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루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이다. 코사족, 응구니족과 마찬가지로 수백 년 동안 남아프리카에 거주해 온 줄루족의 언어이며, 파찰음과 같은 독특한 음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줄루어는 문자로 기록되기 전까지 구어 형태로 전해졌으며, 19세기부터 문법서와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콰줄루-나탈 주와 가우텡 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짐바브웨, 레소토, 에스와티니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줄루어는 방언의 차이가 있으며, 표준 줄루어와 도시 줄루어의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다. 줄루어는 26개의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음운, 문법, 어순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94년 이후 줄루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로 부활했으며, 방송,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줄루어는 남아프리카 영어에 많은 단어를 제공했으며, 구비 문학, 속담, 수수께끼, 노래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루 - 줄루족
    줄루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 주에 주로 거주하는 응구니계 민족으로, 샤카 줄루 왕 시대에 강력한 왕국으로 성장했으나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했고,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남아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줄루 - 줄루 왕국
    줄루 왕국은 1816년 샤카가 므테트와 제국의 지원으로 왕위를 계승하며 남아프리카에 건국되었고, 군사적 혁신과 정복으로 주요 세력이 되었으나 영국에 정복 및 분할되었으며, 현재는 콰줄루-나탈 주에 속하여 줄루 왕이 의례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소토어
    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서 사용되는 남부 반투어의 일종으로, 세소토어를 지칭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공용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츠와나어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바통투어족 언어로, 19세기 초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고유한 음운 체계와 문법을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현대 철자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줄루어
지도 정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줄루어 사용 비율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줄루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 비율
기본 정보
이름줄루어
고유어 이름isiZulu
발음/isízṳːlu/
사용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사용 지역콰줄루나탈 주 및 음푸말랑가 주 남부; 기타 지역의 소규모 공동체
민족줄루족
모국어 화자1210만 명
모국어 화자 추정 시점2013–2017년
제2 언어 화자1570만 명 (2002년)
총 화자 수2780만 명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어군볼타콩고어군
어계베누에콩고어군
어지반투이드어군
어족 하위 분류남부 반투이드어군
어족 하위 분류 2반투어군
어족 하위 분류 3남부 반투어군
어족 하위 분류 4응구니어군-츠와롱가어군
어족 하위 분류 5응구니어군
어족 하위 분류 6준다어군
방언콰줄루나탈 줄루어, 트란스발 줄루어, 콰베, 셀레
기관범 남아프리카어 위원회
문자로마자 (줄루어 알파벳), 줄루어 점자, 디테마 차 디노코
수화줄루어 수화
ISO 639-1zu
ISO 639-2zul
ISO 639-3zul
글롯토로그zulu1248
글롯토로그 참조줄루어
거스리 코드S.42
링구아스피어99-AUT-fg (99-AUT-fga ~ 99-AUT-fge 변형 포함)
로마자 표기'zulu'
음성 표기ˈzuːluː
언어 정보
사용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레소토, 말라위, 모잠비크, 에스와티니
사용 지역콰줄루나탈 주, 하우텡 주 동부, 프리 스테이트 주 동부, 음푸말랑가 주 남부
화자 수약 900만 명
화자 수 순위65위
기관범 남아프리카어 위원회
화자 수 (2011년)약 1,200만 명
제2언어 화자 (2002년)약 1,600만 명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어파대서양콩고어파
어군베누에콩고어군
어지반투어군
어족 하위 분류남부 반투이드어군
어족 하위 분류 2중앙 반투어군
어족 하위 분류 3응구니어군
문자라틴 문자

2. 역사

줄루족은 코사족 및 다른 응구니족과 마찬가지로 수백 년 동안 남아프리카에 거주해 왔다. 줄루어는 아프리카 남부 언어에서 일반적인 여러 종류의 파찰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아프리카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응구니족은 산족과 코이족과 같은 다른 남부 부족들과 공존해 왔다.

