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고쿠 방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고쿠 방언은 일본 주고쿠 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크게 산인 방언과 산요 방언으로 나뉜다. 히가시산인 방언은 운파쿠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발음에서는 도쿄식 억양을 사용하며, 연모음 융합과 가행 비탁음의 파열음화가 특징이다. 문법적으로는 단정 조동사, 진행형과 완료형의 구별,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 조사, 활용어의 음편, 부정 표현 등이 특징적이며, 규슈, 시코쿠 지방과 유사한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어휘는 긴키, 시코쿠, 규슈 지방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지만, 산인 방언에서는 다른 서일본 방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고쿠 방언 | |
---|---|
지도 정보 | |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주고쿠 방언 |
원어 이름 | 中国方言 |
사용 지역 | 일본 주고쿠 지방 |
어족 | 일본어족 |
하위 어족 | 일본어 |
하위 방언 | 서부 일본어 |
ISO 예외 | 방언 |
글롯로그 | chug1253 |
글롯로그 참조 이름 | 주고쿠 |
2. 하위 분류
주고쿠 방언은 크게 산인과 산요으로 나눌 수 있다. 히가시산인 방언은 운파쿠 방언과 공통되는 요소도 있다.
- 히가시산인 방언 (산인 방언의 하나)
- * 단고 방언
- * 다지마 방언
- * 인슈 방언 (돗토리 방언)
- * 구라요시 방언
- 산요 방언
- * 히가시산요 방언(기비 방언)
- ** 오카야마 방언
비젠벤
빗추벤
미마사카벤
- ** 빈고 방언
후쿠야마 방언
3. 발음
주고쿠 방언의 발음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악센트는 대부분 도쿄식 억양을 사용한다.
- 연모음 융합이 활발하다. 예를 들어 연모음 "아이"는 지역에 따라 "에아[æː]", "아", "에", "야" 등으로 바뀐다. "아카이"(붉다)는 "아케아", "아카", "아케", "아캬" 등으로 발음된다. 조사 "오", "와" 등도 앞 모음과 융합하여, "테가미오"(편지를)는 "테가뮤" 또는 "테가묘", "사케오"(술을)는 "사쿄", "사케와"(술은)는 "사캬"와 같이 변화한다.
- 비탁음은 사용하지 않으며 파열음 [g]로 발음한다.
- 효고현 다지마 북부에서 돗토리현에 걸쳐 "아우" 연모음에서 유래한 개음(開音)이 "아"로 변화해 남아 있다. 이 현상은 운파쿠 방언과도 공통적이다. 이 지역에서는 "이카우"(가겠다)는 "이카", "데아라우"(그럴 것이다)는 "다라"가 된다. 다른 지역에서는 개음이 "오"로 변화하여 "이코", "자로・다로"가 된다.
3. 1. 악센트
악센트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도쿄식 억양을 사용한다.[3][4]3. 2. 연모음의 융합
연모음의 융합이 활발하다. 예를 들어 연모음 アイ는 지역에 따라 エァー[æː], アー, エー, ャー 등으로 바뀐다. 예로 赤い(あかい)는 アケァー, アカー, アケー, アキャー 등으로 바뀐다. を나 は 등의 조동사도 앞 모음과 융합하여 手紙を(てがみを)은 テガミュー 또는 テガミョー로, 酒を(さけを)은 サキョー로, 酒は(さけは)은 サキャー와 같이 변화한다.[3]3. 3. ガ행음
비탁음은 사용하지 않으며 파열음 [g]로 발음한다.3. 4. 산인의 アウ 연모음
효고현 다지마 북부에서 돗토리현에 걸친 지역에서는 アウ 연모음에서 유래한 개음이 アー로 변화해 남아 있다.[3][4] 이 현상은 운파쿠 방언과도 공통적이다. 이들 지역에서는 行かむ에서 유래한 いかう는 いかー로, であらむ에서 유래한 であらう는 だらー로 남아 있다. 이외의 지역에서는 개음이 オー로 변화했기 때문에 いこー, じゃろー・だろー 등으로 바뀌었다.4. 문법
주고쿠 방언의 문법은 다른 서일본 방언과 유사한 특징을 많이 공유하며, 진행 및 완료 표현,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 음편 현상, 부정 표현, 불가능 표현, 의지형, 가정형, 형용동사, 그리고 'ら 탈락어'와 'れ 첨가어'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단정 조동사: 산요 지방에서는 'じゃ', 산인 지방에서는 'だ', 야마구치현 서부에서는 '~や'를 사용한다.
- 진행형과 완료형: 동작의 진행에는 '~よる', 완료에는 '~とる'/'~ちょる'를 사용한다.
- 이유의 접속조사: 'けえ', 'けん'을 사용한다.
- 음편 현상: 형용사의 연용형은 우음편, 아행(와행) 오단 동사의 연용형은 우음편(히가시산요·니시추고쿠) 또는 촉음편(히가시산인), 사행 5단 동사의 연용형은 이음편이 발생한다.
