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계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계령은 1661년 청나라가 반청 세력인 정성공을 고립시키기 위해 시행한 정책이다. 광둥성에서 산둥성에 이르는 해안선에서 30리 이내의 지역 주민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켰으며, 연안 지역을 무인화했다. 이 정책은 정성공 세력의 세력 약화를 목표로 하였으나, 해상 무역 위축, 사회 구조 변화, 문화 단절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이후 청나라는 해금 정책을 완화하고 주민들의 복귀를 허용하는 전계 정책을 시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역사 - 만주원류고
    만주원류고는 청나라 건륭제의 칙명으로 1778년에 편찬된 역사책으로, 만주족의 기원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청나라 통치의 정통성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부족, 강역, 산천, 국속의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청나라의 역사 - 경사대학당
    경사대학당은 1898년 광서제에 의해 베이징에 설립된 중국 최초의 신식 현대 대학으로, 북경대학교의 전신이며 중국 태학의 정통 계승자로 여겨진다.
  • 강제 이주 - 대서양 노예 무역
  • 강제 이주 - 크로스로드 작전
    크로스로드 작전은 미국이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영향을 평가하고 군사적 활용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으로, 핵무기 경쟁 심화와 냉전 시대 긴장 고조,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 야기, 핵무기 사용 윤리 논쟁을 초래했다.
  • 홍콩의 역사 - 영국령 홍콩
    영국령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홍콩으로, 아편 전쟁을 거치며 홍콩섬과 주룽반도가 할양되고 신제 지역이 조차되어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일본 점령기를 제외하고 무역항이자 금융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 홍콩의 역사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톈진 조약 비준 강요,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을 통해 청나라 주권을 훼손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천계령
사건 개요
명칭천계령 (遷界令), 천해령 (遷海令)
영어 명칭Coastal Evacuation Order (해안 대피 명령)
설명17세기 중국 해안 지역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킨 사건
배경
원인청나라 초기에 정성공 세력과의 교류를 차단하기 위함
목표해안 지역 주민과 정성공 세력 간의 연결 고리 제거
시행
시기순치 18년 (1661년), 강희 3년 (1664년), 강희 18년 (1679년)
대상 지역푸젠 성, 광둥 성, 장쑤 성, 저장 성 등 중국 동남 해안 지역
내용해안에서 일정 거리 (수십 리) 내의 주민들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키고, 해당 지역을 비움
결과해안 지역의 경제적 황폐화, 사회적 혼란 초래
영향
긍정적 영향정성공 세력 약화에 기여
부정적 영향해안 지역 경제 붕괴
주민들의 삶의 터전 상실
사회 질서 혼란
향촌 사회의 붕괴
가족 관계 해체
문화 유산 소실
복구
시기강희 22년 (1683년) 이후
내용해안 지역 재건 및 이주민 귀환 허용
담당 관리두진 (杜臻) 등
황제의 지시백성들을 옮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니, 원래의 땅을 조사하여 주인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총독, 순무와 함께 군인과 백성들이 제자리를 찾도록 해야 한다. 이전 관리들처럼 거칠고 무례하게 행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추가 정보
강희제의 해상 정책 변화강희제는 해상 정책을 반복적으로 변경했다.

2. 천계령의 배경

1644년 북경을 점령한 청나라는 1659년 운남 지방을 제압하여 중국 거의 전역을 통치하고 있었다.[3] 그러나 푸젠성 연안 지역에서는 명나라 부흥을 외치는 정성공일본과의 해상 무역으로 얻은 이익을 바탕으로 군비를 정비하여 청나라를 괴롭히고 있었다.

청나라는 반청 운동을 막기 위해 정성공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정성공은 해안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반청 운동을 지원했다. 청나라로 전향한 정성공의 옛 부관 중 한 명은 정성공이 지원과 물품을 받지 못하면 저항을 계속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제안했다.[3]

