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원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원(中原)은 중국 허난성을 중심으로 산둥성 서부, 산시성 동부에 걸친 황허강 중·하류 유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개념이다. 주(周) 왕조 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수도나 왕이 통치하는 지역을 의미했으며, 이후 한족의 세력 확장에 따라 장강 이남 지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1689년 청나라가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중국'이라는 용어를 주권 국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외교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1842년 남경조약에서 한문으로 사용된 것이 최초의 사례이다. 중원은 중국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고대부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중원 관화라는 고유의 언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지리 - 황투고원
    황토고원은 중국 북부에 위치하며, 황토 퇴적으로 형성된 광대한 지역으로, 토양 침식, 사막화 등의 환경 문제와 한국에 대한 영향도 지니고 있다.
중원 (중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개요
다른 이름중토 (中土)
중주 (中州)
정의황하 중하류 지역
하남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
문화적 의미
문화적 중심지중국 문화의 발상지이자 중심지로 여겨짐.
역사적 중요성고대 중국 문명의 주요 무대.
관련 문화중원 문화

2. 역사

중원과 중국은 주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중국(中國)'은 주(周) 왕조 시대에 처음 출현하여 『시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시경』에서 중원 혹은 중국은 '사방'(四方, 동서남북)과 '사이'(四夷, 변방 오랑캐)와 대칭되어 사용되었는데, 이것으로 '中國'이 주 왕조의 수도를 지칭하거나 주나라 왕이 통치했던 지역 일대를 가리키는 어휘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중원(中原)과 이족(夷族)을 구분 짓지 않는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당시 중원은 중국 허난성(河南省)을 중심으로 산둥성(山東省) 서부, 산시성(陝西省) 동부에 걸친 황허강(黃河) 중 · 하류 유역을 의미했다.

'중국'이라는 어휘가 주권국가의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689년 청나라러시아와 맺은 네르친스크 조약이 처음이다. 당시 청나라 외교 사신의 신분을 호칭할 때 '중국'을 만주어로 사용했다. 외교상에서 한문으로 '중국'이 사용된 것은 1842년 8월 29일 아편전쟁의 패배로 청나라가 영국과 맺은 남경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된 것으로 남아 있다.[27]

몽골 제국다두(Dadu, 현재 베이징)에 원 왕조(1271~1368)를 세우면서 중국의 정치 중심지가 다시 옮겨졌고, 명 왕조(1368~1644)의 영락제는 자신의 권력 기반인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겼다.[22]

2. 1. 고대

기원전 2070년경 하(夏) 왕조가 성립하면서 중국 역사상 최초로 중원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 왕조가 등장했다. 하 왕조는 이후 왕조들이 중원을 중심 지역으로 삼는 기틀을 마련했다. 동진남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통 왕조들은 하 왕조부터 송(宋) 왕조(960~1279)가 멸망할 때까지 중원 지역에 수도를 건설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옛날 당인(唐人)의 수도는 하동(河東)에, 은인(殷人)의 수도는 하내 (河內)에, 주인(周人)의 수도는 하남(河南)에 있었으니 무릇 삼하(三河)는 천하의 가운데에 있다.”고 기술하였다. 여기서 삼하란 중국 역사에서 가장 앞선 세 왕조인 하(夏)·상(商)·서주(西周)가 개발했던 중원을 가리킨다.

사마천은 중원(中原)과 이족(夷族)을 구분 짓지 않는 화이불분(華夷不分)의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중원은 중국 허난성(河南省)을 중심으로 산둥성(山東省) 서부, 산시성(陝西省) 동부에 걸친 황허강(黃河) 중 · 하류 유역을 의미했다. 본래 한족(漢族)의 본 거주지역, 즉 과거 주나라(周)가 있던 곳을 지칭하던 말로서, 이곳을 정복해야 중국을 통일할 수 있다는 의식이 지배하고 있던 지역이었지만, 주나라 이후 한족(漢族)의 세력이 확대됨에 따라 장강과 그 서쪽 영역도 중원으로 인식되어 화베이 평원(華北平原)까지 넓어졌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다.[27][29]

