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스트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무 스트레스는 직업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의미하며, 심리적 모델을 통해 발생 원인을 설명한다. 요구-통제-지원 모델,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 개인-환경 적합 모델 등이 있으며, 과도한 업무량, 장시간 노동,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일과 삶의 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개인의 건강 문제(심혈관 질환, 정신 질환 등), 생산성 저하, 조직의 부정적 영향(이직, 결근 등)을 초래하며,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직무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조직 차원, 개인 차원의 전략이 사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현황과 대처 방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장 (장소)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직장 (장소) - 일과 생활의 균형
일과 생활의 균형은 개인이 일과 개인 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하며, 일-가족 간의 갈등, 스트레스, 건강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어 경제적 조건, 조직 문화, 개인의 노력 등을 통해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며, 다양한 이론과 국가별 정책으로 설명된다. - 조직심리학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조직심리학 - 공유 리더십
공유 리더십은 팀의 여러 구성원이 상호작용을 통해 팀을 이끄는 리더십 형태로, 팀 구성원 간 상호 영향력과 공유된 책임을 강조하며 팀 효과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팀 내부 환경, 외부 코칭, 피드백 제공 및 수용성이 발휘에 영향을 미친다.
| 직무 스트레스 | |
|---|---|
| 개요 | |
![]() | |
| 정의 | 직장에서 발생하는 해로운 신체적, 정서적 반응 |
| 원인 | 직무 요구, 통제력 부족, 사회적 지원 부족 등 |
| 결과 | 건강 문제, 낮은 직무 만족도, 생산성 저하 등 |
| 관련 용어 | |
| 관련 용어 | 직무 만족도, 직무 소진, 정신 건강 |
| 원인 | |
| 직무 내용 | 과도한 업무량, 역할 모호성, 책임 과중, 단조로운 업무, 기술 부족 등 |
| 조직 구조 및 문화 | 의사소통 부족, 참여 기회 부족, 부당한 대우, 권위적인 문화, 과도한 경쟁 등 |
| 대인 관계 | 동료 간 갈등, 상사와의 관계 문제, 고객 응대 스트레스 등 |
| 직장-가정 양립 | 육아 부담, 가족 간호 부담, 퇴근 후 업무 연락 등 |
| 개인적 요인 | 개인의 성격, 스트레스 대처 방식, 건강 상태 등 |
| 증상 | |
| 신체적 증상 | 두통, 근육통, 소화 불량, 피로, 수면 장애,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 |
| 심리적 증상 | 불안, 우울, 짜증,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무기력감 등 |
| 행동적 증상 | 업무 태만, 결근, 생산성 저하, 대인 관계 악화, 음주/흡연 증가 등 |
| 평가 방법 | |
| 설문 조사 | 직무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설문지 (예: 직무 스트레스 척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 |
| 생리적 측정 | 심박수, 혈압, 코티솔 수치 등 스트레스 반응 지표 측정 |
| 면담 | 전문가 면담을 통한 주관적인 스트레스 경험 평가 |
| 예방 및 관리 | |
| 개인적 차원 | 스트레스 관리 기술 훈련 (예: 이완 요법, 명상, 인지 행동 치료)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단, 충분한 수면)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활용 |
| 조직적 차원 | 직무 재설계 (업무량 조절, 역할 명확화, 자율성 부여) 의사소통 활성화 및 참여적 의사결정 문화 조성 공정한 평가 및 보상 시스템 구축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대응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
| 법적 규제 | |
| 산업안전보건법 | 직무 스트레스 요인 평가 및 관리 의무 규정 |
| 관련 법규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근로기준법 등 |
| 기타 | |
| 관련 정보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
2. 직업성 스트레스의 심리학적 모델
직무 스트레스 발생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이론에는 요구-통제-지원 모델,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 개인-환경 적합 모델, 직무 특성 모델, 소인-스트레스 모델, 직무 요구-자원 모델 등이 있다.[7][8][1]
직장에서 무엇이 스트레스를 높이고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는가, 반대로 힘든 일에도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를 모델화한 것이 스트레스 모델이다. 스트레스 관련 모델은 다양하게 제창되고 있지만, 자주 언급되는 것은 요구-통제-지원 모델,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 직무 요구-자원 모델,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스트레스-취약성 이론) 4가지이다. 이 모델들은 기본적인 사고방식부터 구체적인 측정 척도까지 다양하며, 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2. 1. 요구-통제-지원 모델 (Demand-Control-Support Model)
직무 스트레스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적 이론은 원래 요구-통제(DC) 모델이었던 요구-통제-지지(DCS) 모델이다.[1] DC 모델은 업무 관련 의사 결정 재량(즉,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통제력)의 낮은 수준과 높은 심리적 작업 부하의 조합이 근로자의 건강에 해롭다는 개념을 발전시킨다. 높은 작업 부하와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직무 스트레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직업 건강 심리학 분야에서 더 나쁜 정신적 또는 신체적 건강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9][10]DC 모델은 동료 및 관리자로부터의 업무 관련 사회적 고립 또는 지지 부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DCS 모델이 되었다.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낮은 수준의 지지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더 나쁜 건강으로 이어진다는 증거가 있다.[11]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및 낮은 수준의 지지의 조합은 아이소-스트레인이라고도 불린다.[11]
JDC 모델(Job Demands Control Model)은 "직무 요구도"와 "직무 통제"의 두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모델이다. 직무 요구도는 특히 직무의 양적 부담(과중함이나 시간적 절박감)이 그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한편, 통제는 "직무상 재량권과 자유도"를 의미한다. 직무 요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직무상 재량권과 자유도"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를 "고 스트레인군(high strain)"이라고 부르며, 심신의 스트레스 반응 위험이 높다고 여겨진다. 반면, 직무 요구도가 높더라도 "직무상 재량권과 자유도"가 주어진다면 생산성, 직장 만족도가 모두 높아지고,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DCS 모델(Demand-control-support Model, 또는 JDCS 모델: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은 JDC 모델에 사회적 지지를 추가한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직무 요구도"가 높고 "직무상 재량권과 자유도"가 낮으며, 게다가 상사나 동료의 지원이 부족한 경우가 가장 "고 스트레인"이며, 건강 장애나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것이며, 실감적으로 납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실증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2. 2.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Effort/Reward Imbalance Model영어, ERI 모델)은 1996년 독일의 사회학자가 제창한 모델로, 업무 수행을 위해 쏟는 노력(Effort)에 비해 그 결과로 얻는 보상(Reward)이 적다고 느낄 경우 더 큰 스트레스 반응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보상에는 금전(Money)과 같은 경제적 보상뿐만 아니라 존중(Esteem)과 같은 심리적 보상, 직업 안정성이나 승진(Status control)과 같은 경력 관련 보상도 포함된다.[116]이 모델은 기존 모델들이 간과했던 보상이라는 차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개인이 느끼는 보람, 성취감, 그리고 주변의 인정이 경제적 보상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117]
