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지사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북도지사 선거는 충청북도지사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다. 1960년 조대연이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으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민선으로 치러졌다. 역대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이원종, 이시종 등이 연임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김영환이 국민의힘 후보로 당선되었다.
2. 역대 민선 충청북도지사
선거 정당 도지사 1960년 민주당 조대연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민선 도지사 임기 종료. 이후 1995년까지 임명직 도지사. 1995년 자유민주연합 주병덕 1998년 자유민주연합 이원종 2002년 한나라당 2006년 한나라당 정우택 2010년 민주당 이시종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2018년 더불어민주당 2022년 국민의힘 김영환
2. 1. 역대 민선 도지사 목록
선거 | 정당 | 도지사 |
---|---|---|
1995년 | 자유민주연합 | 주병덕 |
1998년 | 자유민주연합 | 이원종 |
2002년 | 한나라당 | |
2006년 | 한나라당 | 정우택 |
2010년 | 민주당 | 이시종 |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 |
2018년 | 더불어민주당 | |
2022년 | 국민의힘 | 김영환 |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조대연 후보가 충청북도지사로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 이후 충청북도지사는 다시 관선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치러진 역대 충청북도지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자유민주연합 주병덕 250,105 36.4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자유민주연합 이원종 451,533 74.1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이원종 343,546 58.59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정우택 361,157 59.6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이시종 349,913 51.2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361,115 49.7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시종 468,750 61.15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의힘 김영환 395,517 58.19 3. 1.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조대연 후보가 충청북도지사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 이후 충청북도지사는 다시 관선으로 선출하도록 바뀌었다.
3.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는 자유민주연합 주병덕 후보가 민주당 이용희, 민주자유당 김덕영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당시 충청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연합의 주병덕 후보가 보수 정당 후보들의 난립 속에서 승리하였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주병덕 | 자유민주연합 | 250,105 | 36.43 |
이용희 | 민주당 | 168,209 | 24.50 |
김덕영 | 민주자유당 | 159,911 | 23.29 |
조남성 | 무소속 | 54,748 | 7.97 |
윤석조 | 무소속 | 27,880 | 4.06 |
양성연 | 무소속 | 25,603 | 3.72 |
합계 | 686,456 | 100 |
3. 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이원종 후보가 74.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주병덕 후보는 25.85%를 득표하였다.
3. 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원종 후보가 58.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민주연합 구천서 후보는 33.47%를, 무소속 장한량 후보는 7.92%를 득표하였다. 이원종 지사는 자유민주연합에서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후에도 재선에 성공하여, 충북 지역에서 보수 정당의 지지세가 굳건함을 보여주었다.
3. 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정우택 후보가 열린우리당 한범덕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로써 충북 지역에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의 강세가 이어졌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우택 | 한나라당 | 361,157 | 59.66% |
한범덕 | 열린우리당 | 185,426 | 30.63% |
배창호 | 민주노동당 | 39,095 | 6.45% |
조병세 | 국민중심당 | 19,646 | 3.24% |
합계 | 605,324 | (유권자: 1,126,282) |
3. 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시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정우택 후보는 낙선했다. 이시종 후보의 당선은 민주당계 정당이 충북 지역에서 오랜만에 승리한 사례로, 당시 전국적인 정권 심판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3. 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후보가 새누리당 윤진식 후보와 통합진보당 신장호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시종 지사의 재선은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세가 충북 지역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3. 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시종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자유한국당 박경국 후보, 바른미래당 신용한 후보 등이 출마하였으나, 이시종 후보가 61.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는 충북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확고해졌음을 의미한다.
3. 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김영환 후보가 58.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노영민 후보는 41.80%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