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상주단대공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상주단대공정은 중국 고대 하, 상, 주 삼대(三代)의 연대를 확정하기 위해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진행된 국가적 규모의 역사 연구 프로젝트이다. 전통 문헌, 고고학적 발굴, 천문 기록 등을 활용하여 기원전 2070년경 하 왕조, 기원전 1600년경 상 왕조, 기원전 1046년 주 왕조의 건국 연대를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민족주의 고취와 중화주의 강화와 연관되어 비판을 받았으며, 방법론, 정치적 동기, 후속 연구와의 불일치 등 다양한 논란을 야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문서 - 6·15 남북 공동선언
    6·15 남북 공동선언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 후 발표된 선언문으로, 한반도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 남북 교류 협력 활성화, 이산가족 상봉 추진 등 5개항으로 구성되어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통일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00년 문서 - 10.4 남북정상선언
    10.4 남북정상선언은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6.15 남북 공동선언의 정신을 계승하여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 남북 관계의 상호 존중 및 신뢰 구축, 군사적 적대 관계 종식과 한반도 평화 보장, 그리고 민족 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 번영을 목표로 합의한 선언이며, 정전 협정 체제를 종식하고 항구적인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을 담고 있다.
  • 연구 프로젝트 - HELLADS
    HELLADS는 DARPA가 제너럴 아토믹스와 개발한 150kW급 전술 레이저 무기로, 크기와 무게를 줄여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 가능하며 AC-130 건쉽, B-1B 폭격기,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HEL-MD 등에 활용될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 연구 프로젝트 - InterPARES 프로젝트
    InterPARES 프로젝트는 전자 시스템 내 진본 기록의 장기 보존을 위한 국제 연구 프로젝트로, 4단계에 걸쳐 전자 기록의 진본성, 보존 방법, 접근성, 신뢰성을 탐구하고 디지털 기록 보존을 위한 정책, 절차, 표준 개발에 기여했다.
  • 중국의 고고학 - 베이징 원인
    베이징 원인은 중국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으로, 석기 사용, 불 사용, 직립 보행 등의 특징을 보이며, 현생 인류의 아시아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아프리카 기원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 중국의 고고학 - 난징 원인
    난징 원인은 중국 난징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으로, 동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 정착 시기를 앞당기는 중요한 발견이며, 난징 원인 화석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하상주단대공정
개요
명칭하상주단대공정 (夏商周断代工程)
영문 명칭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목표 연대기원전 2070년경 (夏)
기원전 1600년경 (商)
기원전 1046년경 (周)
배경
목적중국 , 상나라, 주나라의 정확한 연대 확정
관련 시대중국의 선사 시대(先史時代), 중석기 시대
프로젝트 정보
주관중화인민공화국
기간1996년 ~ 2000년
주요 참여 학자리쉐친(李学勤)
시정(席泽宗)
평가역사적, 고고학적 가치가 매우 높음
논란방법론 및 결과에 대한 비판 존재
참고 문헌
관련 서적악남(岳南) 저, 주건영(朱建荣)·가토 유코(加藤优子) 역, 《세 세기의 논쟁: 중국 단대공정 비판》, 아이오니아, 2005년
학술 논문사토 마사유키(佐藤将之), “하상주 단대 공정(夏商周断代工程)”, 《중국사 연구의 현상》,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2018년, 69-97쪽

2. 배경

공화 원년(기원전 841년) 이전의 중국 고대사는 확실하게 알려진 연대가 없었다.[6] 이 시기의 역사는 사마천의 《사기》와 같은 전통 문헌에 의존했는데, 이 기록들은 신뢰성과 일관성이 부족했다. 사마천은 기원전 841년 이전의 사건에 대해서는 왕의 목록과 개별적인 사건들만 기록했을 뿐, 정확한 연대를 제시하지 못했다.

