 국무총리 및 제4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가톨릭 신자로서 교육계에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유엔 승인에 기여했으나, 4·19 혁명 후 국무총리로서 의원내각제를 이끌다 5·16 군사정변으로 축출되었고 그의 삶과 정치 활동은 논쟁과 의혹 속에 평가된다. - 미국의 언론인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미국의 언론인 - 크리스토퍼 히친스
영국 태생의 저널리스트, 작가이자 사회 비평가였던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무신론자로서 헨리 키신저, 마더 테레사, 조직화된 종교 등에 대한 비판, 좌파적 신념에서 자유주의적 입장으로의 전환, 《신은 위대하지 않다》를 비롯한 저서, 그리고 "새로운 무신론" 운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등 미국과 영국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80년 사망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1980년 사망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존 하워드 그리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0년 6월 16일 |
출생지 |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
사망일 | 1980년 9월 9일 |
사망지 |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 |
교육 | 푸아티에 대학교 |
직업 | 작가 |
배우자 | 엘리자베스 앤 홀랜드 (1953년 결혼) |
자녀 | 4명 |
정당 | 미국 민주당 |
대표작 | 블랙 라이크 미 |
2. 생애
그리핀은 미국으로 돌아와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39개월 동안 남태평양에서 복무하며 용맹함을 인정받아 훈장을 받았다.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솔로몬 제도의 누니 섬에서 유일한 유럽계 미국인으로 현지 문화를 연구했다. 그는 척추 말라리아에 걸려 일시적으로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3] 이 해에 그리핀은 섬 여인과 결혼했다.[2] 1946년, 일본 폭탄으로 인한 심각한 뇌진탕 후유증으로 시력을 서서히 잃었으며,[4] 1957년에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시력을 회복했다.[5]
텍사스로 돌아온 그는 1952년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재속 가르멜회 회원이 되었고, 피아노를 가르쳤다. 이후 제자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 앤 홀랜드와 결혼하기 위해 교황청으로부터 교황 특사를 받았으며, 둘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있었다.
1952년, 그는 첫 소설 ''악마는 바깥으로 간다''를 출판했다. 이 소설은 젊은 미국 작곡가가 그레고리오 성가를 공부하기 위해 전후 프랑스의 한 수도원을 방문하는 내용을 담은 미스터리 소설이다.[6]
1940년대와 1950년대 동안, 그리핀은 시력 상실과 회복에 대한 여러 편의 에세이를 썼다.[7] 시력을 회복한 후에는 사진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56년에는 솔로몬 제도에서의 1년간의 "고립"을 바탕으로 한 반자전적 소설 ''누니''를 출판하여 민족지학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존 하워드 그리핀은 1920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태어났다.[2] 그의 어머니는 클래식 피아니스트였으며, 그리핀은 어머니로부터 음악에 대한 사랑을 물려받았다. 그는 음악 장학금을 받아 프랑스로 건너가 푸아티에 대학교에서 프랑스어와 문학을, 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에콜 드 메드신에서 수학했다. 19세에 그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의무병으로 합류하여 생나제르의 대서양 항구에서 일하며 오스트리아 유대인들이 영국으로 안전하게 탈출하도록 도왔다.[3]2. 2. 《나처럼 검은 밤》 집필과 사회적 영향