줄루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남아프리카 원주민 언어는 유럽의 선교사들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하기 전까지는 문자 언어가 아니었다. 줄루어 최초의 문법 책은 1850년 노르웨이 선교사 한스 슈뢰더에 의해 노르웨이에서 출판되었다.[10] 줄루어로 쓰인 최초의 문서는 1883년에 등장한 성경 번역본이다. 1901년 나탈 출신 줄루족인 존 두베(1871–1946)는 남아프리카 최초의 원주민 교육 기관인 올랑게 연구소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줄루어로 쓰인 최초의 소설인 ''인실라 카샤카(Insila kaShaka)''(1930)의 저자이기도 하다. 또 다른 선구적인 줄루 작가는 롤페스 로버트 레지날드 드로모로, 19세기 줄루족 지도자들의 역사 소설인 ''우-딩가네(U-Dingane)''(1936), ''우-샤카(U-Shaka)''(1937), ''우-판데(U-Mpande)''(1938), ''우-체츠와요(U-Cetshwayo)''(1952), ''우-디니줄루(U-Dinizulu)''(1968)의 저자이다. 줄루 문학에 기여한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베네딕트 월릿 빌라카지와 최근에는 오스왈드 음부이세니 엠츠할리가 있다.

줄루어의 문자 형태는 콰줄루-나탈주(KwaZulu-Natal)의 줄루어 위원회에서 관리했다. 이 위원회는 현재 해체되었고 남아프리카의 11개 공식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는 전 남아프리카 언어 위원회(Pan South African Language Board)[11]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원래 줄루족의 땅은 현재 탄자니아에 해당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줄루족의 존재는 14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832년에는 줄루 왕국을 건국하였다.

3. 지리적 분포

남아프리카 공화국 줄루어 사용자 분포: 줄루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 밀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줄루어 사용 비율: 가정에서 줄루어를 사용하는 인구 비율


줄루어는 콰줄루-나탈 주와 가우텡 주에서 널리 쓰이며, 레소토, 에스와티니, 짐바브웨에도 사용자가 있다. 짐바브웨 남부에서 사용되는 줄루어는 일반적으로 (북부) 응데벨레어로 불린다. 말라위탄자니아 남부에서 사용되는 응고니어(응고니족의 언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이는 19세기 이후 줄루족의 이주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짐바브웨에서는 북부 은데벨레어(isiNdebele)가 줄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케이프 지역의 주요 언어인 코사어는 줄루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한 언어로 여겨진다.[8][9]

많은 응구니어군 언어의 상호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줄루어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지역의 공용어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3. 1. 방언

학교에서 가르치는 표준 줄루어(isiZulu esijulile), 즉 "깊이 있는 줄루어"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도시 줄루어, isiZulu sasedolobheni)와 여러 면에서 다르다. 표준 줄루어는 새로운 개념에 대해 줄루어 단어에서 파생된 것을 사용하는 순수주의적 경향이 있는 반면, 도시 줄루어 화자들은 주로 영어에서 온 외래어를 풍부하게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15]

표준 줄루어도시 줄루어영어
umakhalekhukhwiniiselulamobile(cell) phone
NgiyezwaNgiya-andastendaI understand



이러한 상황 때문에 표준 줄루어를 젊은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교육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15]

4. 음운

줄루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홀소리(모음)"과 "닿소리(자음)" 섹션을 참조.

4. 1. 홀소리(모음)

줄루어의 모음 체계는 다섯 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줄루어 모음표


/ɛ/와 /ɔ/는 다음 음절에 [+ATR] 모음 /i/ 또는 /u/가 포함된 경우 각각 [e]와 [o]로 발음된다.[16] 그렇지 않으면 [ɛ]와 [ɔ]이다.

  • ''umgibeli'' "승객", 음성적으로 [úm̩̀ɡìɓé(ː)lì]
  • ''ukupheka'' "요리하다", 음성적으로 [ùɠúpʰɛ̀(ː)ɠà]


줄루어에는 특정 음절의 축약으로 인해 제한적인 모음 길이가 있다. 예를 들어, "뼈"를 의미하는 단어 ''ithambo'' (/íːtʰámbó/)는 이전의 ''ilithambo'' (/ílítʰámbó/)의 축약형이며, 일부 화자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붕"을 의미하는 ''uphahla'' (/úːpʰaɬa/)는 이전의 ''uluphahla'' (/ulúpʰaɬa/)의 축약형이다. 또한,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은 구절이나 문장의 끝에서 동화적으로 길어진다.

