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루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루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민족으로, 1574년경 줄루 카말란델라에 의해 건국되었다. 1816년 샤카의 지도 아래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주변 부족을 정복하며 줄루 왕국을 건설했으나, 1879년 줄루 전쟁에서 영국에 패배하여 왕국이 해체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콰줄루 반투스탄으로 지정되어 차별을 겪었으며,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 등에 거주하고 있다. 줄루어는 반투어족에 속하며, 기독교와 전통 신앙을 혼합한 종교를 믿는다. 전통 문화로는 이시카타미아, 음바칸가와 같은 음악과 춤, 구슬 공예 등이 있으며, 혼례 지참금 제도인 일로볼로가 존재한다. 줄루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 및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인카타 자유당의 지지 기반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루 - 줄루어
줄루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로, 인접 국가에서도 쓰이며 코사어, 북부 응데벨레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서 구전 문학과 함께 현대 사회에서 활발히 사용된다. - 줄루 - 줄루 왕국
줄루 왕국은 1816년 샤카가 므테트와 제국의 지원으로 왕위를 계승하며 남아프리카에 건국되었고, 군사적 혁신과 정복으로 주요 세력이 되었으나 영국에 정복 및 분할되었으며, 현재는 콰줄루-나탈 주에 속하여 줄루 왕이 의례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반투족 - 트와족
트와족은 르완다 등지에 거주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해 왔으나, 반투족 유입 이후 소수 민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르완다 대학살로 큰 피해를 입었고, 현재는 생활 터전을 잃고 사회적 차별을 받으며 전통적인 도자기 제작으로 정체성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 반투족 - 투치족
투치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 거주하며, 벨기에 식민지 시대에 분류되었고, 1994년 르완다 학살에서 희생되었으며, 현재는 르완다에서 소수 민족으로 대통령을 배출하기도 한다.
| 줄루족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민족 명칭 | 줄루족 |
| 언어 | 줄루어 츠와어 소토어 코사어 영어 |
| 종교 | 기독교 줄루 전통 종교 |
| 관련 민족 | 코사족 스와지족 훌루비족 템부족 남은데벨레족 북은데벨레족 응고니족 산족 |
| 인구 | |
| 전체 인구 | 15,723,791명 |
| 거주 지역 | |
| 2001년 추정 인구 | 10,659,309명 |
| 거주 지역별 인구 | 콰줄루나탈 주: 760만 명 하우텡 주: 190만 명 음푸말랑가 주: 80만 명 프리스테이트 주: 14만 명 |
| 언어 정보 | |
| 줄루어 명칭 | amaZulu |
| 줄루어 명칭 (단수) | UmZulu |
| 줄루어 명칭 (복수) | AmaZulu |
| 줄루어 명칭 (언어) | IsiZulu |
| 줄루어 명칭 (장소) | KwaZulu |
| 발음 (IPA) | /'zuːluː/ |
| 문화 | |
![]() | |
![]() | |
2. 역사
줄루족은 응구니어에 속하며, 응구니어로 iZulu/iliZulu/liTulu는 천국 또는 하늘을 뜻한다. 이들은 수천 년 이상 아프리카 동해안을 따라 이주해온 반투족 이동의 일원으로, 대략 서기 9세기에 현재의 남아프리카에 도착했다. 당시 그곳은 많은 응구니 사회와 씨족들이 점령하고 있었다.
1816년 샤카 줄루의 지도 아래 줄루족은 강력한 국가를 형성했다.
1879년 줄루인의 왕 케츠와요는 영국에 대항해 줄루 전쟁을 일으켜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하기도 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줄루 왕국은 해체되고 분열되었다.