2. 3. 개인-환경 적합 모델 (Person-Environment Fit Model)
직무 스트레스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적 이론은 원래 수요-통제(DC) 모델이었던 요구-통제-지지(DCS) 모델이다.[1] DC 모델은 업무 관련 의사 결정 재량(즉,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통제력)의 낮은 수준과 높은 심리적 작업 부하의 조합이 근로자의 건강에 해롭다는 개념이다. 높은 작업 부하와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직무 스트레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직업 건강 심리학 분야에서 더 나쁜 정신적 또는 신체적 건강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9][10] DC 모델은 동료 및 관리자로부터의 업무 관련 사회적 고립 또는 지지 부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DCS 모델이 되었다.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낮은 수준의 지지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더 나쁜 건강으로 이어진다는 증거가 있다.[11]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및 낮은 수준의 지지 조합은 아이소-스트레인이라고도 불린다.[11]2. 4. 직무 특성 모델 (Job Characteristics Model)
직무 스트레스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적 이론은 원래 수요-통제(DC) 모델이었던 요구-통제-지지(DCS) 모델이다.[1] DC 모델은 업무 관련 의사 결정 재량(즉,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통제력)의 낮은 수준과 높은 심리적 작업 부하의 조합이 근로자의 건강에 해롭다는 개념을 발전시킨다. 높은 작업 부하와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직무 스트레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직업 건강 심리학 분야에서 더 나쁜 정신적 또는 신체적 건강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9][10] DC 모델은 동료 및 관리자로부터의 업무 관련 사회적 고립 또는 지지 부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DCS 모델이 되었다. 증거에 따르면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낮은 수준의 지지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더 나쁜 건강으로 이어진다.[11] 높은 작업 부하, 낮은 수준의 의사 결정 재량 및 낮은 수준의 지지의 조합은 아이소-스트레인이라고도 불린다.[11]2. 5.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Diathesis-Stress Model)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스트레스-취약성 이론)은 정신 질환 발병에 있어 병에 걸리기 쉬운 정도인 '취약성'과 발병을 촉진하는 '스트레스(심리적 부하)'라는 두 가지 축의 균형에 의해 정신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는 이론이다.[113]예상치 못한 스트레스(생활사건의 심리적 부하)가 매우 강하면 취약성이 비교적 작더라도 정신적 파탄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반대로 취약성이 크면 생활사건의 심리적 부하가 작더라도 파탄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는 하나하나의 생활사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생활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더해진 것이다. 그러나 '취약성'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견딜 수 있는 스트레스 또는 그 허용 범위가 달라진다. 정신 장애를 생각할 때 모든 경우에 스트레스의 총합과 취약성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취약성이란, 선천적인 것(예: 성격, 유전적 자질)뿐만 아니라 성장 환경, 후천적인 능력, 대응력과 관련된 문제도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피하는 노력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발산하는 노력, 스트레스에 강해지는 노력, 취약성을 줄이는 노력, 즉 대응력, 회복탄력성을 강화함으로써 발병 또는 재발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신 장애 등에 관련된 재해 인정의 '인정 기준'은 이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2. 6. 직무 요구-자원 모델 (Job Demands-Resources Model)
직무 요구-자원 모델은 자원 보존 이론과 요구-통제-지지(DCS) 모델에서 파생되었다. 여기서 '요구'는 DCS 모델에서처럼 업무량의 크기를 의미한다. '자원'은 직무를 만족스럽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자원(예: 장비), 심리적 자원(예: 직무 관련 기술 및 지식), 사회적 자원(예: 감독자의 지원), 조직적 자원(예: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업무 관련 재량)을 말한다.[19] 높은 업무량과 낮은 수준의 자원은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19]2. 7. NIOSH 직업성 스트레스 모델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이 제시한 직업성 스트레스 모델은 업무상 스트레스가 급성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질병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업무상 스트레스 외에 세 가지 요인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114][115]세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개인적 요인: 개인의 속성이나 성격 등을 의미한다.
- 업무 외 요인: 가정 형편 등 업무 외적인 요인을 의미한다.
- 완충 요인: 동료나 가족 등의 지원과 같이 스트레스를 완충하는 요인을 의미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스트레스 반응은 질병이 아니며,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날 때는 경고로 받아들이고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인을 좋은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 특히 "동료나 가족 등의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직업성 스트레스 관련 요인
- '''역할 갈등'''은 근로자가 양립할 수 없는 요구에 직면하는 것을 포함한다.[20][21] 근로자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려 할 때 상반된 방향으로 휩쓸리게 된다.[22]
- '''역할 모호성'''은 조직 내 근로자의 역할이 요구하는 업무와 관련하여 정보적 명확성이 부족한 것을 말한다.[1] 역할 갈등과 마찬가지로 역할 모호성 또한 스트레스의 원인이다.
-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을 말한다.[23] 특정 직장 스트레스 요인에 대처하는 직원의 능력에 대한 연구는 모호하며, 직장에서의 대처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24][1] Pearlin과 Schooler[25]는 부모, 배우자와 같이 개인적으로 조직된 역할과는 달리, 업무 역할은 ''비인격적''으로 조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업무 역할은 성공적인 대처에 도움이 되는 맥락이 아니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Pearlin과 Schooler는 직장의 비인격성이 직업적 대처 노력이 오히려 직원에게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 '''조직 풍토'''는 직원들이 조직의 작업 환경을 집단적으로 또는 합의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26] 조직 풍토는 작업 환경의 여러 측면(예: 안전 풍토, 부당 대우 풍토, 일-가정 풍토)을 고려한다. 의사소통, 관리 스타일 및 의사 결정에 대한 근로자의 참여 정도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 풍토에 기여하는 요인이다.