줄루어는 기본적으로 5모음 체계이다. 중간 높이 모음과 중간 낮이 모음은 음운론적으로 대립하지 않으며, 표기법에도 반영되지 않는다.

IPA표기예시 (IPA)예시 (표기)의미비고
izuiˈsiːzazu-siza돕다
uzuuuˈmuːzizuumuzi
ezueumɡiˈɓeːlizuumgibeli말을 타는 사람다음 음절의 모음이 "i", "u"이거나 어말일 경우, e는 ezu로 발음된다.
ɛzuˈpʰɛːɠazu-pheka요리하다위 조건 외의 e는 ɛzu로 발음된다.
ozuoumaˈɠoːtizuumakoti신부다음 음절의 모음이 "i", "u"이거나 어말일 경우, o는 ozu로 발음된다.
ɔzuɔˈɡɔːɡozuogogo노파위 조건 외의 o는 ɔzu로 발음된다.
azuaˈdiːdazu-dida당황하다



단어를 단독으로 발음할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은 장모음화된다.

4. 2. 닿소리(자음)

줄루어의 닿소리(자음)는 매우 다양하며, 흡착음과 같은 독특한 소리를 포함한다.

양순음/순치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흡착음‘평음’ǀ’ǁ’ǃ’
유기음ǀʰǁʰǃʰ
비음화ᵑǀᵑǁᵑǃ
이완된 구강음ᵍǀʱᵍǁʱᵍǃʱ
이완된 비음화ᵑǀʱᵑǁʱᵑǃʱ
비음정상음mnɲ
이완음
파열음‘평음’p’t’k’
유기음
이완음ɡ̤
내파음ɓɠ
파찰음‘평음’ts’tʃ’kx’~kʟ̝̊’
이완음dʒ̈
마찰음무성음fsɬʃh
이완음ɮ̈ɦ̥
유음l
반모음정상음jw
이완음


  • 흡착음: 줄루어는 흡착음(클릭음)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흡착음은 혀와 입천장을 이용하여 만드는 소리로, 줄루어에는 치경 흡착음(ǀ), 후치경 흡착음(ǃ), 측 치조 흡착음(ǁ)의 세 가지 기본 흡착음이 있다. 각 흡착음은 다양한 변형(무성음, 유성음, 비음화 등)을 가질 수 있어 총 15개의 흡착음 음소가 존재한다.

예시:

  • ''icici'' (ǀiːǀi) (귀걸이)
  • ''iqaqa'' (iːǃaːǃa) (족제비의 일종)
  • ''ixoxo'' (iːǁɔːǁo) (개구리)
  • 연음변화: /j/ 앞에 오는 입술음과 치경음 자음은 연음변화를 겪는다.


원래 자음연음변화된 자음예시
pʰ, tʰʃ
p, t, bʱtʃʼ
b, d
m, nɲ
mp, ntntʃʼ
mb, ndndʒ


5. 문자

줄루어는 26개의 ISO 기본 라틴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며, 일부 문자는 영어와 발음이 다르다. 추가적인 음소는 여러 문자의 결합으로 표기한다. 톤, 강세 및 모음 길이는 표기하지 않는다.

문자(들)음소(들)예시
aamanzi "물"
bubaba "나의/우리의 아버지"
bhukubhala "쓰다"
cicici "귀걸이"
chukuchaza "매혹하다/설명하다"
didada "오리"
dlukudla "먹다"
eibele "가슴"
fifu "구름"
gugogo "할머니"
gcisigcino "끝"
gquMgqibelo "토요일"
gxukugxoba "찍다"
hukuhamba "가다"
hhihhashi "말"
hlukuhlala "앉다"
iimini "낮"
juju "꿀"
kikati "고양이"
ukuza "오다"
khikhanda "머리"
klumklomelo "상금"
lukulala "잠자다"
mimali "돈"
umama "나의/우리의 어머니"
mbimbube "사자"
nunina "그의/그녀의/그들의 어머니"
nendoda "한 남자와 함께"
ncincwancwa "신 옥수수 가루"
ngingane "아이"
ngcingcosi "조금"
ngqingqondo "뇌"
ngxingxenye "부분"
njinja "개"
nkinkomo "소"
nqinqola "수레"
ntshintshe "타조"
nxinxeba "상처"
nyinyoni "새"
ouphondo "뿔"
pipipi "파이프(담배 피우는)"
phukupheka "요리하다"
qiqaqa "족제비"
qhiqhude "수탉"
riresiphi "레시피"
sisisu "위"
shishumi "열"
titiye "차"
thukuthatha "가져가다"
tsitswayi "소금"
tshutshani "풀"
uubusuku "밤"
vukuvala "닫다"
wukuwela "건너다"
wuthando "사랑입니다."
xixoxo "개구리"
xhukuxhasa "지원하다"
yuyise "그의/그녀의/그들의 아버지"
yintombazane "소녀입니다."
zumzuzu "순간"



