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포는 강에서 물이 가파른 절벽이나 수직에 가까운 곳을 넘어 흐르는 지점을 말하며, 캐스케이드와 혼용되기도 한다. 폭포는 강의 상류에서 형성되며, 덮개암 모델을 통해 침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단애 폭포, 급류 폭포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비나 눈이 녹은 후에만 흐르는 임시 폭포도 존재한다. 폭포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수력 발전, 관광, 종교적 의식 등 인간 활동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다. 지리학,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폭포의 이름, 위치, 형성 과정 등에 대한 기록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폭포 | |
---|---|
개요 | |
종류 | 지형 |
정의 | 강이나 하천의 물이 수직으로 떨어지는 지점 |
형성 과정 | |
침식 작용 | 기반암의 차별 침식이나 단층 작용으로 형성될 수 있음 |
특징 | |
낙수 효과 | 물이 떨어지면서 주변의 식물 생태계에 영향 |
경관 |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며 관광 자원으로 활용 |
인공 폭포 | |
정의 | 자연적인 폭포 외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폭포 |
목적 | 조경 수자원 관리 관광 유치 |
분류 | |
형태 | 단일 폭포, 계단형 폭포, 커튼형 폭포 등 |
규모 | 높이, 너비, 유량 등에 따라 분류 |
폭포 관련 용어 | |
폭호 (Plunge Pool) | 폭포 아래에 형성된 깊은 웅덩이 |
비말 (Spray) | 폭포수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물방울 |
주의사항 | |
안전 | 미끄러운 바위, 급류 등에 대한 안전 주의 필요 |
환경 보호 | 주변 환경 오염 방지 및 자연 보존 노력 필요 |
2. 정의 및 용어
폭포는 일반적으로 강에서 물이 가파른 절벽이나 수직에 가까운 곳을 넘어 흐르는 지점을 말한다. 2000년 마빈(Mabin)은 "폭포 입구와 낙수웅덩이 사이의 수평 거리는 폭포 높이의 25%를 넘지 않아야 한다"라고 정의했다.[1] 폭포를 분류하는 다양한 종류와 방법이 있으며,[1] 실제로 무엇이 폭포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폭포는 때때로 "캐스케이드"와 "폭포"라고도 혼용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폭포를 더 크고 강력한 폭포로,[2][3] 캐스케이드는 더 작은 폭포[4]로 특정하기도 한다. 낙수웅덩이는 폭포 아래에 형성된 일종의 하천 웅덩이이다.[5] 폭포는 "포스(foss)" 또는 "포스(force)"라고도 불린다.[6][7]
3. 형성
폭포는 일반적으로 호수가 가파른 산의 계곡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의 상류에서 형성된다.[8]
강은 때때로 단층선에 의해 형성된 바위의 큰 단계를 넘어 흐른다. 폭포는 빙하로 흘러 들어가는 시내나 강이 빙하가 후퇴하거나 녹은 후에도 계곡으로 계속 흘러 들어가는 빙하곡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요세미티 계곡의 대형 폭포가 이 현상의 예시이며, 이는 현곡이라고 불린다. 현곡이 형성되는 또 다른 이유는 두 강이 합쳐지고 한 강이 다른 강보다 빠르게 흐르는 경우이다.[8]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이 바다의 협곡에서 만나면 차가운 물이 바닥으로 쏟아지면서 거대한 수중 폭포가 형성될 수 있다.[9]
3. 1. 덮개암 모델
폭포 형성의 덮개암 모델은 강이 저항성 있는 기저암 위를 흐를 때는 침식이 느리게 일어나고, 하류에서는 침식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고 설명한다.[8][10] 폭포 가장자리에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강바닥에서 물질을 뜯어낼 수 있다. 폭포 하단에서 발생하는 수압 제트와 수압 도약은 바닥을 침식시키는 큰 힘을 발생시키며,[11] 특히 물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에 의해 힘이 증폭될 때 더욱 그렇다. 말굽 모양의 폭포는 침식을 중앙 지점으로 집중시켜 폭포 아래의 강바닥 변화를 촉진한다.[12]
난류 소용돌이가 바닥에서 돌을 회전시켜 구멍을 뚫어 기저암을 침식시키는 "포트홀링(potholing)" 과정은 침식 능력을 증가시킨다.[8] 이로 인해 폭포는 바닥을 더 깊게 깎고 상류로 물러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협곡이나 계곡을 형성한다.[13] 폭포의 후퇴 속도는 연간 1.5미터에 달할 수 있다.[8]
저항성이 강한 암석층 바로 아래는 부드러운 암석 지층이 나타나는데, 물이 튀면서 암석 쉼터를 형성한다. 결국, 덮개 암석이 무너져 폭포 기저부에 암석 블록을 추가하고, 이 암석 블록들은 마모와 연마 작용으로 폭포웅덩이를 만든다.[28]
개울은 폭포 바로 위에서 더 넓고 얕아지며, 폭포 바로 아래에는 깊은 구역이 나타난다. 그러나 폭포는 폭포 위 또는 아래에서 더 넓거나 좁을 수 있다.[14] 폭포는 침식 외에도 지진, 산사태, 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28]
4. 유형
폭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45][46][47]
일부 폭포는 지속적으로 흐르지 않고 비나 눈이 많이 녹은 후에만 흐르는 '''임시 폭포'''(Ephemeral waterfall)이다.[23][24][25] 지하[26] 및 바다[9]에도 폭포가 존재한다.