4. 직업성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
직업성 스트레스는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무 스트레스는 건강 문제, 생산성 저하, 결근, 이직 등을 유발한다. 직무 스트레스는 "건강 위험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남성의 알코올 소비 증가 및 체중 증가와 연관된다.[29] 또한 행동적(예: 결근), 신체적(예: 두통), 심리적(예: 우울한 기분)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35][36]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28]
- 혈액이 뇌와 큰 근육으로 쏠리고 사지 및 피부에서는 멀어진다.
- 그물 활성화 시스템 활동이 증가하여 경계 상태가 예민해지고 청력과 시력이 날카로워진다.
- 에피네프린이 혈액으로 방출된다.
- HPA 축이 활성화된다.
- 교감 신경계 활동이 증가한다.
- 코르티솔 수치가 상승한다.
- 포도당과 지방산 등 에너지 공급 화합물이 혈류로 방출된다.
- 면역 및 소화 시스템 활동이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직장 스트레스는 감염 및 직장 내 사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33]
4. 1. 건강 문제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스트레스가 고혈압과 관상 동맥 질환뿐만 아니라 심혈관 계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왔으며, 이러한 질병은 미국의 직장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7]직무 스트레스는 업무 관련 건강 보험 청구의 10% 이상을 차지한다.[30] 많은 연구에서 직원들이 작업 과정에 대한 통제력이 거의 없는 심리적으로 부담스러운 직업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한다.[31][39] 또한 직무 스트레스는 허리와 상지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32] 2021년 WHO 연구에 따르면 주 5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주 35~40시간 근무하는 경우에 비해 뇌졸중 위험이 35%, 심장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17% 증가했다.[34]
직무 스트레스는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심리적 장애, 직무 불만족, 약물 남용과 같은 부적응적 행동을 포함한 광범위한 질환과 관련이 있다.[37][38][39] 일본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직무 스트레스가 있는 남성의 뇌졸중 위험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42] 일본에서는 과로로 인한 사망을 나타내기 위해 가로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건강 서비스 이용의 실질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다.[16] 1998년 46,00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근로자의 의료 비용은 "저위험" 근로자에 비해 거의 50% 더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우울증 모두가 높은 근로자의 경우 이 증가는 거의 150%로 증가하여 연간 1인당 1700USD 이상 증가했다.[43] 또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장애 기간은 다른 업무 관련 부상 및 질병으로 인한 장애 기간보다 훨씬 더 긴 경향이 있다.[44]
4. 2. 생산성 저하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 환경은 낮은 업무 성과, 생산성 저해 업무 행동[40], 높은 결근,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8][37]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고용주가 제공하는 건강 혜택 비용을 증가시킨다. 단거리 운전 기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 관련 부상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41] 일본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직무 스트레스 (높은 직무 요구와 낮은 직무 통제의 조합)가 있는 남성의 뇌졸중 위험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42] 일본에서는 과로로 인한 사망을 나타내기 위해 가로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 3. 조직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과 고용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45] 및 결근[46]에 영향을 준다.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건강 서비스 이용의 실질적인 증가와 관련이 있다.[16] 1998년 46,00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근로자의 의료 비용은 "저위험" 근로자에 비해 거의 50% 더 높았다. 스트레스와 우울증 모두가 높은 근로자의 경우 이 증가는 거의 150%로 증가하여 연간 1인당 1700USD 이상 증가했다.[43] 우울증과 높은 직무 스트레스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의료 비용이 200% 증가한다.[33] 또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장애 기간은 다른 업무 관련 부상 및 질병으로 인한 장애 기간보다 훨씬 더 긴 경향이 있다.[44]
5. 성별과 직업성 스트레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 불안 및 기타 형태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할 위험이 높다.[47] 이는 사회적 기대, 가사 부담, 성희롱, 고정관념 위협 등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여성은 더 많은 가사 책임을 지고, 남성과 유사한 일을 하면서도 더 적은 임금을 받으며, 사회적으로 어떤 요청에도 "예"라고 대답해야 한다고 기대받는다.[47] 이러한 사회적 기대는 직무 환경에 더해져 여성에게 매우 심리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데스마레(Desmarais)와 알크스니스(Alksnis)는 여성이 겪는 더 큰 심리적 고통에 대해 두 가지 설명을 제시한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으며, 여성은 스트레스를 표현하고 보고하는 경향이 더 높은 반면, 남성은 그러한 감정을 부인하고 억제하는 경향이 더 높다. 둘째, 일과 가족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요구 사항은 여성에게 전반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48]
고정관념 위협은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상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고정관념 위협과 관련된 제안된 메커니즘에는 불안, 부정적 인지(고정관념적 사고에 집중), 동기 저하, 수행 기대치 저하, 작업 기억 용량 감소 등이 있다.[49]
여성은 또한 남성에 비해 성희롱과 폭력에 더 취약하다.[50] 여성은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적게 번다.[52]
유럽 연합(EU)의 보고서에 따르면, EU 및 관련 국가에서 남녀 간의 기술 격차는 2015년 이전 10년 동안 줄어들었다. EU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유급 노동에 더 적은 시간을 할애하지만, 대신 무급 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54]
남성과 여성은 거의 같은 정도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124] 여성이 대인 관계의 갈등에 민감하고, 남성은 시간과 노력의 낭비에 민감하다고 여겨진다. 전반적인 스트레스에 남녀 간의 큰 차이가 없을 경우, 여성은 심리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남성은 육체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향이 있다.
데스마레와 알크스니스는 여성이 심리적인 측면에서 더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에 대해, 남성이 부정적인 감정을 부인하거나 억제하는 것에 비해 여성은 표현하고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성은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더 증가한다는 점을 들었다.[124]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여성의 60%는 외부에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가정 문제를 안고 있다. 미혼이든 기혼이든 여성의 어깨에는 많은 가사 부담이 짊어져 있다.
6. 직업성 스트레스의 원인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은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에 기반한다. 크게는 관리 관행, 직무 내용 및 요구 사항, 지원이나 자율성 부족 등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근무, 직무 기술 부족, 차별 및 괴롭힘 등이 있다.[55]
6. 1. 일반적인 작업 환경
불안정한 일자리는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개인의 차이도 중요하지만, 과학적 증거에 따르면 특정 작업 환경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러한 증거는 직무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서 작업 환경에 더 중점을 두고, 1차 예방 전략으로서 직무 재설계를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6]소음 수준, 조명 및 온도와 같은 물리적 환경도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일반적인 작업 환경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이 성공적인 작업 환경에 적합하지 않으면 기분과 각성이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직무를 제대로 수행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57]
6. 2. 업무량 (Workload)
직업 환경에서 업무량을 처리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직원들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업무량에는 세 가지 측면이 있다.- '''정량적 업무량 또는 과부하''': 편안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업무를 갖는 것. (예: 마감 기한이나 비현실적인 목표와 관련된 스트레스)
- '''질적 업무량''': 너무 어려운 업무를 갖는 것.