참고 문헌과 오래된 문헌에서는 추가적인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파열음 을 특수 문자 ɓ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이중 자음 bh는 b로 표기했다. 일부 참고 문헌에서는 저음 성질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뒤에 h를 추가하여 표기하기도 한다(예: mh, nh, yh). 이러한 관행은 코사어 정자법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

20세기 초 이전의 매우 초기 문헌에서는 일반 무성 자음과 유기 무성 자음의 구분 없이 후자를 h 없이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명사는 접두사와 함께 하나의 어휘 단어로 표기한다. 접두사가 모음으로 끝나고(대부분의 경우), 명사 어근도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두 문자 사이에 하이픈을 삽입한다(예: i-Afrika). 이는 차용어에만 해당된다.

6. 문법

줄루어는 교착어이며, SVO 어순을 따르는 반투어에 속한다. 줄루어의 명사는 16개의 성으로 분류되며, 단수와 복수에 따라 다른 접두사를 가진다. 명사를 수식하는 다른 품사들은 명사의 성에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농장에 있는 모든 강한 사람들이 나무를 베고 있습니다."라는 문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onke '''aba'''ntu '''aba'''qatha '''ba'''sepulazini '''ba'''yagawula|'''B'''onke '''aba'''ntu '''aba'''qatha '''ba'''sepulazini '''ba'''yagawulazu.

여기서 "abantu"(사람들)를 수식하는 다양한 일치가 나타난다.

동사는 현재-부정(present-undefinite)과 완료(perfect)의 두 가지 어간을 가지며, 다양한 접두사를 붙여 주어 일치와 시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uyathanda|uthathazu ("그는 사랑한다")라는 단어에서 동사 현재 어간은 -thanda|-thandazu이고, 접두사 u-|u-zu는 3인칭 단수 주어를, -ya-|-ya-zu는 짧은 문장에서 사용되는 채움 접미사이다. 접미사는 동사 어간의 사역형이나 상호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성질 명사는 관계사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umuntu ubomvu|umuntu ubomvuzu ("그 사람은 붉다")라는 문장에서 ubomvu|ubomvuzu (-bomvu|-bomvuzu 어근)는 동사처럼 작용하고 u-|u-zu 일치 접두사를 사용하지만, ya-|ya-zu 접두사는 사용하지 않는다.

어근은 여러 접두사와 결합하여 다른 단어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근 -Zulu|-Zuluzu와 -ntu|-ntuzu ("사람/사람들"의 어근)로 구성된 단어는 다음과 같다.

접두사-zulu|-zuluzu-ntu|-ntuzu
um(u)|um(u)zuumZulu|umZuluzu (줄루인)umuntu|umuntuzu (한 사람)
ama, aba|ama, abazuamaZulu|amaZuluzu (줄루 사람들)abantu|abantuzu (사람들)
isi|isizuisiZulu|isiZuluzu (줄루어)isintu|isintuzu (문화, 유산, 인류)
ubu|ubuzuubuZulu|ubuZuluzu (의인화/줄루적인 경향)ubuntu|ubuntuzu (인류애, 연민)
kwa|kwazukwaZulu|kwaZuluzu (줄루 사람들의 장소)
i(li)|i(li)zuizulu|izuluzu (날씨/하늘/천국)
pha|phazuphezulu|phezuluzu (위에)
e|ezuezulwini|ezulwinizu (하늘에, ~에, ~에게, ~로부터)