2. 1. 기원
줄루족은 원래 오늘날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콰줄루-나탈 지역의 작은 부족이었으며, 줄루 카말란델라에 의해 건국되었다. 응구니어에서 ''iZulu''는 ''하늘'' 또는 ''날씨''를 의미한다. 당시 이 지역에는 많은 대규모 응구니 공동체와 부족( ''isizwe'' 즉, 민족 또는 씨족이나 가족 이름을 가리키는 ''isibongo''라고도 불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응구니 공동체는 반투족의 이동의 일부로 수천 년에 걸쳐 아프리카 동해안을 따라 이동해 왔다.2. 2. 줄루 왕국의 흥망성쇠

줄루족은 1816년 샤카의 지도 아래 강력한 국가를 형성했다.[3] 샤카는 므테트와 제국의 줄루 사령관이자 딩기스와요의 후계자로서, 여러 부족 연합체를 줄루의 패권 아래 통합된 제국으로 만들었다. 샤카는 징병, 상비군, 새로운 무기, 편제, 포위 전술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 군사 시스템을 구축했다. 줄루의 확장은 남아프리카 지역을 황폐화시킨 므페카네("분쇄")의 주요 원인이었다.[4][5] 샤카는 북쪽의 여러 국가를 침략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는데, 므질리카지가 이끄는 부대는 샤카의 명령을 어기고 북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북부 은데벨레어(현재 짐바브웨)라는 줄루어 방언을 사용하는 집단을 형성했다. 퐁골라 출신의 샤카의 친척이자 군 사령관이었던 즈완겐다바가 이끄는 또 다른 집단은 1835년 치룬두에서 잠베지 강을 건너 잠비아로 북상하여 말라위, 모잠비크, 탄자니아 남부까지 확장된 응고니 국가를 세웠다.[6]

줄루족의 성장과 강력함은 샤카 왕과 그 후계자들의 통치 기간 동안 군사 조직과 기술에 기반을 두었다. 군대는 '우쿠부트와'(ukubuthwa, "등록되다") 시스템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는데, 이 시스템은 대부분의 경우 입문식을 없앴다. 같은 나이의 젊은이들은 이 시스템에 따라 같은 연대(ibutho, 단수; amabutho, 복수)에 배속되었다.
2. 2. 1. 영국과의 갈등 (줄루 전쟁)
1879년 줄루인의 왕 케츠와요가 영국군에 대항해 줄루 전쟁을 일으켜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줄루 왕국은 해체당하고 분열되었다.
1878년 12월 중순, 영국 왕실의 사절들은 당시 줄루 왕국의 국왕 체슈와요를 대표하는 11명의 추장들에게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영국이 줄루에게 제시한 조건에 따르면, 체슈와요는 군대를 해산하고 영국의 주권을 받아들여야 했다. 체슈와요는 이를 거부했고, 줄루족과 영국 왕실의 아프리카 부대 간의 전쟁은 1879년 1월 12일에 시작되었다. 1월 22일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줄루족이 초기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반격하여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에서 승리했고, 7월 울룬디 전투에서 줄루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19세기 초에 건국된 줄루 왕국의 지도자 샤카 줄루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주변 부족들을 차례로 정복해 나갔으나, 1880년 줄루 전쟁에서 영국에 패배하고 왕국은 분할 통치되었다.
2. 2. 2. 나탈 식민지 흡수

체스와요가 패배하고 한 달 뒤 체포되자, 영국은 줄루 제국을 13개의 "소왕국"으로 분할했다. 이 소왕국들은 서로 싸웠으며, 1883년 체스와요가 국왕으로 줄루랜드에 복위될 때까지 분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복위 후에도 싸움은 멈추지 않았고, 줄루 국왕은 13명의 소왕국 중 하나인 지베부가 부어르 용병의 지원을 받아 그의 영토에서 쫓겨났다. 1884년 2월, 체스와요는 심장마비로 사망했고, 그의 아들인 15세의 디누줄루가 왕위를 계승했다. 줄루족 내부의 싸움은 수년간 계속되었으며, 1897년 줄루랜드는 영국의 나탈 식민지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2. 3.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줄루족을 위해 반투스탄인 콰줄루(KwaZulu)(''Kwa''는 ''장소''를 의미)가 설립되었다. 1970년, 반투 자치령 시민권법에 따라 모든 줄루족은 콰줄루 시민이 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민권을 상실하게 되었다.[7] 콰줄루는 현재 콰줄루-나탈주에 있는 여러 개의 분리된 토지로 구성되었다. 콰줄루 외부의 사유지인 "흑인 거주지"에 거주하는 수십만 명의 줄루족은 재산을 몰수당하고 기존 콰줄루 지역과 인접한 백인들에게 이전에 할당되었던 더 열악한 토지인 반투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7] 1993년까지 약 520만 명의 줄루족이 콰줄루에 거주했고, 약 200만 명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른 지역에 거주했다.