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피스트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피스트회는 17세기 프랑스 라 트라페 수도원에서 시작된 엄격한 개혁 운동에 기원을 둔 시토회의 분파이다. 1664년 아르망 장 르 부티예 드 랑세에 의해 시작된 개혁은 참회, 고된 육체 노동, 침묵, 빈약한 식단, 세상과의 격리 등을 강조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트라피스트회는 여러 차례 추방과 재건을 겪었으며, 1892년에는 시토회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수도회로 공식화되었다. 트라피스트회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8개의 수도원 및 수녀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에도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틴 수녀원 등 여러 수도원이 있다. 트라피스트회는 엄격한 규율과 수작업을 통한 자급자족 생활을 하며, 시간 전례를 중심으로 기도와 노동의 삶을 살아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피스트회 - 트라피스트 맥주
트라피스트 맥주는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에서 엄격한 기준에 따라 생산되는 맥주로, 수도원의 자급자족 수단이자 사업 및 자선 활동 지원에 활용되며, 국제 트라피스트 협회의 인증을 통해 진정성이 보장되고, 맥주 관광과 함께 한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 트라피스트회 - 토마스 키팅
토마스 키팅은 미국의 트라피스트 수도사이자 사제로, 중심 기도법을 개발하고 컨템플레이티브 아웃리치를 공동 설립했으며, 범재신론적 관점을 지지하며 기독교 영성에 대한 저술 활동을 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트라피스트회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엄률 시토회 |
로마자 표기 | Ordo Cisterciensis Strictioris Observantiae |
약칭 | OCSO |
종류 | 가톨릭 수도회 |
설립 | 1664년 |
설립자 | 아르망 장 르 부틸리에 드 랑세 |
설립 장소 | 라 트라프 수도원 |
본부 | 이탈리아 로마 비알레 아프리카 33 |
지도자 직함 | 총아빠스 |
지도자 이름 | 베르나르두스 페터스 |
모체 | 로마 가톨릭교회 |
웹사이트 | 엄률 시토회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적 배경
시토회는 베네딕토회를 모체로 하여 1098년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시토(현재의 생니콜라레시토)에 모렘의 로베르가 창립한 수도회가 그 기원이다. 12세기에 활약한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에 의해 크게 발전하여, 12~13세기에는 전 유럽에 약 1800개의 수도원을 가진 대수도회가 되었다.
17세기 후반,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의 라 트라프 수도원에서 아르망 장 르 부티예 드 랑세 원장이 수도 규칙 개혁을 일으켰다. 이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시토 수도회의 그룹은 엄률 시토 수도회, 또는 수도원 이름을 따서 트라피스트회(여자는 트라피스티느)라고 불리게 되었다.
수도원 제도에서 대수도원(모 수도원) 아래에는 여러 수도원(자 수도원)이 있으며, 대수도원장은 대수도원 내에서 미사 중에 주교관(미트라)과 주교 지팡이(바쿨루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주교모(칼로타)를 쓰기도 한다.
2. 1. 라 트라프 수도원의 개혁
이 수도회는 개혁 운동이 시작된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의 라 트라페 수도원에서 이름을 따왔다. 원래 라 트라페의 서임 수도원장이었던 아르망 장 르 부티예 드 랑세가 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수도원에서 수입을 얻었지만 정식 수도자는 아니었고 다른 수도적 의무도 없었던 세속인이었다. 1660년에서 1662년 사이에 삶의 변화를 겪은 후, 드 랑세는 재산을 포기하고 공식적으로 수도원에 가입하여 1663년에 정규 수도원장이 되었다.[2]1664년, 많은 시토회 수도원의 관행 완화에 반발하여 드 랑세는 엄격한 개혁을 도입했다.[3] 드 랑세의 개혁은 무엇보다도 참회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고된 육체 노동, 침묵, 빈약한 식단, 세상과의 격리, 대부분의 학문 포기를 규정했다. 고된 노동은 부분적으로 참회적 연습이었고, 부분적으로 수도원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하여 세상과의 소통을 최소화하는 방법이었다. 이 운동은 드 랑세의 개혁을 받아들인 다른 많은 시토회 수도원으로 확산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수도원들도 확산되어 자체적으로 새로운 재단을 설립했다. 이 수도원들은 개혁의 근원이자 기원인 라 트라페를 언급하며 스스로를 "트라피스트회"라고 불렀다.