줄루어 단어의 강세는 대부분 예측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이는 모음의 장음화를 동반한다.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축약으로 인해 장음일 경우, 이전 음절 대신 강세를 받는다. 그러나 장음화는 문장이나 구의 끝에 있는 단어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최소 두 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모든 단어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장음화가 있는 형태와 없는 형태이다. 경우에 따라 단어 위치에 따라 형태소 변화도 있다. 먼 거리 지시 대명사는 문장 끝에 위치할 경우 접미사 '-ana'와 함께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ā'로 나타난다. 동사의 최근 과거 시제는 문장 끝에 '-ile'로 끝나지만, 중간 위치에서는 '-ē'로 축약된다. 하강조는 장음 모음에서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음화는 억양에도 영향을 미친다. 의성어나 감탄사와 같은 일부 단어는 일반적인 패턴에서 벗어나는 강세를 가질 수 있다.[1]

7. 현대적 사용

1994년 이전까지 영어, 네덜란드어, 그리고 이후 아프리칸스어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에서 사용된 유일한 공용어였다. 하지만 콰줄루 반투스탄에서는 줄루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전국 고등학교 교육은 영어 또는 아프리칸스어로 이루어졌다.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줄루어는 눈에 띄는 부흥을 경험하고 있다. 줄루어 방송은 1980년대 초 남아프리카 방송공사(SABC)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뉴스와 많은 프로그램을 줄루어로 방송하고 있다. 줄루어 라디오는 매우 인기가 많으며, ''isoLezwe''[12], ''Ilanga''[13], ''UmAfrika''와 같은 줄루어 신문이 콰줄루-나탈 주와 요하네스버그에서 발행되고 있다. 2005년 1월에는 줄루어로 제작된 최초의 장편 영화인 ''예스터데이''가 오스카 후보에 올랐다.[14]

많은 응구니어군 언어의 상호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줄루어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지역의 공용어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994년 영화 ''라이온 킹''의 "생명의 순환" 노래에서는 "''Ingonyama nengw' enamabala'' (A lion and a leopard spots영어), ''Nans' ingonyama bakithi Baba'' (Here comes a lion, Father영어), ''Siyonqoba'' (We will conquer영어)"라는 구절이 사용되었다. "This Land"와 같은 일부 영화 노래에서는 "''Busa leli zwe bo'' (Busa leli zwe bo|이 땅을 다스리소서zu)"와 "''Busa ngothando bo'' (Busa ngothando bo|사랑으로 다스리소서zu)"라는 구절도 사용되었다.

''시아함바''는 원래 줄루어로 쓰인 남아프리카 찬송가로, 1990년대 북미 교회에서 인기를 얻었다.

2019년 전 세계적인 히트곡 ''예루살렘''의 리믹스에는 줄루어 가사가 포함되어 있다.

줄루어 단어의 강세는 대부분 예측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이는 모음의 동위변이적 장음화를 수반한다.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축약으로 인해 장음일 경우, 이전 음절 대신에 강세를 받는다.

그러나 장음화는 문장의 모든 단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이나 구의 끝에 있는 단어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최소 두 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모든 단어에는 상보적 분포로 나타나는 두 가지 형태, 즉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장음화가 있는 형태와 없는 형태가 있다. 경우에 따라 단어 위치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소 변화도 있다. 먼 거리 지시 대명사는 문장 끝에 위치할 경우 접미사 '-ana'와 함께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ā'로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동사의 최근 과거 시제는 문장 끝에 '-ile'로 끝나지만, 중간 위치에서는 '-ē'로 축약된다. 또한, 하강조는 장음 모음에서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음화는 억양에도 영향을 미친다.

의성어나 감탄사와 같은 일부 단어는 일반적인 패턴에서 벗어나는 강세를 가질 수 있다.

8. 회화

간단한 줄루어 회화
줄루어한국어
sawubona안녕하세요
Ngiyabonga고마워.
Ngubani igama lakho?너 이름이 뭐니?
Igama lami ngu...내 이름은 ...이야.
Isikhathi sithini?지금이 몇 시니?
Ngingakusiza?내가 도와줄까?
Uphumaphi?어디서 왔니?
Eish!와우!
Hhayibo안돼!/멈춰!
Yebo
Cha아니요
Angazi나는 몰라
Ukhuluma isiNgisi na?영어 할 줄 아세요?



