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유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유가어는 이로쿼이어족 언어 중 하나로, 온타리오와 오클라호마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온타리오의 식스 네이션스에서 두 개의 방언으로 사용된다. 카유가어는 음운, 특히 모음과 자음의 발음 방식에 특징이 있으며, 다합성어적 특성을 갖는다. 동사와 명사 모두 접두사, 어근, 접미사로 구성되며, 동사는 선택적인 전치 대명사 접두사, 대명사 접두사, 내포 명사, 동사 어근, 상 접미사를 포함한다. 명사는 일치 접두사, 명사 어근, 접미사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로쿼이어족 - 세네카어
세네카어는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며, 세네카족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현재 약 100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이로쿼이어족 - 모호크어
모호크어는 카니엔케하카어라고도 불리는 이로쿼이어족 언어로, 과거 모호크족의 언어였으나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세 가지 주요 방언과 순음이 없고 명사를 포함하는 문법 구조를 가진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카유가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카유가어 |
고유 이름 | Gayogo̱hó꞉nǫˀ |
언어 계통 | 이로쿼이어족 - 북부 이로쿼이어족 - 레이크 이로쿼이어족 - 파이브 네이션스 |
사용 지역 | 캐나다, 미국 |
캐나다 | 온타리오주: 그랜드강의 여섯 부족 보호구역 |
미국 | 뉴욕주: 캐터러거스 보호구역 |
사용자 수 | 55명 미만 (캐나다, 2016년 센서스 기준)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ISO 639-3 | cay |
글롯톨로그 | cayu1261 |
언어 상태 | |
위험도 |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 |
![]() | |
2. 방언
카유가어에는 크게 두 가지 방언이 있는데, 하나는 온타리오에서 쓰이는 온타리오 방언이고 다른 하나는 1980년대까지 오클라호마에서 쓰이던 세네카-카유가 방언이다.
2. 1. 온타리오 방언
카유가어에는 크게 두 가지 방언이 있다. 하나는 온타리오에서 쓰이는 온타리오 방언이고, 다른 하나는 1980년대까지 오클라호마에서 쓰이던 "세네카-카유가" 방언이다.온타리오 방언은 다시 어퍼 카유가 방언과 로어 카유가 방언으로 나뉜다. 두 방언의 차이는 음운 패턴에서 나타나는데, 로어 카유가어에서는 /h/ 또는 /ʔ/ 앞에 오는 홀수 모음이 뒤따르는 자음의 음질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아홉'을 뜻하는 단어는 gyoHdo̜h [kjo̤htõh]와 같이 발음된다.[1]
2. 1. 1. 어퍼 카유가 방언
카유가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뚜렷한 방언이 있다. 두 방언은 온타리오 남부 그랜드강의 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된다. "세네카-카유가"라고 불리는 또 다른 방언은 1980년대에 소멸될 때까지 오클라호마에서 사용되었다.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되는 두 카유가어 방언은 종종 두 개의 카유가 롱하우스, 즉 사우어 스프링스 또는 "어퍼 카유가"와 "로어 카유가"와 관련이 있다. 이 두 온타리오 남부 방언의 차이점은 두 가지 음운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어 카유가어(LC)에서는 기본 *tj* 시퀀스가 /ky/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LC gyę:gwa’ /kjɛ̃ːkwaʔ/ 대 (UC) ję:gwa’ /tjɛ̃ːkwaʔ/이다. 또 다른 명백한 차이점은 후두 확산의 운율 패턴과 관련이 있다. 로어 카유가어 단어에서는 /h/ 또는 /ʔ/ 앞에 오는 홀수 모음은 뒤에 오는 자음의 음질로 발음된다. 즉, 이러한 모음은 /h/ 앞에서는 속삭이는 모음으로, /ʔ/ 앞에서는 쉰 목소리로 발음된다. 이러한 예는 '아홉'을 뜻하는 단어인 gyoHdo̜h [kjo̤htõh]에서 나타난다.[1]