2. 2. 프랑스 혁명과 이후의 발전
1792년 프랑스 혁명 당시, 라 트라페 수도원은 다른 모든 수도원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고 트라피스트회는 추방되었다.[4] 당시 라 트라페의 수도승이었던 오귀스탱 드 레스트랑주는 여러 수도승을 이끌고 스위스 프리부르주의 라 발생트 헌장 수도원이라는 황폐하고 지붕이 없는 이전 카르투지오 수도원에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했다. 이곳에서 수도승들은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의 고대 관행과 시토의 첫 번째 관습을 실천하는 더욱 엄격한 개혁을 수행했다. 1794년, 교황 비오 6세는 발생트를 트라피스트회의 수도원 및 모원 지위로 격상시켰고, 돔 오귀스탱은 수도원의 초대 수도원장이자 트라피스트회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1798년 프랑스가 스위스를 침공했을 때, 수도승들은 다시 추방되었고 돔 오귀스탱과 발생트의 수도승들이 마침내 라 트라페에 공동체를 재건할 수 있을 때까지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기 위해 여러 나라를 떠돌아야 했다.[4]1834년, 성좌는 모든 프랑스 수도원을 라 트라페의 노트르담의 시토회 수도승회로 조직했으며, 라 트라페의 수도원장이 회의 대리 주교가 되었다. 그러나 발생트의 종속 지역과 1795년에 발생트가 설립한 수도원인 노트르담 드 레테르니테의 종속 지역 간에는 관습에 차이가 있었다. 이로 인해 1847년 성좌의 법령에 의해 두 개의 다른 트라피스트회 회중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라 트라페의 성모 고대 개혁'과 '라 트라페의 성모 신 개혁'으로 명명되었으며, 전자는 드 랑세의 헌장을 따랐고, 후자는 성 베네딕토 규칙서와 시토의 고대 헌장을 결합하여 따랐다. 단, 동일 법령에서 성좌가 규정한 몇몇 지역은 제외했다.[4]
1892년, 서로 다른 트라피스트회 관습 간의 통일을 추구하면서, 트라피스트회는 시토회에서 완전히 벗어나 교황 레오 13세의 승인을 받아 '라 트라페의 성모 개혁 시토회'라는 새로운 수도회를 형성하여 별도의 수도 공동체로서의 정체성과 영성을 공식화했다.[5]
3. 수도 생활
트라피스트회는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처럼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며, "엄격한 준수"는 트라피스트회가 규칙을 엄격하게 따르는 것을 목표로 함을 의미한다. 이들은 규칙(c. 58)에 묘사된 세 가지 서원, 즉 정주, 수도 생활에 대한 충실, 그리고 순명을 실천한다.[7]
베네딕토는 대화를 최소화하라고 가르쳤다. 따라서 트라피스트회는 일반적으로 필요할 때만 말하며, 불필요한 대화는 엄격히 금지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침묵의 서원을 하지는 않는다.[8] 베네딕토에 따르면, 말은 제자의 고요함과 수용성을 방해하며, 하나님의 뜻 대신 자신의 뜻을 행사하도록 유혹할 수 있다. 불친절한 유희나 웃음을 유발하는 말은 악으로 간주되어 금지된다.[9] 트라피스트 수화는 말할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개발된 여러 수도원 수화 중 하나이다. 식사는 일반적으로 트라피스트들이 낭독을 들으면서 묵상적인 침묵 속에서 이루어진다.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와 달리,[10][11] 트라피스트회는 성 베네딕토가 "네 발 달린 동물"로 묘사한 "육류"(돼지, 소, 양, 사슴 등)를 완전히 금한다.[12] 그러나 이들은 엄격한 채식주의 생활을 하지는 않으며, 가금류, 생선 및 해산물을 섭취한다. 트라피스트회의 식단은 주로 채소, 콩, 곡물 제품으로 구성된다.[13] 일부 수도원에서는 육계 닭도 기른다.