1959년 가을, 그리핀은 인종 차별이 합법이었던 미국 남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통을 직접 조사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흑인들은 선거권을 박탈당했고 정치 시스템에서 배제되었으며, 백인들은 증가하는 시민권 운동에 맞서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8]그리핀은 피부를 어둡게 하기 위해 뉴올리언스의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 선램프 치료, 피부 크림을 사용했다. 그리핀은 곧은 머리카락을 감추기 위해 머리를 삭발했다. 그는 6주 동안 뉴올리언스와 미시시피의 일부 지역(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를 방문)을 흑인으로 여행하며 주로 버스와 히치하이킹으로 이동했다. 그는 나중에 여행을 기록한 사진 작가와 동행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그가 작성할 기사에 대한 우선 출판권을 대가로 세피아 잡지에서 지원했다. 이 기사는 '수치심 속으로의 여정'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그가 앨라배마 몽고메리에서 여행을 마치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햇빛을 피하기 위해 호텔 방에서 3일 동안 틀어박혀 피부를 어둡게 하는 약 복용을 중단했다.[8]
그리핀은 이 프로젝트를 확장하여 1961년에 ''나처럼 검은 밤''라는 제목으로 출판했으며, 이 책은 1961년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딥 사우스의 인종 차별 사회에서 음식, 숙소, 화장실 및 기타 위생 시설의 필요성을 충족하는 데 겪는 문제들을 자세히 묘사했다. 그리핀은 또한 일상생활에서 만난 백인 남부 사람들—가게 점원, 매표원, 버스 운전사 등—에게서 종종 느꼈던 증오심에 대해 묘사했다. 그는 백인 남성들이 그의 성생활에 대해 보인 호기심에 특히 충격을 받았다. 그는 또한 친절하고 도움이 되었던 백인 남부 사람들에 대한 일화도 포함시켰다.[3]
이 책에 대한 광범위한 홍보로 인해 그리핀은 한동안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 이 책은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다. 책의 후기 판에 포함된 1975년 에세이에서 그리핀은 고향인 텍사스 맨스필드에서 자신과 가족이 겪었던 적대감과 위협에 대해 회상했다. 누군가 그의 모습을 효수했다. 그는 결국 가족과 함께 약 9개월 동안 멕시코로 이주했다가 포트워스로 돌아왔다.[3][9]
이 책은 그리핀 역의 제임스 휘트모어와 로스코 리 브라운, 클리프턴 제임스 및 윌 기어가 출연한 1964년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 이 책의 50주년 기념판은 2011년 Wings Press에서 출판되었다.[1]
2. 3. 시민권 운동 참여와 이후 활동
그리핀은 시민권 운동 초기에 인종 관계와 사회 정의에 대해 계속해서 강연하고 글을 썼다. 1964년, 그는 인종 간 이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데이븐포트(아이오와) 가톨릭 인종 간 위원회로부터 파셈 인 테리스 상을 받았다.[10] 1975년, 그리핀은 쿠 클럭스 클랜에게 심한 구타를 당했지만 살아남았다.[10]만년의 그리핀은 1962년에 처음 만난 미국인 트라피스트 수도사이자 영적 작가인 친구 토마스 머튼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리핀은 머튼의 유족에 의해 머튼의 공식 전기 작가로 선정되었지만,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어 이 프로젝트를 완료하지 못했다.
2. 4. 말년과 죽음
그리핀은 시민권 운동 초기에도 인종 관계와 사회 정의에 대해 계속해서 강연하고 글을 썼다. 1964년, 그는 인종 간 이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데이븐포트 (아이오와) 가톨릭 인종 간 위원회로부터 파셈 인 테리스 상을 받았다. 1975년, 그리핀은 쿠 클럭스 클랜에게 심한 구타를 당했지만 살아남았다.[10]만년에 그리핀은 1962년에 처음 만난 미국인 트라피스트 수도사이자 영적 작가인 친구 토마스 머튼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리핀은 머튼의 유족에 의해 머튼의 공식 전기 작가로 선정되었지만, 건강 문제(제2형 당뇨병)로 인해 이 프로젝트를 완료하지 못했다. 그는 머튼의 만년에 집중했다.
그리핀은 1980년 9월 9일, 당뇨병 합병증으로 텍사스주 포트워스에서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그는 아내 엘리자베스 앤 그리핀과 자녀들을 남겼다. 그는 출생지인 텍사스주 맨스필드에 있는 묘지에 묻혔다. 그녀가 재혼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사망한 후 엘리자베스도 그곳에 묻혔다.