[7]인카타 자유당은 주로 줄루족의 지지를 받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당이다. 1975년 망고수투 부텔레지는 인카타 자유당의 전신인 인카타 야콰줄루(Inkatha YaKwaZulu)를 부활시켰다. 이 단체는 명목상으로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 운동이었지만, ANC보다 더 보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인카타는 무장 투쟁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제재에 반대했다. 인카타는 초기에는 ANC와 관계가 좋았지만, 1976년 소웨토 학생봉기 이후 두 단체 간의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자코브 주마는 줄루족 출신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2. 3. 1. 콰줄루 반투스탄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줄루족을 위해 반투스탄인 콰줄루(KwaZulu)(''Kwa''는 ''장소''를 의미함)가 설립되었다. 1970년, 반투 자치령 시민권법에 따라 모든 줄루족은 콰줄루 시민이 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민권을 상실하게 되었다.[7] 콰줄루는 현재 콰줄루-나탈주에 있는 여러 개의 분리된 토지로 구성되었다. 콰줄루 외부의 사유지인 "흑인 거주지"에 거주하는 수십만 명의 줄루족은 재산을 몰수당하고 기존 콰줄루 지역과 인접한 백인들에게 이전에 할당되었던 더 열악한 토지인 반투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7] 1993년까지 약 520만 명의 줄루족이 콰줄루에 거주했고, 약 200만 명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른 지역에 거주했다.[7] 1970년(줄루랜드) 설립된 콰줄루의 수상은 망고수투 부텔레지 수석이었다.[7] 1994년, 콰줄루는 나탈 주와 합쳐져 현재의 콰줄루-나탈주를 형성하였다.[7]2. 3. 2. 인카타 자유당
인카타 자유당은 주로 줄루족의 지지를 받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당이다. 1975년 부텔레지(Buthelezi)는 인카타 자유당의 전신인 인카타 야콰줄루(Inkatha YaKwaZulu)를 부활시켰다. 이 단체는 명목상으로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 운동이었지만, ANC보다 더 보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인카타는 무장 투쟁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제재에 반대했다. 인카타는 초기에는 ANC와 관계가 좋았지만, 1976년 소웨토 학생봉기 이후 두 단체 간의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자코브 주마는 줄루족 출신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3. 언어
줄루어("이시줄루어(isiZulu)")는 반투어족, 더 자세하게는 응구니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줄루어를 이해할 수 있다. 모어 사용자는 1,378만 명 이상, 제2언어 사용자는 1,500만 명 이상이다.[8] 많은 줄루족 사람들은 츠와나어, 세소토어 등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른 공용어도 사용한다.
코사어처럼 반투어군에는 없는 흡착음이 있다.
4. 문화
줄루족의 전통 문화에는 무반주 합창의 일종으로, 발끝으로 스텝을 밟으며 고무하는 춤인 이시카타미아가 있다. 또한 줄루족의 전통 문화와 미국의 재즈와 록에 영향을 받은 아프리카 음악(자이브)이 융합하여 탄생한 댄스 음악인 음바칸가도 유명하다.
4. 1. 의복
줄루족 여성은 몸을 덮는 옷을 입는다. 짚과 구슬로 장식한 넓은 모자인 이시크홀로를 쓰며, 손으로 쇠가죽을 부드럽게 한 주름진 스커트인 이시드와바를 입는다.[9]

구슬 장식은 남녀노소 누구나 착용하며, 착용자의 삶의 단계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다. 주로 젊은 줄루족이 구애하거나 연애할 때 착용하는데, 이성의 관심을 끌거나 연인에게 관심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9] 독신 여성에서 기혼 여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구슬 장식 천 앞치마를 주름 장식이 된 가죽 치마 위에 착용한다.[11] 나이든 여성은 무릎 아래로 내려오는 가죽 치마와 정교한 머리 장식에 구슬 장식을 한다. 미혼 여성과 결혼 적령기의 젊은 여성도 이러한 긴 치마를 입는다.[9] 남성은 구슬 장식을 착용할 때 비교적 보수적이지만,[9] 어린 소년이 여러 개의 목걸이를 착용하는 것은 여러 소녀들로부터 받은 선물에 큰 관심이 있음을 의미하며, 착용하는 선물이 많을수록 명성이 높아진다.[11]