이에 따라 청나라는 1661년에 천계령을 발동하여 현대의 광둥성에서 산둥성까지의 해안선으로부터 30리(약 15km) 이내의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켰고, 연안부를 무인화했다. 이 정책의 목적은 정성공이 연안부 주민으로부터 식량 등의 물자를 보급받는 것을 막아 해상에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2. 1. 명·청 교체와 반청 세력의 저항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이 명나라의 수도 북경을 함락시켰다. 오삼계가 거느리고 있던 산해관 주둔 명군은 청나라와 이자성의 농민 반란군을 모두 막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오삼계는 이자성을 친다는 명분으로 청나라를 끌어들였고, 청나라는 이를 계기로 산해관을 넘어 북경에 입성했다. 이후 청나라는 빠르게 중국 북부 지역을 점령했다.[16][17] 1659년에는 중국 남서쪽 끝의 운남을 점령하여 중국 대륙 전체를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청나라의 군사 활동으로도 만주 지배에 적대적인 한족 무장 세력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었다. 정성공을 비롯한 한족 무장 세력은 남명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동남 연해에서 반청복명 활동을 계속했다.[20] 청나라가 산해관을 차지하고 중원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실시한 변발령 강요와 양주, 가정 등지에서의 학살은 한족들의 반청 감정을 더욱 키웠다.[18]

1659년 정성공은 17만 대군을 이끌고 물길을 따라 대륙으로 왔다. 절동(浙東) 일대에서 반청 활동을 벌이던 장황언과 합세해 강남으로 진군하였을 때 현지 수비 군사들은 대부분 도망쳤다. 장강을 따라 경구(京口)와 과주(瓜洲)를 점령하고 한때 명나라의 도읍지였던 강녕(江寧, 지금의 중국 남경)을 포위하기도 하였으나, 청나라의 반격으로 하문으로 물러났다.[18][19] 정성공은 한족 민중들의 지지를 받으며 금문(金門), 하문, 동산(銅山), 남오(南澳) 등 연해 지역을 근거지로 삼고 청나라의 통치를 교란하였다.[20]

정성공의 세력 범위


청나라는 반청 운동을 막기 위해 정성공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정성공은 해안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반청 운동을 지원했다. 청나라는 정성공의 옛 부관 중 한 명이 전향하여 제안한 다섯 가지 계획에 따라, 정성공이 지원과 물품을 받지 못하면 새로운 왕조에 대한 저항을 계속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다.[3]

1644년에 북경을 점령한 청나라는 1659년운남 지방을 제압하여 중국의 거의 전역을 통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푸젠성 연안 지역에서는 청나라에 의해 멸망한 명나라의 부흥을 외치는 정성공이 세력을 떨치고 있었고, 일본과의 해상 무역으로 얻은 이익을 바탕으로 군비를 정비하여 청나라를 괴롭히고 있었다.

청나라는 이러한 정성공의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1661년에 천계령을 발동하여 현대의 광둥성에서 산둥성까지의 해안선으로부터 30리(약 15km) 이내의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켰고, 연안부를 무인화했다.

이 정책의 목적은 정성공이 연안부 주민으로부터 식량 등의 물자를 보급받는 것을 막아 해상에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무모하게 보일 수 있는 정책이지만, 전문가가 실시한 푸젠성 연안 지역의 촌락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된 것은 거의 확실하다.

이 정책의 결과, 청나라 측의 의도대로 정성공은 해상에 고립되었고, 타이완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게 되었다.

중국 본토에서 일본으로의 중국인 도항은 정씨 정권이 1683년에 멸망한 후, 다음 해인 1684년에 허가되었다.

2. 2. 정성공의 활동과 해금령(海禁令)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이 명의 수도 북경을 함락시키고, 1659년 청나라는 운남을 제압하여 중국 대륙 전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명정성공을 비롯한 한족 무장 세력은 중국 동남 연해에서 반청복명 활동을 계속하고 있었다.[20] 청조가 산해관을 차지하고 중원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실시한 변발령 강행이나 양주, 가정 등지에서의 무자비한 학살은 한족들의 반청 감정을 부추겼다.[18]

1659년 정성공은 17만 대군을 거느리고 장황언과 합세해 장강을 따라 남경을 포위하기도 하였으나, 청의 반격으로 하문으로 물러났다.[18][19] 정성공은 한족 민중들의 지지를 받으며 금문(金門), 하문, 동산(銅山), 남오(南澳) 등 연해 지역들을 근거지로 삼고 청나라의 통치를 교란하였다.[20]

1656년 청 조정은 현지 민중의 정성공 세력에 대한 지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해금령(海禁令)을 반포하였다.[20] 연해 주민들이 바다로 나가는 것을 금지시키고, 해안에 방위 시설을 세워 정성공 등 청나라에 적대적인 해상 세력의 상륙을 막고자 하였다.[21] 1660년 청 조정은 복건총독 이솔태(李率泰)의 건의로 하문의 동안(同安), 배두(排頭), 해징(海澄)에 인접한 연해 지역 백성들을 내륙으로 옮겼다.[19]