그리핀이 인종 프로젝트를 위해 피부를 어둡게 하기 위해 1959년에 대량의 메톡살렌 (옥소랄렌)을 사용하다가 피부암으로 사망했다는 소문이 끊임없이 돌았다. 그리핀은 피부암에 걸리지 않았지만 약물 복용으로 일시적이고 경미한 증상, 특히 피로와 메스꺼움을 경험했다.[11]
3. 작품 활동
존 하워드 그리핀은 소설과 비소설을 아우르는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은 인종차별 문제를 다룬 흑인처럼(1961)이다. 이 책은 출판 50주년을 기념하여 2011년에 신판이 출판되기도 했다. 그리핀의 사후에도 작품이 출판되었는데, 실명과 회복에 관한 에세이를 모은 ''흩어진 그림자: 실명과 시각의 회고록''(2004)과 ''흑인처럼'' 집필 당시의 자전적 텍스트인 ''가용한 빛: 멕시코의 망명''(2008) 등이 있다. 토마스 머튼의 전기를 집필했으나 미완으로 끝났고, 만년에 관한 부분은 사후인 1983년에 ''엑스터시를 따르라: 토마스 머튼, 은둔의 시절, 1965년-1968년''으로 출간되었다.
1997년에는 로버트 보나치가 그리핀의 전기 ''거울 속의 남자: 존 하워드 그리핀과 『나처럼 검은 밤』의 이야기''를 출간했다. 2011년에는 모건 앳킨슨이 감독·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Uncommon Vision: The Life and Times of John Howard Griffin''가 제작되어 PBS에서 방송되었으며, 이 영화는 2013년에 DVD로 출시된 영화 『블랙 라이크 미』에 특전으로 수록되었다.
3. 1. 소설
- 《악마는 바깥으로 질주한다》 (1952)
- 《누니》 (1956)
- 《높은 하늘의 땅》 (1959)
- 흑인처럼 (1961)
- 《교회와 흑인》 (1969)
- 《숨겨진 완전함: 토마스 머튼의 시각적 세계》 (1970)
- 《열두 개의 사진 초상화》 (1973)
- 《자크 마리탱: 말과 그림으로 드리는 경의》 (1974)
- 《인간적인 시간》 (1977)
- 《은둔 생활 일지: 토마스 머튼 전기 작업을 하면서 쓴 일기》 (1981)
- 《흩어진 그림자: 실명과 시력에 대한 회고록》 (2004) - 1940년대와 1950년대의 에세이를 사후에 출판한 모음집
- 《가용한 빛: 멕시코의 망명》 (2008) - 《흑인처럼》 에세이를 쓰는 기간의 자전적 텍스트
3. 2. 비소설
- 악마는 바깥으로 질주한다 (1952)
- 누니 (1956)
- 높은 하늘의 땅 (1959)
- 흑인처럼 (1961)
- 교회와 흑인 (1969)
- 숨겨진 완전함: 토마스 머튼의 시각적 세계 (1970)
- 열두 개의 사진 초상화 (1973)
- 자크 마리탱: 말과 그림으로 드리는 경의 (1974)
- 인간적인 시간 (1977)
- 은둔 생활 일지: 토마스 머튼 전기 작업을 하면서 쓴 일기 (1981)
- 흩어진 그림자: 실명과 시력에 대한 회고록 (2004)
- 가용한 빛: 멕시코의 망명 (2008)
4. 유산 및 평가
존 하워드 그리핀은 인종 문제와 사회 정의에 대한 강연과 저술 활동으로 큰 영향을 남겼다. 1964년 인종 간 이해에 기여한 공로로 파쳄 인 테리스상을 수상했고,[10] 쿠 클럭스 클랜에게 심한 구타를 당하기도 했지만 살아남아 활동을 이어갔다.[10]
말년에 그리핀은 친구 토마스 머튼 연구에 집중하여 머튼의 공식 전기 작가로 선정되었으나, 제2형 당뇨병 등 건강 문제로 프로젝트를 완료하지 못했다.[12] 머튼의 말년을 다룬 《Follow the Ecstasy: Thomas Merton, the Hermitage Years, 1965–1968》는 1983년에 사후 출판되었다.[12] 그의 실명과 회복에 관한 에세이는 2004년 《Scattered Shadows: A Memoir of Blindness and Vision》으로 사후 출판되었다.[13]
《내 흑인 되기》 출판 50주년을 기념하여 2011년 신판이 출판되었고, 다른 작품들도 재출간되었다. 로버트 보나지는 그리핀의 전기 회고록 《거울 속의 남자: 존 하워드 그리핀과 《흑인처럼》의 이야기》(1997)와 《마지못한 활동가: 존 하워드 그리핀의 영적 삶과 예술》(2018)을 썼다.