줄루어 구어 표현 및 문장 예시는 다음과 같다.

줄루어영어한국어
SawubonazuHello, to one person안녕하세요 (한 사람에게)
SanibonanizuHello, to a group of people안녕하세요 (여러 사람에게)
Unjani?zu / Ninjani?zuHow are you (sing.)? / How are you (pl.)?잘 지내세요? (단수/복수)
Ngiyaphilazu / Siyaphilazu'Im okay / Wee okay잘 지내요 / 잘 지내고 있어요
Ngiyabonga (kakhulu)zuThanks (a lot)감사합니다 (많이)
Ngubani igama lakho?zuWhat is your name?이름이 무엇입니까?
Igama lami ngu...zuMy name is...제 이름은 ...입니다.
Isikhathi sithini?zu'Whats the time?''지금 몇 시입니까?
Ngingakusiza?zuCan I help you?도와드릴까요?
Uhlala kuphi?zuWhere do you stay?어디에 머무세요?
Uphumaphi?zuWhere are you from?어디 출신이세요?
Hamba kahlezu / Sala kahlezuGo well / Stay well, used as goodbye.잘 가세요 / 잘 계세요 (작별 인사.)[20]
Hambani kahlezu / Salani kahlezuGo well / Stay well, to a group of people잘 가세요 / 잘 계세요 (여러 사람에게)
Eish!zuWow!와!
HhayibozuNo! / Stop! / No way!안 돼!/그만!/절대 안 돼!
YebozuYes
ChazuNo아니오
Angazizu'I dont know''몰라요
Uyasikhuluma isiNgisi na?zuDo you speak English?영어를 하세요?
Ngisaqala ukufunda isiZuluzu'Ive just started learning Zulu''줄루어 공부를 시작했어요.
Uqonde ukuthini?zuWhat do you mean?무슨 뜻이에요?
Ngiyakuthanda.zuI love you당신을 사랑해요.


9. 구비 문학

1868년, 헨리 캘러웨이는 내털 식민지의 이야기꾼들이 전해주는 전통 줄루족 이야기들을 모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줄루어 원문과 영어 번역본이 함께 실려 있다.[25] 이야기에는 유명한 우흘라카냐나의 모험을 그린 긴 이야기인 우흘라카냐나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26] 그 외에도 줄루족 영웅 우시쿨루미와 그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27] 비둘기에 의해 멀리 날아간 우시퉁구소헨틀레 이야기,[28] 젖을 주는 신화 속 새에 대한 전설[29], 줄루어로 ''인흘람부''라고 불리는 실제 꿀잡이새에 대한 이야기[30] 등이 있다.

식인종 이야기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츠셰 리칸툰잠빌리'' "식인종의 동굴", ''인톰비 나마지무'' "소녀와 식인종들", "움바들라냐나와 식인종", 그리고 ''아마지무'' "식인종들"과 식인 풍습에 대한 부록이 있다.[31] 여성이 주인공인 이야기로는 맑은 물웅덩이를 찾아야 하는 할머니에 대한 유명한 민담인 ''우궁구-쿠반트와나''가 있고,[32] 움크사카자-와코깅콰요 공주 이야기,[33] 움들루부 공주 이야기,[34] 운톰비-야판시 공주 이야기[35], 코끼리 형상을 한 삼키는 괴물을 물리친 여성 우누나나-보셀레 이야기가 있다.[36] ''우봉고파-카마가들렐라''[37] 와 같은 일부 이야기에는 줄루어 노래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캘러웨이는 가사는 제공하지만 음악은 제공하지 않는다.

1870년, 캘러웨이는 ''https://archive.org/details/relamazulu00calluoft/아마줄루의 종교 체계''를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줄루어 텍스트와 영어 번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운쿨룬쿨루'' "창조의 전통"[39]과 조상 숭배, 꿈 해몽, 점술, 의학에 관한 긴 줄루어 증언이 실려 있다.

