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황오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황오제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상고 시대의 통치자들을 일컫는 말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그 구성에 차이가 있다. 삼황오제 신화는 상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춘추전국 시대를 거치며 틀을 갖추었고, 음양오행설의 유행과 함께 오제가 신화로서 정립되었다. 삼황으로는 복희, 여와, 신농 등이, 오제로는 황제, 전욱, 제곡, 요, 순 등이 주로 언급된다.

과거에는 역사적 사실로 추앙받았으나, 의고학파의 연구를 통해 신화로 밝혀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국 민족주의가 강화되면서 삼황오제를 실존 인물로 묘사하려는 시도가 있어 학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 삼황오제는 인류 문명에 기여한 인물로 묘사되며, 불의 사용, 농업 발명, 중의학, 중국 달력, 한자 발명 등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동이 및 한민족과의 관련성을 주장하는 설도 존재하지만,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황오제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삼황오제 - 신농
    신농은 중국 신화에서 농업과 의학의 시조로 묘사되는 문화 영웅으로, 농업 기술과 약초 지식을 전파하고 한의학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동아시아에서 농업과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원시 엘람
    원시 엘람은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까지 이란 고원에서 발생한 문명과 문자를 지칭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교류하며 발전했고, 농업 잉여물 관리를 위해 이란 최초의 문자 형태인 원시 엘람 문자를 사용했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기원전 28세기
    기원전 28세기는 동유럽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쇠퇴, 메소포타미아 초기 왕조 II기 시작, 고대 이집트 고왕국 성립 등 문명 변화와 발전, 키클라데스 제도의 예술 활동, 인더스 문명 영역 형성, 샤흐르-이 소흐테 유적의 교역로 역할 등 다양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삼황오제
개요
명칭삼황오제 (三皇五帝)
설명중국 선사 시대의 신화적인 통치자
삼황 (三皇)
시기기원전 2852년 ~ 기원전 2738년경
통치자 1복희
시기 2기원전 2737년 ~ 기원전 2638년경
통치자 2신농
시기 3기원전 2637년 ~ 기원전 2598년경
통치자 3황제
오제 (五帝)
시기 1기원전 2597년 ~ 기원전 2514년경
통치자 1소호금천
시기 2기원전 2513년 ~ 기원전 2436년경
통치자 2전욱고양
시기 3기원전 2435년 ~ 기원전 2366년경
통치자 3제곡고신
시기 4기원전 2365년 ~ 기원전 2256년경
통치자 4제요방훈
시기 5기원전 2255년 ~ 기원전 2206년경
통치자 5제순중화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역사
계승하나라

2. 역사

삼황오제 신화의 기본 틀은 상나라 때부터 춘추 전국 시대에 걸쳐 만들어졌다. 제자백가는 각자의 사상을 주장하며 삼황오제 신화를 만들었고, 음양오행설의 유행 이후 오제 신화가 정립되기 시작했다. 삼황과 오제의 구성원은 제자백가의 주장에 따라 달랐으며, 위진남북조 시대까지 계속 변화했다.[22]

근대 이전 중국에서는 삼황오제가 역사적 사실로 오랫동안 숭배되었고, 특히 황제, 요, 순은 이상적인 성천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청나라 말기 캉유웨이, 구제강 등이 주도한 의고학파에 의해 삼황오제 기록의 역사성이 부정되고 신화로 판명되었다.[22]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 민족주의국가주의가 강화되면서, 중국 정부는 삼황오제를 비롯한 신화 속 인물들을 실존 인물로 주장하며 역사 왜곡을 하고 있어 학계의 우려를 사고 있다.

도교 신념은 무속 신앙적 주제를 포함한 우화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복희, 여와, 신농 등 대부분의 고대 통치자 이야기와 같았다.[9] 세상을 창조하는 데 참여한 네 씨족(四氏)에 대한 전설이 있는데, 그들은 유소씨, 수인씨, 복희씨, 신농씨였다.