3. 1. 서원
트라피스트회는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처럼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며, "엄격한 준수"는 트라피스트회가 규칙을 엄격하게 따르는 것을 목표로 함을 의미한다. 트라피스트회는 규칙(c. 58)에 묘사된 세 가지 서원, 즉 정주, 수도 생활에 대한 충실, 그리고 순명을 한다.[17]일반적으로 트라피스트 수도사 생활에 들어가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지원자/관찰자: 수도원을 방문하여 서원 담당자 또는 원장과 상담하여 자신의 소명을 분별하는 데 도움을 받는다. 보통 최소 1개월 동안 수도원에서 단기간 동안 생활하도록 요청받는다.
- 수도원 지원기: 몇 달 동안 수도원 구성원으로서 수도원 지원자로 생활하며 수련 지도자의 지도를 받는다.
- 수련기: 수도원 지원자는 수도복을 착용하고 이 수도회의 구성원으로 정식으로 받아들여진다. 수련자는 여전히 수련 지도자의 지도를 받으며, 2년 동안 이 단계를 거친다.
- 수련기 이후: 수련자는 임시 서원을 할 수 있다. 수도원 방식으로 복음을 실천하고 공동체에 통합되면서, 학습을 심화하기 위해 3년에서 9년 동안 이 단계를 거치게 된다.
- 종신 서원: 이전 단계를 마치면, 서원한 구성원은 평생 동안 종신 서원을 할 수 있다.
3. 2. 침묵과 대화
베네딕토는 대화를 최소화하라고 가르쳤다. 따라서 트라피스트회는 일반적으로 필요할 때만 말하며, 불필요한 대화는 엄격히 금지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트라피스트회는 침묵의 서원을 하지 않는다.[7] 베네딕토에 따르면, 말은 제자의 고요함과 수용성을 방해하며, 하나님의 뜻 대신 자신의 뜻을 행사하도록 유혹할 수 있다. 불친절한 유희나 웃음을 유발하는 말은 악으로 간주되어 금지된다.[8] 트라피스트 수화는 말할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개발된 여러 수도원 수화 중 하나이다. 트라피스트회 수도자들은 식사 시간에 낭독을 들으면서 묵상적인 침묵 속에서 식사를 한다.[9]
3. 3. 음식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와 달리,[10][11] 트라피스트회는 성 베네딕토가 "네 발 달린 동물"로 묘사한 "육류" (돼지, 소, 양, 사슴 등)를 완전히 금한다.[12] 그러나 일반적으로 엄격한 채식주의 생활을 하지는 않으며, 가금류, 생선 및 해산물을 섭취하지만, 주로 채소, 콩, 곡물 제품으로 식단을 구성한다.[12][13] 일부 수도원에서는 육계 닭도 기른다.[14]일부 수도원에서는 노동 자립의 일환으로 치즈 등의 식품을 생산한다. 벨기에 등에서는 맥주 생산에 관여하며, 여기서 생산되는 트라피스트 맥주는 맥주의 한 장르를 이룬다. 특히 벨기에의 Scourmont Abbey|스쿨몽 수도원영어에서는 치즈와 맥주를 "시메이 (Chimay)" 브랜드로 생산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부 바냐 루카의 마리아 즈비에즈다 수도원에서는 2008년에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던 치즈 생산을 부활시켰다.
일본에서는 트라피스트 수도원과 트라피스치누 수도원에서 만든 버터와 쿠키가 하코다테 기념품으로 알려져 있다.
