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미크 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미크 칸국은 1630년 오이라트족이 볼가 강 하류 지역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칸국이다. 러시아 차르국과의 불안정한 관계 속에서 주변 무슬림 세력에 대항하며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다. 아유카 칸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러시아의 자치권 침해와 내부 갈등으로 인해 1771년 우바시 칸의 지도 아래 칼미크족의 일부가 준가리아로 이주하면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미크 공화국의 역사 - 체왕 랍탄
    체왕 랍탄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준가르 칸국을 이끌며 청나라와 경쟁하고 티베트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준가르 칸국 쇠퇴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지도자이다.
  • 칼미크 공화국의 역사 - 칼미크인 강제이주
    칼미크인 강제이주는 1943년 소련 정부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의 협력 혐의로 칼미크인들을 시베리아 등지로 강제 이주시킨 사건으로, 칼미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해체와 수만 명의 사망을 초래했으며, 스탈린 사후 비판받고 칼미크인들의 귀환 및 자치주 재건이 이루어졌다.
  • 아시아의 옛 칸국 - 돌궐
    돌궐은 6세기 중반 몽골 초원에서 유연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한 유목 제국으로, 사산 제국과 연합하여 에프탈 제국을 멸망시키고 자체 문자를 창제하는 등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당나라와의 전쟁 후 분열되어 멸망했다.
  • 아시아의 옛 칸국 -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야율아보기가 건국하여 거란족과 한족을 이원적으로 통치하며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이 융합된 문화를 형성했고, 북송과 대립하다가 금나라에 멸망했다.
칼미크 칸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통용되는 긴 이름칼미크 칸국
일반 명칭칼미크 칸국
지위칸국
정부 형태세습 군주제
지도자 칭호
종교티베트 불교 (겔루그파, 카르마 카규)
공용어칼미크어, 러시아어
역사
시작1630년
종료1771년
시작 사건오이라트족 몽골에 의해 설립됨
종료 사건러시아에 합병됨
이전 국가러시아 차르국
노가이 호르드
아스트라한 칸국
계승 국가러시아 제국
정치
초대 지도자호 오를룩 (1633–1644)
마지막 지도자우바시 칸 (1761–1771)
수도아유카 칸의 거주지 (1697–1724)
국기 및 국장
돈독 다시 배너
엘리자베타 여제가 칼미키야의 칸 돈독 다시에게 수여한 깃발
아유카 칸의 인장
아유카 칸의 세 번째 인장
지도
칼미크 칸국 지도
칼미크 칸국 지도

2. 역사

오이라트족은 1630년 볼가강 하류 지역에 도착했다. 이곳은 아스트라한 칸국의 영토였으나, 당시 차르 정부가 소유권을 주장했다. 차르 정부는 이 지역을 식민지화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오이라트족이 이 지역에 야영하는 것을 막을 힘은 없었지만, 오이라트족이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이웃들과 동맹을 맺지 않도록 하는 데 직접적인 정치적 이해 관계가 있었다.[3]

오이라트족은 토착민인 노가이 호르드를 몰아내면서 빠르게 그들의 지위를 공고히했다. 노가이족의 대규모 집단은 남동쪽으로 북부 코카서스 평원으로, 서쪽으로 흑해 대초원으로 도망쳤는데, 그곳은 크림 칸국이 소유권을 주장하는 곳이었고, 크림 칸국은 오스만 튀르크의 봉신 또는 동맹국이었다. 소규모 노가이족은 아스트라한에 있는 러시아 주둔군의 보호를 구했다. 나머지 유목 부족들은 오이라트족의 봉신이 되었다.[3]

처음에는 러시아인과 오이라트족 사이에 불안한 관계가 존재했다. 오이라트족이 러시아 정착촌을 습격하고, 코사크와 바시키르족(러시아의 무슬림 봉신)이 오이라트 야영지를 습격하는 일이 흔했다. 오이라트족의 충성과 군사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많은 맹세와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이라트족이 차르의 신하가 되었지만, 오이라트족의 그러한 충성은 명목상으로 여겨졌다.[3]

|thumb|left|토르구트족 타이이지(공)와 그의 아내 (土爾扈特台吉). 황청직공도, 1769. 토르구트족은 칼미크족의 조상이었다.]]