「삼황오제」라는 말은 『주례』나 『여씨춘추』에 나오는 말이다.[17] 그러나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대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삼황의 구성에 대해서는 정론이 없었다.[17] 역사서에서는 "삼황오제"보다 "오제삼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대에도 그것은 변하지 않았다.[18]

『여씨춘추』나 『예기』, 『사기』 등에는 상고 시대에 "오제 시대"가 존재했음을 전제로 하는 기술이 있으며, 이 "오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설이 제시되었다.[18] 다만 "오제"에 대해서는 『사기』 오제본기정의에 따라 황제, 전욱, , , 으로 하는 설이 거의 정론으로 여겨지며, 『세계』 이후에는 황제와 전욱 사이에 소호를 삽입하는 역사 체계가 취해지게 되었다.[17] 그러나 후세의 "삼황오제론"은 단순히 제왕의 계보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논자의 가치관에 따라 현창된 제왕의 랭킹이 되어 소호가 배제되게 되었다.[17] 황보밀은 복희·신농·황제를 삼황, 소호·전욱·제곡·요·순을 오제로 하는 설을 취했다.[17]

『사기』 진시황본기에는 시황제에게 신하가 "태황"의 칭호를 추천했지만, 왕은 "제호"를 의논하라고 승상에게 명했다.[19] 그리고 "황제" 호가 창출되었는데, 이에 대해 "삼황오제"에서 창출되었다는 견해가 있는 한편, 불명확한 점이 많다는 지적도 있다.[19]

3. 삼황(三皇)

삼황은 상나라 때부터 이어져 온 시조 설화를 바탕으로, 춘추 전국 시대 제자백가의 사상과 함께 틀이 갖춰졌다. 음양오행설의 영향으로 오제 신화가 정립되면서 삼황오제 신화는 계속 재창조되었다.[22]

삼황은 근대 이전 중국에서 역사적 사실로 추앙받았으나, 청나라 말기 구제강 등이 주도한 의고학파에 의해 신화로 판명되었다.[22]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국의 민족주의국가주의 강화로 삼황오제를 실존 인물로 주장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삼황오제」라는 말은 『주례』나 『여씨춘추』에 나오지만, 구체적인 논의는 한대 이후에 이루어졌고, 삼황의 구성에 대해서는 정론이 없었다.[17] 역사서에서는 "삼황오제"보다 "오제삼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대에도 마찬가지였다.[18]

세상을 창조하는 데 참여한 네 씨족(四氏)으로는 유소씨, 수인씨, 복희씨, 신농씨가 있었다.

3. 1. 주요 문헌에 나타난 삼황

중국 역사에서 삼황오제에 관한 이야기는 전국 시기에 처음 나타나기 시작했다. 삼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7가지 설이 있다.

  •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 : 《사기》 〈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에 인용된 《하도(河圖)》, 《삼오력(三五曆)》
  • 천황, 지황, 태황(泰皇) : 《사기》 〈진시황본기〉
  • 복희, 여와, 신농 : 《풍속통의》 〈황패편(皇覇篇)〉
  • 복희, 신농, 공공 : 《통감외기》
  • 복희, 신농, 축융 : 《백호통》
  • 수인, 복희, 신농 : 《풍속통의》 〈황패편〉에 인용된 《예위》 〈함문가(含文嘉)〉
  • 복희, 신농, 황제 : 《십팔사략》, 《제왕세기》와 손씨주(孫氏注) 《세본》


고대 중국의 부족 및 부족 연합 지도. 황제, 염제 및 치우가 이끄는 부족 포함


삼황오제를 구성하는 인물은 출처에 따라 6~7가지로 다르게 나타난다.[10] 알려진 많은 출처는 훨씬 후대의 왕조에서 기록되었다.

삼황은 복희, 여와, 신농, 수인, 축융, 공공, 천황, 지황, 인황 (두 종류), 황제 등의 인물들로 구성된다.[1]

삼황은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마법, 신성한 힘, 또는 도교와의 조화를 이용한 신왕 또는 반신으로 여겨졌다. 그들은 고귀한 덕행으로 인해 장수했으며, 평화로운 시대를 다스렸다.