- 부정 표현: 동사의 부정에는 ‘〜ん’을 사용한다.
- 불가능 표현: 능력 부정에는 'よう 〜せん'을 사용하고, 상황에 의한 불가능은 '泳げん', '泳がれん'과 같이 표현한다.
- 의지형: 미연형에 'う'가 붙어 의지, 권유, 추량을 나타낸다.
- 가정형: 가정형은 '行きゃー/行きゃ', '食べりゃー/食べりゃ'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
- 형용동사: 형용동사의 종지형은 연체형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 동사: '라 탈락어'와 'れ 첨가어'가 자주 사용된다.
4. 1. 단정 조동사: じゃ, だ, や
산요 지방에서는 단정의 조동사로 'じゃ'를, 산인 지방(이와미 포함)에서는 'だ'를 사용한다.[1] 히로시마현 북부나 오카야마현 북부에서도 'だ'를 사용하며,[1] 야마구치현 서부에서는 '~や'도 사용한다.[1]4. 2. 진행형과 완료형: よる, とる
규슈, 시코쿠 지방과 마찬가지로 진행상과 완료상의 구별이 있다.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때(지금 ~하고 있다)는 「〜よる」을 사용하고, 동작이 완료되어 그 결과가 남아 있음을 나타낼 때(〜해 버렸다)는 「〜とる・ちょる」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공통어로 「비가 오고 있다」라고 할 경우, 주고쿠 방언에서는 「雨が降りよる」(지금 비가 내리고 있다)와 「雨が降っとる」(비가 내린 흔적이 있다)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진행상은 지역에 따라 「降りょーる」과 같이 발음되기도 한다. 완료상은 「〜とる」를 사용하는 지역이 넓지만, 야마구치현에서는 「〜ちょる」이라고 한다.4. 3. 이유의 접속조사: けえ, けん
규슈, 시코쿠 지방과 마찬가지로,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로는 'けえ'(けえ|케-일본어), 'けん'(けん|켄일본어)을 사용한다.[1] 단, 교토부, 효고현 대부분 지역은 예외이다.[1]4. 4. 활용어의 음편
주고쿠 방언에서는 형용사의 연용형에 다른 서일본 방언과 마찬가지로 '白うなる'(하얗게 되다)처럼 우음편을 사용한다.[1] 아행(와행) 오단 동사의 연용형은 히가시산요·니시추고쿠에서는 '洗うた'(씻었다)처럼 우음편을, 히가시산인에서는 '洗った'(씻었다)처럼 촉음편을 사용한다(운파쿠 방언도 마찬가지).[1] 산인에서도 '買う'(사다), '会う'(만나다) 등은 우음편을 사용하지만, 'アウ→アー'로 변하는 지역에서는 '買あた'(샀다), '会あた'(만났다)와 같이 쓴다.[1] 사행 오단 동사의 연용형은 '出した'(내놓았다)가 '出いた'(내었다)처럼 이음편이 된다.[1]4. 5. 부정
다른 서일본 방언과 마찬가지로, 동사의 부정은 行かん(가지 않는다), 食べん(먹지 않는다)와 같이 ‘〜ん’을 사용한다.긴키, 시코쿠, 북부 규슈와 마찬가지로 よう 〜せん(~할 수 없다)을 통해 능력 부정을 표현한다. 예를 들면 よう泳がん(수영할 수 없다)이라고 하면 '맥주병이기 때문에 수영 능력이 없다'는 말이 되고, 泳げん、泳がれん(수영할 수 없다)이라고 하면 '수온이 낮다거나 파도가 높다는 등의 이유로 수영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이처럼 상황과 능력 중 무엇에 의한 불가능인지 구별하여 말한다.