폭포는 평균 수량을 기준으로 로그 척도로 10단계로 분류할수 있다. 나이아가라 폭포는 10, 빅토리아 폭포는 9, 라인 폭포는 8, 엔젤 폭포는 7, 요세미티 폭포는 6이다.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유형의 폭포를 추가로 구분한다.
- '''수직 폭포(直瀑, ちょくばく)''': 낙하 지점부터 폭포 아래 웅덩이까지 한 번에 떨어지는 폭포. 명폭포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 '''분기 폭포(分岐瀑, ぶんきばく)''': 낙하 지점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흐르는 폭포.
- '''단층 폭포(段瀑, だんばく)''': 2단, 3단 또는 그 이상의 층을 이루는 폭포.
- '''잠류 폭포(潜流瀑, せんりゅうばく)''': 물을 통과시키는 지층과 통과시키지 않는 지층이 드러나, 지하수가 절벽 중간에서 직접 떨어져 폭포가 되는 형태.
- '''계류 폭포(渓流瀑, けいりゅうばく)''': 폭포 입구에서 경사진 암반 위를 미끄러지듯이 흐르는 폭포로, 어느 정도의 고저차가 있는 것을 말한다.
- '''해안 폭포(海岸瀑, かいがんばく)''': 해안 절벽 위에 폭포 입구가 있어,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를 말한다.
5. 생태
폭포는 흐르는 물 생물의 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하천을 따라 이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15][16] 특정 종의 존재 또는 부재는 연쇄적인 생태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폭포 상류와 하류에서 영양 단계의 차이를 야기한다. 아그보킴 폭포(Agbokim Waterfalls)에 대한 2012년 연구에 따르면, 이 폭포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17]
폭포는 주변 지역보다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를 특징으로 하는 미기후를 생성하며, 이는 다양한 이끼와 우산이끼 군집을 지원할 수 있다.[18] 이러한 식물 종은 핵심 분포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폭포 지역에서 단절된 개체군을 가질 수 있다. 폭포는 검은 칼새(Black Swift)와 흰목물총새(white-throated dipper)와 같은 여러 종의 조류에게 둥지를 틀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한다.[19] 이 종들은 폭포수 뒤의 공간에 둥지를 트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포식 회피 전략으로 여겨진다.
폭포는 가장 거센 물줄기인 계류이다. 폭포 자체에서 생활할 수 있는 동물은 바위나 돌에 부착력이 뛰어난 흡반을 가진 날개벌레의 유충 등에 한정된다. 폭포 아래 웅덩이는 낙수가 강바닥을 오랫동안 깎아 소가 된 부분은 물고기가 많이 서식한다. 폭포 아래 소는 낚시의 명소로 여겨진다.
낙차나 유속이 커서 거슬러 올라가기 어려운 폭포는, 어류별 분포 범위를 결정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원류로 접근하는 습성을 가지고, 헤엄치거나 뛰어오르는 힘이 강한 산천어 등의 계류어조차 돌파할 수 없는 폭포는, 각지에서 "물고기 막이 폭포"라고 불린다. "물고기 막이 폭포"여도, 그 상류에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수량과 먹이가 있는 강에서는, 지역 주민이나 강 어부, 낚시꾼, 자연 애호가 등이 방류한 산천어나 송어 등이 번식하여, "물고기 막이"가 아닌 폭포도 많다. 또한 호우 등으로 강변이나 강바닥이 붕괴되어 큰 폭포가 생겨, 물고기가 거슬러 올라갈 수 없는 폭포가 새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44]。
장어는 뱀처럼 몸을 구불거리며 폭포 뒤나 측벽을 기어 올라가며, 망둑어나 요시노보리 종류는 복부의 흡반으로 가파른 바위에 밀착하면서 올라갈 수 있는어종으로, 자력으로 폭포보다 상류로 진출할 수 있다.