삼황은 도교의 신들인 선과 유사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인황의 구름 수레와 초자연적인 능력과 같은 것들이다. 황제는 죽은 후 ''선''이 되었다고 한다.[11]

황제는 ''화하족''의 조상으로 추정된다.[12] 황제릉은 조상 전설을 기념하기 위해 산시성에 세워졌다.[12]

삼황은 서로 다른 역사적 기록에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데, 아래 표에 정리되어 있다.

출처삼황
사기사마정의 추가 부분천황, 지황, 태황[10] 또는 복희, 여와, 신농
《제왕세기(帝王世系)》복희, 신농, 황제[10]
《십본(輯本)》복희, 신농, 황제[10]
《백호통의(白虎通義)》(1차 변형)
복희, 신농, 축융[10]

(2차 변형)
복희, 신농, 수인[10]
《풍속통의(風俗通義)》복희, 여와, 신농[10]
《의문유취》천황, 지황; 인황[10]
《통감외기(通鑑外紀)》복희, 신농, 공공
《춘추운두추》
《춘추원명포》
복희, 여와, 신농
《상서대전》복희, 신농, 수인
《제왕세기(帝王世紀)》복희, 신농, 황제



삼황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먼저 『사기』의 진시황 본기에 유래하는 설이 있다.[17]


  • 천황·지황·태황(인황)으로 하는 설[17]
  • 이 설은 『사기』 진시황 본기의 "옛날에 천황이 있었고, 지황이 있었고, 태황이 있었고, 황이 가장 귀했다."에 유래하지만, 셋을 세트로 하여 개벽 후 첫 번째 제왕으로 삼은 것은 위서가 처음이라고 여겨진다.[17]


한편, 『사기』 오제본기 색은·정의는, 각 서적에 있는 복희씨·신농·황제로 하는 설을 정리하고 있다.[17]

또한, 후한응소의 『풍속통』 황패편은 각 서적에 있는 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17]

  • 복희씨·여와·신농으로 하는 설 - 『춘추운두추』[17]
  • 복희씨·축융·신농으로 하는 설 - 『예호시지』[17]
  • 수인·복희씨·신농으로 하는 설 - 『함문가』나 『상서대전』[17]


더욱이, 『예기』(예운정의)에서는 한(漢)나라와 위(魏)나라 학자는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17]

  • 수인·복희씨·신농으로 하는 설 - 응소, 송균, 초주[17]
  • 복희씨·여와·신농으로 하는 설 - 정현[17]

3. 2. 십팔사략에 나타난 삼황

십팔사략에 따르면 삼황은 태호 복희, 염제 신농, 황제 헌원을 말한다.[10] 이들은 단순한 왕이 아니라, 인류 문명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들이다.

  • 복희: 태호(太昊)라고도 불리며, 의 몸에 사람 머리를 하고 있었다. 사람들에게 사냥과 불을 사용하는 법을 가르쳤다.
  • 신농: 염제(炎帝)라고도 불리며, 사람 몸에 의 머리를 가졌다. 태양신이자 농업의 신으로, 농경과 상업을 가르쳤다.
  • 황제 헌원: 집짓기, 짜기, 수레 만들기 등을 가르쳤다. 글자 개념을 처음 도입하고 천문, 역산, 의료술을 시작했다. 치우의 난을 평정하고 백 살에 용을 타고 승천했다고 전해진다.

4. 오제(五帝)

오제는 삼황과 함께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제왕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오제에 대한 기록은 일치하는 설이 없으며, 주로 다섯 가지 설이 전해진다.

삼황오제 신화는 상나라 때부터 춘추 전국 시대를 거쳐 위진남북조 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고 변화해왔다. 특히 음양오행설의 영향을 받아 오제 신화가 정립된 것으로 보인다.

청나라 말기 구제강 등이 주도한 의고학파의 연구를 통해 삼황오제 기록의 역사성이 부정되고 신화로 판명되었으나,[22]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는 민족주의국가주의 강화와 함께 삼황오제를 실제 역사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삼황오제」라는 말은 『주례』나 『여씨춘추』 등에 나오는 말이지만, 그 구성에 대해서는 한나라대 이후에 논의되었으며, 『사기』 오제본기정의에 따라 황제, 전욱, 제곡(), 요, 순으로 하는 설이 정론으로 여겨진다.