1920년대, 고힐강(구제강)을 비롯한 고사변학파 학자들은 전통 역사 기록에 신화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가장 초기의 인물들이 문헌에 가장 늦게 등장한다는 점을 근거로, 전통 역사가 신화의 층을 축적해 왔다고 주장했다. 또한 의 기록 사이의 유사성을 들어, 하의 역사가 상을 정복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주에 의해 조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일부 학자들은 상나라의 역사적 실존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무정 왕 재위 기간의 점복 기록이 새겨진 소의 견갑골


1899년, 학자 왕의영은 약재로 쓰이던 "용골"에 새겨진 고대 문자를 발견했고, 이는 갑골문 연구의 시초가 되었다. 1928년, 이 뼈들은 허난성 안양 근처의 은허 유적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뼈에 새겨진 비문은 무정 왕 이후 마지막 아홉 명의 상나라 왕들의 점복 기록이었다. 이 기록을 통해 상나라 왕들의 계보를 재구성하고, 일부 사건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황하 유역에서 이리두 문화(기원전 2100년경~기원전 1800년경)와 같은 청동기 시대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들은 대규모 궁궐을 포함하고 있어, 조직화된 국가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쓰촨 분지장강 유역에서 발견된 삼성퇴, 우청 등은 전통 역사 기록에 언급되지 않아, 중국 고대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하게 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 중국과 서양의 많은 대중적인 저술들은 1세기 초 유흠이 계산한 전통적인 연대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상나라 갑골문과 주나라 청동기 명문을 연구하는 현대 학자들은 더 짧은 연대기를 제안했는데, 예를 들어 상나라가 주나라에게 정복된 시기를 기원전 12세기가 아닌 기원전 11세기 중반으로 보았다.

1994년, 쏭젠 과학 담당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이집트 방문에서 기원전 3천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연대기에 감명을 받았다. 그는 중국의 유사한 연대기를 확립하기 위한 다학제적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이는 9차 5개년 계획 (1996–2000)의 일부로 승인되었다.

2. 1. 한국의 관점

한국 학계는 하상주단대공정의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7] 특히, 이 프로젝트가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강화하고, 주변 국가들의 역사를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동북공정 등 중국의 역사 프로젝트들이 고구려, 발해 등 한국 고대사를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며, 하상주단대공정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8]

하상주단대공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의 고양과 연관되어 있으며, 중화문명탐원공정,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통칭 '동북공정') 등과 함께 중국의 9 · 5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8] 9 · 5 계획은 중국의 경제 수준에 걸맞은 정신 문명 건설을 목표로 하며, 10 · 5 계획에서는 애국주의, 집체주의, 사회주의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상주단대공정은 근대에 약화된 중화주의에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8]

하상주단대공정이 중화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이유는, 이 프로젝트가 단순히 하, 상, 주 3대의 연대를 확정하는 것을 넘어, 국가 주도로 중국 고대사에 대한 인식을 '의고(疑古)'에서 '신고(信古)'로 전환하고, 중국 중심의 역사 해석을 통해 주변 문화를 지배했다는 주장을 강화하려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정치적, 역사적으로 편향된 논리에 갇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8]

3. 연구 방법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전통 문헌, 고고학적 발견, 그리고 천문 기록을 연관시키기 위해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정확한 연대 측정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사건은 목야 전투로 묘사되는 상나라에 대한 주나라의 정복인데, 전투 장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전 연대기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최소 44개의 다른 날짜를 제시했으며, 기원전 1130년부터 1018년까지 다양했다.

몇몇 문서는 천문 관측과 이 사건을 관련짓는다.


  • 잃어버린 ''상서''의 "무성" 武成 장에서 인용한 내용은 무왕의 원정이 시작되기 직전의 월식을 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날짜와 그의 승리 날짜는 달과 육십간지로 표시된다.
  • ''국어''의 한 구절은 무왕이 상나라를 공격한 날의 해, 달, 목성, 두 개의 별의 위치를 ​​제공한다.
  • "현행본" ''죽서기년''은 주나라의 정복 전후에 다섯 행성의 을 언급한다. 한나라 시대 텍스트는 첫 번째 합이 마지막 왕 통치 32년에 발생했다고 언급한다. 이러한 현상은 드물지만, 다섯 행성은 기원전 1059년 5월 28일과 기원전 1019년 9월 26일에 다시 모였다.


