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자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자(崔滋)는 고려 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사록을 거쳐 국학학유를 지냈다. 최우의 추천으로 관직에 나아가 고종 때 정언, 안찰사 등을 역임했고, 1250년 몽골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이후 추밀부사, 중서평장사 수태사 등을 거쳐 1257년 몽골 침략 시 항복을 주장했으며, 1258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가 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 동산수(東山叟)라는 호를 사용했으며, 1260년에 73세로 사망했다. 《고려사》는 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문학적 업적과 더불어 무신정권과의 관계, 시호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88년 출생 - 블랑카 데 카스티야 왕녀
    블랑카 데 카스티야 왕녀는 카스티야 왕국의 공주로 프랑스 왕 루이 8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섭정으로서 아들 루이 9세의 치세를 돕고 잉글랜드와의 외교, 국내외 위기 극복, 예술 후원, 자녀 교육 등 프랑스 왕국의 권위 강화에 기여했다.
  • 고려의 상서우복야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 고려의 상서우복야 - 김치양
    김치양은 고려 시대 인물로, 승려를 사칭하여 헌애왕후와 사통하고 목종 즉위 후 국정을 농단하다가 강조의 정변으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권력 남용은 고려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1260년 사망 - 쿠투즈
    쿠투즈는 1260년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몽골 제국을 격퇴하여 이슬람 세계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 맘루크 왕조의 인물이다.
  • 1260년 사망 - 주잠
    주잠은 고려 시대 인물로, 증조부는 성리학자 주희이며, 조부는 안양후 주야, 부는 주거이고, 아들은 주여경, 손자는 주열이다.
최자 (고려)
기본 정보
한글최자
한자崔滋
히라가나사이 지
가타카나체・자

2. 약력

최충(崔沖)의 6대손으로, 강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규보(李奎報)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최이 정권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고종 때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1250년에는 몽골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하였다. 1256년 중서평장사 수태사가 되었고, 1258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이부사가 되었다.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기를 청하였고, 원종 원년(1260년)에 73세로 사망하였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저서로 《가집(家集)》 10권, 《속파한집(續破閑集)》 3권 등이 있다.

2. 1. 관직 생활

강종 때 문과에 급제했으며, 지방직인 상주사록(尙州司錄)을 지내면서 선정을 펼쳐 이름이 났고, 돌아온 뒤에는 국학학유(國學學諭)로 임명되었다.

당시 최충헌의 뒤를 이어 무신정권의 집정자가 된 최이(崔怡)가 자신의 집에 정방을 설치하고 문사를 맡을 필도치를 임명하는데, 10년 동안 최자는 등용되지 못했다. 일찍이 그가 지었던 우미인초가(虞美人草歌)와 수정배시(水精盃詩)를 본 이규보(李奎報)가 그의 글재주를 감탄했는데, 후에 최이가 이규보에게 “공이 이미 나이가 많은데 누가 공의 뒤를 이어 문한(文翰)을 맡을 만한가?”라고 물었을 때 이규보는 “학유(學諭)인 최안(崔安, 최자)이라는 자가 있으며, 급제(及第) 김구(金坵)는 그 다음입니다.” 라며 최자를 추천했다. 최이는 당시 문장으로 이름이 나있던 이유(李需) · 이백순(李百順) · 하천단(河千旦) · 이함(李咸) · 임경숙(任景肅) 등을 불러 최자와 함께 표문을 짓게 해서 이규보에게 그것을 심사하도록 했으며, 열 번에 걸친 심사에서 최자의 글은 다섯 번이 장원이고 다섯 번이 부장원이었다.

또한 최이가 그의 관리로서의 재능을 시험하기 위해 최자에게 급전도감녹사(給田都監錄事)를 맡겼을 때도 민첩하고 근면하게 임무를 수행했다고 한다.

고종 때에는 누차 정언(正言)이 되고, 목상주(牧尙州)로 부임하였는데 현지에서의 일처리가 신과 같았으며 관리와 백성들이 받들고 두려워하였다고 한다. 이때 안찰사(按察使)로 옮겨지지만 그의 관품이 안찰사가 되기에는 낮다 하여 다시 소환되어 전중소감(殿中少監) ·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로서 다시 충청(忠淸) · 전라(全羅)의 안찰사로 임명되었고 공적을 쌓았다.

1250년에는 몽골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관직이 국자대사성(國子大司成) ·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에 이르렀고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로 옮겼다가 추밀부사(樞密副使)로 승진하였으며, 지공거로서 과거를 주관하기도 했으며, 1256년에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 수태사(守太師)가 되었다.