역사서에서는 "삼황오제"보다 "오제삼왕"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나라 대에도 그것은 변하지 않았다.

한편, 황보밀은 복희·신농·황제를 삼황, 소호·전욱·제곡·요·순을 오제로 하는 설을 취했다.

시황제는 "황제" 호를 창출했는데, "삼황오제"에서 창출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4. 1. 주요 문헌에 나타난 오제

오제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존재하며, 주요 문헌에 따라 그 구성이 조금씩 다르다. 다음은 주요 문헌에 나타난 오제를 정리한 것이다.

  • 《황왕대기(皇王大紀)》: 복희, 신농, 황제, 당요, 우순
  • 《세본(世本)》, 《대대례(大戴禮)》, 《사기》 〈오제본기〉: 황제, 전욱, 제곡, 당요, 우순
  • 《예기(禮記)》 〈월령(月令)〉: 태호, 염제, 황제, 소고, 전욱
  • 《도장(道藏)》 〈동신부(同紳部)·보록류(譜錄類)·곤원성기(混元聖記)〉 (양무제(梁武帝)의 말 인용): 황제, 소고, 제곡, 제지, 제요
  • 《상서서(尙書序)》, 《제왕세기》, 《십팔사략》: 소호, 전욱, 고신, 당요, 우순


아래는 여러 사료에 나타난 오제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10]

출처오제
사기황제, 전욱, 제곡, 요, 순[10]
제왕세기(帝王世紀)소호, 전욱, 제곡, 요, 순[10]
주역태호, 염제, 황제, 요, 순[10]
잠부론(潛夫論)태호, 염제, 황제, 소호, 전욱[14]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鑒外紀)황제, 소호, 전욱, 제곡, 요[14]



이 외에도,


  • 《여씨춘추(呂氏春秋)》(십이기(十二紀))와 《예기(礼記)》(월령(月令)) 등: 태호 복희, 염제 신농, 황제, 소호, 전욱[18]
  • 《대대례기(大戴礼記)》(오제덕(五帝徳)), 《국어》(노어(魯語)), 《사기》(오제본기(五帝本紀)) 등: 황제, 전욱, 제곡, 제요, 제순[18]
  • 공안국(孔安国) 《상서서(尚書序)》, 황보밀(皇甫謐) 《제왕세기(帝王世紀)》, 손씨(孫氏) 주(注) 《세본(世本)》 등 (《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 색은(索隠)・정의(正義)에 따른다): 소호, 전욱, 제곡, 당요, 우순[18][17]
  • 삼통력》 등: 포희, 신농, 황제, 요, 순[18]

4. 2. 십팔사략에 나타난 오제

십팔사략에서 오제는 황제의 뒤를 이은 다섯 자손을 뜻하며, 소호 금천, 전욱 고양, 제곡 고신, 제요 도당, 제순 유우의 다섯 명이다.[10] 뒤의 두 명을 따로 떼어 '성군'을 칭송할 때 관용적으로 쓰이는 요순임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호 금천은 황제의 아들로 황제가 승천한 후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후 봉황이 날아들어 소호의 정치를 도왔다.

소호의 뒤를 이은 것은 전욱 고양으로, 전욱은 소호의 형의 아들이었다. 반고의 천지 창조가 얼마 되지 않아 하늘과 땅의 구별이 엄격하지 않았다. 전욱은 엄격한 법을 세워 하늘과 땅의 구별을 확실히 하고, 인간 세상에서도 주종관계, 남녀관계 등을 확실히 세웠다.

전욱의 뒤를 이은 것은 소호의 아들인 제곡 고신이었다. 그는 음악의 신으로, 각종 악기와 음악을 만들어 백성들을 즐겁게 하였다.

  • 제요와 제순에 관해서는 요와 순을 참조하십시오.