- '''과소 부하''': 근로자의 기술과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업무를 갖는 것.[58]
업무량은 스트레스의 수요-통제 모델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9] 이 모델은 수요가 높은 직무가 특히 개인이 해당 직무에 대한 통제력이 낮을 때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즉, 통제력은 수요 또는 업무량이 높을 때 완충 또는 보호 요인 역할을 한다. 이 모델은 높은 통제력과 높은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조합이 높은 수요의 영향을 완화한다는 수요-통제-지원 모델로 확장되었다.[59]
업무 수요로서, 업무량은 또한 수요(예: 업무량)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개인의 자원을 초과할 때 직무가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제안하는 직무 수요-자원 모델과 관련이 있다.[19] 산업의 성장과 현대 산업의 출현으로 인지적 업무량은 더욱 증가했다.[60] 산업 4.0의 안정과 함께 이 분야에서 더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61]
6. 3. 장시간 노동
2022년 미국 노동 통계청에 따르면, 1,200만 명의 미국인(노동 인구의 8.7%)이 주당 41~48시간 일했고, 1,370만 5천 명(노동 인구의 9.8%)이 주당 49~59시간, 약 918만 1천 명(노동 인구의 6.7%)이 주당 60시간 이상 일했다.[62] 60만 명 이상의 개인과 25개의 연구를 포함하는 메타 분석에 따르면, 장시간 근무는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63]대부분의 미국인은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다. 2000년 통계에 따르면 남성의 26% 이상, 여성의 11% 이상이 주 50시간 이상 일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여성 고용자의 노동 시간은 장시간화되어 가고 있으며, 부부 합산 노동 시간도 상승하고 있는데, 특히 자녀가 있는 부부에게서 그 경향이 뚜렷하다.[126][127]
6. 4. 지위 (Status)
개인의 직장 내 지위는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데,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와 관련된 직업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사회 경제적 지위의 직업보다 근로자에게 통제력이 적고 불안정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1] 낮은 수준의 직무 통제력과 더 큰 직무 불안정성은 정신적, 육체적 건강 저하와 관련이 있다.6. 5. 급여 (Salary)
낮은 급여는 직무 관련 자율성 부족과 관련되어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64] 높은 소득 수준은 더 나은 보험, 더 높은 품질의 음식과 같이 건강을 개선하거나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을 구매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6. 6. 직장 내 괴롭힘 (Workplace Bullying)
직장 괴롭힘은 한 명 이상의 다른 직원이나 관리자에 의한 노동자에 대한 만성적인 부당 대우를 포함한다. 괴롭힘은 피해자가 괴롭힘 가해자보다 부서나 조직 내에서 더 적은 권력을 갖는 권력 불균형을 수반한다.[65] 괴롭힘은 일회성 사건도 아니고 권력 측면에서 동등한 두 직원 간의 갈등도 아니다. 괴롭힘이 발생하려면 권력 불균형이 있어야 한다. 괴롭힘 전술에는 언어 폭력, 심리적 학대, 심지어 신체적 학대도 포함된다. 직장 괴롭힘의 부정적인 영향에는 직원의 우울증과 조직의 생산성 손실이 있다.[66]6. 7. 자기애 및 정신병질 (Narcissism and Psychopathy)
토마스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가 있는 사람과 함께 일하거나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차례로 결근과 고용 회전율을 증가시킨다고 제안한다.[67] 보디는 조직 내에 기업 사이코패스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밝혔다.[68]6. 8. 직장 내 갈등 (Workplace Conflict)
직장에서 사람들 간의 대인 갈등은 직원들이 가장 자주 언급하는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69][70] 갈등은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촉발될 수 있다.[71] 직장 갈등은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과도한 업무량과 같은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갈등은 불안, 우울증, 신체 증상, 낮은 수준의 직무 만족도와 같은 스트레스와도 연관되어 있다.[71]6. 9. 성희롱 (Sexual Harassment)
성희롱은 주로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며,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2] 성희롱을 경험하는 여성은 직장 성과가 저조할 가능성이 더 높다.[72]성희롱은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며, 가해자 또한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든 될 수 있다. 가해자는 이성이 아니어도 되며, 동료, 다른 부서의 사람, 심지어 직원이 아닌 사람에게도 성희롱을 당할 수 있다.[73]
성희롱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 성폭력
- 비동의 신체 접촉
- 강간
- 강간 미수
- 피해자에게 가해자에게 성행위를 강요
- 다른 사람에게 성적으로 노골적인 사진이나 메시지 보내기
-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노출하기
- 자위 행위
- 언어적 희롱
- 성행위를 언급하는 농담 포함
- 성관계, 성적인 이야기 또는 성적 환상에 대한 논의[74]
여성은 남성보다 성희롱을 겪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전통적으로 남성적인 직업으로 여겨지는 분야에서 많다. 한 연구에 따르면 성희롱은 노동자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23][128] 또 다른 연구에서는 직장 내 성희롱이 업무 성과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심각한 성희롱 환경에서는 최저의 성과를 보였지만, 성희롱이 없는 환경에서는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었다. 다시 말해, 심각한 성희롱을 경험한 여성은 직장에서 성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128]
6. 10. 일과 삶의 균형 (Work-Life Balance)
은 업무 요구와 업무 외 개인 생활 간의 균형 정도를 의미한다. 근로자는 직장 요구를 충족하고 가족 역할을 다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장 외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점점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75]6. 11. 직업군 (Occupational Group)
직업 계층이 낮은 집단은 직업 계층이 높은 집단보다 업무 관련 건강 문제의 위험이 더 크다. 이는 부분적으로 불리한 작업 및 고용 조건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조건은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에게 건강 문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76]7. 직업성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
조직 변화와 스트레스 관리를 결합하는 것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예방하는 데 유용한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16][37]
한 보험 회사의 연구에 따르면, 병원 환경에서 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투약 오류는 50%, 의료 과실 청구는 70% 감소했다. 반면, 스트레스 예방 활동을 시행하지 않은 병원에서는 청구 감소가 없었다.[85] 프로그램에는 직원 및 관리자 대상 직무 스트레스 교육, 병원 정책 및 절차 변경, 직원 지원 프로그램 설립 등이 포함되었다.