로어 카유가 방언은 식스 네이션스의 로어 엔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어퍼 카유가 방언은 어퍼 엔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둘의 주요 차이점은 로어 카유가 방언은 [kj]cay 소리를 사용하고, 어퍼 카유가 방언은 [tj]cay 소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카유가어 화자 개개인의 발음과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1]
2. 1. 2. 로어 카유가 방언
카유가어에는 두 가지 방언이 있다. 로어 카유가 방언은 식스 네이션스의 로어 엔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어퍼 카유가 방언은 어퍼 엔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둘의 주요 차이점은 로어 카유가 방언은 kj|/kj/영어 소리를 사용하고, 어퍼 카유가 방언은 tj|/tj/영어 소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1] 또한, 카유가어 화자 개개인의 발음과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로어 카유가어(LC)에서는 기본 *tj* 시퀀스가 /ky/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LC gyę:gwa’ /kjɛ̃ːkwaʔ/ 대 (UC) ję:gwa’ /tjɛ̃ːkwaʔ/이다. 또 다른 명백한 차이점은 후두 확산의 운율 패턴과 관련이 있다. 로어 카유가어 단어에서는 /h/ 또는 /ʔ/ 앞에 오는 홀수 모음은 뒤에 오는 자음의 음질로 발음된다. 즉, 이러한 모음은 /h/ 앞에서는 속삭이는 모음으로, /ʔ/ 앞에서는 쉰 목소리로 발음된다. 이러한 예는 '아홉'을 뜻하는 단어인 gyoHdo̜h [kjo̤htõh]에서 나타난다.
2. 2. 오클라호마 방언 (세네카-카유가 방언)
카유가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뚜렷한 방언이 있다. 두 개의 방언은 온타리오 남부의 그랜드강 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된다. "세네카-카유가"라고 불리는 또 다른 방언은 1980년대까지 오클라호마에서 사용되었다.[1]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카유가어 방언은 종종 두 개의 카유가 롱하우스, 즉 사우어 스프링스 또는 "어퍼 카유가"와 "로어 카유가"와 관련이 있다. 이 두 개의 온타리오 남부 방언의 차이점은 두 가지 음운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어 카유가어(LC)에서는 기본 *tj* 시퀀스가 /ky/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LC gyę:gwa’ /kjɛ̃ːkwaʔ/ 대 (UC) ję:gwa’ /tjɛ̃ːkwaʔ/이다. 또 다른 명백한 차이점은 후두 확산의 운율 패턴과 관련이 있다. 로어 카유가어 단어에서는 /h/ 또는 /ʔ/ 앞에 오는 홀수 모음은 뒤에 오는 자음의 음질로 발음된다. 즉, 이러한 모음은 /h/ 앞에서는 속삭이는 모음으로, /ʔ/ 앞에서는 쉰 목소리로 발음된다. 이러한 예는 '아홉'을 뜻하는 단어인 gyoHdo̜h [kjo̤htõh]에서 나타난다.[1]
3. 음운
카유가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자음, 그리고 강세로 구성된다.
카유가어의 모음은 크게 구두 모음, 장모음, 비모음으로 나뉜다.
rowspan=2| | 전설 | 후설 | ||||
---|---|---|---|---|---|---|
구두 | 장 | 비음 | ||||
고 | align="center"| | align="center"| | ||||
중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저 | colspan=3|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카유가어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모음의 무성음화, 자음의 변이음, 단어의 강세에 대한 규칙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모음
카유가어의 모음은 크게 구두 모음, 장모음, 비모음으로 나뉜다.- A a: 우리말의 '아'로 발음한다.
- A: a:: '아' 발음을 좀 더 길게 한다.
- E e: 우리말의 '에'로 발음하나 영어의 "Spanish"처럼 발음하며, 영어의 "gate"의 "a"(-에이)처럼 발음한다. (':'가 붙으면 좀 더 길게 발음한다.)
- I i: 우리말의 '이'로 발음한다. (':'가 붙으면 좀 더 길게 발음한다.)
- O o: 우리말의 '오'로 발음한다. (':'가 붙으면 좀 더 길게 발음한다.)