폭포는 주변 절벽도 "물이 풍부한 가파른 절벽"이라는 특수한 환경이 되어, 바위취 등 독특한 식물이 자란다. 그 외의 폭포 주변도 다량의 물방울이 항상 흩날리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상태를 좋아하는 식물에 적합한 환경이다.
6. 주요 폭포
- 나이아가라 폭포 - 북아메리카 최대의 폭포. 나이아가라강, 미국과 캐나다 국경.
- 보요마 폭포 - 가장 수량이 풍부한 폭포(17,000 m³/s). 루알라바강, 콩고 민주 공화국.
- 빅토리아 폭포 - 가장 폭이 넓은 폭포. 잠베지강, 잠비아와 짐바브웨 국경.
- 앙헬 폭포 - 가장 낙폭이 큰 폭포 (979m). 베네수엘라.
- 이과수 폭포 - 남아메리카 최대의 폭포. 이구아수강,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
- 엉또폭포 - 많은 비가 내려야 생기는 폭포. 제주도 서귀포시.

6. 1. 세계의 폭포
전 세계에는 수천 개의 폭포가 있으며, 정확한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월드 폭포 데이터베이스에는 2013년 기준으로 7,827개의 폭포가 등재되어 있지만, 이는 불완전할 가능성이 높다. 베네수엘라의 앙헬 폭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폭포이고, 라오스의 콘파펭 폭포는 가장 넓으며, 콩고강의 인가 폭포는 유량이 가장 크다.
지역 | 국가 | 폭포 이름 | 전경 | 비고 |
---|---|---|---|---|
북미 | 미국 캐나다 | 나이아가라 폭포(Niagara Falls) (세계 3대 폭포) | 100px | |
미국 | 요세미티 폭포 | 100px | ||
캐나다 | 아사바스카 폭포 | ![]() | ||
캐나다 | 타카카우 폭포 | 100px | ||
캐나다 | 버지니아 폭포 | 100px | ||
남미 | 아르헨티나 브라질 | 이과수 폭포(Iguazu Falls) (세계 3대 폭포) | 100px | |
베네수엘라 | 앙헬 폭포 | 100px | ||
아시아 | 중국 | 더톈 폭포 | ![]() | |
중국 | 진주탄 폭포 (주자이거우) | 100px | ||
대만 | 우라이 폭포 | 100px | ||
라오스 | 콩 폭포 (콘파펭 폭포) | ![]() | 폭포 너비 세계 제일 | |
유럽 | 스위스 | 라인 폭포 | 100px | |
프랑스 | 가바르니 폭포 | 100px | ||
벤타 폭포 | 100px | |||
세븐 시스터즈 | 100px | |||
#redirect | 굴포스 | 100px | ||
아프리카 | 짐바브웨 잠비아 | 빅토리아 폭포(Victoria Falls) (세계 3대 폭포) | 100px | |
#REDIRECT | 잉가 폭포 | ![]() | ||
#REDIRECT | 칼란둘라 폭포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투겔라 폭포 | ![]() |
- 나이아가라 폭포는 북아메리카 최대의 폭포로, 미국과 캐나다 국경의 나이아가라강에 위치한다.
- 보요마 폭포는 가장 수량이 풍부한 폭포(17,000 m³/s)로, 콩고 민주 공화국의 루알라바강에 있다.
- 빅토리아 폭포는 가장 폭이 넓은 폭포로, 잠비아와 짐바브웨 국경의 잠베지강에 위치한다.
- 앙헬 폭포는 가장 낙폭이 큰 폭포(979m)로, 베네수엘라에 있다.
- 이과수 폭포는 남아메리카 최대의 폭포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의 이구아수강에 위치한다.
그 외에도 시라카와 요시카즈 등이 선정한 세계 백대 폭포도 있다.