'중국'(中國)이라는 단어는 중국의 고전인 『시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시경』에서 중원 혹은 중국은 '사방'(四方, 동서남북)과 '사이'(四夷, 변방 오랑캐)와 대칭되어 사용되었는데, 이를 통해 주(周) 왕조 시대에 처음 출현한 '中國'이 주 왕조의 수도를 지칭하거나 주나라 왕이 통치했던 지역 일대를 가리키는 어휘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원의 역사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약 50만 년 전 중원 지역에서 인류의 활동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8만 년에서 10만 년 전 중원의 고대인들이 석기 도구를 사용했다.[17] 양사오 문화(기원전 5000년~3000년)와 룽산 문화(기원전 3000년~1900년) 유적에서 발견된 채색 토기 및 석기 도구 발굴은 중원이 석기 시대 내내 중국 문명의 선두에 있었음을 증명한다.[18]

얼리터우 문화(기원전 1900년~1500년)가 등장한 후 중원은 청동기 시대로 접어들었다.[19] 사유 재산과 사회 계급의 출현은 하(夏) 왕조의 형성을 이끌었다.[20]

2. 2. 중세

하 왕조(기원전 2070년경~기원전 1600년경)부터 송 왕조(960~1279)까지 동진남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통 왕조들은 중원 지역 내에 수도를 건설했다. 몽골 제국다두(Dadu, 현재 베이징)에 원 왕조(1271~1368)를 세우면서 중국의 정치 중심지가 다시 옮겨졌고, 명 왕조(1368~1644)의 영락제는 자신의 권력 기반인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겼다.[22]

2. 3. 근대

1689년 청나라러시아와 분쟁 끝에 맺은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당시 청나라 외교 사신의 신분을 호칭할 때 '중국'을 만주어로 처음 사용하면서 '중국'이라는 어휘가 주권국가의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외교상에서 한문으로 '중국'이 사용된 용례는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가 영국과 맺은 1842년 8월 29일 남경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된 것으로 남아있다.[27]

2. 4. 현대

2012년 12월 3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국무원이 최근 중원경제구계획을 승인하고 국가발전개발위원회가 이를 공표했다고 전했다. 중원경제구계획이란 예부터 중원으로 불린 허난(河南)성을 중심으로 한 중국 중부를 경제개발특구로 지정, 사통팔달의 지역 특성을 살린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28]

중원경제구계획에 따르면 허난성 전역이 경제구로 지정됐으며 허베이(河北)성, 산시(山西)성, 안후이(安徽)성, 산둥(山東)성의 일부도 경제구에 포함되었다. 총면적은 대한민국의 3배에 가까운 289000km2가 되는 범위다.[28]

3. 지리

오늘날에는 허난성, 산시성 동부, 산둥성 서부 일대를 지칭하는 말로 황하의 중하류 지역을 일컫는다. 그러나 본래 한족의 본 거주지역, 즉 과거 주나라가 있던 곳을 지칭하던 말이다.

이곳을 지배해야 중국을 통일할 수 있다고 생각할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하던 지역이었다. (周)왕조 이후 한족의 세력이 확대됨에 따라 장강과 그 서쪽 영역도 중원으로 인식되어 화베이 평원까지 넓어졌다.[27]

서주(西周, 1046~771 BC) 시대의 제후국들이 주로 중원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중원의 북쪽, 서쪽, 남쪽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에는 주로 태항산맥, 서쪽에는 부우산과 슝얼산맥이 있다. 중원의 중앙 및 동부 지역은 화베이 평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황하가 이 지역을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회하와 하이허, 그리고 양쯔강의 지류 또한 중원을 통과한다. 고대부터 중원은 중국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세계의 중심이자 핵심'으로 여겨졌다.[9]

충적토 퇴적물은 고생대에 중원의 광대한 평원을 형성했다.[10] 이 지역은 식물 성장에 충분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어 '중국의 곡창'으로 알려진 중국 농업 문명의 중심지였다.[11]

중원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온대 몬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여름에는 보통 덥고 습하며, 겨울에는 춥고 건조하다.[12]

4. 언어

중원 관화는 중원 지역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이자 모국어이다. 이는 관화의 일종으로, 관화와 그 전신인 야언의 표준 발음을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형성되고 발전했다.[23]

원나라 시대 주덕청이 저술한 운서 《중원음운》은 초기 관화의 표준 발음을 반영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중원음운》에 기록된 초기 관화가 송나라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던 뤄양과 변량 방언에서 파생된 발음 표준을 기반으로 했다고 주장한다.[24]