오이라트족은 그들의 지위를 확보하면서 국경 지역 강국이 되었고, 종종 차르 정부와 동맹을 맺어 이웃 무슬림 인구에 대항했다. 아유카 칸 시대에 오이라트족은 차르 정부가 남쪽의 페르시아, 오스만 제국, 노가이족, 쿠반 타타르족, 크림 칸국과 같은 무슬림 세력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오이라트 기병을 활용하면서 정치적, 군사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아유카 칸은 또한 카자흐족과 전쟁을 벌였고, 망기슬라크 투르크멘족을 정복했으며, 북 코카서스 고지대에 여러 차례 원정을 보냈다. 이러한 작전은 러시아가 유럽에서 전쟁을 벌이는 동안 러시아와 무슬림 세계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한 칼미크 칸국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3]

차르 정부는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오이라트 기병 파견을 장려하고자 오이라트 칸과 오이라트 귀족에게 금전적 지불과 건조 물품을 제공했다. 그런 점에서 차르 정부는 오이라트족을 코사크족과 같은 방식으로 대했다. 그러나 금전적 지불과 건조 물품의 제공은 상호 습격을 막지 못했고, 어떤 경우에는 양측 모두 약속을 이행하지 못했다.[3]

차르 정부는 오이라트족에게 러시아 국경 도시의 시장에 관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고, 오이라트족은 그곳에서 그들의 가축과 아시아 및 무슬림 이웃으로부터 얻은 상품을 러시아 상품과 교환할 수 있었다. 러시아의 통제를 받는 타타르족과 바시키르족과 같은 인접 투르크 부족과의 교역도 이루어졌고, 이들과의 통혼이 흔해졌다. 이 무역 협정은 오이라트 타이시, 노욘, 자이상에게 상당한 금전적 및 기타 혜택을 제공했다.[3]

프레드 아델만은 이 시대를 1630년 코 오르루크가 토르구트족을 이끌고 등장한 때부터 그의 후손인 아유카 칸의 대 칸국이 1724년에 멸망할 때까지 지속된 국경 시대로 묘사했다. 이 시기는 거의 눈에 띄는 문화적 변화가 없었다.[3]

아유카 칸 시대에 칼미크 칸국은 군사적, 정치적 권력의 절정에 도달했다. 칸국은 러시아 국경 도시, 청나라, 그리고 무슬림 이웃과의 자유 무역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이 시대에 아유카 칸은 중가리아에 있는 그의 오이라트 친족뿐만 아니라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2. 1. 자치 시대 (1630-1724)

오이라트족은 1630년 볼가강 하류 지역에 도착했다. 이곳은 아스트라한 칸국의 영토였으나, 당시 차르 정부가 소유권을 주장했다. 차르 정부는 이 지역을 식민지화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오이라트족이 이 지역에 야영하는 것을 막을 힘은 없었지만, 오이라트족이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이웃들과 동맹을 맺지 않도록 하는 데 직접적인 정치적 이해 관계가 있었다.[3]

오이라트족은 토착민인 노가이 호르드를 몰아내면서 빠르게 그들의 지위를 공고히했다. 노가이족의 대규모 집단은 남동쪽으로 북부 코카서스 평원으로, 서쪽으로 흑해 대초원으로 도망쳤는데, 그곳은 크림 칸국이 소유권을 주장하는 곳이었고, 크림 칸국은 오스만 튀르크의 봉신 또는 동맹국이었다. 소규모 노가이족은 아스트라한에 있는 러시아 주둔군의 보호를 구했다. 나머지 유목 부족들은 오이라트족의 봉신이 되었다.[3]

처음에는 러시아인과 오이라트족 사이에 불안한 관계가 존재했다. 오이라트족이 러시아 정착촌을 습격하고, 코사크와 바시키르족(러시아의 무슬림 봉신)이 오이라트 야영지를 습격하는 일이 흔했다. 오이라트족의 충성과 군사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많은 맹세와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이라트족이 차르의 신하가 되었지만, 오이라트족의 그러한 충성은 명목상으로 여겨졌다.[3]

|thumb|left|토르구트족 타이이지(공)와 그의 아내 (土爾扈特台吉). 황청직공도, 1769. 토르구트족은 칼미크족의 조상이었다.]]