6. 2. 한국의 폭포
한국에는 폭포에 대한 정보가 현재까지는 없지만, 일본에는 1990년에 선정된 일본 폭포 100선이 있다. 100선 외에도 카무이왓카 유노 폭포(홋카이도 샤리정), 나나오리 폭포(이와테현 하나마키시) 등 규모가 크거나 특징적인 폭포들이 많이 있다.6. 2. 1. 개요
6. 2. 2. 주요 폭포
1990년 (헤이세이 2년)에 일본 폭포 100선이 선정되었다.
100선에는 선정되지 않았지만, 그에 필적하는 규모나 특징적인 모습을 가진 폭포들은 다음과 같다.
폭포명 | 소재지 | 특징 |
---|---|---|
카무이왓카 유노 폭포 | 홋카이도샤리정 | 온천수의 폭포로, 폭포수가 천연 노천탕이 되어 있다. |
온네토 유노 폭포 | 홋카이도아쇼로정 | 형성 중인 산화 망간 광상이 천연기념물이다. |
나나오리 폭포 | 이와테현하나마키시 | 폭포수가 바위에 부딪혀 튀는 "튀는 폭포(효구리)"의 대표이다. |
카와라게 오유 폭포 | 아키타현유자와시 | 강산성 온천이 흘러내린다. |
구카이 폭포 | 아키타현기타아키타시 | 9단의 비폭, 도달 곤란, 가이드 필요 |
니텐 폭포 | 아키타현센보쿠시 | 유부치자와 상류의 낙차 60m의 폭포, 도달 곤란, 가이드 필요 |
바이카히 폭포 | 야마가타현오구니정 | 7단 270m, 세계 100대 폭포 중 하나 |
헤이카츠 폭포 | 후쿠시마현히노에마타촌 | 일본 제일의 계류폭(전장 500m) |
아카이와 폭포 | 도치기현닛코시 | 낙차 70m의 단폭, 도달 곤란 |
료즈 폭포 | 도치기현 닛코시 | 길이 210m의 계류폭 |
운류폭 | 도치기현 닛코시 | 낙차 160m의 단폭, 빙폭으로 유명 |
류카 폭포 | 도치기현나스시오바라시 | 낙차 60m의 삼단폭 |
에치고자와 우마타 오타키 | 군마현미나카미마치 | 5단 300m도네강 상류에 있으며, 별명은 800칸의 오타키 |
에치고자와 나카마타 오타키 | 군마현 미나카미마치 | 낙차 200m 우마타 오타키 근처에 있으며, 별명은 환상의 오타키 |
살인의 폭포 | 군마현 나카노조마치 | 낙차는 15m이지만 폭포수가 바위에 부딪혀 튀는 "튀는 폭포(효구리)"가 유명 |
아와마타 폭포 | 지바현오타키마치 | 낙차 30m, 길이 100m의 계류폭 |
료몬 폭포 | 야마나시현야마나시시 | 낙차 30m의 2개의 나메 폭포가 좌우에서 합류한다 |
타하라 폭포 | 야마나시현쓰루시 | 접근이 용이한, 수단의 폭포 |
토류 폭포 | 야마나시현호쿠토시 | 낙차 10m의 단폭 |
후지 정상 폭포 | 야마나시현・시즈오카현 | 시기 한정이지만, 일본 최고소(3670m)의 빙폭 |
한노키 폭포 | 도야마현다테야마정 | 눈 녹는 시기 등 시기 한정이지만 종합 낙차 일본 제일의 거폭(낙차 497m) |
츠루기자와 오타키 | 도야마현다테야마정 | 십자 협곡에 있는 10단 134m의 비폭. 환상의 오타키라고 불린다 |
햐쿠시자 폭포 | 이시카와현하쿠산시 | 낙차 90m 이상은, 우라미 폭포로서는 일본 최대 규모 |
온타케산(나가노현)・신다니 폭포 | 기후현게로시 | 낙차 10m. 일본 최고소(2800m)의 폭포 |
하나지로 폭포 | 와카야마현신구시 | 낙차 83m의 단폭(이치노 폭포가 낙차 45m, 니노 폭포가 낙차 38m) |
호류 폭포 | 와카야마현 신구시 | 낙차 105m의 단폭(이치노 폭포가 낙차 51m, 니노 폭포가 낙차 54m) |
키리가 폭포 | 효고현신온센정 | 낙차 70m의 2단폭 |