원격 근무는 직원에게 업무 완료 방법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제공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86] 원격 근무자들은 직무 만족도가 높고, 이직 의향이 낮으며, 스트레스 감소, 일과 삶의 균형 개선, 관리자로부터의 높은 업무 평가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시뮬레이션된 경험을 제공하는 시나리오 기반 훈련 또한 직업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수단으로 제시되었다.[87]
일본에서는 2015년 12월부터 노동 안전 보건법에 따라 50명 이상 사업장에서 스트레스 체크 실시가 의무화되었다.
7. 1. 조직 차원의 전략
조직 차원의 전략에는 직무 절차 수정 및 직원 지원 프로그램(EAP)이 포함된다.[37] 실험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인지 행동적 중재가 이완 및 조직적 중재에 비해 근로자의 심리적 고통 증상 개선과 관련하여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77] 의료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감소 기술에 대한 체계적 검토 결과, 인지 행동 훈련이 정서적 소진과 개인적 성취감 부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78]해결해야 할 직업적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는 직장 밖의 삶과 직장 간의 불균형 문제이다. 직장, 가족, 건강 연구는[79]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어느 정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중재 연구이다. 중재 전략에는 감독자가 가족을 더 지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포함되었다. 또 다른 연구 구성 요소는 직원들에게 언제 어디서 일할지에 대한 더 많은 통제력을 제공했다. 이러한 중재는 주로 저임금 근로자에게 더 나은 가정 생활, 더 나은 수면의 질, 더 나은 안전 준수로 이어졌다.
많은 조직에서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직업적 스트레스 요인을 단편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한 부서에서는 직원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다른 부서에서는 유해 화학 물질 노출을 관리할 수 있다.[80] 전체 근로자 건강(Total Worker Health, TWH)이라는 개념은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수준의 근로자 건강 증진 활동을 프로그램적으로 통합하는 전략을 제공한다.[81] TWH 유형의 중재는 건강 보호 및 건강 증진 구성 요소를 통합한다. 건강 보호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부서 또는 조직 전체에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 노출을 줄이는 것이다. 건강 증진 구성 요소는 개인에게 더 집중하며, 다시 말해 개별 근로자의 웰빙에 초점을 맞추어 흡연 중단 프로그램 등이 있다. 조직 차원의 직업 안전/건강 구성 요소와 개별 직원 건강 증진 구성 요소를 통합하는 중재인 17개의 TWH 유형 중재에 대한 검토 결과, 통합된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NIOSH의 전문가들은 직업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권장했다.[82]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작업 부하가 근로자의 능력과 자원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 근로자가 자신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자극 및 기회를 제공하도록 직무를 설계한다.
- 근로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한다.
- 직장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는 직원이 받은 작업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훈련을 받는 동안 직원들이 스트레스 인식에 대해 이해하고 통지받도록 해야 한다.[83]
- 근로자에게 자신의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과 행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 의사 소통을 개선하여 경력 개발 및 향후 고용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인다.
- 근로자 간의 사회적 상호 작용 기회를 제공한다.
- 직장 밖의 요구와 책임을 고려하여 호환 가능한 작업 일정을 설정한다.
- 직장 차별(인종, 성별, 출신 국가, 종교 또는 언어에 기반)에 맞서 싸운다.
- 컨설턴트와 같은 객관적인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지속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84]
-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적 리더십 스타일을 도입한다.[84]
- 가족 친화적인 혜택과 정책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을 장려한다.
한 보험 회사는 병원 환경에서 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여러 연구를 수행했다. 프로그램 활동에는 (1)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직원 및 관리자 교육, (2) 조직적 스트레스 원인을 줄이기 위한 병원 정책 및 절차 변경, (3) 직원 지원 프로그램의 설립이 포함되었다. 한 연구에서, 700 병상 병원에서 예방 활동을 시행한 후 투약 오류 발생 빈도가 50% 감소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예방 활동을 시행한 22개 병원에서 의료 과실 청구가 70% 감소했다. 반면, 스트레스 예방 활동을 시행하지 않은 22개 병원 대조군에서는 청구 감소가 없었다.[85]
원격 근무가 직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86] 한 가지 이유는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를 완료하는 방법에 대한 더 많은 통제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원격 근무자들은 직무 만족도가 높고 새로운 직업을 찾고 싶은 욕구가 적었으며, 스트레스가 감소했고, 일과 삶의 균형이 개선되었으며, 관리자로부터 더 높은 업무 평가를 받았다.
한 연구는 작업 수행 전에 시뮬레이션된 경험을 제공하여 시나리오 기반 훈련을 직업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수단으로 모델링했다.[87]
7. 2. 개인 차원의 전략
실험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인지 행동적 중재가 이완 및 조직적 중재에 비해 근로자의 심리적 고통 증상 개선에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77] 의료 종사자 대상의 스트레스 감소 기술에 대한 체계적 검토 결과에서도 인지 행동 훈련이 정서적 소진과 개인적 성취감 부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78]직장, 가족, 건강 연구(Work, Family, and Health Study)[79]는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대규모 중재 연구였다. 이 연구에서는 관리자가 가족을 더 지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훈련시키고, 직원들에게 언제 어디서 일할지에 대한 더 많은 통제력을 제공했다. 이러한 중재는 주로 저임금 근로자에게 더 나은 가정 생활, 더 나은 수면의 질, 더 나은 안전 준수로 이어졌다.
한 연구에서는 작업 수행 전에 시뮬레이션된 경험을 제공하는 시나리오 기반 훈련을 직업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수단으로 제시하였다.[87]
7. 3. 전체 근로자 건강 (Total Worker Health, TWH)
전체 근로자 건강(Total Worker Health, TWH)은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이 제안한 개념으로, 건강 보호와 건강 증진을 통합하는 전략이다.[81] 건강 보호 구성 요소는 부서나 조직 전체에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 노출을 줄이는 것이다. 건강 증진 구성 요소는 개별 근로자의 웰빙에 초점을 맞추어 흡연 중단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조직 차원의 직업 안전 및 건강 구성 요소와 개별 직원 건강 증진 구성 요소를 통합하는 17개의 TWH 유형 중재에 대한 검토 결과, 통합된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1]7. 4. NIOSH의 권장 사항
- 작업 부하가 근로자의 능력과 자원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82]
- 근로자가 자신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자극 및 기회를 제공하도록 직무를 설계한다.[82]
- 근로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한다.[82]
- 직장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는 직원이 받은 작업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훈련을 받는 동안 직원들이 스트레스 인식에 대해 이해하고 통지받도록 해야 한다.[83]
- 근로자에게 자신의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과 행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 의사소통을 개선하여 경력 개발 및 향후 고용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인다.