이러한 천계령은 반청 운동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정성공은 해안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이 운동을 지원했는데, 청나라로 전향한 정성공의 옛 부관 중 한 명이 제안한 다섯 가지 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이 조치를 채택한 이유는 정성공이 이런 방식으로 지원과 물품을 받지 못하면 청나라에 대한 저항을 지속할 수 없을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었다.[3]

청나라는 정성공의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1661년에 천계령을 발동하여 현대의 광둥성에서 산둥성까지의 해안선으로부터 30리(약 15km) 이내의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켰고, 연안부를 무인화했다. 이 정책의 목적은 정성공이 연안부 주민으로부터 식량 등의 물자를 보급받는 것을 막아 해상에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이 정책의 결과, 청나라 측의 의도대로 정성공은 해상에 고립되었고, 타이완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게 되었다.

2. 3. 천계령의 발단

1660년, 청나라는 복건총독(福建總督) 이솔태(李率泰)의 건의에 따라 복건성 해징(海澄) 등 연해 지역 백성들을 내륙으로 이주시켰다.[19] 이는 천계령의 초기 실험적 성격을 띤 조치였다.[18]

이후 청나라에 투항한 정성공의 부하 황오(黃梧)의 건의에 따라 1661년 본격적인 천계령이 발동되었다.[24] 황오는 산둥성에서 광둥성에 이르는 연해 주민들을 내륙으로 30리(약 15km) 이동시키고, 가옥을 불태워 백성들이 다시 돌아가는 것을 불허하며, '바다로 나가서는 안 된다'고 건의하였다.[24][25] 당시 병부상서 수나하이(蘇納海, Sunahai)와 병부시랑 일리부(宜理布)는 청나라 조정의 명으로 강남(江南), 절강(浙江), 복건(福建), 광동 4개 성의 연해 이전 범위를 구획하였다.[25]

이러한 조치는 반청 운동을 벌이던 정성공 세력에게서 지원과 물품을 받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였다.[3]

3. 천계령의 시행과 범위

천계령은 1661년(순치 18년), 1664년(강희 3년), 1679년(강희 18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시행되었다.[23] 청나라는 정성공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해안 지역 주민들을 강제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청대 천계령의 범위


청나라의 규정에 따르면 연안의 성은 모두 금지 대상에 포함되었고, 돛을 단 배가 바다로 나가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천계령은 바닷가와 가까운 7개 성[30] 가운데서도 산둥성에서 광둥성 지역 연해 30~50리 이내에서만 시행되었고, 요동 지역은 제외되었다.[22]

천계령의 영향은 정성공 세력의 거점이었던 타이완과 가장 가까운 복건성에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다.[19][21] 광둥성, 절강성 등지도 큰 영향을 받았지만, 산둥성 지역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다.[19]

절강성 내에서는 영파(寧波), 온주(溫州), 태주(臺州)가 크게 영향을 받았고, 특히 주산(舟山)에 대한 영향이 매우 컸다. 광동성 내에서는 정성공 세력과 가장 가까운 혜주(惠州), 조주(潮州)가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광주(廣州)는 이후에도 천계령의 범위 내로 편입되었다. 정성공 세력과 가장 먼 뇌주(雷州), 흠주(欽州), 염주(廉州), 고주(高州) 등지는 영향이 적었다.[19]

구체적인 제한 범위는 성(省)에 따라서도 일정하지 않았고, 사회, 인문, 자연 지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21] 복건이나 광동 등지에서는 현지 토호 세력과 관부(官府)와의 관계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았다.[21] 천계령을 어긴 사람들은 엄격하게 처벌받았으며, 대상 지역의 관리들은 주민들의 행동에 대해 연대 책임을 져야 했다.[25]

3. 1. 강제 이주와 초토화

청나라는 정성공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천계령을 시행했다. 순치 18년(1661년), 강희 3년(1664년), 강희 18년(1679년)에 걸쳐 시행된 천계령은[23] 강남(江南), 절강(浙江), 복건(福建), 광동 4개 성에 걸쳐 시행되었으며,[24][25] 해안에서 30리(약 15km) 이내 지역 주민들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켰다.[24]