나나쿠사 폭포 | 효고현후쿠사키정 | 낙차 72m의 단폭 |
히츠지 폭포 | 효고현시소시 | 낙차 70m의 단폭 |
헨묘 폭포 | 효고현칸자키초 | 낙차 65m의 단폭 |
누노 폭포 | 효고현야부시 | 낙차 65m의 단폭 |
토로카와 후도 폭포 | 효고현카미초 | 낙차 60m의 직폭 |
아카 폭포 | 효고현신온센정 | 낙차 65m의 단폭(상단이 2조, 하단이 1조, 낙차 100m라고도 함) |
센조 폭포 | 돗토리현고토우라정 | 낙차 110m의 수폭과 낙차 90m의 암폭 |
쿠소기노 오타키 | 돗토리현와카사초 | 낙차 50m의 폭포 |
센조 폭포 | 돗토리현돗토리시 | 낙차 80m의 폭포 |
누노 폭포 | 오카야마현쓰야마시 | 총 낙차 50m의 단폭 |
나루타키 | 도쿠시마현쓰루기초 | 총 낙차 85m의 단폭 |
아메가에리의 폭포 | 고치현도사초 | 낙차 30m의 2단 폭포 |
류몬 폭포 | 오이타현구스마치 | 낙차 20m, 폭 40m의 단폭 |
고로가 폭포 | 구마모토현야마토마치 | 낙차 50m로 단애나 폭포수도 넓고, 야베 48 폭포 중 최대급의 폭포이다. |
우노코 폭포 | 구마모토현야마토마치 | 바로 상류·위에 있는 다카 폭포와 함께 2단 폭포가 되어 있다. |
우노코노 폭포 | 미야자키현고세초 | 폭포수의 넓이가 5000제곱미터 |
소기의 폭포 | 가고시마현이사시 | 폭 210m는, 폭포 폭으로 일본 제일 |
그 외에도, 아사히하라 댐에 의해 거의 소멸한 (다이겐타) 48 폭포(니가타현유자와마치), 1994년에 위치가 확정된 히노키자와 폭포 (홋카이도호쿠토시)가 있다.
6. 2. 3. 일본 3대 명폭
일본 3대 명폭은 명확한 정설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세 폭포가 거론된다.그 외 거론되는 폭포는 다음과 같다.
6. 2. 4. 일본 3대 신폭
일본 3대 신폭은 다음 세 폭포로 여겨진다.7. 인간과 폭포
폭포는 수력 발전과 수력을 위한 장소가 될 수 있으며 훌륭한 낚시 기회를 제공한다.[30] 폭포는 관광 명소로 인기가 많으며, 사진 촬영, 래프팅, 캐녀닝, 현수 하강, 암벽 등반, 빙벽 등반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30] 부유한 사람들은 적어도 고대 로마와 중국 시대부터 폭포와 같은 특징을 가진 지역을 방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많은 폭포는 주변의 위험한 지형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접근할 수 없었지만, 1800년대에 영국과 미국에서 흔해지면서 1900년대와 21세기까지 이어지는 폭포로의 길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외딴 폭포는 이제 종종 항공 여행으로 방문한다.[30] 폭포는 때때로 교통의 장애물이 되기도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운하나 물건을 물리적으로 운반 또는 철도를 건설해야 한다.[28][29] 1885년, 지리학자 조지 치섬은 "폭포와 급류가 문명의 발전을 지연시키는 가장 두드러진 예는 의심할 여지 없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나타나며, 이 대륙의 '어둠'은 거의 전적으로 이 원인 때문이다"라고 썼다.