프로젝트에서 채택한 전략은 고고학적 조사를 사용하여 천문 데이터와 비교해야 하는 날짜 범위를 좁히는 것이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사용하여 연대를 측정하고, 흔들림 매칭 기술을 사용하여 기원전 1050년과 1020년 사이의 정복 날짜를 산출했다. 모든 천문 데이터와 일치하는 해당 범위 내의 유일한 날짜는 기원전 1046년 1월 20일이다.

다른 학자들은 이 과정에 대해 여러 비판을 제기했다. 고고학적 유적의 층과 정복 사이의 연관성은 불확실하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표준 요구 사항인 95%보다 덜 엄격한 신뢰 구간(68%)으로 인용되어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생성했을 것이다. 또한, 관련 천문 현상을 묘사하는 텍스트는 극도로 모호하고, Li ''gui''의 비문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어 다른 해석은 기원전 1044년 1월 9일의 날짜로 이어진다.

3. 1. 천문학적 방법

갑골문이나 문헌 자료에 기록된 일식, 월식, 행성 위치 등의 천문 현상을 조사하여, 현대 천문학 기술로 계산된 실제 발생 시기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과거 사건의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천문고고학)이 사용되었다.

특히, 주나라 의왕 즉위 시 "하늘에 해가 두 번 떴다"는 기록은 기원전 899년 새벽에 발생한 금환 일식으로 해석되었으며, 연대 측정의 주요 근거로 활용되었다.

3. 2. 고고학적 방법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하여 유적의 연대를 측정하였다.[6] 특히 왕과 귀족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에 대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실시하여 매장 시기를 추정하였다.[6] 이를 통해 얼리터우 문화, 얼리강 문화 등 청동기 시대 유적의 연대를 측정하고, 이를 문헌 기록과 비교하여 하, 상나라의 연대를 추정하였다.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전통 문헌, 고고학적 발견, 그리고 천문 기록을 연관시키기 위해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얼리터우 유적(검은색)과 전통적인 기록에서 확인된 하의 수도(빨간색)


전통적인 역사 기록에 따르면, 판겅은 무정보다 세 시대 앞서 상의 수도를 마지막 위치로 옮겼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안양의 은허 유적지로 확인된다. ''죽서기년''의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이 사건과 주나라의 정복 사이의 간격을 275년, 273년 또는 253년으로 제시한다. 이 프로젝트는 이 간격 중 가장 짧은 기간에 가까운 날짜로 결정했다.

얼리터우 문화의 네 단계는 다양한 저명한 고고학자들에 의해 하와 왕조로 다르게 구분되어 왔다. 이 프로젝트는 네 단계를 모두 하 왕조에 할당하여, 상 왕조의 건립을 얼리터우 유적지에서 북동쪽으로 6km 떨어진 옌스 성벽 도시 건설과 동일시했다. 하 왕조의 기간은 ''죽서기년''에 제시된 재위 기간과 후대 텍스트에 기록된 우왕 재위 기간 동안의 다섯 행성의 결합에서 가져왔다. 이 기간은 얼리터우 문화가 걸쳐 있던 기간보다 길었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룽산 문화의 왕완 3기 변형의 후기 단계도 하 시대에 포함시켰다.