첫 번째 천계령은 정성공의 부하였다가 청나라에 투항한 황오(黃梧)의 건의로 시행되었다.[24] 병부상서 수나하이(蘇納海, Sunahai)[26]와 병부시랑 일리부(宜理布)는 청나라의 명으로 4개 성 연해 지역의 이주 범위를 결정했다.[25] 강희제가 즉위한 후(1662년), 코르쿤(科爾坤, Korkun)[28]과 카이샨(介山)에게 "사흘 동안 그 땅을 모두 파괴시키고 그 백성들을 비워라"라는 명령과 함께 천계령이 다시 내려졌다.[20]

강희 3년(1664년)에는 "백성들이 아직 비어있지 않아 신경쓰인다"며 천계령이 다시 반포되었다.[29] 강희 18년(1679년)에는 정씨 세력이 하문 등 복건 연해 지대를 점령할 수 있었던 것은 현지 주민들의 지원 때문이라고 판단하여 다시 천계령을 내렸다.[15]

천계령이 확정되자, 주민들은 사흘 안에 내륙으로 이주해야 했고, 가옥과 논밭은 모두 파괴되었다.[18] 명령을 알지 못한 경우 기병이 들어와 이전을 독촉했고, 해안선에서 남녀노소, 빈부 구별 없이 모두 내륙으로 이주해야 했다.[25] 이주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으며,[19] 주거지가 불타 두 달 동안 불길이 그치지 않은 곳도 있었다.[19]

『광동신어(廣東新語)』와 포강촌(蒲崗村)을 개척한 임씨(林氏) 가문의 족보에는 당시 상황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광동신어(廣東新語)』

  • 임씨(林氏) 가문 족보


정성공 세력과 교역하던 사람들은 밀무역을 하다 역적과 내통한 죄로 처벌받았고, 이로 인해 체포되어 죽임을 당한 사람도 있었다.[25] 경계 밖의 바닷가 염전과 논밭은 폐기되었고, 일부 지역 군사 초소는 철거되었으며, 절강성과 복건성의 경계에는 해안경비대가 설치되었다.[25] 해상 군용 선박도 남아있지 못했다. 《장락복청복계도기》(長樂福淸復界圖記)에는 청나라 기병이 수군 전함 수천 척을 불태운 것을 '적에게 이용당하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기록했다.[18]

복건성 동산도(東山島)는 오랫동안 정성공 일가의 지배를 받았다. 천계령이 발호되던 순치 18년(1661년), 청군은 공격했고, 섬을 지키던 정성공의 장군 채록(蔡祿)과 곽의(郭義)가 반란을 일으켜 청나라에 투항했다. 이들은 섬 주민 1만여 명을 납치해 청나라에 항복했다. 강희 3년(1664년), 청군이 동산도를 점령한 뒤, 주민들을 다시 내륙으로 이주시키면서 민가를 불태우고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고, 청군 장병들이 백성들을 약탈하기도 했다.[20]

이러한 조치는 1661년 신안현(오늘날의 선전시홍콩 지역)과 광둥성 인접 현으로 확대되었다. 두 차례 조사를 통해 철거 구역이 결정되었고, 신안현은 강희 5년에 별도 행정 현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경계 밖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군대에 의해 내륙으로 강제 이주당했고, 생계를 잃은 채 정착할 곳을 찾아야 했다. 신안현에서 약 16,000명이 내륙으로 쫓겨났고,[3] 현재 홍콩 영토는 이 기간 동안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다.[6]

해안 지역 대피는 수년간의 고난을 가져왔고, 주민들의 삶과 정착 패턴에 큰 영향을 미쳤다. 1669년과 1671년에는 태풍(Pacific typhoon)으로 인해 많은 집들이 파괴되었다. 이 사건은 중국 씨족(Chinese clan)의 족보와 전통에 기록되었으며, 명령 철회에 노력한 두 관료를 기리기 위한 사찰 건설과 보수 작업으로 기념되고 있다.[3] 홍콩(Hong Kong) 금전(Kam Tin)의 수두촌(Shui Tau Tsuen)에 있는 주우왕이궁서실(Chou Wong Yi Kung Study Hall)은 1685년 탕 씨족(Tang Clan)이 주우덕과 왕래인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10]