9. 1. 속담

1912년, 1890년부터 1914년 사망할 때까지 남아프리카에서 선교 활동을 했던 오스트리아 출신의 프란츠 마이어[22]는 줄루어 속담 150개를 영어 번역과 함께 출판했다.[23]

  • "''Inhlwa aibanjwa ngekanda isavela''." "날개 달린 흰개미는 나타나자마자 머리로 잡히지 않는다 (즉, 판단하거나 답변하기 전에 전체 이야기를 들어라)."
  • "''Aku 'qaqa lazizwa ukunuka''." "족제비는 자신의 악취를 맡은 적이 없다 (즉, 아무도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지 못한다)."
  • "''Aku'nkwali epandela enya''." "다른 꿩을 위해 긁는 꿩은 없다 (즉, 모두 자신의 이익을 챙긴다)."
  • "''Ikot'eyikotayo''." "소는 자신을 핥는 자를 핥는다 (서로 돕는 사람들에게 쓰는 말)."


존 콜렌소 또한 1884년에 처음 출판된 그의 ''https://archive.org/details/colenso-zulu-english-dictionary-1884/Colenso%2C%20Zulu-English%20Dictionary%20%281884%29%20-%20copy%20A/page/n13/mode/2up?view=theater 줄루어-영어 사전''에 영어 번역과 함께 줄루어 속담들을 몇 가지 포함시켰다.[24]

  • "''Iqina lipum'embizeni.''" "영양이 냄비에서 뛰쳐나왔다 (즉, 사냥꾼이 잡았다고 생각했을 때 도망쳤다)."
  • "''Izubela ladhl'indhlovu.''" "나무 조각이 코끼리를 죽였다 (눈을 찔러서; 작은 일이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에 사용됨)."
  • "''Aku'mmango ungena'liba.''" "무덤이 없는 언덕은 없다 (즉, 죽음은 어디에나 있다)."

9. 2. 수수께끼

캘러웨이(Callaway)가 1868년에 수집한 줄루어 자료에는 줄루어 수수께끼 12개와 영어 번역이 함께 실려 있다.[40] 그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Kqandela ni inkomo e hlatshelwa 'zibayeni zibili (intwala, ngokuba umuntu u ya i tata engutsheni, ka namandhla oku i bulala ngesitupa si sinye; uma e nga hlanganisi izitupa zozibili, a i kcindezele, i fe''." "두 개의 축사에서 도살되는 소는 무엇일까요? (이가, 사람은 담요에서 이를 꺼내지만, 한쪽 엄지손가락으로는 죽일 수 없고, 두 엄지손가락을 모아 눌러야만 죽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Kqandela ni indoba e nga lali; ku ze ku se i mi, i nga lele (insika a i lali, ngokuba i y' ema njalo, i linde indhlu)''." "누워 있지 않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아침이 되어도 서 있고, 누워 있지 않습니다. (기둥은 누워 있지 않습니다. 항상 서서 집을 지키기 때문입니다)."


남아프리카 민속학회의 ''민속학 저널''(Folklore Journal) 1880년판에는 줄루어 수수께끼 여섯 개가 실려 있다.[41] 그중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Ngi tshele ibizo le'nyoka ende e dhlula izinyoka ezinye? (indhlela).''" "가장 긴 뱀의 이름을 말해 보세요? (길)."

  • "''Ngu bani oma njalo a ngez'a hlala pansi? (ishilahla).''" "항상 서 있고 결코 앉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요? (나무)."

9. 3. 노래

줄루족 의복을 입고 창(아세가이)을 든 마디카네 첼레의 사진


1920년, 마디카네 첼레(Madikane Čele)는 나탈리 커티스 버린(Natalie Curtis Burlin)의 책 『[https://archive.org/details/songstalesfromda00burl/view=theater 암흑 대륙의 노래와 이야기(Songs and Tales from the Dark Continent)]』에 줄루어 노래 가사와 음악을 기여했다.[42]

