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문명탐원공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중국 문명의 기원을 탐구하는 프로젝트로, 2002년부터 시작되어 2018년에 성과가 발표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문명의 기원을 5,000년 전으로 확장하고,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과 서요 지역까지 포함하는 다원적인 문명 발달을 주장한다.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중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한국 고대사와의 연관성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동아시아의 역사 - 전륜성왕
    전륜성왕은 고대 인도에서 이상적인 군주로 여겨진 존재로,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받았으며, 특히 불교에서는 법에 따라 세계를 통치하는 이상적인 제왕으로 묘사된다.
  • 역사수정주의 - 머리 로스바드
    머리 로스바드는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을 옹호하고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창한 미국의 경제학자, 역사학자, 정치 이론가이다.
  • 역사수정주의 - 자오원줘
    자오원줘는 8세부터 무술을 연마하여 각종 대회에서 우승한 중국의 배우이자 무술가로, 영화 《방세옥》으로 데뷔 후 《황비홍》 시리즈에서 황비홍 역할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중화문명탐원공정
개요
명칭중화 문명 탐원 공정
다른 명칭중국 문명 기원 추적 프로젝트
목표
주요 목표중화 문명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발전했는지, 그리고 초기 중국 국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
세부 목표중국 문명의 기원, 형성 및 발전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수행
초기 중국 국가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특징 조사
고고학적 발견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중국 문명의 연대기를 재구성
중국 문명과 다른 고대 문명 간의 상호 작용 연구
역사
시작 년도2002년
주관중화인민공화국 과학기술부
협력중국 사회과학원
교육부
국가문물국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
단계1단계: 선사 시대 유적지 발굴 및 연구 (2002년 ~ 2005년)
2단계: 초기 국가 형성 과정 연구 (2006년 ~ 2010년)
3단계: 문명의 특징 및 발전 경로 연구 (2011년 ~ 2015년)
4단계: 연구 결과 종합 및 대중화 (2016년 ~ 현재)
주요 내용
연구 대상황하 유역, 장강 유역, 랴오허 유역 등 주요 문명 발상지
앙소 문화, 용산 문화, 양저 문화 등 신석기 시대 문화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 등 초기 국가
연구 방법고고학적 발굴 및 유물 분석
고대 문헌 연구
자연과학적 분석 (탄소 연대 측정, DNA 분석 등)
다학제적 연구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유전학 등)
주요 성과
고고학적 발견이리두 유적, 산싱두이 유적 등 중요 유적 발굴
초기 문명의 기원과 발전 과정에 대한 새로운 증거 확보
학술적 성과중국 문명 기원에 대한 기존 학설 수정 및 발전
초기 국가의 사회,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이해 심화
대중적 영향중국 역사 및 문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취
애국심 함양 및 민족적 자긍심 고취
논란 및 비판
역사 왜곡 논란중국 중심의 역사 해석 시도
주변 국가의 역사 및 문화를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시도
학문적 객관성 문제정치적 목적에 따른 연구 결과 왜곡 가능성
엄밀한 학문적 검증 부족
문화 제국주의 비판중국 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타 문화를 폄하하려는 시도
참고 문헌 및 관련 자료
관련 링크역사의 시공간을 확장하려는 중국의 꿈 (연합뉴스)
“中정부 ‘중화문명 탐원공정’은 독자성과 우월성 부각이 목적” (서울신문)

2. 프로젝트 이전

전설상의 중국사에서는 염제와 황제를 중국 문명의 발단으로 여겨 500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고 여겼다. 그러나 순과 우 등에 대한 기록은 신화적 색채가 강해 역사로 보기 어렵고, 하 왕조를 제외하면 3500년 정도의 역사만이 확정된 상황이었다.[2]

1920년대부터 중국 고고학이 발전하면서 하 왕조의 존재가 확신되었고, 삼황오제 전설도 당시 사회 발전 상황을 반영한다고 여겨지게 되었다.[2] 제9차 5개년 계획의 "하상주단대공정"은 자연 과학과 인문 과학 분야의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이보다 이전의 중국 문명 기원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3. 프로젝트 진행 과정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프로젝트가 정식으로 시작되기 전에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고학자들에 의해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전 2000년의 오제 시기에 대해 중원 지역이 연구되었다.[3] 2004년부터 2005년까지의 프로젝트 1기에서는 오제 시대부터 초기까지의 기원전 2500년부터 기원전 1500년까지의 중원 지역이 연구되었다.[3]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프로젝트 2기에는 범위를 넓혀 기원전 3500년부터 기원전 1500년에 대해 황하 유역에서 장강 중·하류역, 시라오 지역의 연구가 이루어졌다.[3] 또한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프로젝트 3기, 2013년부터 2015년까지의 프로젝트 4기를 거쳐 2018년 5월, 프로젝트 전체의 성과가 발표되었다.[3]