줄루족은 의례나 문화 축제 행사를 위한 전통 의상과 일상생활을 위한 현대 서구식 의류를 모두 착용한다. 여성들은 미혼, 약혼, 기혼 여부에 따라 다르게 옷을 입으며, 남성들은 앞뒤로 늘어뜨린 두 개의 가죽 조각이 달린 가죽 벨트를 착용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미니스커트가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존재해왔다. 바소토족, 츠와나족, 페디족, 스와티족, 줄루족과 같은 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여성들이 전통 미니스커트를 문화 의상으로 입었다.[12] 이 치마는 이시그체베자나라고 불리며, 줄루족 의식에서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우메물로(Umemulo)는 21세가 된 여성을 위한 의식으로,[12] 여성의 인생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며, 남자 친구를 받아들이고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는 상징이다. 미혼 여성은 치마만 입고 위에는 아무것도 입지 않지만, 성장하면서 결혼한 여성과 노년 여성이 될 때 몸을 가리기 시작한다. 임신한 여성은 부풀어 오른 배와 그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말린 풀로 만든 두꺼운 벨트인 [https://www.mrxstitch.com/zulu-headdress/ "이시밤바(isibamba)"]를 착용하는데, 이 벨트에는 유리나 플라스틱 구슬 장식이 붙어 있다.[13]
4. 2. 구슬 공예
줄루족의 구슬 공예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사회적 소통과 문화적 표현의 중요한 수단이었다.줄루족 구슬 공예는 전쟁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용기를 상징하는 '이지쿠'(iziqu)라는 목걸이 형태로 나타났다.[10] 유럽인들이 유리를 소개하기 전에는 나무, 씨앗, 열매를 사용했다.[10] 포르투갈과의 무역을 통해 유리가 풍부해졌다.[10]
구슬 공예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여러 개의 구슬을 착용하는 것은 부의 상징이었다.[11] 구슬은 사람의 나이, 성별, 결혼 여부 등의 정보를 전달하며, 디자인은 특정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9] 구슬 공예가 만들어진 지역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메시지는 구슬의 색상과 구조에 담겨 있거나 순전히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9] 구슬 공예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결혼식이나 의식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착용되었다.[9]
구슬의 색상은 착용자의 삶의 단계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니며, 특히 젊은 줄루족이 구애를 할 때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용되었다.[9]
다양한 형태의 구슬 공예는 여러 가지 색 구성표를 가진다.
| 색 구성표 | 색상 |
|---|---|
| 이시슌카(Isisshunka) | 흰색, 연한 파란색, 진한 녹색, 연한 노란색, 분홍색, 빨간색, 검은색 |
| 이시템부(Isithembu) | 연한 파란색, 풀색, 밝은 노란색, 빨간색, 검은색 |
| 움잔시(Umzansi) | 흰색, 진한 파란색, 풀색, 빨간색 |
| 이시뇰로바네(Isinyolovane) | 다른 색 구성표와 일치하지 않는 임의의 색상 조합 |
구슬의 색상은 그 기원 지역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역에서 색상 시스템이 표준이라고 가정할 수 없으며, 지역별로 의미가 다를 수 있다.[10]
4. 2. 1. 구슬 공예의 역사
줄루족의 구슬 공예는 전쟁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특별한 형태의 구슬 공예는 전쟁의 메달인 '이지쿠'(iziqu)로 알려져 있다.[10] 이지쿠는 종종 목걸이로 착용되었으며, 구슬은 어깨를 가로질러 엇갈린 형태로 장식되었다. 전사들은 구슬을 조합하여 용기를 상징했다.[10] 유럽인들이 유리를 줄루족에게 소개하기 전에는 나무, 씨앗, 열매로 구슬 공예를 만들었다.[10]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을 통해 유리가 줄루족에게 풍부하게 공급되기 시작한 것은 유럽인들이 도착한 이후였다.[10]4. 2. 2. 구슬 공예의 목적
