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위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위 이씨는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진위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의 인물 이방, 이인서 등을 비롯하여 조선 시대의 이지, 이형기, 이지서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조선 시대에 숙의 기씨, 정현왕후, 경빈 박씨, 의인왕후, 인헌왕후 등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총 19명의 과거 급제자를 냈다. 1411년에 발급된 이형의 공신녹권은 보물 제1657호로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 옥천군, 황해도 장단군, 경기도 평택시 등에 집성촌이 있다. 덕은 이씨는 진위 이씨에서 분파되었고, 달성 서씨는 진위 이씨의 후손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위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조
집성촌
주요 인물
통계
년도2015년
인구4,900명

2. 본관 연혁

진위(振威)는 평택시에 위치한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는 부산현(釜山縣)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진위현으로 개칭하였고, 수성군(水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수주(水州)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후에 현령(縣令)을 파견함으로써 독립하였다.

1398년(태조 7) 수도를 한양으로 옮김에 따라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위군이 되어 공주부에 소속되었다가, 1896년에 경기도에 소속되었다. 1938년에 진위군을 평택군으로 개칭하면서 진위군이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현재는 평택시 진위면으로 남아있다.

2. 1. 명칭 변천

평택시에 위치한 진위(振威)는 고구려 때 부산현(釜山縣: 古淵達部曲·金山·松村活達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진위현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수성군(水城郡: 水原)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수주(水州: 水原)의 속현으로 합쳐졌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후에 현령(縣令)을 파견하여 독립하였다. 1398년(태조 7) 수도를 한양으로 옮기면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옮겨졌다. 1433년(세종 15)에는 수원의 속현이었던 영신현(永新縣)이 속현으로 합쳐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위군이 되어 공주부에 속했다가, 1896년에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수원군의 15개 면과 충청남도 평택군 일부로 합쳐졌다. 1938년에 진위군을 평택군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진위군이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현재는 평택시 진위면으로 남아있다.

3. 역대 주요 인물

진위 이씨의 역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시대이름관직품계비고
고려 시대 | 이방(李方)태자태보(太子太保)정1품호(號)는 성재(誠齋) 또는 송재(松齋).
이인서(李仁瑞)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정2품자(字)는 춘원(春元), 호(號)는 송촌(松村), 호천용(好川翁).
이양수(李良遂)삼사부사(三司副使)정3품
이임(李林)공조전서(工曹典書)정2품
이식(李植)판도판서(版圖判書)정2품
이수(李樹)전법총랑, 예빈시승, 동정종2품
이자영(李自英)예의판서(禮儀判書), 검교장군(檢校將軍)정2품, 종2품고종 때, 진위군(振威君)에 봉해짐.
이중육(李仲育)태자태사(太子太師)정1품원종 때.
이신육(李信育)태사(太師)정1품
이옹(李邕)밀직사(密直司),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정2품자(字)는 화경(和卿), 호(號)는 송은(松隱).
이계(李啓)이부상서(吏部尙書)정2품
이지(李至)정성군(定城君) 왕석(王奭)의 태사(太師)정1품공양왕 때. 자(字)는 지격(至格), 호(號)는 퇴암(退菴).
이름관직품계기타
조선 시대 | colspan="2" | 이지사헌부대사헌, 판한성부사, 예문관대제학, 호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섭태부정2품 ~ 정1품자(字)는 지격(至格), 호(號)는 퇴암(退菴), 시호는 문간(文簡)
이형기직제학정3품
이전한성부우윤종2품덕은군(德恩君), 덕은이씨(德恩李氏) 시조(始祖)
이형사재감정정3품
이지서직제학, 호조판서정3품 ~ 종1품청성군(靑城君), 자(字)는 청지(淸之), 호(號)는 오재(梧齋)
이지공공조판서정2품
이위예의판서정2품
이추선교랑정6품
이호생통덕랑부사직종5품
이양근홍문관교리종5품
이한일이조참판종2품
이만혁공조참판종2품
이윤제공조참판종2품
이흥병조판서정2품
이건원우부승지정3품
이승행공조좌랑정6품
이문향어모장군정3품
이덕립승의랑정6품
이극혼군수종4품
이종참군정7품
이휴진사자(字)는 덕수(德秀)
이욱교수자(字)는 자문(子文)
이즙좌랑
이경화의원자(字)는 여하(汝夏) 호(號)는 풍계(楓溪),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 1660년(현종 1년) 생원, 1682년(숙종 8년) 김장생, 송준길 문묘종사 소청. 침구와 경사백가에 정통, 의학서 광제비급 저술.