4. 연구 결과

2018년 5월 28일, 신화 통신은 "중화 문명 탐원 공정"의 연구 성과를 보도했다.[4]

저장 량주, 산시 타오쓰, 산시 스마오 등에서 대규모 발굴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중국 5,000년의 문명사를 밝혀냈다고 보도되었다. 탐원 프로젝트는 약 5,800년 전 황하·장강의 중·하류역과 서요 지역 등에 문명이 출현하여, 약 5,300년 전에 중국 문명이 중국 대륙 전역으로 퍼져 발전했다고 주장한다. 약 3,800년 전에는 중원 지역에 성숙한 문명이 형성되어 주변 문화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중국 문명이 기타 문화를 리드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탐원 프로젝트는 중국 문명이 획일적이지 않고 다원적인 것이며, "다양하고 병립 가능한 집합"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대해, 서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재배 기술 및 청동기 정련 기술이 점차 중국 문명에 녹아들고 개량되었다고 지적했다. 탐원 프로젝트는 중국 문명이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및 서요에 이르기까지 큰 공동체가 되어 다른 고대 문명에 필적할 정도가 되었다고 주장한다.[5]

4. 1. 요하 문명(훙산 문화)과의 관계

2013년 중화문명탐원공정(요하공정)의 일환으로 요동 일대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옥기 등을 발굴하였다.[10]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를 훙산 문화라고 명명하였고, 싱룽와 문화, 자오바오거우 문화 등과 묶어 요하문명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10] 훙산 문화 유적은 한반도 신석기 문화 또는 고조선 청동기 문화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0]

5. 비판 및 논란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중국의 영역을 광범위하게 확장시키려는 프로젝트로 평가받는다.[8][9] 국내 학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중국이 문화적 '슈퍼 파워'가 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며, 주변국, 특히 한국의 고대사와의 연관성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8][9]

2002년 11월부터 중국 언론이 중화문명탐원공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2003년 6월부터 정식으로 개시되었다. 이 공정은 '중화 문명의 시원'을 찾는 것을 목표로, 신화를 모두 역사시대로 만들어 중국의 역사적 실체를 1만 년 전으로 끌어올리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즉, 황하문명보다 빠른 요하문명을 중국 문명으로 둔갑시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최고 수준의 문명으로 만들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요하문명을 중국 문명의 기원으로 편입하려는 시도는 고조선 등 한국 고대사와의 연결고리를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2013년에는 중화문명탐원공정(요하공정)의 일환으로 요동 일대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옥기 등을 발굴하였고, 훙산 문화라고 명명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를 싱룽와 문화, 자오바오거우 문화 등과 묶어 요하문명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 훙산 문화 유적은 한반도 신석기 문화 또는 고조선 청동기 문화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5. 1. 한국 학계의 반응

6. 집단 학습

중화 문명 탐원 공정은 시진핑에 의해 집단 학습이 진행되고 있다.[6] 이 때문에 조법종이 비판하고 있다.[7]

참조

[1] 百度百科 中华文明探源工程-百度百科 https://baike.baidu.[...] 2020-04-05
[2] 新华网 我们的来时路——中华文明探源工程成果发布_新华网 http://www.xinhuanet[...] 新華社通信 2020-03-18
[3] 百度文库 “中华文明探源工程”成果发布:中华文明五千年 - 百度文库 https://wk.baidu.com[...] 2020-04-05
[4] 新华社通信 中国5000年の歴史、考古学により明かされる成り立ち-新華社通信 http://j.people.com.[...] 2020-03-18
[5] 百度知道 中国五千年历史从何而来? 为什么总说中华上下五千年?-百度知道 https://zhidao.baidu[...] 2020-04-05
[6] 웹사이트 中国共産党中央政治局は27日、中華文明探源プロジェクトの深化について集団学習を行った。 https://webcache.goo[...] 新華社 2022-05-29
[7] 뉴스 "한반도는 대대로 중국 땅"?…미 교재 '엉터리 세계사' https://mnews.jtbc.j[...] 2020-10-14
[8] 뉴스 역사의 시공간을 확장하려는 중국의 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네이버) 2009-04-14
[9] 뉴스 “中정부 ‘중화문명 탐원공정’은 독자성과 우월성 부각이 목적”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4-16
[10] 뉴스 중국의 동북공정, 고조선 역사까지 겨눴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2-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