4. 6. 불가능
일본어의 방언 중 하나인 주고쿠 방언에서는 긴키, 시코쿠, 북부 규슈와 마찬가지로 'よう 〜せん'(~할 수 없다)을 통해 능력 부정을 표현한다. 예를 들면 'よう泳がん'이라고 하면 '맥주병이기 때문에 수영 능력이 없다'는 말이 되고, '泳げん', '泳がれん'이라고 하면 '수온이 낮다거나 파도가 높다는 등의 이유로 수영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이처럼 상황과 능력 중 무엇에 의한 불가능인지 구별하여 말한다.[1]4. 7. 의지형
미연형에 'う'가 붙은 의지형은 의지나 권유뿐만 아니라 추량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書くだろう'의 의미로 '書こう', '高かろう'의 의미로 '高かろう'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상1단 동사는 'おきゅう'(일어나자)와 같은 '~ュー'형 또는 'おきょお'와 같은 '~ョー'형으로 활용한다. 하1단 동사는 'あきょお'(열자)와 같은 '~ョー'형으로 활용한다. 5단형 동사와 조동사는 산인 지방의 돗토리현과 다지마 북부에서 'いかあ'(가자), 'たかからあ'(높을 것이다)와 같이 '~アー'형으로 활용한다.4. 8. 가정
가정형은 行きゃー(가면)/行きゃ(가면), 食べりゃー(먹으면)/食べりゃ(먹으면)와 같은 형태를 취한다.[1]4. 9. 형용동사
형용동사의 종지형은 연체형과 같이 静かな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면 今日は静かな(=조용하다), 昨日は静かなかった/静かなった(=조용했다)가 있다.4. 10. 동사: 'ら 탈락어'와 'れ 첨가어'
주고쿠 방언에서는 이른바 '라 탈락어'나 'れ 첨가어'가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도카이 지방이나 다른 주고쿠, 시코쿠 지방과 마찬가지이며, 최근 일본어 혼란으로 알려진 것보다 훨씬 이전부터 널리 쓰였다.[1] 'れ 첨가'는 일본어 문법상 본래 れ가 필요하지 않은 오단 활용 동사의 가능형에 れ를 넣어 말하는 것이다. 특히 부정 표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 한편 가능형이 없는 동사(상일단 활용, 하일단 활용, カ행 변격활용)에는 일본어 문법상 본래 가능의 조동사 られる를 붙여야 하는데 ら를 탈락시켜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1] 즉, 양쪽 모두에서 れる를 통해 가능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1]구체적으로, 음운상 같은 かける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1]
구분 | 단어 | 가능형 | 부정형 (문법) | 부정형 (구어) | 주고쿠 방언 |
---|---|---|---|---|---|
오단 활용 동사 | 書く (쓰다) | 書ける (쓸 수 있다) | 書けない (쓸 수 없다) | 書けん (쓸 수 없다) | 書けれん (れ 첨가) |
가능형이 없는 동사 | 掛ける (걸다) | - | 掛けられない (걸 수 없다) | 掛けられん (걸 수 없다) | 掛けれん (ら 탈락) |
5. 어휘
긴키, 시코쿠, 규슈 지방과 마찬가지로 借る(かりる, 빌리다), 飽く(あく, 싫증나다), 足る(たる, 족하다) 등의 동사를 4단·5단활용 그대로 사용한다. 단, 借る는 산인에서 1단활용인 かれる 또는 かりる이다.
긴키, 시코쿠, 규슈 지방과 공통되는 어휘에는 ねぶる(ねぶる|나메루일본어, 핥다), こける(こける|고케루일본어, 넘어지다), いらう・いろう(いらう|이라우일본어·いろう|이로우일본어, 만지다), まどう(まどう|마도우일본어, 변상하다), ひらう(ひらう|히라우일본어, 줍다), おう(おう|오우일본어, 업다) 등의 동사, こそばいい、こそばゆい(こそばいい|고소바이일본어·こそばゆい|고소바유이일본어, 간지럽다), えらい(えらい|에라이일본어, 피곤하다), あかい(あかい|아카이일본어, 밝다), からい(からい|가라이일본어, 짜다) 등의 형용사, なんぼ(なんぼ|난보일본어, 얼마), ほおべた(ほおべた|호오베타일본어, 볼), なすび(なすび|나스비일본어, 가지) 등의 명사가 있다. 또한 多い(おおい, 많다), 遠い(とおい, 멀다), 濃い(こい, 짙다), 酸い(すい, 시다)는 おいい, といい, こいい, すいい라고 한다. 시코쿠, 규슈 지방과 공통되는 것에는 すてる(すてる|스테루일본어, 잃다), こまい(こまい|고마이일본어, 작다), かずむ・かざむ(かずむ|가즈무일본어·かざむ|가자무일본어, 냄새를 맡다) 등이 있다. 주고쿠 방언 특유의 것에는 きいな(きいな|기이나일본어, 노랗다), きんかいも(きんかいも|긴카이모일본어, 감자)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주고쿠 방언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은 적고, 다른 서일본 방언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산인에서는 다른 서일본 방언 모두와 대립하는 특징도 있다.
6. 주고쿠 지방 방언 비교표
구획 | 산요 방언 | 산인 방언 | ||
---|---|---|---|---|
주고쿠 방언 | 운파쿠 방언 | |||
히가시산요 방언 | 니시추고쿠 방언 | 히가시산인 방언 | ||
음운 체계 | 오모테니혼식 | 우라니혼식 | ||
단정조동사 | じゃ | だ | ||
ワ행 5단 동사 연용형 | ウ 음편 | 촉음편, ア 음편 | ||
借りる | カル | カレル | カリル |
참조
[1]
서적
講座方言学 8 中国・四国地方の方言
[2]
논문
"たじま"のAU連母音
[3]
서적
講座方言学 8 中国・四国地方の方言
[4]
논문
"たじま"のAU連母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