3. 4. 일과
시간 전례는 모든 트라피스트회 수도자 삶의 근간이다. 다만, 일상생활의 세부 사항은 공동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전례력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다음은 트라피스트 수도자의 일반적인 일과를 나타낸 것이다.[15][16]시간 | 내용 |
---|---|
오전 3시 30분 | 기상 |
오전 4시 00분 | 만과 후 묵상, 렉시오 디비나 또는 개인 기도 |
오전 5시 30분 | 아침 식사 가능 |
오전 6시 30분 | 찬미가 |
오전 7시 30분 | 성찬례(미사) (일요일은 오전 10시) |
오전 8시 00분 | 대침묵 종료 |
오전 8시 30분 | 삼시 |
오전 9시 00분 | 오전 노동 |
오후 12시 00분 | 육시 |
오후 12시 15분 | 점심 식사 |
오후 12시 45분 | 휴식 |
오후 1시 30분 | 구시 |
오후 1시 45분 | 오후 노동 |
오후 5시 00분 | 저녁 식사 |
오후 6시 00분 | 저녁 기도 |
오후 7시 30분 | 끝기도 |
오후 8시 00분 | 대침묵 시작 및 취침 |
3. 5. 수작업
성 베네딕토 규칙 48장에는 "진실로 그들은 자기 손으로 일하며 사는 자들이라면 수도자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8] 따라서 트라피스트 수도자의 삶은 영적 활동 외에 수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공동체와 가난한 이들을 지원하는 수작업은 유형적인 결과 외에도, 수도자와 공동체의 영적 성장을 촉진하고 강화한다.[19]생산되는 상품은 치즈, 빵 및 기타 식료품에서 의류 및 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트라피스트회의 가장 유명한 제품은 트라피스트 맥주이다.[20] 트라피스트 맥주는 맥주 세계에서 독특한 범주에 속하며,[21] 높은 품질과 맛으로 칭찬받고 있다.[22] 트라피스트회 수도원들은 수도사 자신과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기 위해 맥주를 양조한다. 트라피스트 맥주는 잔류 당분과 살아있는 효모를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 맥주와 달리 숙성될수록 맛이 좋아진다.[23]
트레 폰타네 수도원의 트라피스트 수도사들은 새로운 대주교의 pallia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양털을 얻기 위해 양을 키운다. 교황은 성 베드로와 바오로 축일에 pallia를 축복한다. 대주교들은 각자의 국가에서 교황을 대리하는 교황 대사로부터 자국 교구 내 별도의 의식에서 pallia를 받는다.
아이오와주 피오스타의 뉴 멜러레이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자신들을 위해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판매할 관을 생산한다.
일부 수도원에서는 노동 자립의 일환으로 치즈 등의 식품류를 생산하고 있다. 벨기에 등에서는 맥주 생산에 관여하고 있으며, 거기서 생산되는 트라피스트 맥주는 맥주의 한 장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벨기에의 스쿨몽 수도원(Scourmont Abbey)에서는 치즈와 맥주를 "시메이 (Chimay)" 브랜드로 생산하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부의 바냐 루카에 있는 마리아 즈비에즈다 수도원에서는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정부에 의해 탄압받았던 치즈 생산을 2008년에 부활시켰다.
일본에서는 트라피스트 수도원과 트라피스치누 수도원에서 만들어진 버터와 쿠키가 하코다테 기념품으로 알려져 있다.
4. 조직
시토회 수도원은 20세기에 유럽 외 지역에서 다수 설립되면서 계속 확산되었다. 특히 전 세계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의 수는 지난 6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40년에는 82개였으나 1970년에는 127개, 21세기 초에는 169개로 늘어났다.[24] 1940년에는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 6개의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이 있었고, 아프리카에는 1개, 라틴 아메리카에는 없었다.[24] 현재는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13개, 아프리카에 17개,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 23개가 있다.[24] 일반적으로 이들 공동체는 세계 다른 지역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24]
같은 기간 동안 수도회 전체 수도자와 수녀의 수는 약 15% 감소했다.[24] 공동체당 평균 25명의 구성원이 있으며, 이는 과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24] 2018년 1월 1일 기준으로, 전 세계에는 1,796명의 트라피스트회 남자 수도자와[25] 1,592명의 트라피스트회 여자 수도자가 있다.[26]
4. 1. 제도적 구조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은 20세기에 유럽 외 지역에서 다수 설립되면서 계속 확산되었다. 특히 전 세계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의 수는 지난 6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40년에는 82개였으나 1970년에는 127개, 21세기 초에는 169개로 늘어났다.[24] 1940년에는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 6개의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이 있었고, 아프리카에는 1개, 라틴 아메리카에는 없었다.[24] 현재는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 13개, 아프리카에 17개,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 23개가 있다.[24] 일반적으로 이들 공동체는 세계 다른 지역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24]
같은 기간 동안 수도회 전체 수도자와 수녀의 수는 약 15% 감소했다.[24] 공동체당 평균 25명의 구성원이 있으며, 이는 과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24] 2018년 1월 1일 기준으로, 전 세계에는 1,796명의 트라피스트회 남자 수도자와[25] 1,592명의 트라피스트회 여자 수도자가 있다.[26]
트라피스트회 공동체는 자율성을 가지면서도 핵심적인 기구를 통해 결속력을 유지한다.