- 근로자 간의 사회적 상호 작용 기회를 제공한다.
- 직장 밖의 요구와 책임을 고려하여 호환 가능한 작업 일정을 설정한다.
- 직장 차별(인종, 성별, 출신 국가, 종교 또는 언어에 기반)에 맞서 싸운다.[82]
- 컨설턴트와 같은 객관적인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지속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84]
-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참여시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적 리더십 스타일을 도입한다.[84]
- 가족 친화적인 혜택과 정책을 통해 일과 삶의 균형을 장려한다.
7. 5. 원격 근무 (Telecommuting)
원격 근무는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86] 원격 근무는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를 완료하는 방법에 대해 더 많은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원격 근무자들은 직무 만족도가 높고, 새로운 직업을 찾고 싶은 욕구가 적으며,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일과 삶의 균형이 개선되며, 관리자로부터 더 높은 업무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7. 6. 과도한 직무 스트레스의 징후 및 증상
과도한 직무 및 직장 스트레스의 징후와 증상에는 다음이 포함된다:[88]
8. 직업성 스트레스 관련 직업
CDC에 따르면, 직업 건강 심리학은 직무 스트레스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1] 직업 건강 심리학자들은 개인과 협력하여 직장을 스트레스가 덜한 환경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려 노력한다.[89] 산업 및 조직 심리학자들 역시 직무 설계와 같이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어 직무 스트레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90][91]
9. 국가별 직업성 스트레스 현황
각 국가별 직업성 스트레스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영국: 보건안전청(HSE)은 관리 기준 발표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98] 영국에서는 많은 사람이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는 업무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과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은 직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연구 및 프로그램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02] 대다수의 미국 노동자가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다.[100][101]
- 일본: 일본 정부는 스트레스 체크 프로그램 의무화 등 여러 국가 프로그램을 통해 가로시(과로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06] 후생노동성은 "직업성 스트레스 간이 조사표"를 개발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많은 일본 직장인이 심각한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103]
-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3년 직업 보건 및 안전법이 제정되었지만, 근로자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조치는 부족한 상황이다.[109]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직무 관련 질병의 상당 부분이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며, 매년 큰 생산 손실을 초래한다.[107]
9. 1. 영국
영국에서 약 44만 명이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답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약 990만 일의 업무 손실을 초래했다.[95] 이는 영국에서 업무 손실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96][97] 직무 스트레스 유병률을 줄이기 위해 보건안전청(HSE)은 직무 관련 스트레스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관리 기준을 발표했다.[98] 보건안전청이 영국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실패의 결과를 강조하고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직무 관련 질병에 대한 집행 프로필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 있다.[99]9. 2.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은 미국 노동자의 83%가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미국 노동자의 65%가 직장이 "매우 심각하거나 다소 심각한 스트레스의 원인"이라고 보고한다고 추정한다.[100] 미국에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연간 약 12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다.[101]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과 OSHA 같은 미국 정부 기관은 건강한 작업 설계 및 웰빙 교차 부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중재를 연구하고 구현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설립했다.[102]9. 3. 일본
일본에서는 가로시(과로사) 문제가 심각하며, 이는 직무 스트레스와 같은 직업 관련 요인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를 말한다.[105] 12개 산업에서 일본 직장인의 10.2%에서 27.6%가 심각한 수준의 직무 스트레스를 보였으며,[103] 이는 근로자 한 명당 평생 수백만 명의 인적 자본 손실을 초래한다.[104] 장시간 근로와 같은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일본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우려가 수년간 증가해 왔다.[105]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스트레스 체크 프로그램 등 여러 국가 프로그램을 의무화했다. 50명 이상의 직원을 둔 모든 기업은 연 1회 이상 직원의 스트레스를 평가해야 한다.[106]
일본 후생노동성은 1995년부터 "노동 현장에서의 스트레스 및 그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를 실시했으며, 1997년에는 "직업성 스트레스 간이 조사표"를 개발했다. 이 조사표는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직업성 스트레스 간이 조사표"의 질문 항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매우 많은 일을 해야 한다.
- 자신의 페이스로 일할 수 있다.
- 스스로 일의 순서·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직장의 일 방침에 자신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 나의 직장 분위기는 우호적이다.
이 조사표에는 약 2만 5천 명분의 조사 데이터에 의한 "속성별 전국 표준값"이 있으며,[118] "업무 스트레스 판정 그림"과 연동되어[119] "업무의 양적 부담", "업무의 통제(재량권 또는 자유도)",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의 4가지 업무상 스트레스 요인을 평가한다.
2012년 4월에는 "신 직업성 스트레스 간이 조사표"가 공표되었으며,[120] 여기에는 "노력 - 보상 불균형(ERI) 모델"의 관점도 포함되어 있다.
9. 4.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모든 직무 관련 질병의 40% 이상이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며, 매년 수십억 랜드의 생산 손실을 초래한다.[107] 직무 스트레스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지역 중 하나이다.[108] 1993년 직업 보건 및 안전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근로자 건강을 장려하기 위한 법적 정책을 수립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근로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조치는 거의 포함하지 않았다.[109] 장시간 노동과 업무 상황에 대한 통제력 부족은 건설 및 노동 직종에서 일하는 많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근로자들 사이에서 높은 직무 스트레스 발생률의 원인이 된다.[110]10. 관련 질환
직업성 스트레스는 주요 우울 장애, 불안, PSTD 등 여러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121].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122], 극단적인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직무의 높은 압박감과 요구는 심장 발작, 고혈압 및 기타 질환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 로스앤젤레스 등 여러 자치단체에서 직업성 스트레스와 심장 발작 간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123].
참조
[1]
논문
Occupational Stress: Preventing Suffering, Enhancing Wellbeing †
2016-05
[2]
웹사이트
Stress at the workplace
https://www.who.int/[...]
