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생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생(衆生)은 불교 용어로, '마음의 작용'을 가진 존재를 의미하며, 인간뿐 아니라 모든 살아있는 존재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초기 불교에서는 중생을 천상, 인간, 동물, 아귀, 지옥, 아수라의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며, 오온으로 구성되어 윤회의 고통을 겪는 존재로 여겨진다. 대승 불교에서는 모든 중생이 불성을 지니고 있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가르치며, 자비의 대상으로 삼는다.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나아가 식물, 무생물까지 불성을 지닐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

2. 번역어와 어원

유정(有情)은 산스크리트어 'sattva' 또는 'bahujana'를 번역한 용어로, 현장이 처음 사용하였다.[2] 'sattva'는 '존재하는 것', '살아있는 것'을 의미하며, 'bahujana'는 '많은 것들이 함께 생존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bahujana'는 중인(衆人)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유정 외에도 중생(衆生), 함식(含識), 함령(含霊), 함생(含生), 함정(含情), 군생(群生), 군맹(群萌), 군류(群類) 등 다양한 번역어가 사용된다.[10]

2. 1. 한자어 기반 해석

현장은 유정(有情)(sattvasa)으로 번역하는데, "산스크리트어로 薩埵(살타)라고 한다. 여기에 유정이라고 한다. 정(情, 마음의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유식술기'')라고 하며, 정(마음의 작용)을 가진 존재라는 의미이다.[2] 이는 비정신적 존재인 비정(非情) 또는 무정(無情)과 대비되며, 모든 살아있는 것을 포함한다.[2]
중생(衆生)은 여러 가지 번역어가 있는데, 함식(含識), 함령(含霊), 함생(含生), 함정(含情), 군생(群生), 군맹(群萌), 군류(群類) 등이 있다.[10]

번역어의미
함식(含識)심식(心識)을 가진다는 의미.[10]
군생(群生), 군맹(群萌), 군류(群類)많은 생류(生類)라는 의미.[10]



중생(衆生)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등 다른 생명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십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성문, 연각, 보살, 부처) 중 앞부분의 육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또는 오취(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상) 중 어느 하나에 속하여 살아가고 있다.[2] 중생이 죽으면 다시 육도 또는 오취 중 어느 하나에 태어나는데, 의 사람조차 수명이 영원하지 않으며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2]

불교에서는 식물을 포함하지 않지만, 자이나교에서는 식물을 포함한다.[2]

열반경 사자후보살품에는 '일체의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는다'라고 하는데, 이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은 중생(유정)뿐이며, 비정의 존재는 제외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2]

원래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 많은 법이 임시로 화합하여 생겨나므로 중생이라고 이름 붙인다는 설(대법고경)[2]
  • 많은 생사를 겪으므로 중생이라고 이름 붙인다는 설(대승의장)[2]

3. 불교 교리에서의 유정

초기 불교 경전에서는 유정(有情)을 천상, 인간, 동물, 아귀, 지옥의 다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며, 때로는 아수라를 추가하기도 한다.[1] 유정은 오온(skandhas), 즉 물질, 감각, 지각, 정신적 형성, 그리고 의식으로 구성된다.[2] 상윳타 니까야에서 부처는 "마치 '수레'라는 단어가 부분들의 집합을 기반으로 존재하듯이, '존재'라는 개념도 오온이 있을 때 존재한다"라고 설했다.[2]

유정은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윤회의 특징인 죽음, 환생, 그리고 고(苦, dukkha)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 부처와 대조된다.[3] 도겐은 "환상을 크게 깨달은 자는 부처이고, 깨달음 속에서 큰 환상을 가진 자는 유정이다"라고 썼다.[4]

중생(衆生)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등 다른 생명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십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성문, 연각, 보살, ) 중 앞부분의 육도(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 또는 오취(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상) 중 하나에 속하여 살아간다. 중생이 죽으면 다시 육도 또는 오취 중 하나에 태어나며, 천상의 사람조차 수명이 영원하지 않아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 인간은 산스크리트어로 마누샤(manuṣya मनुषsa)라고 하며, '생각하는 존재'라는 의미이다. 산스크리트어 satva(sattva), 팔리어 satta(satta)는 '살아있는 것, 존재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3. 1. 대승 불교와 불성(佛性)

대승 불교에서는 모든 유정이 불성(佛性), 즉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는 본질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르친다.[5] 보살은 이러한 불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모든 유정을 구제하겠다는 보살 서원을 세운다. 대승 불교에서 보살 서원의 자비는 유정에게 맹세되며, 유정은 모든 것을 포용하는 부처의 대자비(maha karuna)와 방편 (upaya)의 대상이다.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식물 생명체, 심지어 무생물체나 실체까지도 불성을 가지고 있거나 가질 수 있다고 본다.[6][7] "무생물" 존재가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천태종지의 (711–782)와 구카이, 도겐과 같은 일본의 인물들에 의해 옹호되었다.[8]

4. 한국 불교와 사회적 함의

한국 불교는 유정(有情) 개념을 통해 모든 생명체의 존엄성과 평등성을 강조한다. 이는 모든 국민의 기본권 보장, 사회적 약자 보호, 생명 존중 등 사회적 가치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개발 사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생태계 파괴와 생명 경시 풍조에 대한 불교적 우려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2004
[2] 서적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75
[3] 논문 The Self in Medieval Japanese Buddhism: Focusing on Dogen http://ccbs.nt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10-22
[4] 웹사이트 Genjōkōan http://www.acmuller.[...] 2023-03-20
[5] 웹사이트 The Key Operative Concepts in Korean Buddhist Syncretic Philosophy: Interpenetration (通達) and Essence-Function (體用) in Wŏnhyo, Chinul and Kihwa http://www.acmuller.[...] 2008-10-21
[6] 서적 Zen Buddhism: A History ~ Volume 2: Japan World Wisdom, Inc. 2005
[7] 서적 Indestructible Truth: The Living Spirituality of Tibetan Buddhism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Inc. 2008-10-21
[8] 간행물 Chinese Tiantai Doctrine on Insentient Things' Buddha-Nature 2011
[9] 서적 増補改訂パーリ語辞典 春秋社 2013-03
[10] 서적 総合仏教大辞典 法蔵館 1988-01
[11] 백과사전 중생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