- '''정기 방문:''' 독립적인 "직속 아버지"가 임명되어 수도원장의 사목 활동을 돕고 지원하며, 공동체의 화합을 증진한다. 직속 아버지 또는 다른 대표자는 약 2년에 한 번 수도원을 방문한다. 이 "정기 방문"의 목적은 지역 수도자의 사목 활동을 강화하고 보충하며, 필요한 경우 위반 사항을 수정하고, 수녀 또는 수도승의 영적 열정을 새롭게 하는 것이다.
- '''총회:''' 총회는 수도회의 최고 권위 기구이다. 2011년부터 원장과 원장이 하나의 총회를 구성한다. 이들은 수도회의 결속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총원장의 선출을 포함한 주요 결정을 내리기 위해 3년에 한 번 3주 동안 회합을 갖는다.[27] 총원장이 총회의 의장을 맡는다.
4. 2. 총 아빠스
총아빠스는 총회에서 임기 제한 없이 선출된다. 총아빠스는 5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평의회의 도움을 받는데, 이 중 4명은 총회에서 선출되고, 나머지 한 명은 선출된 평의회 위원들이 선택한다. 총아빠스와 그의 평의회는 로마에 거주하며 일반적으로 수도회의 업무를 관리한다.[28] 현재 총아빠스는 네덜란드 쾨닝스호벤 수도원의 베르나르두스 페테르스 돔이다.[29]재임 기간 | 이름 |
---|---|
1892–1904 | 세바스티앵 위아르 |
1904–1922 | 오귀스탱 마레 |
1922–1929 | 장-밥티스트 올리트로 드 케리발란 |
1929–1943 | 에르만-조제프 스메츠 |
1943–1951 | 도미니크 노게 |
1951–1963 | 가브리엘 소르테 |
1964–1974 | 이냐스 질레 |
1974–1990 | 앙브루아즈 소테이 |
1990–2008 | 베르나르두-루이스-호세 올리베이라 |
2008–2022 | 에이먼 피츠제럴드 |
2022–현재 | 베르나르두스 페테르스 |
5. 수도원 목록
2018년 기준으로 트라피스트회 수도원과 수녀원은 전 세계에 168개가 있다.[30]
수도승 | 수녀 |
---|---|
아프리카 | |
유럽 | |
라틴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오세아니아 | |
5. 1. 아시아 지역
수도승 | 수녀 |
---|---|
일본에는 등대의 성모 트라피스트 대수도원(홋카이도 북두시)을 모원(母院)으로 하여, 남자 수도원이 북두시 외에 오이타현 히지마치에, 여자 수도원은 하코다테 외 도치기현 나스마치,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사가현 이마리시, 오이타현 우사시에 있다. 또한,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수정리에도 여자 자원(子院)이 있다. 회원은 각 수도원의 금역(禁域) 안에서 "기도하고, 일하라"를 모토로 기도와 노동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
홋카이도 북두시의 남자 수도원 "등대의 성모 트라피스트 대수도원" 및 오이타현 하야미군 히지마치에 있는 "고해의 성모 트라피스트 수도원"과,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여자 수도원 "천사의 성모 트라피스치누 수도원"(통칭 트라피스치누 수도원)은 모두 본회의 수도원이다.
6. 출신 인물
- 성 라파엘 아르나이스 바론
참조
[1]
서적
Cistercian Europe: Architecture of Contemplation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2002-04-19
[2]
웹사이트
Jean-Armand le Bouthillier de Rancé
2019-06-02
[3]
웹사이트
The Cistercians: An Introductory History
http://www.osb.org/c[...]