태종 14년(1414년) 12월 9일, 판한성부사 이지가 사망하자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문간(文簡)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3. 1. 고려 시대

이름관직품계비고
이방(李方)태자태보(太子太保)정1품호(號)는 성재(誠齋) 또는 송재(松齋). 동궁삼사에 속한 태자삼공의 3관직 중 하나로 왕자(王子), 부마(駙馬), 비부(妃父) 등의 종실과 공신에게 내렸던 벼슬. 정원은 1인이었으며, 최고 품계의 관직이었던 만큼 마땅한 사람이 없으면 공석으로 남겨두었다.
이인서(李仁瑞)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정2품자(字)는 춘원(春元), 호(號)는 송촌(松村), 호천용(好川翁).
이양수(李良遂)삼사부사(三司副使)정3품
이임(李林)공조전서(工曹典書)정2품
이식(李植)판도판서(版圖判書)정2품
이수(李樹)전법총랑, 예빈시승, 동정종2품
이자영(李自英)예의판서(禮儀判書), 검교장군(檢校將軍)정2품, 종2품고종 때, 진위군(振威君)에 봉해짐.
이중육(李仲育)태자태사(太子太師)정1품원종 때.
이신육(李信育)태사(太師)정1품
이옹(李邕)밀직사(密直司),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정2품자(字)는 화경(和卿), 호(號)는 송은(松隱).
이계(李啓)이부상서(吏部尙書)정2품
이지(李至)정성군(定城君) 왕석(王奭)의 태사(太師)정1품공양왕 때. 자(字)는 지격(至格), 호(號)는 퇴암(退菴).


3. 2. 조선 시대

이름관직품계기타
이지사헌부대사헌, 판한성부사, 예문관대제학, 호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섭태부정2품 ~ 정1품자(字)는 지격(至格), 호(號)는 퇴암(退菴), 시호는 문간(文簡)
이형기직제학정3품
이전한성부우윤종2품덕은군(德恩君), 덕은이씨(德恩李氏) 시조(始祖)
이형사재감정정3품
이지서직제학, 호조판서정3품 ~ 종1품청성군(靑城君), 자(字)는 청지(淸之), 호(號)는 오재(梧齋)
이지공공조판서정2품
이위예의판서정2품
이추선교랑정6품
이호생통덕랑부사직종5품
이양근홍문관교리종5품
이한일이조참판종2품
이만혁공조참판종2품
이윤제공조참판종2품
이흥병조판서정2품
이건원우부승지정3품
이승행공조좌랑정6품
이문향어모장군정3품
이덕립승의랑정6품
이극혼군수종4품
이종참군정7품
이휴진사자(字)는 덕수(德秀)
이욱교수자(字)는 자문(子文)
이즙좌랑
이경화의원자(字)는 여하(汝夏) 호(號)는 풍계(楓溪),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 1660년(현종 1년) 생원, 1682년(숙종 8년) 김장생, 송준길 문묘종사 소청. 침구와 경사백가에 정통, 의학서 광제비급 저술.






태종 14년(1414년) 12월 9일, 판한성부사 이지가 사망하자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문간(文簡)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4.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진위 이씨는 조선 왕조와 다양한 인척 관계를 맺었다. 정종숙의 기씨중종숙의 나씨는 6세손 태자태사 이중육의 외손계였다. 성종의 왕비 정현왕후, 중종경빈 박씨, 선조의 왕비 의인왕후는 5세손 예의판서 이자영의 외손계였다. 원종인헌왕후는 9세손 공조판서 이지공의 외손계였다.