객가인(Hakka people) 방언을 사용하는 공동체는 천계령 철회 후 홍콩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다.[11] 이들의 이주는 정부 지원을 받았다.[3] 이전에 정착했던 번체(Punti) 씨족도 돌아와 조상 묘소를 확장하고, 서실을 짓고, 원랑(Yuen Long), 대포(Tai Po), 상수이(Sheung Shui)에 시장 도시를 건설했다.[6]

홍콩의 비콘힐(Beacon Hill)은 칙령 시행을 위해 주둔군이 주둔했던 '봉화'에서 이름을 따왔다.[12]

3. 2. 지역별 차이와 예외



천계령은 바닷가와 가까운 7개 성[30] 가운데 산동에서 광동 지역 연해 30~50리 이내에서만 시행되었고, 요동은 언급되지 않았다.[22] 정성공 세력의 거점인 타이완과 가장 가까운 복건성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19][21] 광동성, 절강성 등지도 영향을 받았지만, 산동성 지역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다.[19]

절강성 내에서는 영파(寧波), 온주(溫州), 태주(臺州)가 크게 영향을 받았고, 특히 주산(舟山)에 대한 영향이 컸다. 광동성 내에서는 정성공 세력과 가장 가까운 혜주(惠州), 조주(潮州)가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광주(廣州)는 이후에도 천계령의 범위 내로 편입되었다. 정성공 세력과 가장 먼 뇌주(雷州), 흠주(欽州), 염주(廉州), 고주(高州) 등지는 영향이 적었다.[19]

구체적인 이주 범위는 성(省)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고, 사회, 인문, 자연 지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21]

천계령의 영향을 크게 받은 복건이나 광동 등지에서는 현지 토호 세력과 관부(官府)와의 관계에 따라서도 예외가 있었다. 청 조정에 협력한 일부 대족 집안은 이주를 피할 수 있었지만, 세력이 약한 집안은 내지로 이주해야 했고 결국 몰락하는 경우가 많았다.[21]

절강성에 대한 천계령은 특히 엄격하였다. 온주, 대주 등지의 경계를 따라 목책을 짓고 방병(防兵)을 두어 경비하게 했다. 태평현(太平縣)의 현지(縣志)는 현지에 남은 목성하(木城河)라는 지명이 천계령에 따라 쌓았던 목책의 이름에서 연유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25]

해안 일대는 물론, 해녕(海寧)의 허촌염장(許村鹽場) 이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일부 염전 시설도 군사들의 침탈을 겪었으며,[25] 강희 연간에 이르러서야 천계령의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도 있었다. 강희 2년에 산동총독 조택부(祖澤溥)는 영해주(寧海州)의 황도(黃島) 등 20개 섬 및 봉래현(蓬萊縣)의 해풍도(海豐島)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내지로 이주시켜줄 것을 요청하였다.[15]

1661년 신안현(오늘날의 선전시홍콩 지역)과 광둥성의 인접한 현으로 이러한 조치가 확대되었다.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철거 구역이 결정되었는데, 1차 조사 당시 해안으로부터 50 리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현 영토의 3분의 2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1년 후, 경계는 내륙으로 더 확장되었고, 신안현의 남은 지역은 인접한 동관현에 흡수되었다. 강희제 5년까지 신안현은 별도의 행정 현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새로운 경계가 정해지자, 경계 밖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내륙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군대가 이를 시행했다. 그 결과, 전체 공동체가 고향에서 쫓겨나 생계를 잃은 채 강제로 이주해야 했다. 신안현에서 약 16,000명이 내륙으로 쫓겨났다는 기록이 있다.[3] 현재 홍콩의 영토는 이 금지령 기간 동안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다.[6]

3. 3. 엄격한 감시와 연좌제

청나라는 천계령을 어긴 사람들을 엄격하게 처벌했는데, 숨어서 밀무역을 하다 발각되면 역적과 내통한 죄로 처벌받았다.[25] 천계령 대상 지역의 관리들은 주민들의 행동에 대해 연대 책임을 져야 했다. 주민이 섬으로 이주하거나 무역을 하다 적발되면 해직되었고, 이를 몰랐다면 부하 관리들이 좌천되었다. 병마를 통솔하는 경우 관리가 허술했던 책임을 물어 직위를 강등하여 유임시켰다. 천계령 위반자를 체포하면 그 수에 따라 승진할 수 있었으며, 상급 관리가 하급 관리를 잡아 처벌하고 승진하거나, 이웃 관리가 본적 외의 사람을 잡아 승진할 수도 있었다.[15]