줄루족에게 구슬공예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이다. 여러 개의 구슬을 착용하는 것은 부의 상징이며, 구슬을 많이 착용할수록 더 부유한 것으로 여겨진다.[11] 구슬은 사람의 나이, 성별, 결혼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슬의 디자인은 종종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메시지를 정확하게 해석하려면 구슬 사용의 맥락을 알아야 한다.[9] 구슬공예가 만들어진 지역에 따라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다른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는 구슬의 색상과 구조에 담겨 있거나 순전히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9] 구슬공예는 일상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지만, 결혼식이나 의식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자주 착용된다. 예를 들어, 어린 소녀의 성년식이나 춤을 출 때 구슬공예가 등장한다.[9] 구슬 장식은 줄루족이 착용하는 의상을 보완하여 화려함이나 위엄을 더한다.[9]4. 2. 3. 구슬의 색상
줄루족 구슬 장식은 남녀노소 누구나 착용하며, 착용자의 삶의 단계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다. 특히 젊은 줄루족이 구애하거나 연애를 찾을 때 구슬 장식을 착용하는데, 이는 이성의 관심을 끌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9] 구슬 장식을 선물하는 것은 연인에게 관심을 표현하는 방법이기도 하다.[9]독신 여성에서 기혼 여성으로 전환될 때 구슬 장식은 주름 장식이 된 가죽 치마 위에 착용하는 구슬 장식 천 앞치마를 통해 나타난다.[11] 나이 든 성숙한 여성의 경우, 무릎 아래로 내려오는 가죽 치마와 정교한 머리 장식에 구슬 장식이 나타난다. 이러한 긴 치마는 미혼 여성과 결혼 적령기의 젊은 여성에게서도 볼 수 있다.[9] 남성들은 구슬 장식을 착용할 때 더 보수적이다.[9] 그러나 어린 소년이 여러 개의 목걸이를 착용하는 것은 여러 소녀들로부터 받은 선물에 큰 관심이 있음을 나타낸다. 착용하는 선물이 많을수록 그의 명성이 높아진다.[11]
다양한 형태의 구슬 공예는 여러 가지 색 구성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네 가지 유형의 색 구성표가 있다.
| 색 구성표 | 색상 |
|---|---|
| 이시슌카(Isisshunka) | 흰색, 연한 파란색, 진한 녹색, 연한 노란색, 분홍색, 빨간색, 검은색 |
| 이시템부(Isithembu) | 연한 파란색, 풀색, 밝은 노란색, 빨간색, 검은색 |
| 움잔시(Umzansi) | 흰색, 진한 파란색, 풀색, 빨간색 |
| 이시뇰로바네(Isinyolovane) | 다른 색 구성표와 일치하지 않는 임의의 색상 조합 |
- 이시슌카(Isisshunka)는 특별한 의미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9]
- 이시템부(Isithembu)와 움잔시(Umzansi)는 씨족 또는 씨족 지역에서 유래한다.[9]
- 이시뇰로바네(Isinyolovane)는 종종 완벽과 매력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9]
구슬의 색상은 그 기원 지역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구슬 공예의 의미를 정확하게 해석하려면 그 기원을 알아야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역에서 색상 시스템이 표준이라고 가정할 수 없으며, 어떤 지역에서는 녹색이 질투를 상징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풀을 상징하는 것처럼 지역별로 의미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10]
4. 3. 춤과 음악
줄루족의 전통 문화에는 무반주 합창의 일종으로, 발끝으로 스텝을 밟으며 고무하는 춤인 이시카타미아가 있다. 또한 줄루족의 전통 문화와 미국의 재즈와 록에 영향을 받은 아프리카 음악(자이브)이 융합하여 탄생한 댄스 음악인 음바칸가 등도 유명하다.4. 3. 1. 움흘랑가(갈대 춤)
줄루족은 1984년에 시작된 연례 행사인 움흘랑가(Umhlanga) 또는 갈대 춤을 기념한다. 이 행사는 논고마(Nongoma) 근처의 왕궁에서 열린다.[9] 이 전통 의식은 왕국 전역의 젊은 여성들이 국왕과 그의 손님들 앞에서 공연하는 행사이다.[9] 이 행사의 목적은 처녀성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하고 성관계를 억제하는 것이다.[10] 움흘랑가에서는 구슬 장식이 두드러진 의상으로 사용된다. 구슬 장식은 춤추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손님들도 착용한다. 움흘랑가는 단순히 춤을 추는 시간만이 아니다. 국왕은 이 시간을 이용하여 국가의 젊은 남녀에게 연설하기도 한다. 국왕은 현재의 정치적 문제에 대해 논한다.[9]
4. 4. 사회적 역할
줄루족 사회는 가부장적인 사회 체제를 가지고 있다.[10] 남성과 여성은 각각 다른 역할을 담당한다.4. 4. 1. 남성의 역할
줄루족은 가부장적인 사회 체제에서 살아간다.[10] 남성은 가족의 가장이자 권위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줄루족 남성들은 자신을 황소, 사자, 코끼리와 같은 강력한 야생 동물의 특성에 비유하며 큰 자부심과 품위를 가지고 살아간다.[10] 이들은 사회에서 방어자, 사냥꾼, 연인으로서 역할을 하며,[10] 가축을 돌보고, 훈련된 전사로서의 삶을 배우며, 무기를 제작하고, 막대기 싸움 기술을 익힌다.[10]4. 4. 2. 여성의 역할