2011년, 책 출간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영화 《비범한 시각: 존 하워드 그리핀의 삶과 시대》가 PBS에서 방영되었고, 2013년 영화 《흑인처럼》 DVD 부록으로 포함되었다.[14]
4. 1. 사회적 영향
1959년 가을, 그리핀은 인종 차별이 합법이었던 미국 남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통을 직접 조사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흑인들은 선거권을 박탈당했고 정치 시스템에서 배제되었으며, 백인들은 증가하는 시민권 운동에 맞서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그리핀은 피부를 검게 하기 위해 뉴올리언스의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 선램프 치료, 피부 크림을 사용했다. 그는 곧은 머리카락을 감추기 위해 머리를 삭발했다. 그는 6주 동안 뉴올리언스와 미시시피의 일부 지역(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를 방문)을 흑인으로 여행하며 주로 버스와 히치하이킹으로 이동했다. 그는 나중에 여행을 기록한 사진 작가와 동행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그가 작성할 기사에 대한 우선 출판권을 대가로 ''세피아'' 잡지에서 지원했다. 이 기사는 '수치심 속으로의 여정'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그가 앨라배마 몽고메리에서 여행을 마치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햇빛을 피하기 위해 호텔 방에서 3일 동안 틀어박혀 피부를 검게 하는 약 복용을 중단했다.[8]
그리핀은 이 프로젝트를 확장하여 1961년에 ''나처럼 검은 밤''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했으며, 이 책은 1961년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딥 사우스의 인종 차별 사회에서 음식, 숙소, 화장실 및 기타 위생 시설의 필요성을 충족하는 데 겪는 문제들을 자세히 묘사했다. 그리핀은 또한 일상생활에서 만난 백인 남부 사람들—가게 점원, 매표원, 버스 운전사 등—에게서 종종 느꼈던 증오심에 대해 묘사했다. 그는 백인 남성들이 그의 성생활에 대해 보인 호기심에 특히 충격을 받았다. 그는 또한 친절하고 도움이 되었던 백인 남부 사람들에 대한 일화도 포함시켰다.[3]
이 책에 대한 광범위한 홍보로 인해 그리핀은 한동안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 이 책은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다. 책의 후기 판에 포함된 1975년 에세이에서 그리핀은 고향인 텍사스 맨스필드에서 자신과 가족이 겪었던 적대감과 위협에 대해 회상했다. 누군가 그의 모습을 효수했다. 그는 결국 가족과 함께 약 9개월 동안 멕시코로 이주했다가 포트워스로 돌아왔다.[3][9]
이 책은 그리핀 역의 제임스 휘트모어와 로스코 리 브라운, 클리프턴 제임스 및 윌 기어가 출연한 1964년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 이 책의 50주년 기념판은 2011년 Wings Press에서 출판되었다.[1]
그리핀은 시민권 운동 초기에 인종 관계와 사회 정의에 대해 계속해서 강연하고 글을 썼다. 1964년, 그는 인종 간 이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데이븐포트(아이오와) 가톨릭 인종 간 위원회로부터 파쳄 인 테리스상을 받았다. 1975년, 그리핀은 쿠 클럭스 클랜에게 심한 구타를 당했지만 살아남았다.[10]
말년의 그리핀은 1962년에 처음 만난 미국인 트라피스트 수도사이자 영적 작가인 친구 토마스 머튼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그리핀은 머튼의 유족에 의해 머튼의 공식 전기 작가로 선정되었지만, 건강 문제(그는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로 인해 이 프로젝트를 완료하지 못했다. 그는 머튼의 말년에 집중했다.
4. 2. 문학적 유산
그리핀이 거의 완성했던 토머스 머튼 전기 중 머튼의 말년을 다룬 부분은 1983년 래티튜드 프레스에서 《Follow the Ecstasy: Thomas Merton, the Hermitage Years, 1965–1968》라는 제목으로 사후에 페이퍼백으로 출판되었다.[12]그리핀의 실명과 회복에 관한 에세이는 사후에 수집되어 2004년에 《Scattered Shadows: A Memoir of Blindness and Vision》으로 출판되었다.[13]
《내 흑인 되기》 출판 50주년을 기념하여 윙스 프레스는 신판을 출판했다. 또한 그리핀의 첫 소설인 《The Devil Rides Outside》를 포함하여 그의 다른 작품의 개정판도 출판했다.