4. 1. 조선

5. 과거 급제자

진위 이씨 과거 급제자
이름생년급제 구분급제 시기 (년도)비고
이성묵1844년문과1882년 (고종 19년)증광시 병과
이태온1699년문과1738년 (영조 14년)식년시 병과
이지립1699년무과1651년 (효종 2년)별시 병과
이석조1626년무과1651년 (효종 2년)별시 병과
이엄1608년무과1637년 (인조 15년)별시 병과
이정발1602년무과1633년 (인조 11년)증광시 병과
이의일1614년무과1637년 (인조 15년)별시 병과
이정생1617년무과1637년 (인조 15년)별시 병과
이흥남1598년무과1637년 (인조 15년)별시 병과
이문리1608년무과1637년 (인조 15년)별시 병과
진위 이씨는 문과 2명, 무과 10명, 사마시 6명, 율과 1명 등 모두 19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6. 항렬표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
O수(洙)병(秉O)O섭(燮)기(基)OO현(鉉)구(求)OO모(模)문(炆)OO배(培)진(鎭)OO준(浚)


7. 문화재

李衡중국어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은 조선 초기인 1411년(태종 11년)에 발급된 녹권으로, 공신으로 임명하는 증서이다. 이 녹권은 태종이 동궁에 있을 때 보좌한 신하들의 공로를 가상히 여겨 포상하고 수여한 원종공신록권으로, 1411년 (태종 11년) 11월 당시 통훈대부판사재감사였던 李衡중국어에게 발급한 3등 공신록권이다.

1등 공신에게는 전지 30결과 노비 3구, 2등 공신에게는 전지 25결과 노비 2구, 3등 공신에게는 전지 15결을 각각 지급하고 그 후손들에게는 음직을 수여하도록 하였다. 李衡중국어은 3등 공신에 책록되어 전지 15결을 하사받았다.

크기는 가로 243cm, 세로 34.7cm이며, 종이질은 닥나무 종이이다. 이성계가 봉한 원종공신 이후 두 번째로 발급된 녹권으로, 조선 전기의 공신에 대한 대우와 공신록 양식을 연구하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는 조선국왕문서로 분류되어 있으며 2010년 8월 25일 국가보물 제165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8. 집성촌

진위 이씨의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과거엔 평택시와 별개로 진위군이었으나 통폐합으로 현재는 평택시진위면이 되었다. 충청북도옥천군동이면 조령리, 충청북도옥천군동이면 금암리,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도덕리는 진위 이씨의 집성촌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집성촌보다 이거하여 거주하고 있는 인원이 많다.

이자영(李自英)의 현손인 이형(李衡)은 조선 1411년(태종 11년) 좌명원종공신(佐命原從功臣)에 오르고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를 지내다가 1433년(세종 15년)에 사망하였는데(향년 50세), 그의 부인 옥천 육씨(沃川陸氏)가 3남 2녀를 데리고 옥천의 기사천, 두릉촌으로 내려와 살았기 때문에 오늘날 옥천군(沃川郡) 일대에 후손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9. 분파

덕은 이씨(德恩 李氏)와 진위 이씨(振威 李氏)는 같은 선조에서 나왔다. 덕은 이씨의 시조인 이전(李荃)은 진위 이씨 이자영(李自英)의 5세손이다. 이전은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거쳐 덕은군(德恩君)에 봉해졌고, 후손들이 진위 이씨에서 분관하여 덕은을 본관으로 삼았다. 덕은은 은진의 옛 이름이다. 은진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덕은(德恩) 시진(市津) 두 현을 합한 지명이다. 덕은현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을 757년에 덕은(德殷)으로 고치고, 고려 초에 덕은(德恩)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년) 공주부 은진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 은진군이 되었다. 1941년 군면 폐합으로 논산군에 병합하여 은진면으로 남아 있다. 집성촌은 충남 논산시 은진면이다.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0년에는 총 652가구 2,033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0. 관련 성씨

덕은 이씨의 시조 이전(李荃)은 진위 이씨 이자영(李自英)의 5세손이다. 이전은 한성부 우윤을 거쳐 덕은군에 봉해졌고, 후손들이 진위 이씨에서 분관하여 덕은을 본관으로 삼았다. 달성 서씨의 시조 서진(徐晉)은 진위 이씨 이자영(李自英)의 외손자이다. 진위 이씨 족보에는 서진의 부친 서무질(徐無疾)이 이자영의 사위로 기록되어 있다. 경주 이씨에서 분적된 성씨 중 하나로 추정된다. 진위 이씨, 재령 이씨, 덕은 이씨 족보를 대조하면 진위 이씨의 선조는 경주 이씨에서 갈라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