몽골의 침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한 조정이 1257년 3품 이상에게 각기 항수(降守)할 계책을 바치게 했는데, 중론이 분분한 가운데 최자는 추밀사(樞密使) 김보정(金寶鼎)과 함께 “강도(江都)는 땅은 넓은데 사람이 적어서 굳게 지키기 어려우니 나아가 항복하는 것이 좋습니다.”라며 항복을 권했다고 한다. 몽골과의 강화가 이루어진 뒤인 1258년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 판이부사(判吏部事)가 되었다.

2. 2. 몽골과의 관계

1250년 (고종 37년)에 몽골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몽골의 침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한 조정이 1257년(고종 44년) 3품 이상에게 각기 항수(降守)할 계책을 바치게 했는데, 중론이 분분한 가운데 최자는 추밀사(樞密使) 김보정과 함께 “강도(江都)는 땅은 넓은데 사람이 적어서 굳게 지키기 어려우니 나아가 항복하는 것이 좋습니다.”라며 항복을 권했다고 한다. 몽골과의 강화가 이루어진 뒤인 1258년(고종 45년)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 판이부사(判吏部事)가 되었다.

2. 3. 은퇴와 죽음

관직에서 물러나기를 청한 후, 스스로 호를 동산수(東山叟)라 하였다. 원종 원년(1260년) 7월 26일(양력 9월 3일)에 73세로 사망하였다.

당대에 시문에 뛰어난 것으로 크게 이름을 떨쳤다. 저서로는 《가집(家集)》 10권, 《속파한집(續破閑集)》 3권, 《최문충공가집》, 《삼도부》 등이 있다. 《보한집》을 통해 문학의 본질, 문인들의 자질의 중요성, 창조 과정의 험난함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했다. 한편 녹상서사 대사성 겸지공거 평장사 문정공 지포에게 글을 하사받은 후 자식에게 대대손손 애지중지할 것을 명령하고 문학의 본질로 삼게 하였다고 한다.

3. 문학적 업적

최자는 시문에 뛰어나 당대에 크게 이름을 떨쳤다. 저서로 《가집(家集)》 10권, 《속파한집(續破閑集)》 3권, 《최문충공가집》, 《삼도부》 등이 있다. 《보한집》을 통해 문학의 본질, 문인들의 자질, 창조 과정의 험난함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했다. 또한 녹상서사 대사성 겸지공거 평장사 문정공 지포에게 글을 하사받은 후, 자손에게 대대손손 애지중지하며 문학의 본질로 삼게 하였다고 한다.

4. 평가

최자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고려사》에는 "천성이 순후하고 소박하며, 오만하게 능력을 내세워 남 앞에 나서는 일이 없었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있다. 그러나 이규보 등 당대 고려 문인들처럼 경학보다는 문장에 치중하여 절조와 의리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있다.

시호는 문청(文淸)인데, 최충헌의 인척이었던 탓에 후세에 '맑을 청(淸)' 자를 '흐릴 탁(濁)' 자로 바꾸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최의의 신임을 받은 최충헌의 노비 김준의 아들들을 집으로 초대해 잔치를 베푼 일로 당시 사람들의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

한편, 최자는 시문에 뛰어나 당대에 이름을 떨쳤고, 이인로의 「파한집」과 함께 그의 저서 「보한집(속파한집)」, 「가집」은 조선 시대 시학의 원점이 된 조선 최초의 시화집으로 평가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고려사》에는 그에 대해 "천성이 순후하고 소박하였으며, 오만하게 능력을 내세워 남 앞에 나서는 일이 없었다(天資淳訥, 不以表表爲能)"고 하였다. 최자는 이규보와 같은 당대 고려 문인들의 일반적인 조류에 따라 경학보다는 사장에만 힘썼기에 절조와 의리감은 적었다. 시문에 뛰어나 당대에 이름을 크게 떨쳤다. 저서로는 「가집」 10권, 「보한집(속파한집)」 3권이 있으며, 이인로의 「파한집」과 함께 시평을 겸한 조선 최초의 시화집으로, 조선 시대에 성행하는 시학의 원점이 되었다.

4. 2. 부정적 평가

《고려사》에는 그에 대해 "천성이 순후하고 소박하였으며, 오만하게 능력을 내세워 남 앞에 나서는 일이 없었다(天資淳訥, 不以表表爲能)"고 하였다. 최자는 이규보와 같은 당대 고려 문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 경학보다는 사장에만 힘썼기에 절조와 의리감은 적었다. 시호는 문청(文淸)인데, 최자 자신이 당시 무신정권의 권력자 최충헌의 인척으로 전형적인 정략 가문이라는 비난이 있어, 후세에 그의 시호의 청(淸)을 탁(濁)으로 바꾸라는 비난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최충헌의 노비였던 김준이 최이의 신임을 받자 그의 아들들을 집으로 초청해 잔치를 열기도 했는데, 당시 사람들이 이를 비웃었다고 한다.

5. 가족 관계

고려사》에는 유후(有侯), 유비(有坯), 유엄(有渰)이라는 세 아들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6. 등장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