WHO
[3]
서적
Work Stress
Thomson Wadsworth
2005
[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ttributable to exposure to long working hours for 194 countries, 2000–2016: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WHO/ILO Joint Estimates of the Work-related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2021
[5]
서적
Stress and well-being at w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
[6]
서적
Occupational stress: Toward a more integrated framework
Sage
2002
[7]
서적
Theories of organizational str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서적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Nottingham University Press
[9]
논문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1979-06
[10]
논문
Job decision latitude, job deman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prospective study of Swedish men.
1981-07
[11]
논문
Combined effects of job strain and social isol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morbidity and mortality in a random sample of the Swedish male working population.
1989-08
[12]
논문
The measurement of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European comparisons
https://dipot.ulb.ac[...]
2004-04
[13]
논문
Work Stress and Employee Health
1991-06
[14]
논문
A Diathesis-Stress Model of Chronic Pain and Disability following Traumatic Injury
2002
[15]
간행물
Occupational Stress: Toward a More Integrated Framework
http://www.insightsr[...]
Sage
2001
[16]
간행물
Stress at Work.
https://www.cdc.gov/[...]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HHS (NIOSH) Publication Number 99-101
1999
[17]
논문
Occupational Stress in Organizations
http://www.indianjou[...]
[18]
논문
Workplace Stress: Etiology and Consequences
2006-07-25
[19]
논문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2001
[20]
서적
Psychological stress in the workplace
Routledge
1995
[21]
서적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2ed.
Wiley
1978
[22]
서적
Sociology
Pearson Canada
2010
[23]
논문
Personality and Coping
[24]
논문
Coping with Occupational Problems: The Limits of Individual Efforts
[25]
논문
The Structure of Coping
[26]
논문
Organizational climat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27]
논문
What workplace stress research is telling technical communicators
http://openurl.ingen[...]
[28]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stress response: Chronic activation of this survival mechanism impairs health
https://www.health.h[...]
Harvard Medical School
2020-07-06
[29]
논문
Work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
2006-12
[30]
논문
Preventing occupational stress in healthcare workers
2015-04-07
[31]
문서
Job strain a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2012
[32]
서적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3]
웹사이트
Alleviating Job Stress in Nurses
https://www.medscape[...]
2012-06-25
[3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ttributable to exposure to long working hours for 194 countries, 2000–2016: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WHO/ILO Joint Estimates of the Work-related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2021-09-01
[35]
서적
Stress and job performance: Theory,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managerial practice
Sage
1998
[36]
논문
An examination of the long-term impact of job strain o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ver a 12-year period
2016-05
[37]
논문
Organisation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wellbeing and reducing work-related stress in teachers
https://repository.u[...]
2015-04-08
[38]
웹사이트
NIOSH Work Organization and Stress Related Disorders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7-12-01
[39]
서적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ork, stress, and health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7
[40]
논문
Reciprocal effects of work stressors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 five-wave longitudinal study.
2013
[41]
간행물
Stress in the Workplace: A Policy Synthesis on Its Dimensions and Prevalenc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14-03
[42]
논문
Prospective Study on Occupational Stress and Risk of Stroke
[43]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able Health Risks and Health Care Expenditures: An Analysis of the Multi-Employer HERO Health Risk and Cost Database
1998-10
[44]
문서
NIOSH Worker Health Chartbook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1
[45]
논문
Burnout and career (un)sustainability: Looking into the Blackbox of burnout triggered career turnover intentions
2020-03
[46]
논문
Predicting absenteeism: screening for work ability or burnout
2017-01
[47]
뉴스
Why Women Feel More Stress at Work
https://hbr.org/2016[...]
2020-12-13
[48]
서적
Handbook of work stress
Sage
[49]
웹사이트
Stereotype Threat: An Overview
https://femmes-et-ma[...]
2024-04-24
[50]
간행물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 at Work: Understanding the Costs
https://iwpr.org/pub[...]
2018
[51]
논문
Examination of the double burden hypothesis—a systema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sickness absence
2017-06
[52]
웹사이트
"Women's median earnings as a percent of men's, 1985-2018 (full-time, year-round workers) with projections for pay equity, by race/ethnicity"
https://iwpr.org/pub[...]
Institute for Women's Policy Research
2019-11
[53]
문서
Six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Overview report (2017 updat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Eurofund
2017
[54]
웹사이트
The gender pay gap situation in the EU
https://ec.europa.eu[...]
2020-10-08
[55]
웹사이트
Work-related stress
https://www.betterhe[...]
2020-12-13
[56]
논문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among Office Workers—A Focus Group Study
2022-01
[57]
서적
Stress Management for Primary Health Care Professionals
Springer
2002
[58]
문서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2ed
John Wiley
1978
[59]
논문
Job strain, work place social support,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of a random sample of the Swedish working population.
1988-10
[60]
논문
Mental health in high-tech system
2005
[61]
논문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digital economy: Challenges for government regulation
2020
[62]
웹사이트
Persons at work in agriculture and nonagricultural industries by hours of work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www.bls.gov/[...]
2023-03-24
[63]
논문
Long working hour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ublished and unpublished data for 603 838 individuals
2015-10
[64]
논문
Money Matters: Recommendations for Financial Stress Research i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Money matters
2016-08
[65]
서적
Handbook of Workplace Violence
Sage
[66]
논문
Depression in the workplace: An economic cost analysis of depression-related productivity loss attributable to job strain and bullying
2013-10
[67]
서적
Narcissism: Behind the Mask
Book Guild
[68]
서적
Corporate Psychopaths: Organizational Destroyers
Palgrave Macmillan
[69]
논문
Stressful events, stressors and psychological strains in young professional engineers
1985-04
[70]
논문
Cross-national job stres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2007-02
[71]
논문
Workplace harassment from the victim's perspective: A theoretical model and meta-analysis.
2006-09
[72]
논문
The role of gender in workplace stres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2005-09
[73]
웹사이트
Facts About Sexual Harassment
https://www.eeoc.gov[...]
2020-12-13
[74]
웹사이트
Sexual Harassment
https://www.rainn.or[...]
2020-12-13
[75]
논문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sis Clarifying the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Family-Specific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2011-06
[76]
웹사이트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inequalities, evidence and policy implications
https://eurohealthne[...]
2014-09
[77]
논문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A meta-analysis.
2008
[78]
논문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reducing occupational stress in health care workers
2008-06
[79]
논문
Intervention Effects on Safety Compliance and Citizenship Behaviors: Evidence from the Work, Family, and Health Study
2016
[80]
논문
The NIOSH Total Worker Health™ Program: An Overview
2013-12
[81]
논문
Effectiveness of Total Worker Health interventions.