5. 삼황오제의 동이설

1990년대 이후 중국의 민족주의국가주의가 강화되면서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삼황오제를 비롯한 신화 속의 인물들을 실존 인물이라 주장하고 있다.

삼황오제는 중국 신화 속의 대표적인 인물이지만, 이들을 동이(東夷)나 한민족으로 간주하는 주장이 있다. 삼황오제가 동이였다는 중국의 사료들이 일부 존재하며[23], 동이라는 존재를 모두 한민족으로 보는 역사관이 존재한다.[24] 또한 20세기 이후에 쓰여진 《환단고기》와 같은 일부 서적에는 삼황오제 가운데 일부 혹은 전부를 동이나 한민족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秦)나라 이전의 동이와 (漢)나라 이후의 동이는 같은 존재가 아니며[25], 한민족이 속해 있는 동이는 한나라 이후의 동이이기 때문에 진나라 이전의 동이에 해당하는 삼황오제의 동이 여부와 한민족은 큰 관련이 없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단고기》와 같은 서적은 위서로 판별되어 역사적 가치가 없어 삼황오제 동이설의 근거가 될 수 없다.

한편 《삼국사기》를 비롯한 일부 기록에서 신라 및 가야의 왕족이 소호 금천씨를 선조로 기록한 것이 나타나며, 고구려 왕족 역시 제곡 고신씨 또는 전욱 고양씨를 조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서술은 왕족의 혈통을 신성시하기 위해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 또는 유명한 위인들을 일부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시조로 삼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사실로 보기 어렵다.[26]

6. 현대적 의의

삼황오제는 불의 사용을 도입하고, 사람들에게 집 짓는 법을 가르치고, 농업을 발명하는 데 기여했다고 전해진다. 황제의 부인은 양잠을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 중의학, 중국 달력 및 한자의 발명 역시 이들 왕들의 업적으로 여겨진다. 그들의 시대 이후, 우왕은 하 왕조를 건국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중국 사학에서 최초의 왕조로 여겨진다.[3]

참조

[1] 웹사이트 三皇五帝 – 国学网 http://www.guoxue.co[...] 国学网 2023-09-18
[2] 서적 China's Imperial Past: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McGraw-Hill 2005
[4] 서적 Ancient China: Chinese Civilization from the Origins to the Tang Dynasty Barnes & Noble
[5] 서적 Chinese Myths: From Cosmology and Folklore to Gods and Immortals Amber Books
[6] 웹사이트 Keynotes 2 https://pages.uorego[...] University of Oregon 2023-07-18
[7]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A Study of the Pottery Inscription 'Wen Yi 文邑' http://www.kaogu.cn/[...] 2009
[9] 서적 The Elements of Taoism Barnes & Noble
[10] 서적 Chinese civilization in a new light Commercial press publishing
[11] 웹사이트 Huangd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22
[12] 서적 中國歷史講堂 Zhonghua shuju
[13] 서적 The Heart of the Dragon Houghton Mifflin
[14] 웹사이트 CHINAKNOWLEDGE - Chinese History - The Three Augusts and Five Emperors 三皇五帝 http://www.chinaknow[...]
[15]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6] 웹사이트 コトバンク「三皇五帝」 https://kotobank.jp/[...]
[17] 논문 『帝王世紀』の成立とその意義 https://spc.jst.go.j[...] 1992-10
[18] 논문 霍光から王莽へ (2) https://u-sacred-hea[...] 1969-03-15
[19] 논문 秦漢初における「皇帝」と「天子」-戦国後期〜漢初の国制展開と君主号- https://fukuoka-edu.[...] 2011-02-10
[20] 논문 황제신화전설에 대한 문헌적 고찰
[21] 논문 중국문헌(中國文獻)에 나타나는 "치우(蚩尤)"의 이중형상(1) -제국(帝國)의 희생양, 치우(蚩尤)의 악마형상-
[22] 논문 황제신화전설에 대한 문헌적 고찰
[23] 서적 고사변(古史辯)
[24] 서적 맥이 정신세계사
[25] 논문 선진 문헌에 보이는 '동이'의 성격
[26] 논문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http://www.dibrary.n[...] 대구사학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