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선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채선당은 2003년 런칭된 대한민국의 샤브샤브 프랜차이즈 브랜드이다. 2005년 50호점을 돌파하고 R&D 센터를 설립했으며, 2010년 Kotra 해외진출 브랜드로 선정되었다. 2012년 물류센터를 기공하고, 2013년에는 한국 프랜차이즈대상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채선당은 여러 차례 프랜차이즈 관련 상을 받았으며, '채선당 PLUS', '자연한그릇', '샤브보트', '채선당 행복 가마솥밥' 등 다양한 브랜드를 런칭했다. 2012년 천안 임산부 폭행 주장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채선당의 매장 현황은 2024년 기준 다음과 같다.
2. 연혁
연도 내용 2003년 채선당 브랜드 런칭 2005년 50호점 돌파, R&D 센터 설립 2007년 한국프랜차이즈대상 수상, 경영혁신 BSC 시스템 구축 2008년 100호점 돌파, ISO 9001 / ISO 14001 획득 2010년 Kotra 해외진출 브랜드 선정, 산업 최초 국무총리 표창 수상[1] 2011년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최고 I등급 인증, 영남지사 개소 2012년 남양주시 진건읍에 물류센터 기공[2], 호남지사 개소 2013년 한국 프랜차이즈대상 대통령 표창 수상[3], 채선당 PLUS 런칭 2014년 친환경 한식뷔페 브랜드 자연한그릇 런칭 2015년 매경 100대 프랜차이즈 선정,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5년 연속 최고 I등급 인증 2016년 1인 샤브샤브 전문점 샤브보트 런칭, 한국 프랜차이즈대상 10년 연속 수상 2017년 1인 가마솥밥 전문점 채선당 행복 가마솥밥 런칭, 퍼스트브랜드대상 10년 연속 수상
2. 1. 2000년대
CHAESUNDANG영어은 2003년에 브랜드를 런칭하여 샤브샤브 전문점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5년에는 50호점을 돌파하고, R&D 센터를 설립하여 연구 개발 역량을 강화했다. 2007년에는 한국프랜차이즈대상을 수상하고, 경영 혁신을 위해 BSC (Balanced Scorecard) 시스템을 구축했다.
2008년에는 100호점을 돌파하였으며,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및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역량을 인정받았다.
2. 2. 2010년대
2010년 Kotra 해외진출 브랜드로 선정되었고, 산업 최초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다.[1] 2011년에는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최고 I등급 인증을 받았고, 영남지사를 개소하였다. 2012년에는 남양주시 진건읍에 물류센터를 기공하였고,[2] 호남지사를 개소하였다.
2013년에는 한국 프랜차이즈대상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고,[3] 채선당 PLUS를 런칭하였다. 2014년에는 친환경 한식뷔페 브랜드 '자연한그릇'을 런칭하였다. 2015년에는 매경 100대 프랜차이즈에 선정되었고,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5년 연속 최고 I등급 인증을 받았다.
2016년에는 1인 샤브샤브 전문점 '샤브보트'를 런칭하였고, 한국 프랜차이즈대상을 10년 연속 수상하였다. 2017년에는 1인 가마솥밥 전문점 '채선당 행복 가마솥밥'을 런칭하였고, 퍼스트브랜드대상을 10년 연속 수상하였다.
3. 매장 현황
광역 자치 총계 서울특별시 83개점 부산광역시 31개점 대구광역시 8개점 인천광역시 18개점 광주광역시 19개점 대전광역시 5개점 울산광역시 7개점 세종특별자치시 2개점 경기도 96개점 강원특별자치도 14개점 충청북도 7개점 충청남도 10개점 전북특별자치도 19개점 전라남도 13개점 경상북도 10개점 경상남도 19개점 제주특별자치도 3개점
3. 1. 지역별 점포 수
2024년 현재 기준이다.
광역 자치 | 총계 |
---|---|
서울특별시 | 83개점 |
부산광역시 | 31개점 |
대구광역시 | 8개점 |
인천광역시 | 18개점 |
광주광역시 | 19개점 |
대전광역시 | 5개점 |
울산광역시 | 7개점 |
세종특별자치시 | 2개점 |
경기도 | 96개점 |
강원특별자치도 | 14개점 |
충청북도 | 7개점 |
충청남도 | 10개점 |
전북특별자치도 | 19개점 |
전라남도 | 13개점 |
경상북도 | 10개점 |
경상남도 | 19개점 |
제주특별자치도 | 3개점 |
4. 논란
2012년 '채선당 임산부 폭행 주장 사건'은 온라인 마녀사냥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7] 이 사건은 임산부의 거짓 주장으로 시작되었으나, 채선당 가맹점들은 이미지 손상과 매출 급감의 피해를 입었다. 이후 240번 버스 사건, 태권도학원 차량 난폭운전 등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에서 익명게시판을 통한 근거 없는 폭로의 주요 사례로 '채선당 임산부 사건'이 함께 언급되고 있다.
4. 1. 천안 임산부 폭행 주장 사건
2012년 2월, 충청남도 천안시 불당동 소재의 채선당 가맹점에서 임산부인 손님이 종업원과 말다툼을 벌이다 종업원으로부터 배를 수 차례 걷어차이는 등 일방적 폭행을 당하였다고 주장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임산부는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네이트판에 올렸고 이는 이 사건이 전국적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 호소문에 분노한 일부 네티즌은 채선당 본사에 항의전화를 걸어 해당 가맹점의 폐점을 요구하였으며 채선당 본사는 해당 가맹점을 폐업 조치할 예정이라며 공식 홈페이지에 대고객 사과문을 올리기에 이르렀다.[4]그러나 임산부의 주장과 달리 경찰은 중간 수사 결과 발표에서 현장 CCTV 화면과 주변인 조사, 사건 당사자들의 대질심문 등을 종합한 결과 "서로 다툼이 있었지만 종업원이 임신부의 배를 발로 차지 않은 사실이 인정됐다"고 결론을 내렸다.[5] 그 후 채선당은 “오히려 손님(임산부)이 종업원의 머리채를 먼저 잡고 발로 종업원의 배를 찼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 담긴 글을 공개하였다.[6]
결과적으로 경찰 수사에서 종업원이 임신부의 배를 찼다거나, 먼저 욕설을 퍼부었다는 주장은 거짓으로 드러났다. 이미 해당 기업의 가맹점들은 막대한 이미지 손상을 입어 매출이 급감한 뒤였다.
본 사건은 확인되지 않은 일방의 거짓 주장이 언론을 통해 확대되며 '온라인 마녀사냥'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7]
이후 240번 버스 사건, 태권도학원 차량 난폭운전 등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채선당 임산부 사건'은 언론에서 익명게시판을 통한 근거 없는 폭로의 주요 사례로 다루어지며 함께 언급되고 있다.
참조
[1]
뉴스
채선당, 통합물류센터 완공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쿠키뉴스
2012-02-22
[2]
뉴스
채선당, 통합물류센터 완공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쿠키뉴스
2012-02-22
[3]
뉴스
채선당, 프랜차이즈대상 대통령표창 영예
http://www.edaily.co[...]
2013-11-15
[4]
뉴스
채선당 불당점 임산부 폭행 파문…“폐업”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2012-02-22
[5]
뉴스
경찰 "채선당 종업원, 임신부 배 차지 않았다"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2-03-01
[6]
뉴스
채선당 “임산부 폭행? 오히려 종업원이 맞았다”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2-02-22
[7]
뉴스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2018-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