2015-04
[82]
간행물
Stress...At Work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10-17
[83]
뉴스
Workplace Stress: Show your commitment
2008-06
[84]
서적
Management Skills for Success
Alexander Hamilton Institute
1984
[85]
논문
A model of projects as a source of stress at work: A case for scenario-based education and training
2020
[86]
논문
Telecommuting Win-Win For Employees And Employers
[87]
논문
A model of projects as a source of stress at work
https://doi.org/10.1[...]
2019
[88]
웹사이트
Stress at Work: Tips to Reduce and Manage Job and Workplace Stress
http://www.helpguide[...]
2015-10-29
[89]
논문
Interventions in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19-02
[90]
논문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I-O Psychologists Meet with Interdisciplinary Colleagues to Discuss This Emerging Field
2002-04
[91]
서적
Understand Applied Psychology: Teach Yourself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Press
[92]
간행물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OHP)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12
[93]
논문
Occupational Stress: Preventing Suffering, Enhancing Wellbeing
2016-04-29
[94]
웹사이트
What Is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http://paulspector.c[...]
2019-12-30
[95]
논문
Perceptions of work stress cause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in employees working in public, private and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a qualitative study
2016-12
[96]
웹사이트
Work-related stress, anxiety or depression statistics in Great Britain, 2020
https://www.hse.gov.[...]
2020-11-04
[97]
웹사이트
Working days lost in Great Britain
https://www.hse.gov.[...]
[98]
웹사이트
What are the Management Standards? - Stress - HSE
https://www.hse.gov.[...]
2023-03-31
[99]
웹사이트
What HSE will do
https://www.hse.gov.[...]
[100]
웹사이트
Workplace Stress - Overview
https://www.osha.gov[...]
2023-03-31
[101]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tressors and Mortality and Health Costs in the United States
http://pubsonline.in[...]
2016-02
[102]
웹사이트
Stress at Work
https://www.cdc.gov/[...]
2023-03-31
[103]
논문
Occupational stress: evidence from industries affected by COVID-19 in Japan
2022-05-18
[104]
논문
Evaluation of employee occupational stress by estimating the loss of human capital in Japan
2022-03-01
[105]
논문
Long Working Hours and Occupational Stress-Related Cardiovascular Attacks Among Middle-Aged Workers in Japan
https://www.jstage.j[...]
1991
[106]
논문
The Stress Check Program: a new national policy for monitoring and screening psychosocial stress in the workplace in Japan
2016-01
[107]
서적
Occupational Stress in South African Work Culture
https://link.springe[...]
2020
[108]
논문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 among healthcare workers compounded by the COVID-19 pandemic in Africa: a scoping review protocol
2023-03-08
[109]
웹사이트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85 of 1993 {{!}} South African Government
https://www.gov.za/d[...]
2023-03-31
[110]
논문
Workplace Stress Experienced by Construction Professionals in South Africa
https://ascelibrary.[...]
2013-04
[111]
웹사이트
Stress at the workplace
http://www.who.int/o[...]
世界保健機関
2014-07-01
[112]
간행물
Society at a Glance 2009
OECD
2009-05
[113]
보고서
労働者のメンタルヘルス不調の第一次予防の浸透手法に関する調査研究 : 平成22年度総括・分担研究報告書 : 厚生労働省厚生労働科学研究費補助金労働安全衛生総合研究事業
https://id.ndl.go.jp[...]
2011
[114]
웹사이트
NIOSHの職業性ストレスモデル
http://www.kenkou-ha[...]
東京都労働相談センター
[115]
문서
事例に学ぶ職場のストレス対処法
[116]
문서
質問紙の調査項目は「努力」が6項目、「報酬」は経済的な報酬4項目、心理的報酬(尊重)5項目、キャリア(仕事の安定性や昇進)2項目からなる11項目である。努力/報酬比は項目数の補正のため、得点に比較対象の項目数を乗じた値を用いて算出する。例えば総努力(調査票6項目)/報酬比(調査票11項目)であれば、努力得点x11÷報酬総得点x6である。求められた値をモノグラフに当てはめ、健康リスクを算出する。例えば心理的報酬(尊重)5項目で求めた職場の平均得点が0.85であれば、その職場の健康リスク(ストレスリスク)は標準の50%増し(悪い)となる。問題ははたして実態と一致するのかであるが、身体的・精神的自覚症状や心血管疾患に関して複数の横断研究やコホート研究があり、種々の健康問題に対する高い予測妥当性が認められている。
[117]
웹사이트
日本語版努力-報酬不均衡モデル調査票のページ
http://mental.m.u-to[...]
東京大学大学院医学系研究科・精神保健学
[118]
웹사이트
職業性ストレス簡易調査票属性別全国標準値
http://mental.m.u-to[...]
[119]
웹사이트
「仕事のストレス判定図(最新版)」
http://mental.m.u-to[...]
東京医科大学 衛生学公衆衛生学
[120]
보고서
労働者のメンタルヘルス不調の第一次予防の浸透手法に関する調査研究 : 平成22年度総括・分担研究報告書 : 厚生労働省厚生労働科学研究費補助金労働安全衛生総合研究事業
https://id.ndl.go.jp[...]
2011
[121]
논문
Workplace Stress - Etiology and Consequences
http://www.choixdeca[...]
[122]
웹사이트
NIOSH Work Organization and Stress Related Disorders
http://www.cdc.gov/n[...]
米国国立労働安全機構
2007-12-01
[123]
웹사이트
Workplace Stress
http://www.stress.or[...]
American Institute of Stress
2014-08-01
[124]
문서
Gender issues
[125]
서적
Psychology and work today
Prentice Hall
[126]
웹사이트
Report on the American Workforce
http://www.bls.gov/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7-12-01
[127]
문서
The time divide: Work, family, and gender inequality
[128]
논문
The role of gender in workplace stres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http://resolver.scho[...]
[129]
논문
ホスピタリティ性を求められる対人サービス従事者の「感情労働」における組織的支援モデル
西武文理大学
2019-05-22
[130]
서적
老年心理学:高齢化社会をどう生きるか
[131]
문서
卯津羅祥子ー職場、および家庭におけるストレスー
[132]
논문
Why screening f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is impractical
http://www.cmaj.c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