줄루 사회의 여성들은 청소, 육아, 물과 땔나무 수집, 세탁, 농작물 관리, 요리, 의류 제작과 같은 가사일을 종종 담당한다.[10] 여성은 가계의 유일한 소득원이 될 수 있다. 여성의 삶의 단계는 결혼이라는 목표를 향한다. 사춘기에 접어든 여성은 ''tshitshi''(tshitshizu)로 알려져 있다. ''tshitshi''는 옷을 적게 입음으로써 독신임을 드러낸다. 미혼 여성은 일반적으로 머리, 가슴, 다리, 어깨를 가리는 옷을 입지 않는다.[10] 약혼한 여성은 사회에 자신의 결혼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머리그물을 쓰고, 기혼 여성은 옷과 머리 장식으로 자신을 가린다.[10] 또한, 여성들은 남성에게 복종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우며, 항상 남성에 의해 규제된다.[10]4. 5. 종교와 믿음
대부분의 줄루족은 기독교를 믿는다. 아프리카 독립 교회에 속한 사람들도 있지만, 네덜란드 개혁 교회나 성공회 등 유럽의 주요 교파에 속한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많은 줄루족은 기독교와 함께 조상 숭배를 포함하는 전통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줄루족의 전통 종교에는 운쿨룬쿨루(''Unkulunkulu'')라는 창조주 신이 있지만, 이는 초기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의 신 개념을 줄루족 용어로 표현하려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4] 전통적으로 줄루족은 좋든 나쁘든 사람들의 삶에 개입할 수 있는 조상의 영혼(amaThongo 또는 amaDlozi)을 더 강하게 믿었다.[15] 이러한 믿음은 현대 줄루족 사이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16]
4. 5. 1. 전통 신앙
대부분의 줄루족은 자신들의 신앙을 기독교라고 밝히고 있다. 그들이 속한 가장 흔한 교회는 아프리카 독립 교회이며, 특히 시온 기독교회, 나사렛 침례교회, 아프리카 통합 사도 교회가 있다. 하지만, 네덜란드 개혁 교회, 성공회, 가톨릭과 같은 유럽 주요 교회의 신자들도 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줄루족은 기독교와 병행하여 조상 숭배를 포함한 전통적인 기독교 이전의 신앙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전통적인 줄루족 종교에는 일상생활에 개입하지 않는 창조주 신(uNkulunkulu)에 대한 믿음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믿음은 초기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 신의 개념을 줄루족 용어로 표현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4] 전통적으로 줄루족의 더 강한 신앙은 사람들의 삶에 좋든 나쁘든 개입할 수 있는 조상의 영혼(amaThongo 또는 amaDlozi)에 대한 믿음이었다.[15] 이러한 믿음은 현대 줄루족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다.[16]
전통적으로 줄루족은 인간에게 육체(inyama yomzimba 또는 umzimba), 호흡 또는 생명력(umoya womphefumulo 또는 umoya), 그리고 "그림자" 명성 또는 개성(isithunzi)의 몇 가지 요소가 있다고 생각한다. umoya가 몸을 떠나면, 특정한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만 isithunzi는 조상의 영혼(idlozi)으로 살아갈 수 있다.[17][18] 우분투 정신을 발휘하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존중과 관용을 보이는 것은 공동체에서 자신의 도덕적 지위나 명성, 즉 isithunzi를 높인다.[19] 반대로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행동을 하면 isithunzi가 줄어들고,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20]

영혼의 세계에 호소하기 위해, 점쟁이(sangoma)는 점을 치는 과정을 통해 조상을 불러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그런 다음, 약초사(inyanga)는 조상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복용할 혼합물(muthi)을 준비한다. 따라서 점쟁이와 약초사는 줄루족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치유나 불행의 예방 또는 반전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 흰 muthi(umuthi omhlope)와 다른 사람들에게 질병이나 죽음을 가져오거나 사용자에게 부정한 부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검은 muthi(umuthi omnyama) 사이에는 구분이 있다.[16] 검은 muth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마녀로 간주되어 사회에서 배척된다.
