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천도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에 있는 섬이다.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2000년 1월 1일 칠천연륙교를 통해 거제도와 연결되었다. 옥녀봉을 최고점으로 곶과 만이 발달한 해안선을 가지며, 하천 하류의 충적지에 취락이 집중되어 있다. 농업과 수산업이 발달했으며, 맹종죽순의 주요 생산지이다. 칠천초등학교가 있으며, 시내버스 17번, 17-1번이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제시의 지리 - 백사도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백사도는 파식대와 사주가 발달하고 왜가리 집단 번식지로서 생태적 가치가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건축물 신축 등 여러 행위가 제한된다. - 거제시의 지리 - 성포리층
성포리층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에 대비되는 지층으로, 사암, 이암, 역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거제시와 창원시 진해구 일대에 분포하며, 다양한 퇴적 구조와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고생물학적 가치를 지니고, 간첩 침투 경로이기도 하다. - 남해의 섬 - 한산도
한산도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시 사이의 섬으로,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여 조선 수군의 중심지였으며, 관련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진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관광지이다. - 남해의 섬 - 거금도
거금도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속하며 과거 절이도로 불렸고, 이순신이 절이도 해전에서 승리한 곳이며, 현재는 금장교회, 거금대교 전망대, 김일 기념관 등의 관광 시설이 있는 섬이다. - 경상남도의 섬 - 한산도
한산도는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시 사이의 섬으로,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여 조선 수군의 중심지였으며, 관련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진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관광지이다. - 경상남도의 섬 - 백사도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백사도는 파식대와 사주가 발달하고 왜가리 집단 번식지로서 생태적 가치가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건축물 신축 등 여러 행위가 제한된다.
| 칠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위치 | 남해 |
![]() | |
| 면적 | 9.87 km2 |
| 최고점 | 옥녀봉 |
| 높이 | 232.2 m |
| 나라 | 대한민국 |
| 행정 구역 이름 (도/시/군) | 경상남도 거제시 |
| 행정 구역 이름 (읍/면/리) | 하청면 대곡리, 어온리, 연구리 |
| 인구 | 1,236 명 |
| 인구 기준 | 2015.12.31. |
2. 역사
칠천도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며, 6세기 경에는 신라의 영역이었다.[2] 고려 현종 3년인 1012년 하청에 부곡이 설치되면서 칠천도에 목장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2] 조선 시대에는 1592년부터 1594년까지 이순신 장군이 옥포해전을 비롯한 여러 해전에서 승리할 때 칠천도와 인근 지역이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2] 1597년에는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하였다. 대한민국 수립 후 2000년 1월 1일에는 칠천연륙교를 통해 거제도와 연결되었다.
2. 1. 고려 시대
1012년 고려 현종 3년 하청에 특수행정공동체인 부곡이 설치되면서 칠천도에 목장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2]2. 2. 조선 시대
1592년부터 1594년까지 이순신 장군이 옥포해전, 합포해전, 적진포 해전, 사천해전, 당포 해전, 당항포해전, 율포해전, 견내량 해전, 안골포 해전, 부산포 해전, 웅포 해전, 제1차 장문포 해전, 영등포해전, 제2차 장문포 해전(장목해전) 등에서 연전연승할 때 칠천도와 칠천도 인근 지역이 전초기지였다.[2]1597년에는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 해전에서 일본군에 대패하였다.
2. 3. 대한민국
2000년 1월 1일 거제도와 칠천연륙교로 연결되었다.3. 지리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거북이가 엎드린 모습을 닮았다. 남부 중앙의 옥녀봉을 최고점으로 해안에는 곶과 만이 발달하였다. 취락은 하천 하류에 형성된 충적지에 집중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물안해수욕장이 있다.
4. 행정 구역
1769년 조선 영조 45년 방리(坊里) 개편 때 칠천도방(漆川島坊)에 속하였으며, 1889년 조선 고종 26년 대곡(大谷)과 송포리(松浦里)로 분리되었는데, 1915년 6월 1일 도령 제20호 법정동리령으로 대곡리(大谷里)가 되었다. 1942년 5월 1일 부락구제(部落區制)로 대곡(大谷), 송포(松浦), 황덕(黃德)의 3구(區)가 되었고, 1961년 10월 1일 행정리(行政理)로 되었다.
| 대곡리 | 어온리 | 연구리 |
|---|---|---|
5. 산업
칠천도는 하천 하구에 소규모 해안평야가 발달하여 경지 규모에 비해 농산물 생산량이 많은 편이다.[3] 농업과 어업이 이루어지는데, 주민들은 어업보다 농업에 치중한다. 쌀, 보리, 마늘, 고구마, 참깨, 양파 등의 농작물이 생산되며, 옥녀봉 인근에서 생산되는 맹종죽순(孟宗竹筍)은 전국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3] 연안에서는 숭어, 멸치, 도다리, 장어, 굴 등이 어획 또는 양식된다.
5. 1. 농업
하천 하구에 소규모 해안평야가 발달하여 경지 규모에 비해 농산물 생산량이 많다.[3] 주민들은 어업보다 농업에 치중한다. 쌀, 보리, 마늘, 고구마, 참깨, 양파 등의 농작물이 생산된다. 옥녀봉 인근에서 생산되는 맹종죽순(孟宗竹筍)은 전국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며, 생산량의 50%는 현지에서 가공처리된다.[3]5. 2. 수산업
연안에서 숭어, 멸치, 도다리, 장어, 굴 등의 수산물이 어획 또는 양식된다.- 지방어항
:** 물안항
- 어촌정주어항
:** 금곡항
:** 대곡항
:** 어온항
:** 연구항
:** 옥계항
:** 황덕항
6. 교육
칠천초등학교가 있다.
7. 교통
시내버스 17번, 17-1번이 운행된다.
참조
[1]
통계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자치부
2016-03-06
[2]
뉴스
"[집중취재]거제시와 시의원은 역사의 죄인이 되지 말라"
http://gjn.kr/news/a[...]
거제인터넷신문
2009-04-21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imjeon.kr/xe[...]
201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