The Order of Saint Benedict
2008-01-01
[4]
웹사이트
Trappists
2019-06-02
[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ocist.hu/[...]
OCist.Hu
2002-12-31
[6]
웹사이트
How one monk changed the South African landscape
https://www.osv.com/[...]
2010-11-23
[7]
웹사이트
"FAQ's :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OCSO"
https://ocso.org/who[...]
2024-05-23
[8]
웹사이트
OSB. Rule of Benedict : Text, English, Jan May Sep 3/3
http://www.osb.org/r[...]
Osb.org
2006-05-06
[9]
문서
"[[Rule of St. Benedict]], c. 38: ''Reading must not be wanting at the table of the brethren when they are eating''. The 1949 Edition Translated by Rev. Boniface Verheyen, OSB."
[10]
간행물
Please Don't Eat the Animals
https://books.google[...]
Quill Driver Books
[11]
간행물
The Benedictine Handbook
https://books.google[...]
Hymns Ancient and Modern Ltd
[12]
간행물
Can I maintain my own dietary discipline as a Trappist?
http://www.trappists[...]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2016-05-13
[13]
웹사이트
"A Newcomer's Guide to the Trappists {{!}} Becoming a Trappist Monk or Nun"
http://www.trappists[...]
2017-06-19
[14]
웹사이트
The Farm
https://www.calvarya[...]
2022-09-12
[15]
웹사이트
Our Daily Life - Trappist Monastery, Moncks Corner, South Carolina
https://mepkinabbey.[...]
2022-12-08
[16]
웹사이트
Daily Schedule – New Melleray
https://newmelleray.[...]
2022-12-08
[17]
간행물
Becoming a monk or nun
http://www.ocso.org/[...]
Ordo Cisterciensis Strictioris Observantiae
2016-04-28
[18]
웹사이트
The Rule of St. Benedict
http://www.ccel.org/[...]
Ccel.org
2011-03-09
[19]
웹사이트
Work – New Melleray
https://newmelleray.[...]
2022-12-08
[20]
웹사이트
The Best Beer in the World
http://99percentinvi[...]
2015-10-08
[21]
웹사이트
What are Trappist beers?
http://beer.about.co[...]
2015-10-08
[22]
웹사이트
TRAPPIST - THE SEVEN MAGNIFICENT BEERS
http://shop.belgians[...]
2015-10-08
[23]
웹사이트
Michael Jackson's Beer Hunter - Chastity, poverty and a pint
http://www.beerhunte[...]
Beerhunter.com
2011-03-09
[24]
웹사이트
Cistercian Order of the Strict Observance (Trappis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ocso.org/[...]
Ocso.org
2003-12-08
[25]
간행물
STATISTIQUES Moines - Monks - Monjes
https://www.ocso.org[...]
Order of Cistercians of Strict Observance
2018-01-01
[26]
간행물
STATISTIQUES Moniales - Nuns - Monjas
https://www.ocso.org[...]
Order of Cistercians of Strict Observance
2018-01-01
[27]
웹사이트
"Our Structure : Ordre Cistercien de la Stricte Observance: OCSO"
https://ocso.org/who[...]
2022-12-08
[28]
웹사이트
Abbey of Our Lady of the Holy Trinity: Brief History
http://www.holytrini[...]
Holytrinityabbey.org
2010-01-18
[29]
웹사이트
Dom Bernardus Peeters elected Abbot General
https://monks.org/be[...]
monks.org
2022-06-16
[30]
웹사이트
"Alphabetical List :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 OCSO"
https://www.ocso.org[...]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2018-10-13
[31]
웹사이트
Tibhirine Today
http://www.ocso.org/[...]
Order of Cistercians of Strict Observance
2023-07-25
[32]
웹사이트
The world is one Trappist beer poorer as abbey loses last monk
https://www.brussels[...]
2023-09-28
[33]
뉴스
The World Is Changing. This Trappist Abbey Isn't. Can It Last?
https://www.nytimes.[...]
2018-03-18
[34]
웹사이트
To Close A Monastery
https://vimeo.com/23[...]
2018-03-18
[35]
뉴스
伝統の修道院チーズ復活 ボスニア、弾圧で途絶え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夕刊"
2017-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