인간의 개발 또한 많은 폭포를 위협해 왔다. 예를 들어,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폭포 중 하나였던 구아이라 폭포는 1982년 인공 댐에 의해 수몰되었고, 리폰 폭포도 1952년에 수몰되었다. 반대로, 다른 폭포는 수력 발전을 위한 물길 변경의 결과로 노르웨이의 티세스트렝게와 같이 수위가 현저히 낮아졌다. 관광 명소로서 폭포 주변 지역의 개발 또한 많은 폭포 주변의 자연 경관을 파괴했다.[30] 폭포는 38개의 세계 유산에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다른 폭포가 정부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폭포는 종교적 장소이자 예술과 음악의 주제로서 많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예술가들이 폭포를 그렸으며, 폭포는 파푸아뉴기니의 칼루리족의 노래와 같이 많은 노래에서 언급된다. 마이클 하너는 에콰도르의 히바로족에 대한 연구의 제목을 ''히바로족: 성스러운 폭포의 사람들''로 정했다. 허드슨 리버 스쿨의 예술가들과 J. M. W. 터너, 존 셀 코트먼과 같은 예술가들은 19세기에 특히 주목할 만한 폭포 그림을 그렸다. 신토의 정화 의식인 미소기의 한 버전은 의례복을 입고 폭포 아래에 서는 것을 포함한다.[31] 일본에서는 나치 폭포가 순례지이며, 인도 티루파티 근처의 폭포와 아이티의 소토도 마찬가지이다. 오타발로스는 성년식 역할을 하는 추루 의식의 일부로 피구치 폭포를 사용한다.[32] 아프리카의 많은 폭포는 토착민들의 숭배 장소였으며, 현지 종교의 신들로부터 이름을 얻었다.[17] "중국의 전통에서 폭포는" 가을, 음, 그리고 앞의 두 가지에서 비롯된 물에 대한 중국 용의 힘을 나타낸다.[33] 폭포는 그 경관이 높이 평가되어 명소가 된다. 관광지화된 곳도 많다. 종교적으로 특별시되는 경우도 있다. 타키교 - 폭포 안으로 들어가 심신을 정화하는 수행 방법.
7. 1. 폭포 연구
폭포에 대한 연구는 지리학, 지질학, 수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폭포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지리학자 앤드루 구디는 2020년에 폭포가 "놀랍도록 제한적인 연구"를 받아왔다고 썼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1820년대에 폭포에 대해 글을 썼으며, "미국 지리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지질학자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1884년에 폭포에 관한 초기 논문을 발표했다. 1930년대에는 에드워드 래슬리가 폭포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를 발표했다. 오스카 폰 엥겔른은 1942년에 폭포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폭포가 지형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1985년에도 한 학자는 폭포가 강 연구에서 매우 소홀히 다루어지는 측면이라고 언급했다.20세기 후반에 들어 폭포 연구가 활발해졌다. 수많은 폭포 안내서가 출판되었으며, 월드 폭포 데이터베이스(World Waterfall Database)는 수천 개의 폭포를 목록화하는 웹사이트이다.

많은 탐험가들이 폭포를 방문하여 기록을 남겼다. 1493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과들루프의 카르베 폭포를 언급했는데, 이는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기록한 폭포일 가능성이 높다. 1600년대 후반, 루이 에네팽은 북아메리카를 방문하여 나이아가라 폭포와 세인트 앤서니 폭포에 대한 초기 묘사를 제공했다. 지리학자 브라이언 J. 허드슨은 1700년대까지 폭포의 이름을 특별히 붙이는 것은 흔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폭포에 이름을 붙이는 관행은 자연에 대한 과학적 관심 증가, 낭만주의의 부상, 산업 혁명과 함께 수력 발전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나타났다.
유럽 탐험가들은 종종 폭포에 자신들의 언어로 이름을 붙이는 것을 선호했다.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빅토리아 폭포를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지만, 현지인들에게는 모시-오아-툰야로 알려져 있었다. 많은 폭포들은 폭포가 위치한 강, 가까운 장소, 특징 또는 그 근처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유래된 설명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유럽 국가에 의해 식민지화된 일부 국가들은 이전에 유럽 탐험가들에 의해 개명된 폭포의 이름을 되돌리기 위한 조치를 취해 왔다. 폭포 탐험은 계속되고 있으며, 고타 폭포는 2006년에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폭포는 운송에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운하는 때때로 폭포를 우회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설되며, 다른 경우에는 물건을 물리적으로 운반하거나 철도를 건설해야 한다. 1885년, 지리학자 조지 치섬은 아프리카 대륙의 '어둠'이 거의 전적으로 폭포와 급류 때문이라고 썼다.
참조
[1]
학술지
The Naming of Waterfalls
https://onlinelibrar[...]
2013
[2]
웹사이트
Cascade/Cataract/Waterfall – History of Early American Landscape Design
https://heald.nga.go[...]
2021-08-28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Cataract
https://www.merriam-[...]
2021-08-28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Cascade
https://www.merriam-[...]
2021-08-28
[5]
서적
Dictionary of Geological Terms: Third Edition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1984
[6]
웹사이트
foss
https://en.wiktionar[...]
2022-12-20
[7]
웹사이트
force
https://en.wiktionar[...]