내륙으로 이주한 주민들은 규정에 따라 마을에 편입되어 농사를 지어야 했다. 복건 연해 지역 출신 주민처럼 조세 부담과 노역을 면제받는 경우도 있었지만, 지방 관리들의 태업으로 제대로 된 혜택이나 적절한 배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25]

4. 전계(展界)와 해금(海禁)의 완화

1669년, 량광 총독 저우여우더(周有德)와 광둥 성 성지사(省知事) 왕라이런(王來任)의 요청으로 주민들의 복귀가 허용되었다.[7] 1683년 청나라가 정성공 세력을 완전히 평정하고 타이완을 점령한 후, 본격적으로 '전계'(展界) 정책을 시행하여 강제 이주되었던 주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15]

1661년 신안현(오늘날의 선전시홍콩의 대략적인 지역)과 광둥 성의 인접 현으로 확대되었던 천계령은,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철거 구역이 결정되었다. 1차 조사 당시 해안으로부터 50 리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현 영토의 3분의 2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1년 후, 경계는 내륙으로 더 확장되었고, 신안현의 남은 지역은 인접한 동관현에 흡수되었다. 강희제 5년까지 신안현은 별도의 행정 현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3]

새로운 경계가 정해지자, 경계 밖 거주 주민들에게 내륙 이동 명령이 내려졌고, 군대가 이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공동체가 고향에서 뿌리 뽑히고 생계를 잃은 채 강제 이주해야 했다. 신안현에서 약 16,000명이 내륙으로 쫓겨났으며, 현재 홍콩 영토는 이 금지령 기간 동안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다.[3][6]

강희제1683년 11월 이부시랑 두진(杜臻), 내각학사 석주차(席柱差)를 복건•광동 지역으로 보내어 연해 지역 전계 사무를 주관하게 하였다.[15] 파견에 앞서 강희제는 "백성을 옮기는 일은 긴요한 것이다. 잘 살펴서 원래의 재산을 원래의 주인에게 돌려주어라. 너희는 총독과 순무와 회동(會同)하여 함께 처리하여, 병사와 백성이 살아갈 곳을 얻도록 힘쓰라. 종전의 파견 관원들처럼 비루하게 행동하지 말라."라고 당부하였다.[32][15]

1668년 금령 해제와 함께 해안 방어가 강화되었다. 신안 현 경계선을 따라 군 부대가 배치된 21개 요새 언덕이 건설되었으며, 그 중 최소 5개는 현재의 홍콩에 위치해 있었다.[8][9]

요새 위치배치 병력비고
툰 문 언덕 (캐슬 피크 또는 가우 켁 산)50명
카우룽의 라이언 록
타이 포 올드 마켓 북서쪽 타이 포 타우 언덕30명
마 척 렝 언덕 (현재의 샤 타우 콕과 판 링 사이)50명
현재의 틴 하 산 반도 팟 퉁 문10명관측소



1682년 이 병력들은 재편성되어 녹영의 분견대에 의해 인원이 감축된 채로 운영되었다.[8][9]

5. 천계령의 영향

1661년 청나라가 시행한 천계령은 정성공 세력을 약화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다.

천계령으로 인해 신안현(오늘날의 선전시홍콩 지역)을 비롯한 광둥성 연안 지역 주민들은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해야 했다. 신안현에서는 약 16,000명이 고향을 떠나야 했으며, 현재 홍콩 지역은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다.[3][6]

해안 지역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을 뿐만 아니라, 1669년1671년에 발생한 태풍(Pacific typhoon)으로 인해 새로 지은 집들마저 파괴되는 등 큰 고통을 겪었다. 이러한 고난은 지역 주민들과 그 후손들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일부 중국 씨족(Chinese clan)의 족보와 전통에 기록되거나 천계령 철회에 노력한 관료들을 기리는 사찰 건립 등으로 기념되었다.[3] 그 예로 1685년 탕 씨족(Tang Clan)이 주우덕과 왕래인의 공을 기리기 위해 홍콩 금전(Kam Tin)의 수두촌(Shui Tau Tsuen)에 세운 주우왕이궁서실(Chou Wong Yi Kung Study Hall)이 있다.[10]