해당 책에는 "전쟁의 노래(Iga'ma Le 'Mpi)"[43], "어린이들의 노래(Iga'ma La Bantwa'na)"(자장가)[44], "춤곡(Iga'ma Lo Kusi'na)"[45], "사랑의 노래(Iga'ma Lo Ta'ndo)"[46] 등의 줄루어 원문과 영어 번역본, 해설[47],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10. 남아프리카 영어에 흡수된 줄루어 단어

남아프리카 영어에는 줄루어에서 유래한 많은 단어들이 흡수되었다. 임팔라맘바와 같이 현지 동물의 이름들은 줄루어 이름으로 표준 영어에까지 사용되고 있다. 남아프리카 영어에서 사용되는 줄루어 단어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무티(muti) (umuthizu에서 유래) – 약
  • 돈가(donga) (udongazu에서 유래) – 도랑 (udongazu는 "벽"을 의미하며, 토양 침식으로 인해 생긴 도랑을 가리키기도 함)
  • 인다바(indaba) – 회의 (줄루어로는 "뉴스거리"를 의미함)
  • 인두나(induna) – 우두머리, 지도자의 오른팔
  • 송골롤로(songololo) (isongololozu에서 유래) – 노래기
  • 우분투(ubuntu) – 연민/인간성

참조

[1] 웹사이트 Zulu speaking countries https://www.worlddat[...] 2024-08-16
[2] 간행물 Ethnologue 2005
[3] 서적 Languages In The World: How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Shape Language Wiley
[4] 웹사이트 Swahili https://www.ethnolog[...] 2015
[5] 웹사이트 Ethnologue: Zulu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7-03-05
[6] 웹사이트 Ethnologue: Shona https://www.ethnolog[...] 2017-03-06
[7] 뉴스 Zulu http://www.sahistory[...]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2011-04-03
[8] 블로그 NorthernNdebele.blogspot.com NorthernNdebele.blog[...]
[9] 학회논문 Ukwabelana – An open-source morphological Zulu corpus http://www.aclweb.or[...] Tsinghua University Press 2010-08
[10] 서적 Himmelfolket: En Norsk Høvding i Zululand Cappelen Forlag
[11] 웹사이트 pansalb.org.za http://www.pansalb.o[...] 2007-12-17
[12] 웹사이트 isolezwe.co.za http://www.isolezwe.[...]
[13] 웹사이트 ilanganews.co.za http://www.ilanganew[...]
[14] 웹사이트 Oscar nomination for SA film – Brand South Africa https://www.brandsou[...] brandsouthafrica.com 2005-01-26
[15] 서적 Standard Versus Non-standard IsiZulu: A Comparative Study Between Urban and Rural Learners' Performance and Attitude University of KwaZulu-Natal
[16] 웹사이트 PHOIBLE 2.0 - https://phoible.org/[...] 2020-10-10
[17] 서적 Say it in Zulu
[18] 서적 Zulu-English dictionary
[19] 서적 Zulu-English Dictionary
[20] 웹사이트 Zulu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21] 학술지 The salience and symbolism of numbers across cultural beliefs and practice https://doi.org/10.1[...] 2020-06-12
[22] 웹사이트 Reverend Father Franz Mayr https://fhya.uct.ac.[...] 2024-07-14
[23] 학술지 Zulu Proverbs https://archive.org/[...]
[24] 서적 Zulu-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25]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26]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27]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28]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29]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0]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1]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2]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3]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4]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5] 서적 Nursery Tales, Traditions, and Histories of the Zulus https://archive.org/[...]
[36] 서적 Callaway 1868 https://archive.org/[...]
[37] 서적 Callaway 1868 https://archive.org/[...]
[38] 서적 The Religious System of the Amazulu https://archive.org/[...] 1870
[39] 서적 Callaway 1870 https://archive.org/[...]
[40] 서적 Callaway 1868 https://archive.org/[...]
[41] 간행물 Six Zulu Riddles Folklore Journal of the South African Folklore Society 1880
[42] 서적 Songs and Tales from the Dark Continent https://archive.org/[...] 1920
[43] 서적 Burlin 1920 https://archive.org/[...]
[44] 서적 Burlin 1920 https://archive.org/[...]
[45] 서적 Burlin 1920 https://archive.org/[...]
[46] 서적 Burlin 1920 https://archive.org/[...]
[47] 서적 Burlin 1920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