기독교는 줄루족 사이에서 발붙이기가 어려웠고, 발붙이게 된 경우에도 융합적인 방식이었다. 줄루족의 메시아로 여겨지는 이사야 셈베는 전통 관습을 통합한 기독교 형태(나사렛 침례교회)를 제시했다.[21]
또한 줄루족은 우퀘슈와마(Ukweshwama)라고 불리는 의식을 행한다. 황소를 죽이는 것은 새로운 수확을 기념하는 연례 행사인 우퀘슈와마의 일부이다. 줄루족이 창조주와 조상에게 감사하는 기도의 날이다. 전통적으로 새로운 젊은 전사 연대는 용기를 증명하기 위해 황소와 맞서 싸우고, 짐승이 죽을 때 그 힘을 물려받는다. 이 힘은 그 후 줄루 왕에게 전달된다고 믿어진다.[22]
4. 5. 2. 기독교와의 융합
대부분의 줄루족은 자신들의 신앙을 기독교라고 밝히고 있다. 줄루족이 속한 가장 흔한 교회는 아프리카계 기독교이며, 특히 시온 기독교회, 나사렛 침례교회, 아프리카 통합 사도 교회가 있다. 하지만, 네덜란드 개혁 교회, 성공회, 가톨릭과 같은 유럽 주요 교회의 신자들도 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줄루족은 기독교와 병행하여 조상 숭배를 포함한 전통적인 기독교 이전의 신앙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전통적인 줄루족 종교에는 일상생활에 개입하지 않는 창조주 신(uNkulunkulu)에 대한 믿음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믿음은 초기 기독교 선교사들이 기독교 신의 개념을 줄루족 용어로 표현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4] 전통적으로 줄루족의 더 강한 신앙은 사람들의 삶에 좋든 나쁘든 개입할 수 있는 조상의 영혼(amaThongo 또는 amaDlozi)에 대한 믿음이었다.[15] 이러한 믿음은 현대 줄루족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다.[16]
4. 5. 3. 우퀘슈와마
줄루족은 우퀘슈와마(Ukweshwama)라고 불리는 의식을 행한다. 이는 새로운 수확을 기념하는 연례 행사로, 줄루족이 창조주와 조상에게 감사하는 기도의 날이다. 전통적으로 새로운 젊은 전사 연대는 용기를 증명하기 위해 황소와 맞서 싸우고, 짐승이 죽을 때 그 힘을 물려받는다. 이 힘은 그 후 줄루 왕에게 전달된다고 믿어진다.[22]5. 혼례 지참금 (로볼로)
줄루족은 ilobolozu라고 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특히 줄루족이 혼례지참금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 모든 아프리카 민족 집단은 혼례지참금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 자본주의 이전 줄루 사회에서 ilobolo는 가축 소유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23] 당시 결혼을 위해 필요한 가축 수는 정해져 있지 않았으며, 결혼 전이나 결혼 중에 지불될 수 있었다. 신랑은 가족 유산을 계속하기 위해 아버지의 가축 떼에서 가축을 가져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의식은 식민지 시대에 변화되었는데, 1869년 당시 나탈 원주민 사무 차관이었던 시어필러스 숩스톤이 평민의 경우 10마리의 소(어머니를 위한 ingquthu 소 포함), 세습 족장의 형제자매의 경우 15마리, 족장의 딸의 경우 20마리 이상으로 ilobolo 지불을 공식화했기 때문이다.[23] 신랑이 원하는 금액을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 너무 관대하다고 판단하여 결혼 전이나 결혼 시작 전에 필요한 특정 수의 가축을 정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선교 학교에서 교육받은 줄루 남성들에 의해 받아들여졌지만, 더 전통적인 사람들은 이것을 “비전통적인 것”이라고 여겼다. 또한, 나탈법의 제정으로 일부 줄루 남성들은 ilobolo를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았는데, 예비 신부의 아버지에게 상징적인 지불을 하거나 선물을 가져와 지불해야 할 ilobolo 금액을 줄이는 것이었다.[24] ilobolo 지불은 일부 가족에게 어려울 수 있지만, 종종 자부심과 존경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전통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유지하려고 한다.