2022-12-10
[8]
서적
The Family Encyclopedia of Natural History
The Hamlyn Publishing Group
1982
[9]
웹사이트
Where is Earth's Largest Waterfall?
https://oceanservice[...]
2021-08-28
[10]
웹사이트
How Waterfalls Work
2008-06-16
[11]
학술지
Jet and hydraulic jump near-bed stresses below a horseshoe waterfall
http://www.escholars[...]
2007-07-01
[12]
웹사이트
' Watershed Hydrology, Geomorphology, and Ecohydraulics :: Horseshoe Falls'
http://pasternack.uc[...]
2017-06-11
[13]
웹사이트
Observe river erosion creating waterfalls and chasms.
http://www.classzone[...]
ClassZone
2016-11-10
[14]
학술지
Modeling energy dissipation and hydraulic jump regime responses to channel nonuniformity at river steps
http://www.escholars[...]
2008-09-01
[15]
학술지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ecosystem functions in above- and below-waterfall pools in Borneo
2017-02-01
[16]
학술지
Conservation value of waterfalls as habitat for lotic insects of western Victoria, Australia
https://onlinelibrar[...]
2021-02-03
[17]
학술지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a tropical waterfalls ecosystem
2012
[18]
웹사이트
Waterfalls and Biodiversity in BC
https://ibis.geog.ub[...]
2021-02-03
[19]
웹사이트
Black Swift
https://www.audubon.[...]
2021-02-03
[20]
웹사이트
Worldwaterfalls.com
https://www.world-of[...]
2016-11-10
[21]
서적
The Big Earth Book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7-11-01
[22]
서적
Geomorphology
Springer
1997
[23]
Webarchive
Ephemeral waterfall seen from inside cave. Mammoth Cave National Park.
https://www.terragal[...]
2017-11-10
[24]
Webarchive
About Horsetail Falls, One of Yosemite's Ephemeral Waterfalls.
https://www.kidsdisc[...]
2019-07-18
[25]
Webarchive
Bird Rock Falls.
https://www.wncwater[...]
2017-11-10
[26]
웹사이트
Underground waterfall: How to see this secret spectacle in Upstate NY
https://www.newyorku[...]
2021-08-28
[27]
뉴스
After the Falls Last spring, Peru announced it had discovered the world's third-tallest waterfall. We went to see this remote wonder, and discovered much more.
https://www.washingt[...]
2021-08-26
[28]
웹사이트
waterfall
http://www.nationalg[...]
2021-08-27
[29]
뉴스
Historical Atlas of Canada: Canada's History Illustrated with Original Maps
https://books.google[...]
Douglas & McIntyre
2013-03-23
[30]
학술지
Waterfalls, Tourism and Landscape
2006-03-01
[3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hinto Second edition
Scarecrow Press
2011
[32]
서적
' Mountain Ice and Water – Investigations of the Hydrologic Cycle in Alpine Environments'
2021-08-26
[33]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2010
[34]
서적
Atlas A-Z: 6th edition: A Pocket Guide to the World Today
https://books.google[...]
Penguin
2015-04-07
[35]
웹사이트
The largest waterfall that ever existed
https://www.bbc.com/[...]
2021-08-27
[36]
웹사이트
Vrtiglavica Cave and Waterfall
http://www.wondermon[...]
2013-03-07
[37]
서적
Water, Leisure and Culture: European Historical Perspectives
Berg Publishers
2002
[38]
서적
Waterfall: N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3-02-15
[39]
웹사이트
全国の約一割が集中! 「滝の県」山形県が、観光ウェブサイト内に特設コーナー「日本一の滝王国山形」を公開
https://www.yamakei-[...]
山と溪谷社
2017-05-23
[40]
간행물
2005
[41]
웹사이트
滝ペディア
http://www.takipedia[...]
개인
2019-10-02
[42]
웹사이트
日本の滝データベース
https://www.ne.jp/as[...]
2019-10-02
[43]
문서
苗場山麓ジオサイトマップ(裏面)
https://tsunan.info/[...]
苗場山麓ジオパーク振興協議会
2020-12-10
[44]
간행물
1989
[45]
웹사이트
Ephemeral waterfall seen from inside cave. Mammoth Cave National Park.
https://www.terragal[...]
[46]
웹사이트
About Horsetail Falls, One of Yosemite's Ephemeral Waterfalls.
https://www.kidsdisc[...]
[47]
웹사이트
Bird Rock Falls
https://www.wncwa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