로버트 보나지는 그리핀의 전기 회고록인 《거울 속의 남자: 존 하워드 그리핀과 《흑인처럼》의 이야기》(1997)를 썼다. 보나지는 자신의 레이티튜드 프레스에서 그리핀의 다른 작품들을 출판했다. 2018년, TCU 프레스는 보나지의 《마지못한 활동가: 존 하워드 그리핀의 영적 삶과 예술》을 출판했다.
《비범한 시각: 존 하워드 그리핀의 삶과 시대》는 그의 영향력 있는 책 출간 50주년을 기념하여 2011년에 개봉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모건 앳킨슨이 감독하고 제작했으며, PBS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이 영화는 2013년 영화 《흑인처럼》의 DVD 출시판에 부록으로 포함되었다.[14]
참조
[1]
뉴스
Rereading: Black Like Me by John Howard Griffi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10-27
[2]
웹사이트
Article about Griffin
http://www.tshaonlin[...]
2015-10-05
[3]
뉴스
Exposing the colour of prejudi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0-25
[4]
서적
Reluctant Activist: The Spiritual Life and Art of John Howard Griffin
TCU Press
2018
[5]
웹사이트
Griffin, John Howard
https://www.tshaonli[...]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1995-01-01
[6]
웹사이트
Review: 'The Devil Rides Outside'
https://web.archive.[...]
2014-03-23
[7]
간행물
Focus Newman
University of New Mexico
1964-10
[8]
서적
Man in the Mirror
1997
[9]
뉴스
John Howard Griffin Took Race All the Way to the Finish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7-03-17
[10]
웹사이트
Black Like Me: Biography: John Howard Griffint Novelguide
http://www.novelguid[...]
[11]
웹사이트
Dispute of the belief that Griffin died from his skin darkening treatments true
http://www.snopes.co[...]
[12]
서적
Follow the Ecstasy: Thomas Merton, the Hermitage Years, 1965–1968
https://www.amazon.c[...]
Latitude Press
1983
[13]
논문
Review of ''Scattered Shadows: A Memoir of Blindness and Vision'' by John Howard Griffin
http://digitalcommon[...]
MultiCultural Review
2005-03
[14]
웹사이트
DVD Release: ''Black Like Me''
http://www.discdish.[...]
2013-02-13
[15]
웹사이트
Article about Griffin
http://www.tshaonlin[...]
2015-10-05
[16]
뉴스
Exposing the colour of prejudi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0-25
[17]
서적
Reluctant Activist: The Spiritual Life and Art of John Howard Griffin
TCU Press
2018
[18]
웹사이트
Review: 'The Devil Rides Outside'
https://web.archive.[...]
2014-03-23
[19]
웹사이트
Griffin, John Howard
https://www.tshaonli[...]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1995-01-01
[20]
간행물
Focus Newman
University of New Mexico
1964-10
[21]
서적
Man in the Mirror
1997
[22]
뉴스
John Howard Griffin Took Race All the Way to the Finish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7-03-17
[23]
웹사이트
Black Like Me: Biography: John Howard Griffint Novelguide
http://www.novelguid[...]
2023-09-07
[24]
웹사이트
Dispute of the belief that Griffin died from his skin darkening treatments true
http://www.snopes.co[...]
[25]
서적
Follow the Ecstasy: Thomas Merton, the Hermitage Years, 1965–1968
https://www.amazon.c[...]
Latitude Press
1983
[26]
논문
Review of ''Scattered Shadows: A Memoir of Blindness and Vision'' by John Howard Griffin
http://digitalcommon[...]
MultiCultural Review
2005-03
[27]
뉴스
Rereading: Black Like Me by John Howard Griffi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10-27
[28]
웹사이트
DVD Release: ''Black Like Me''
http://www.discdish.[...]
2013-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