천계령이 철회된 후, 객가인(Hakka people)들이 홍콩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이전에 정착했던 번체(Punti) 씨족도 돌아와 조상 묘소를 확장하고 서실을 짓고 시장 도시를 건설했다.[6]

홍콩의 비콘힐(Beacon Hill)은 천계령 시행을 위해 주둔군이 주둔했던 '봉화'에서 이름을 따왔다.[12]

5. 1. 정성공 세력의 약화와 대만 이주

청나라1661년에 천계령을 발동하면서, 정성공은 연안부 주민으로부터 식량 등의 물자를 보급받는 것이 어려워졌다.[3] 이로 인해 정성공은 해상에 고립되었고, 결국 타이완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게 되었다.[3]

천계령 이전부터 네덜란드 식민자들의 유치, 대만의 지리적 이점 등으로 이미 많은 중국인들이 대만에 건너와서 살고 있었다. 천계령과 금해령으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많은 연해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대만으로 이주하거나 정씨 왕국에 합류했다. 심운(沈雲)이 쓴 「대만정씨시말(臺灣鄭氏始末)」에는 "(순치 18년) 황안(黃安)과 안망충(顔望忠) 등이 군사를 거느리고 잇따라 와서, 안을 우호위(右虎衛)로 삼고 연해의 백성들을 초유하되 내지로 옮겨지기를 바라지 않는 자 수십만 명이 동쪽으로 건너와서 대만 땅을 개척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33]

5. 2. 해상 무역의 위축과 경제적 타격

천계령으로 인해 해상 무역은 크게 위축되었다. 특히 홍콩 지역의 주요 산업이었던 제염업과 향료 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35] 구룡(九龍)의 관부장(官富場) 염전은 복계 이후 주민들이 제염업에 익숙하지 않아 이전 규모를 회복하지 못했고, 홍콩의 제염 산업에 의존하던 지역들은 다른 염전에서 소금을 수입해야 했다.[36] 이후 홍콩 염업은 부진을 면치 못했으며, 소금 간척지만 무성할 뿐 대규모 수출은 어려웠다.[36]

1669년 조정이 연해 주민들의 복계를 허락하고[15] 새로운 개척이 시작되었지만, 해상 무역은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5. 3. 사회 구조 변화와 문화 단절

천계령은 해안 지역 주민들을 강제로 내륙으로 이주시키고 촌락을 파괴함으로써, 기존 사회 구조와 문화를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선전시홍콩 지역에 해당하는 신안현(新安縣)에서는 약 16,000명이 내륙으로 쫓겨났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공동체가 해체되고 생계를 잃었다.[3]

강제 이주는 단순히 삶의 터전을 잃는 것을 넘어, 사회 구조와 문화적 유산의 파괴로 이어졌다. 많은 씨족들이 몰락하고 족보가 소실되었는데, 홍콩 아전위촌(衙前圍村) 오(吳)씨 일족은 천계령으로 인해 4대조 이전의 족보를 잃어버렸다.[34] 복건성 동산도에서는 설(薛), 유(俞), 예(倪), 갈(葛) 등의 대성(大姓)들이 청군 점령 이후 사라져 버렸다.[20]

이러한 사건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중국 씨족(Chinese clan)의 족보와 전통에 기록되거나, 천계령 철회에 노력한 관료들을 기리는 사찰 건립 등으로 기념되었다. 1685년 탕 씨족(Tang Clan)이 주우덕과 왕래인의 공을 기리기 위해 홍콩 금전(Kam Tin)의 수두촌(Shui Tau Tsuen)에 세운 주우왕이궁서실(Chou Wong Yi Kung Study Hall)이 그 예이다.[10]

주우왕이궁서실(Chou Wong Yi Kung Study Hall)

6. 일화

천계령을 제의했던 황오는 청나라에 투항한 뒤, 청나라에 정성공의 역대 조상 무덤을 파헤쳐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후 삼번의 난에 호응해 중국 대륙을 공격한 정경은 1675년 10월 장주(漳州)가 항복하자 사람을 보내 황오의 무덤을 파헤쳐서 그 시체를 거열형에 처하고 목을 베었다.[39]