현대 중국에서 중원 관화는 허난성, 산둥성, 안후이성, 산시성, 산시성, 간쑤성, 허베이성에서 사용된다. 중원 관화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약 1억 2400만 명이다.[25]

성조 측면에서 현대 중원 관화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초기 관화의 입성(入聲)의 무성 유기 자음은 현재 제1성(고평성)으로 발음되고, 초기 관화의 입성의 유성 자음은 현재 제2성(상성)으로 발음된다.[26]

5. '중국' 명칭의 기원

중국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고전인 『시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시경』에서 중원 혹은 중국은 '사방'(四方, 동서남북) 및 '사이'(四夷, 변방 오랑캐)와 대칭되어 사용되었는데, 이를 통해 주(周) 왕조 시대에 처음 나타난 '中國'이 주 왕조의 수도를 가리키거나 주나라 왕이 통치했던 지역 일대를 지칭하는 어휘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이라는 어휘가 주권국가의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689년 청나라러시아와의 분쟁 결과로 맺은 네르친스크 조약에서였다. 당시 청조 외교 사신의 신분을 호칭할 때 '중국'을 만주어로 처음 사용했다. 외교상에서 한문으로 '중국'이 사용된 용례는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중국 청조영국1842년 8월 29일에 맺은 남경조약에서 최초로 남아있다.[27]

참조

[1] 서적 Ciyuan http://worldcat.org/[...] Shangwu Yinshuguan 1996
[2] 서적 Sovereignty and authenticity: Manchukuo and the East Asian modern https://www.worldcat[...]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3] 논문 中原文化与商都初论 Initial Remark on the Central Plains Culture and the Shang Dynasty-Capital Culture https://www.cnki.com[...] 2007
[4] 논문 Paleolithic Archaeology in China https://www.jstor.or[...] 2012
[5] 논문 War and Politics in Ancient China, 2700 B.C. to 722 B.C.: Measure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https://www.jstor.or[...] 1995
[6]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 논문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in historical China: A re-clarification of the concepts of "China" and the "periphery" https://doi.org/10.1[...] 2018-01-02
[8] 서적 中国民间图形创意设计 Chinese Folk Graphics Creative Design Guangxi Fine Arts Publishing House 2004
[9] 서적 地理学论文集 Discourses on Geography Studies https://www.worldcat[...] The Commercial Press Taiwan 1972
[10] 논문 An Inner Asian Approach to the Historical Geography of China https://www.jstor.or[...] 1947
[11] 논문 Increasing concentration of major crops in China from 1980 to 2011 2018-09-03
[12] 논문 Climate and Work Values: A Comparison of Cold, Warm, and Hot Regions in China https://www.jstor.or[...] 2012
[13] 문서
[14] 논문 从《诗经》看中原文化 Culture of Zhong Yuan Viewed from the Book of Poetry https://chn.oversea.[...] 2002
[15] 논문 中原地区概念的形成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Central Plains http://www.cnki.com.[...] 2005
[16] 논문 History, Space, and Ethnicity: The Chinese Worldview https://www.jstor.or[...] 1999
[17] 논문 Paleolithic Archaeology in China https://www.jstor.or[...] 2012
[18] 논문 Archaeological Research on Neolithic China https://www.jstor.or[...] 1988
[19] 논문 Erlitou and the Form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Toward a New Paradigm https://www.jstor.or[...] 2007
[20] 논문 The Bo Capital and Questions Concerning Xia and Early Shang https://www.jstor.or[...] 1988
[21] 논문 The Mental Maps of Mongol Central Asia as Seen from the Mamluk Sultanate https://www.jstor.or[...] 2015
[22] 서적 Harmony and war: Confucian culture and Chinese power politics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2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andarin language https://goeastmandar[...] 2020-11-30
[24] 논문 A Brief History of Mandarin https://www.jstor.or[...] 2000
[25] 논문 中原官话分区(稿) Classification / Distribution of Middle Area Mandarin (Zhongyuan Guanhua) https://eng.oversea.[...] 2005
[26] 논문 中原官话分区(稿) Classification / Distribution of Middle Area Mandarin (Zhongyuan Guanhua) https://eng.oversea.[...] 2005
[27] 서적 중국지리의 즐거움 차이나하우스 2012
[28] 뉴스 "사통팔달 지역에 산업 육성" 중국 중원이 뜬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3-06-09
[29] 서적 신 중화주의,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와 한반도 푸른역사 2006-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