오이라트족은 그들의 지위를 확보하면서 국경 지역 강국이 되었고, 종종 차르 정부와 동맹을 맺어 이웃 무슬림 인구에 대항했다. 아유카 칸 시대에 오이라트족은 차르 정부가 남쪽의 페르시아, 오스만 제국, 노가이족, 쿠반 타타르족, 크림 칸국과 같은 무슬림 세력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오이라트 기병을 활용하면서 정치적, 군사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아유카 칸은 또한 카자흐족과 전쟁을 벌였고, 망기슬라크 투르크멘족을 정복했으며, 북 코카서스 고지대에 여러 차례 원정을 보냈다. 이러한 작전은 러시아가 유럽에서 전쟁을 벌이는 동안 러시아와 무슬림 세계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한 칼미크 칸국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3]

차르 정부는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오이라트 기병 파견을 장려하고자 오이라트 칸과 오이라트 귀족에게 금전적 지불과 건조 물품을 제공했다. 그런 점에서 차르 정부는 오이라트족을 코사크족과 같은 방식으로 대했다. 그러나 금전적 지불과 건조 물품의 제공은 상호 습격을 막지 못했고, 어떤 경우에는 양측 모두 약속을 이행하지 못했다.[3]

차르 정부는 오이라트족에게 러시아 국경 도시의 시장에 관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고, 오이라트족은 그곳에서 그들의 가축과 아시아 및 무슬림 이웃으로부터 얻은 상품을 러시아 상품과 교환할 수 있었다. 러시아의 통제를 받는 타타르족과 바시키르족과 같은 인접 투르크 부족과의 교역도 이루어졌고, 이들과의 통혼이 흔해졌다. 이 무역 협정은 오이라트 타이시, 노욘, 자이상에게 상당한 금전적 및 기타 혜택을 제공했다.[3]

프레드 아델만은 이 시대를 1630년 코 오르루크가 토르구트족을 이끌고 등장한 때부터 그의 후손인 아유카 칸의 대 칸국이 1724년에 멸망할 때까지 지속된 국경 시대로 묘사했다. 이 시기는 거의 눈에 띄는 문화적 변화가 없었다.[3]

아유카 칸 시대에 칼미크 칸국은 군사적, 정치적 권력의 절정에 도달했다. 칸국은 러시아 국경 도시, 청나라, 그리고 무슬림 이웃과의 자유 무역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이 시대에 아유카 칸은 중가리아에 있는 그의 오이라트 친족뿐만 아니라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2. 1. 1. 유목민 대법전

요약(summary) 내용이 없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1. 2. 칼미크 칸국의 성장

(빈칸)

2. 2. 주요 군사 활동 (17세기-18세기)


  • 1603년: 칼미크족은 히바 칸국을 공격했고, 잠시 후 파괴된 지역 중 일부는 부하라 칸국을 공격했다.
  • 1607년: 칼미크족은 카자흐 칸국과 대규모 군사 충돌을 벌였지만, 카자흐족 지도자 에심 술탄은 군대를 통합하여 칼미크족을 격퇴하고 서카자흐스탄주의 영토를 점령했다.
  • 1619년: 에심 술탄과 카자흐족에게 잃은 것을 만회하기 위해, 칼미크족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데르벤드를 점령하고 노가이족을 사로잡았다.
  • 1620년: 칼미크족은 바슈키르족을 공격했다.
  • 1635년: 칼미크족은 겨울에 아스트라한 타타르족과 전쟁을 벌였다.
  • 1645년: 칼미크족은 북 코카서스의 카바르디아를 공격했다.
  • 1650년: 칼미크족은 이란 북동부 아스타라바드 지역을 공격하고 페르시아 샤에게 사절을 보냈다.
  • 1658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족을 상대로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했다.
  • 1660년: 톰스크에서 칼미크족은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700명이 넘는 여성과 아이들을 사로잡았다.
  • 1661년: 6월 11일, 칼미크족은 크림 칸과 전쟁을 벌였다.
  • 1666년: 러시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칼미크족 부대가 타타르족, 터키인, 폴란드인에 대항하여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여했다.
  • 1668년: 칼미크족과 코사크 연합군은 크림 반도에 대한 작전에 참여했다.
  • 1676년: 칼미크족의 일부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1676–1681)에서 마잔 바티르를 이끌었다. 칼미크족은 터키-크림 군대의 키예프와 추구예프 진격을 막기 위해 카바르디아와 동맹을 맺었다.
  • 1678년: 칼미크족과 코사크족을 격퇴한 후, 크림 칸 무라드 기라이의 군대를 격파했다.
  • 1680년: 칼미크족은 펜자를 습격했다.
  • 1684년: 칼미크족의 도시가 사이람에게 점령당했다. 아유카 칸은 카자흐족, 투르크멘족, 카라칼팍족을 상대로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했다.
  • 1696년: 칼미크족은 아조프 점령에 참여했다.
  • 1698년: 칼미크족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남부에서 크림 타타르족을 습격했다.
  • 1700년: 칼미크족은 대북방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폴타바 전투에도 참여했다.
  • 1711년: 20,474명의 칼미크족과 4,100명의 러시아인이 쿠반을 공격했다. 그들은 노가이족 11,460명을 죽이고 5,060명을 익사시켰으며, 낙타 2,000마리, 말 39,200마리, 소 190,000마리, 양 220,000마리, 인간 포로 22,100명을 데리고 돌아왔으며, 그중 성인 남자는 700명에 불과했다. 귀환하는 길에 그들은 돌아오는 노가이족 부대를 만나 격파하고 러시아 포로 2,000명을 석방했다.[4]
  • 1735년: 칼미크족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여했다. 칼미크족은 쿠반과 크림 반도에서 성공적인 작전을 시작했다.
  • 1741년: 칼미크족 분견대는 러시아-스웨덴 전쟁에 참여했다.
  • 1756–1761년: 칼미크족은 7년 전쟁에 참여했다.
  • 1771년: 칼미크 칸국은 러시아에 병합되는 것을 수용했다.
  • 1812년 조국 전쟁: 칼미크족은 조국 전쟁에 참여했다.
  • 1812년부터 1814년까지: 칼미크족은 477개의 훈장을 받았고, 246명은 파리 점령 훈장 메달을 받았다.
  • 1814년: 파리 점령에 참여했다.