3. 3. 문헌학적 방법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전통적인 문헌 기록에 나타나는 역법(曆法)의 차이를 분석하여, 기록들 간의 모순점을 찾아내고 그 신빙성을 판단하였다. 예를 들어, 《사기》, 《죽서기년》과 같은 전통 역사서의 기록을 서로 비교하고, 갑골문, 청동기 명문(銘文) 등 고고학적 자료와 대조하여 연대를 추정하였다.[1]

4. 연구 결과

하상주단대공정은 여러가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중국 외 언론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보도할 때 민족주의와 학문의 갈등에 주목했다.[2] 그러나 연대기 프로젝트 구성원 모두가 모든 날짜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프로젝트 책임자가 제안한 날짜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날짜가 권위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근거에 따라 고려되고 있으며, 정치적 요소가 프로젝트의 세부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방법론적인 문제 외에도, 학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고고학을 전통적인 역사를 검증하는 역할로 격하시킨다고 비판했다. 그들은 고고학적 증거를 역사에 묘사된 단일 왕조의 틀에 강제로 끼워 맞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증거를 자체적으로 평가하면 역사에 언급되지 않은 많은 다른 선진 국가들이 존재하며, 중국 문명의 기원이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 아시아학회 협회(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연례 회의에서 예비 보고서에 대한 세션이 열렸고, 데이비드 니비슨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방법론을 비판했다.[2] 2003년 10월에 예정되었던 연대기에 관한 국제 회의는 SARS 발생으로 연기되었지만, 다시 개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날짜는 중국 교과서 및 참고 문헌에서 정통 연대기가 되었다.

2000년에 초안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발견된 일부 청동 비문은 서주에 대한 프로젝트의 날짜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기 서주 시대의 유물인 줴궁 ''궤''는 성왕 또는 강왕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비문에는 왕의 28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는 이 두 왕의 재위 기간을 각각 22년과 25년으로 제시했다. 준 ''궤''는 의왕 시대의 유물로, 비문에는 왕의 10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프로젝트는 이 왕의 재위 기간을 8년으로 제시했다. 최종 보고서는 이러한 많은 문제점을 인정했지만, 예비 보고서에서 발표된 날짜표는 변경하지 않았다.

4. 1. 주요 연대

하상주단대공정 이전에는, 문헌자료로 알려져 있는 주나라의 공화 원년(기원전 841년)이 중국사에서 확정적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연대였다.[6]

하상주단대공정은 1995년 가을부터 준비가 시작되어, 1996년 5월 16일에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이 공정에는 약 200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1999년 9월에는 '하상주단대공정단계성과학술보고회'가 열렸고, 2000년 9월 15일 '하상주단대공정항목검수회'에서 그 내용이 정부에 의해 점검되었다. 2000년 11월 10일, 공정의 수석과학자 4인을 중심으로 공정 결과가 발표되었다.

하상주단대공정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기원전 2070년경, 하나라 건국.
  • 기원전 1600년경, 상나라가 하나라를 대체.
  • 기원전 1300년경, 반경은허로 천도.
  • 기원전 1046년, 주나라가 상나라를 대체.
  • 상나라 왕 반경으로부터 제신까지의 대체적인 연대 확정.
  • 주나라 왕의 재위연대를 구체적으로 확정.

4. 2. 구체적인 왕들의 재위 기간

왕조즉위 연도 (기원전)
하상주단대공정케임브리지 중국 고대사전통적인 연대
무정12501198년 이전1324
조경11911188년 이후1265
조갑1177년경1258
린신1157년경1225
강정1148년경1219
무을11471131년경1198
문정11121116년경1194
제을110111051191
107510861154
무왕104610451122
성왕104210421115
강왕102010051078
소왕9959771052
목왕9769561001
공왕922917946
의왕899899934
효왕891872?909
의왕885865894
여왕877857878



하상주단대공정은 상나라주나라 왕들의 즉위 연도를 위와 같이 제시하였다. 이는 ''케임브리지 중국 고대사'' 및 전통적인 연대와 비교된다.[6] 夏商周断代工程중국어에서 제시된 연대는 다음과 같다.[6]