참조

[1] 논문 元明清政府海洋政策与东南沿海港市的兴衰嬗变片论 https://core.ac.uk/d[...] 2000
[2] 서적 制度与人口:以中国历史和现实为基础的分析 下卷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5-09-01
[3] 논문 The Hong Kong Region: its place in Traditional Chinese Historiography and Principal Even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Hsin-an County in 1573 http://hkjo.lib.hku.[...] 1974
[4] 웹사이트 康熙朝實錄·卷之一百十三 https://zh.wikisourc[...] 2019-04-14
[5] 논문 康熙帝海疆政策反复变易析论 http://www.wanfangda[...] 2010
[6] 웹사이트 Hong Kong Museum of History: "The Hong Kong Story" Exhibition Materials http://www.lcsd.gov.[...]
[7] 웹사이트 Towards Urbanisation: Shuen Wan and Plover Cove Reservoir http://www.districtc[...]
[8]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Hong Kong Foreign Languages Press 1997
[9] 서적 From Village to City: Studies In the Traditional Roots of Hong Kong Society Centre of Asian Studies, University of Hong Kong
[10] 웹사이트 The incredible journey of Yuen Long – Chau Wong Yi Kung Study Hall http://www.go2yl.com[...] 2009-06-20
[11] 서적 Down to Earth: The Territorial Bond in South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12] 서적 Signs of a Colonial Era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9
[13] 문서 청대 광동성(廣東省)은 오늘날의 중국 [[광시 성|광서]](廣西) 연해와 [[하이난|해남]](海南)을 포함하고 있었다. 홍콩(香港)과 마카오(澳門) 역시 할양 이전에는 광동성에 속했다.
[14] 문서 청의 순치제는 순치 18년(1661년)에 붕어했고, 이후 즉위한 강희제는 이듬해 연호를 강희로 바꾸었다. 강희 원년은 서기로는 1662년에 해당한다.
[15] 저널 康熙帝海疆政策反复变易析论 http://www.wanfangda[...] 2010
[16] 웹인용 清史稿·本紀四·世祖本紀一 https://zh.wikisourc[...]
[17] 서적 明清史讲义 商务印书馆 2010
[18] 저널 清初迁海令对东南社会发展的消极影响 http://www.cnki.com.[...] 2020-11-09
[19] 서적 明清之际党社运动考 中华书局
[20] 저널 清初东山岛迁界始末 http://www.cnki.com.[...] 2020-11-09
[21] 저널 宗族势力与清初迁界线的画定——— 以福建漳泉地区为中心 http://www.cnki.com.[...] 2020-11-09
[22] 저널 论后金时期的迁海 http://qsyj.iqh.net.[...] 2020-11-09
[23] 저널 元明清政府海洋政策与东南沿海港市的兴衰嬗变片论 https://core.ac.uk/d[...]
[24] 웹인용 清史稿 卷二百二十四 列傳十一 https://zh.wikisourc[...] 维基文库 2019-04-12
[25] 저널 从迁界到展界:明清鼎革时期的温台盐政与滨海社会 http://www.wanfangda[...] 2017-01
[26] URL https://books.google[...]
[27] 저널 施琅与清初开海设关通洋 https://core.ac.uk/d[...]
[28] URL https://books.google[...]
[29] 서적 制度与人口:以中国历史和现实为基础的分析 下卷 https://books.google[...] 中国社会科学出版社
[30] 문서 곧 요동(遼東), 직예(直隸), 산동(山東), 강남(江南), 절강(浙江), 복건(福建), 광동(廣東)을 말한다.
[31] 웹인용 廣東新語·卷二 地語·遷海 https://zh.wikisourc[...] 维基文库 2019-04-12
[32] 웹인용 康熙朝實錄·卷之一百十三 https://zh.wikisourc[...] 维基文库 2019-04-12
[33] 저널 大陆移民渡台的原因与类型 https://core.ac.uk/d[...] 2004
[34] 저널 宗族的聯合與分歧:竹園蒲崗林氏編修族譜原因探微 http://nansha.schina[...]
[35] 서적 《香港歷史之謎》 明報出版社有限公司 2007-04
[36] 뉴스 【港文化港故事】鹽場盛轉衰 見證港歷史 http://paper.wenweip[...] 2018-11-25
[37] 문서 分區簡史及地方名字由來-區內地方名字的由來 http://www.districtc[...]
[38] 영상 百載鑪峰1984年第四集〈元朗新舊墟〉 http://rthk9.rthk.hk[...] 홍콩전태방송국 텔레비전 부서 2020-11-09
[39] 서적 《海上見聞錄》卷二:「剖黃梧棺,戮屍斬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