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동구·옹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동구·옹진군은 1995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이후 서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강화군을 편입하여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서정화, 서상섭, 한광원, 박상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남구 을 (인천)
남구 을은 1988년 신설되어 2018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이강희, 하근수, 안영근, 윤상현 등을 역대 국회의원으로 배출했다. - 인천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서구·강화군 을
서구·강화군 을은 2000년 신설되어 서구 검단 지역과 강화군 일원을 관할했으며, 인구 증가로 인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인천 동구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 동구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 동구의회에서는 총 7명의 의원을 선출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이 4석, 새누리당이 3석을 차지했으며,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인천 동구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 동구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 동구의회에서는 동구 가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한나라당, 진보신당 후보가 당선되었고, 비례대표로는 민주노동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정당별 의석수는 한나라당 5석, 민주당 2석, 민주노동당 1석, 진보신당 1석이다. - 인천 중구의 정치 - 인천 중구청장 선거
인천 중구청장 선거는 인천 중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며, 1995년 시작되어 다양한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었고, 2022년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김정헌 후보가 당선되었다. - 인천 중구의 정치 - 인천 중구청장
인천 중구청장은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직위로, 1968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이후에는 민선으로 선출되었으며 현재 김정헌 구청장이 재임 중이다.
| 중구·동구·옹진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선거구 정보 | |
| 이름 | 중구·동구·옹진군 |
| 의회 | 국회 |
| 큰 지도 | 인천광역시 |
| 연도 | 1996년 |
| 폐지 | 2016년 |
| 유형 | 국회 |
| 이전 선거구 | 중구·동구 안산시·옹진군 |
| 이후 선거구 |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95년 3월 1일을 기해 경기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중구·동구 선거구에 옹진군이 편입되어 중구·동구·옹진군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구 인구 증가로 서구·강화군 을 선거구의 강화군이 편입,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가 만들어지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획정 배경
1995년 3월 1일을 기해 경기도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옹진군이 인천광역시 중구·동구 선거구에 편입되면서 중구·동구·옹진군 선거구가 신설되었다.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구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서구·강화군 을 선거구에 속해 있던 강화군을 중구·동구·옹진군 선거구에 편입하여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를 신설하였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서정화 후보가 새정치국민회의 김순배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서정화 | 신한국당 | 40,916 | 49.08% |
| 김순배 | 새정치국민회의 | 27,571 | 33.07% |
| 박종국 | 자유민주연합 | 8,037 | 9.64% |
| 이신웅 | 통합민주당1995 | 6,832 | 8.19% |
| 합계 | 83,356 | 무효표 없음 |
3.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서상섭 | 한나라당 | 21,724 | 30.43% |
| 이세영 | 자유민주연합 | 21,531 | 30.16% |
| 서정화 | 새천년민주당 | 20,351 | 28.50% |
| 홍기택 | 무소속 | 6,517 | 9.12% |
| 장동학 | 민주국민당2000 | 1,266 | 1.77% |
| 합계 | 71,389 |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가 자유민주연합 이세영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기고 당선되었다.
3.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한광원 | 열린우리당 | 29,005 | 35.59 |
| 서상섭 | 한나라당 | 25,873 | 31.75 |
| 이세영 | 무소속 | 13,435 | 16.48 |
| 문성진 | 민주노동당 | 7,021 | 8.61 |
| 원미정 | 새천년민주당 | 5,327 | 6.53 |
| 이수일 | 자유민주연합 | 822 | 1.00 |
| 합계 | 81,483 | 100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한광원 후보가 35.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는 31.75%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3.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박상은 후보가 통합민주당 한광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상은 | 한나라당 | 30,764 | 47.25% |
| 한광원 | 통합민주당 | 19,940 | 30.62% |
| 이세영 | 무소속 | 8,964 | 13.76% |
| 문성진 | 진보신당 | 4,692 | 7.20% |
| 서기석 | 평화통일가정당 | 744 | 1.14% |
| 합계 | 65,104 | 100% |
3.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상은 후보가 민주통합당 한광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안상수 | 무소속 | 48,798 | 31.95% |
| 배준영 | 새누리당 | 44,851 | 29.37% |
| 김찬진 | 국민의당 | 32,204 | 21.09% |
| 조택상 | 더불어민주당 | 26,825 | 17.56% |
| 합계 | 152,678 | 100% |
4.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서정화 | 신한국당 | 40,916 | 49.08% |
| 김순배 | 새정치국민회의 | 27,571 | 33.07% |
| 박종국 | 자유민주연합 | 8,037 | 9.64% |
| 이신웅 | 통합민주당1995 | 6,832 | 8.19% |
| 합계 | 83,356 | 100% |
4.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서상섭 | 한나라당 | 21,724 | 30.43% |
| 이세영 | 자유민주연합 | 21,531 | 30.16% |
| 서정화 | 새천년민주당 | 20,351 | 28.50% |
| 홍기택 | 무소속 | 6,517 | 9.12% |
| 장동학 | 민주국민당2000 | 1,266 | 1.77% |
| 합계 | 71,389 | 100% |
4.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 한광원 | 열린우리당 | 29,005 | 35.59 |
| 서상섭 | 한나라당 | 25,873 | 31.75 |
| 이세영 | 무소속 | 13,435 | 16.48 |
| 문성진 | 민주노동당 | 7,021 | 8.61 |
| 원미정 | 새천년민주당 | 5,327 | 6.53 |
| 이수일 | 자유민주연합 | 822 | 1.00 |
| 합계 | 81,483 | 100.00 |
4.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상은 | 한나라당 | 30,764 | 47.25% |
| 한광원 | 통합민주당 | 19,940 | 30.62% |
| 이세영 | 무소속 | 8,964 | 13.76% |
| 문성진 | 진보신당 | 4,692 | 7.20% |
| 서기석 | 평화통일가정당 | 744 | 1.14% |
| 합계 | 65,104 | 100% |
4.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박상은 | 새누리당 | 42,995 | 52.59% |
| 한광원 | 민주통합당 | 38,755 | 47.40% |
| 합계 | 81,750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