5. 비판과 논란

중국 외 언론은 하상주단대공정을 민족주의와 학문의 갈등으로 보도했다.[2] 그러나 프로젝트 구성원 모두가 모든 연대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었다. 책임자의 제안에도 이의를 제기하며, 정치적 요소가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학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고고학을 전통 역사를 검증하는 역할로 격하시킨다고 비판했다. 고고학적 증거를 역사에 묘사된 단일 왕조의 틀에 끼워 맞추려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증거를 자체적으로 평가하면, 역사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선진 국가들이 존재하며 중국 문명의 기원이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시아학회 협회(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연례 회의에서 데이비드 니비슨(David Nivison) 등 여러 학자들이 방법론을 비판했다.[2] 2003년 10월 예정되었던 연대기 관련 국제 회의는 SARS 발생으로 연기되었고, 재개최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프로젝트의 연대는 중국 교과서 및 참고 문헌에서 정통 연대기가 되었다.

2000년 초안 보고서 발표 이후 발견된 일부 청동 비문은 서주 연대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기 서주 시대 유물인 줴궁 ''궤''는 성왕 또는 강왕 시대로 추정되는데, 비문에 왕의 28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는 두 왕의 재위 기간을 각각 22년과 25년으로 제시했다. 준 ''궤''는 의왕 시대 유물로, 비문에 왕의 10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프로젝트는 이 왕의 재위 기간을 8년으로 제시했다.

최종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정했지만, 예비 보고서의 연대표는 변경하지 않았다.

5. 1. 방법론적 비판

하상주단대공정은 전통적인 역사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를 결합하여 중국 고대사의 연대를 확정하려는 시도였지만, 여러 가지 방법론적 문제점들로 인해 비판을 받고 있다.
전통 문헌에 대한 과도한 의존하상주단대공정은 《사기》, 《죽서기년》 등 전통적인 역사 기록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들은 후대에 윤색되거나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사변학파 학자들은 초기 역사 기록일수록 신화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후대의 정치적 목적에 따라 내용이 변형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5] 예를 들어, 하(夏)나라의 역사는 상(商)나라를 정복한 주(周)나라의 천명 사상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작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천문학적 해석의 모호성하상주단대공정은 고대 문헌에 기록된 천문 현상을 해석하여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국어》에는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공격한 날의 해, 달, 목성, 두 별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문 현상 기록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정 해석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4] 또한, 오성(五星)에 대한 인식은 전국 시대 이후에나 나타났기 때문에, 은나라 말기나 주나라 초기의 기록은 후대에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의 한계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고고학적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오차 범위를 가지며, 특히 고대 유물의 경우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유물이 출토된 지층과 역사적 사건 사이의 연관성이 불확실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예를 들어, 펑시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과 주나라의 상나라 정복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불분명할 수 있다.

5. 2. 정치적, 민족주의적 동기 비판

하상주단대공정은 중국의 9.5 계획(1996-2000)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이는 중국의 경제 성장에 걸맞은 정신 문명 건설을 목표로 하는 국가 주도 프로젝트였다.[8] 이 프로젝트는 중화민족주의를 고취하고,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8]

특히, 동북공정과 같은 다른 역사 프로젝트들과 함께, 하상주단대공정이 주변 국가들의 역사를 왜곡하고 중국사에 편입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8]

일본 학계에서는 상나라 시기 오성(행성)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기원전 1046년설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기도 하였다.[4]

5. 3. 후속 연구와의 불일치

하상주단대공정 프로젝트 결과에 대한 반론과 비판이 제기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서는 주(周)나라가 은(殷)나라를 멸망시킨 해에 대해 『죽서기년』(고본)에 있는 기원전 1027년을 부정하고, 『국어』(주어)에 있는 "세재순화"(이 해에 세성(목성)이 "순화"의 위치에 있었다)의 기술을 근거로 기원전 1046년이라는 숫자를 제시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세성 등의 오성 (즉, 행성)의 존재가 인식된 것은 전국 시대 이후의 일이며, 은나라 말 주나라 초기에 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므로(『국어』의 기사는 후대의 창작이다), 기원전 1027년 설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반론이 있다.[4] 또한 연표의 수치에 대해서는 『사기』 등의 기년 기사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으며, 중국사 석학 미야자키 시테이는 중국 상고의 기년이 상당히 늘어져 있음을 지적했고, 오치아이 아츠시도 은 왕조의 계통 분석을 통해 『사기』에 의존한 은나라의 기년이 너무 길다고 지적한다.[5]