- U u: 우리말의 '우'처럼 발음한다. (':'가 붙으면 좀 더 길게 발음한다.)
카유가어에는 단모음, 장모음, 비모음, 무성음화 규칙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1. 단모음
카유가어에는 5개의 구두 모음과 , , , 4개의 장모음이 있다. 또한 카유가어에는 , , 3개의 비모음이 있다.[1] 와 는 카유가어에서 희귀한 소리이다. 는 음소는 아니지만 비음화의 음운 패턴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여기서 기본 /a/는 비모음을 따를 때 가 된다. 화자에 따라 와 소리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장모음 와 뒤에서는 특히 , , , , , 앞에서 소리가 들릴 수 있다.[2]모음은 변이음적으로 로 무성음화될 수 있으며, 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에서는 밑줄로 표시된다.
rowspan=2| | 전설 | 후설 | ||||
---|---|---|---|---|---|---|
구두 | 장 | 비음 | ||||
고 | align="center"| | align="center"| | ||||
중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저 | colspan=3|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ɑ̃/는 몇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ɛ̃/는 [ʌ̃]로 발음될 수 있으며, /õ/는 [ũ]로 발음될 수 있다.
3. 1. 2. 장모음
카유가어에는 , , , 그리고 의 4가지 장모음이 있다.장모음 와 뒤에서는, 특히 , , , , , 그리고 앞에서 소리가 들릴 수 있다.
길이는 두 개의 완전히 다른 의미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haʔseʔ] "너는 간다"
- [haʔseː] "너는 갔다"
3. 1. 3. 비모음
카유가어에는 3개의 비모음인 , , 그리고 가 있다.[1] 와 는 카유가어에서 희귀한 소리이다. 후자는 음소가 아니지만 비음화의 음운 패턴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여기서 기본 /a/는 비모음을 따를 때 가 된다. 화자에 따라 와 소리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비음 모음은 영어에 없다. 그러나 프랑스어와 유사하거나 영어로 말하는 사람이 프랑스 억양을 쓰는 것과 유사하다. 비음 모음은 구두 모음과 같이 발음하며, 코와 입을 이용해 발음을 한다. 영어 사용자에게는 콧소리 모음이 글자의 끝에 'n(ㄴ)'과 약간 비슷하게 발음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의 'bon'과 'Jean'처럼 발음한다.
- ę(eñ, enh)
- ę:(ę·, ęę, e:ñ, e·ñ, eenh)
- (ų, oñ, onh, un) - õ ~ ũ(IPA 표기)
- :(ų:, ·, o:ñ, o·ñ, oonh) - õ: ~ ũ:(IPA 표기)
/ɑ̃/는 몇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ɛ̃/는 [ʌ̃]로 발음될 수 있으며, /õ/는 [ũ]로 발음될 수 있다.
3. 1. 4. 무성음화
모음은 변이음적으로 로 무성음화될 수 있으며, 식스 네이션스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에서는 밑줄로 표시된다.[1]다음은 앞에 오는 일부 모음의 소리가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몇 가지 단어이다. , , , 와 같은 단어에서 와 는 무성음화되어 처럼 속삭이는 소리가 나고, 와 는 무성음화되어 처럼 속삭이는 소리가 난다.[1] 또한 와 의 는 와 때문에 비음화된다. 비음화된 모음 앞의 자음은 무성음이 된다.[1] 또한, 가 뒤따르는 홀수 모음은 무성음화되는 반면, 가 뒤따르는 짝수 모음은 무성음화되지 않는다.[1]
3. 2. 자음
- d - 우리말의 "ㄷ"처럼 발음한다.
- g - 우리말의 "g"처럼 발음한다.
- h - 우리말의 "ㅎ"처럼 발음한다.
- j - 우리말의 "ㅈ"처럼 발음하거나 "ㅊ"처럼 발음한다.
- k - 우리말의 "ㅋ"처럼 발음한다.
- n - 우리말의 "ㄴ"처럼 발음한다.
- r - 우리말의 "ㄹ"처럼 발음한다.(영어의 "red"의 'r'처럼 발음한다.)