2. 3. 칼미크족의 기원

역사적으로 서몽골 부족들은 각 부족의 이름으로 스스로를 식별했다. 15세기에 4개의 주요 서몽골 부족이 동맹을 맺고, 집단 명칭으로 "도르베트 오이라트"를 채택했을 가능성이 크다.[5] 동맹이 해체된 후, 서몽골 부족은 단순히 "오이라트"라고 불렸다. 17세기 초, 두 번째 오이라트 대국인 준가르 칸국이 등장했다. 준가르족(초기에는 초로스, 도르베트, 호이트 부족)이 서부 내륙 아시아에 제국을 건설하는 동안, 호쇼트족은 티베트에 호쇼트 칸국을 세워 겔룩파 종파를 적으로부터 보호했고, 토르구트족은 볼가 강 하류 지역에 칼미크 칸국을 형성했다.[5]

칼미크 남자의 도자기 인형, 18세기 후반


야영을 한 후, 오이라트족은 스스로를 "칼미크"라고 식별하기 시작했다. 이 이름은 그들의 무슬림 카자흐 이웃들이 그들에게 붙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러시아인들이 그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다. 오이라트족은 외부인, 즉 러시아인 및 무슬림 이웃들과의 거래에서 이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들은 부족, 씨족 또는 기타 내부적 관계에 따라 스스로를 계속 지칭했다.[5]

그러나 칼미크라는 이름은 볼가 강 하류 지역의 모든 오이라트 부족에게 즉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었다. 1761년까지, 청 제국의 난민인 호쇼트족과 준가르족은 자신들과 토르구트족을 오이라트족이라고 불렀다. 반대로 토르구트족은 자신뿐만 아니라 호쇼트족과 준가르족에게도 칼미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5]

일반적으로, 유럽 학자들은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서몽골족을 집단적으로 칼미크족으로 식별해 왔다(람스테트, 1935: v–vi). 이러한 학자들(예: 세바스티안 뮌스터)은 전통적으로 칼미크라는 단어를 오이라트족을 비하하는 방식으로 사용한 무슬림 자료에 의존했다. 그러나 중국과 몽골의 오이라트족은 그 이름을 모욕적인 용어로 간주했다(Haslund, 1935:214–215). 대신 그들은 오이라트라는 이름을 사용하거나 호쇼트, 도르베트, 초로스, 토르구트, 호이트, 바이이드, 밍가트 등 각 부족의 이름을 사용했다(Anuchin, 1914:57).[5]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볼가 강 하류 지역의 오이라트 이주민의 후손들은 위치에 관계없이 아스트라한, 돈 코사크 지역, 오렌부르크, 스타브로폴, 테레크 및 우랄 지역 등에서 칼미크라는 이름을 받아들였다. 또 다른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름은 ''울란 잘라타'', 즉 "붉은 단추를 단 사람들"이다(Adelman, 1960:6).[5]

2. 4. 자치권 축소와 멸망 (1724-1771)

아이유카 칸이 1724년 사망한 후, 여러 파벌이 칸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면서 칼미크족 사이의 정치적 상황은 불안정해졌다. 차르 정부 또한 점차 칼미크 칸국의 자율성을 잠식해 나갔다. 예를 들어,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정책은 칼미크족이 가축을 기르기 위해 사용하던 목초지에 러시아와 독일 정착촌의 설립을 장려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칼미크 칸에게 의회를 강요하여 그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한편, 칼미크 칸이 러시아를 위해 싸울 기병대를 제공할 것을 계속 기대했다. 반면에 러시아 정교회는 많은 칼미크족에게 정교회를 받아들이도록 압력을 가했다. 17세기 중반이 되자, 칼미크족은 정착민의 침해와 그들의 내부 문제 간섭에 점점 더 환멸을 느꼈다.