6. 거주 국가
줄루족은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아프리카의 민족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짐바브웨 남부에 걸쳐 약 1,000만 명이 거주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가장 큰 민족 집단이다.
7. 주요 인물
8. 대중 문화
- 사이 앤드필드의 영화 ''줄루''(1964)
- 더글러스 히콕스의 영화 ''줄루 새벽''(1979)
- 에마뉘엘 비두의 ''Ubuhle Bembali''(프랑스 영화진흥센터, 2002)
- 에마뉘엘 비두의 ''Amours zoulous''(2004)
- 조슈아 싱클레어의 TV 시리즈 ''샤카 줄루''(SABC, 1986)
- ''A Zulu Christmas''(2020)
- 윌버 스미스의 소설 ''사자가 먹이를 먹을 때''(1964)
- 제임스 A. 미체너의 소설 ''계약''(1980)
- 캐릴 페레이의 소설 ''줄루''(갈리마르, 2008)
- 비디오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 시리즈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당 인카타 자유당은 주로 줄루족의 지지를 받는다. 자코브 주마는 줄루족 출신 최초의 대통령이다.
- 디즈니 애니멀 킹덤의 아프리카 지역 입구에 있는 할람베 마을 일부 건설 당시 지붕의 풀 지붕을 짓는 데 줄루족 13명이 고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2022: Statistical Release
https://census.stats[...]
2023-10-12
[2]
논문
Zulu Oral Art
2003
[3]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Houghton Mifflin Company
[4]
웹사이트
Shaka (Zulu chief)
http://www.britannic[...]
2011-10-30
[5]
서적
Genocide: A History
https://books.google[...]
Pearson Longman
2013-06-26
[6]
논문
Interpreting the Exodus Among the Ngoni People
2012-08-14
[7]
웹사이트
The Peace Deal: The Formation of the Ingonyama Trust and the IFP Decision to Join South Africa’s 1994 Elections
https://www.tandfonl[...]
2024-12-15
[8]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ZUL
http://www.ethnologu[...]
www.ethnologue.com
[9]
서적
Speaking with Beads
Thames and Hudson
1994
[10]
서적
Zulu
Struik Publishers
[11]
논문
Borders of Beads: Questions of Identity in the Beadwork of the Zulu-Speaking People
2005
[12]
서적
Learning Zulu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3-22
[13]
웹사이트
Traditional Zulu Clothing
https://eshowe.com/t[...]
2019-10-26
[14]
논문
Lord of the Sky-King of the Earth: Zulu traditional religion and belief in the sky god
https://www.ucalgary[...]
University of Waterloo
2008-10-26
[15]
서적
The Religious System of the Amazulu
http://www.sacred-te[...]
Springvale
[16]
논문
Muthi, Medicine and Witchcraft: Regulating 'African Science'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http://web.uct.ac.za[...]
2008-11-16
[17]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Volume 1
https://books.google[...]
Sage
[18]
서적
Zulu thought-patterns and symbolism
https://archive.org/[...]
C. Hurst & Co. Publishers
[19]
논문
Two Souls Leadership: Dynamic Interplay of Ubuntu, Western and New Testament Leadership Values
http://ujdigispace.u[...]
submitted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of the degree of Doctorate in Theology, University of Johannesburg
[20]
논문
The Rainbow Nation: A Critical Analysis of the Notions of Community in the Thinking of Desmond Tutu
http://uir.unisa.ac.[...]
submitted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of the degree of Doctorate in Theology, University of South Africa
[21]
웹사이트
Art & Life in Africa Online - Zulu
http://www.uiowa.edu[...]
University of Iowa
2007-06-06
[22]
뉴스
Spilling the Blood of Bulls to Preserve Zulu Tradition
https://www.nytimes.[...]
2009-12-08
[23]
논문
Contemporary functions of ilobolo (bridewealth) in urban South African Zulu society
2014-01-02
[24]
논문
Marriage and Bridewealth (Ilobolo) in Contemporary Zulu Society
2014-08-18
[25]
웹사이트
http://www.southafri[...]
[26]
논문
Lord of the Sky-King of the Earth: Zulu traditional religion and belief in the sky god
http://www.ucalgary.[...]
University of Waterloo
2008-10-26
[27]
서적
The Religious System of the Amazulu
http://www.sacred-te[...]
Springvale
[28]
논문
Muthi, Medicine and Witchcraft: Regulating ‘African Science’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