- s - 우리말의 "ㅅ"처럼 발음하나 'y'나 'r' 앞에 있으면 영어 'show'의 'sh'와 같은 발음을 한다.
- t - 우리말의 "ㅌ"을 부드럽게 발음한다.(영어의 'star'의 't'처럼 발음한다.)
- ts - 'tsunami'의 'ts'처럼 발음한다.
- w - 영어 'way'의 'w'처럼 발음한다.
- y - 영어 'yes'의 'y'처럼 발음한다.
- ’- 끊어 줄때 내는소리(pause sound)이다. "uh-oh."의 가운데처럼 발음한다.
단, 'th'는 영어의 'think'처럼 발음하지 않으며 'sh'도 영어의 'mishap'처럼 발음하도록 한다.
다른 이로쿼이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카유가어는 매우 적은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다.
카유가어에서 나타나는 변이음:
- 는 공명음 앞에서 유성음 가 된다. [d] 소리는 단어의 마지막에 존재하지 않는다.
- 는 공명음 앞에서 유성음 가 된다.
- 는 , 또는 앞에서 가 된다.
- 는 전설 모음 와 앞에서 가 되고, 공명음 앞에서 가 된다. 또한 와 로 각각 와 앞에서 자유롭게 들릴 수 있다. 화자에 따라 와 를 바꿔 사용할 수 있다.
- 는 무성음 로 나타날 수 있다 ( 또는 와 유사한 소리).
- 또한 무성음 로 나타날 수 있다 (와 유사한 소리).
- :
- * "홀수 음절에 모음과 뒤따르는 가 있으면 모음은 무성음화된다." 예를 들어: 의
- * 모음과 뒤따르는 가 짝수 음절에 있고, "절대적인 단어 시작 위치 또는 단어 마지막 위치에 있거나 다른 앞에 있는 경우" 모음은 유성음화된다. 예를 들어: ;
3. 3. 강세
대부분의 카유가어 단어는 강세를 받는 모음을 가지며, 이는 더 높은 음조를 낸다. 강세의 위치는 "구문 내 단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명사의 강세 기본 위치는 마지막 모음이다. "구문의 끝에 있는 단어에서는 강세가 끝에서 두 번째 모음, 세 번째 모음, 또는 드물게 단어 끝에서 네 번째 모음에 떨어진다." 예를 들어:: neʔ kiʔ tsõːh '''akaːˈtʰõːteʔ'''|네ʔ 키ʔ 츠오ːㅎ 아카ːˈ토ː테ʔcay
: '나는 방금 그것을 들었다'
이 소리는 길게 발음되며, 특히 짝수 위치에서 그렇다. 명사와 동사가 구문의 끝에 있지 않으면 강세는 마지막 모음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 '''akaːtʰõːtéʔ''' tsõːh tʰeʔ niːʔ teʔtéːkẽːʔ|아카ː토ː테ʔ 츠오ːㅎ 테ʔ 니ːʔ 테ʔ테ː케ːʔcay
: '나는 그것을 들었지만, 그것을 보지 못했다'
4. 형태 통사론
카유가어는 다합성어이다. 카유가어에서 동사는 선택적인 전치 대명사 접두사, 대명사 접두사(일치 표시), 선택적인 내포 명사, 동사 어근, 상 접미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명사는 일치 접두사(일반적으로 비소유 명사의 경우 중성), 명사 어근, 접미사로 구성된다.[1]
4. 1. 동사
카유가어는 다합성어이다. 다른 이로쿼이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틀은 선택적인 전치 대명사 접두사, 대명사 접두사(일치 표시), 선택적인 내포 명사, 동사 어근, 상 접미사를 포함한다.4. 2. 명사
카유가어는 다합성어이다. 명사 틀은 일치 접두사(일반적으로 비소유 명사의 경우 중성), 명사 어근, 접미사로 구성된다.[1]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Aboriginal mother tongue, Aboriginal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and Other Aboriginal language(s) spoken regularly at home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www12.statcan[...]
Government of Canada
2017-08-02
[2]
간행물
Cayuga
https://www.thecanad[...]
2024-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