이반 아르구노프의 서양식 복장을 한 칼미크 농노 소녀의 초상화, 1767년


1770–1771년 겨울, 아이유카 칸의 증손자이자 마지막 칼미크 칸인 우바시 칸은 자신의 백성을 그들의 조상들의 고향인 준가리아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고, 당시 준가리아는 청나라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6] 달라이 라마에게 연락하여 그의 축복을 요청하고 출발 날짜를 정했는데, 그는 점성술 차트를 참조하여 귀환 날짜를 정했지만, 출발 순간 볼가 강 얼음이 약해지면서 동쪽 강둑에서 방황하던 칼미크족만이 떠날 수 있었다. 오른쪽 강둑에 있던 사람들은 남겨지게 되었다.



우바시 칸의 지도력 아래, 약 20만 명의 칼미크족이 볼가 강 왼쪽 강둑에 있는 목초지에서 준가리아로 여정을 시작했다. 토르구트 부족의 약 5/6이 우바시 칸을 따랐다. 대부분의 호쇼트, 초로스 및 코이츠도 토르구트족과 함께 준가리아로 가는 여정에 동행했다. 반면에, 도르베트 부족은 전혀 가지 않기로 결정했다. 청나라 영토로 재정착한 칼미크족은 토르구트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들의 이동의 첫 번째 단계는 구 토르구트족이 되었고, 청나라는 나중에 온 토르구트 이민자들을 "신 토르구트"라고 불렀다. 다양한 추정에 따르면 출발하는 집단의 규모는 약 169,000명, 동물(소, 양, 말, 낙타 및 개)은 최대 600만 마리에 달했다.[8] 습격, 갈증, 추위, 기아에 시달리며 약 70,000명의 생존자가 준가리아에 도착했다.

그녀의 군대가 탈출을 막는 데 실패한 후,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는 1771년 10월 칼미크 칸국을 폐지하고, 남은 칼미크족에 대한 모든 정부 권한을 아스트라한 총독에게 이양했다. 칸의 칭호는 폐지되었다. 남은 최고 토착 통치 직위는 부 칸이었으며, 정부는 그를 최고위 칼미크 공작으로 인정했다. 부 칸을 임명함으로써, 차르 정부는 이제 칼미크 정부와 문제에 있어 영구적으로 결정적인 세력이 되었다.

2. 4. 1. 준가리아 귀환 시도

요약(summary)의 내용이 없습니다.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2. 4. 2. 칼미크 칸국 폐지

3. 칼미크 칸 목록

우바시 칸(Ubashi Khan, 1744–1774) - 청나라 의상 (자광각공신상 컬렉션). 유화, 독일 만하임 라이스 박물관


칼미크 칸국의 역대 칸은 다음과 같다.

  • 호 오를루크 (Kho Orluk, 1633–1644)
  • 슈쿠르 다이친(Shukhur Daichin, 1644–1661)
  • 푼츠(몬차크) (Puntsug (Monchak), 1661–1672)
  • 아유카 칸 (Ayuka Khan, 1672–1723)
  • 체렌 돈둑 칸/Tseren Donduk Khan프랑스어 (1723–1735)
  • 돈둑 옴보 칸/Donduk Ombo Khankk (1735–1741)
  • 돈둑 다시 칸/Donduk Dashi Khanmn (1741–1761)
  • 우바시 칸 (Ubashi Khan, 1761–1771)
  • 도드비 칸/Dodbi Khanru (1771–1781)
  • 아스 사라이 칸(As Saray Khan, 1781)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 뉴스 Republic of Kalmykia http://www.kommersan[...] Kommersant 2007-04-06
[3] 서적 The Mongols of the West https://archive.org/[...]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4] 문서 Khodarkovsky, Where Two Worlds Meet, p149
[5] 서적 Where Two Worlds Met: The Russian State and the Kalmyk Nomads, 1600–1771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6] 문서 Perdue 2009 https://books.google[...]
[7] 서적 Les mystères de la Russie: Tableau politique et moral de l'Empire russe ... Ouvrage rédigé d'après les manuscrits d'un diplomate et d'un voyageur https://books.google[...] Pagnerre 1845
[8] 문서 In the Footsteps of Genghis Kh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10] 뉴스 Republic of Kalmykia http://www.kommersan[...] Kommersant 2007-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