6. 영향 및 평가

하상주단대공정은 중국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쳐, 새로운 역사 교과서 및 참고 문헌에 반영되었다.[2]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여러 논란의 대상이기도 하며, 특히 방법론과 정치적 동기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7][8]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는, 문헌 자료로 알려진 서주의 공화 원년(기원전 841년)이 중국 역사에서 확정적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연대였다.[6] 1995년 가을부터 준비되어 1996년 5월 16일에 정식으로 시작된 이 공정에는 약 200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2000년 9월 15일 '하상주단대공정항목검수회'에서 내용이 점검되었고, 2000년 11월 10일에 공정의 수석과학자 4인을 중심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국가적 규모의 연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의 고양과 연관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다.[7] 하상주단대공정과 그 후속 공정인 중화문명탐원공정, 동북공정 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9 · 5 계획의 일환으로, 중국의 경제 수준에 걸맞은 정신문명 건설을 목표로 했다. 또한 10 · 5 계획의 15항에서는 애국주의, 집체주의, 사회주의 정신을 널리 드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상주단대공정 등의 공정은 약화된 중화주의에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8]

하상주단대공정이 중화주의로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3대(하, 상, 주)의 연도를 확정하는 것을 넘어, 중국 고대사에 대한 '의고(疑古)'적 인식을 국가 주도로 '신고(信古)'로 전환하고,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확립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공정들은 정치적, 역사적 일방성을 강요하여 학문적으로 편향된 논리에 갇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8]

방법론적 문제 외에도, 학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고고학을 전통적인 역사를 검증하는 역할로 격하시킨다고 비판한다. 즉, 고고학적 증거를 역사에 묘사된 단일 왕조의 틀에 강제로 끼워 맞춘다는 것이다. 그러나 증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면, 역사에 언급되지 않은 많은 다른 선진 국가들이 존재하며, 중국 문명의 기원이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2002년 아시아학회 협회(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연례 회의에서 예비 보고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2] 2003년 10월에 예정되었던 국제 회의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발생으로 연기된 후 재개최되지 않았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의 날짜는 중국 교과서 및 참고 문헌에서 정통 연대기가 되었다.

2000년 초안 보고서 발표 이후 발견된 일부 청동 비문은 서주 시대 연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서주 시대 유물인 줴궁 ''궤''는 주 성왕 또는 주 강왕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데, 비문에 왕의 28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프로젝트는 이 두 왕의 재위 기간을 각각 22년과 25년으로 제시했다. 준 ''궤''는 주 의왕 시대 유물로, 비문에 왕의 10년에 주조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프로젝트는 이 왕의 재위 기간을 8년으로 제시했다. 최종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정했지만, 예비 보고서의 날짜표를 변경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하상주단대공정은 중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지만, 그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探索中国上古时期的年表 《夏商周断代工程报告》发布 http://cul.china.com[...] 光明日报 2022-08-24
[2] 웹사이트 Session 79: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Defense and Criticism http://www.asian-stu[...] 2002
[3] 웹사이트 「歴史的、考古学的価値はきわめて高い」――李学勤教授の見解 http://www.peoplechi[...] 인민중국 2020-09-05
[4] 서적 武王伐紂年』歳在鶉火説を批判する 汲古書院 2010
[5] 웹사이트 「扶桑」概念の伝播-扶桑と箕子朝鮮を結ぶもの- http://wwr2.ucom.ne.[...] 2008
[6] 서적 하상주단대공정 - 중국 고대문명 연구의 허와 실 동북아역사재단 2008-12-18
[7] 뉴스 편향된 역사교육 막게 국가간 협의필요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4-01-20
[8] 문서 위 책, 18-25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