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반 베흐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반 베흐텐은 20세기 미국의 작가, 평론가, 사진작가로, 특히 할렘 르네상스 시기에 흑인 예술가들을 지원하며 흑인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소설, 에세이, 사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니거 헤븐》과 같은 작품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반 베흐텐은 흑인과 백인 예술가들을 폭넓게 포용하고, 흑인 예술가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과 활동은 20세기 미국 문화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에도 중요한 자료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미국의 작가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 20세기 미국의 작가 - 빌 핑거
빌 핑거는 밥 케인과 함께 배트맨을 창작하고 핵심 캐릭터와 설정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한 미국의 만화 작가이자 각본가로, 생전에는 저작권 분쟁으로 공헌이 인정받지 못했으나 사후에 공동 창작자로 인정받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양성애자 예술가 - 알라 나지모바
알라 나지모바는 러시아 출신으로 모스크바 예술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해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한 후 할리우드에서 무성영화 스타가 되었으며, 자신의 제작사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영화를 제작하고 파격적인 사생활로도 유명한 배우, 영화 제작자, 각본가이다. - 양성애자 예술가 - 마리 로랑생
마리 로랑생은 프랑스의 화가이자 판화 제작가로, 파리 아방가르드 미술계에서 활동하며 입체주의 영향을 받았으나 파스텔 색조와 부드러운 곡선으로 여성과 동물을 몽환적으로 표현하는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고 기욤 아폴리네르의 뮤즈로도 알려져 있다. - 미국의 사진가 - 제라드 말랑가
제라드 말랑가는 미국의 사진작가, 영화감독, 시인이자 편집자로서, 앤디 워홀과의 협업을 통해 팝아트와 실험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 제작, 사진 작업, 편집 활동, 시집 발간 등 다방면으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사진가 - 에드워드 웨스턴
에드워드 웨스턴은 20세기 미국의 사진작가로, 픽토리얼리즘을 버리고 스트레이트 사진을 통해 자연의 형태를 담아냈으며, F/64 그룹을 결성하고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진 작업을 이어가다가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칼 반 베흐텐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칼 반 베흐텐은 1880년 아이오와주시더래피즈에서 태어나 1964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시카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1906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저널리스트로 일했다.
1914년 여배우 파니아 마리노프와 결혼했다. 결혼 생활은 50년 동안 지속되었지만, 반 베흐텐의 마크 루츠를 비롯한 남성들과의 낭만적이고 성적인 관계로 인해 갈등을 겪기도 했다.[7][8]
1915년부터 1920년까지 음악과 문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출판했다. 할렘 르네상스 시기에는 랭스턴 휴즈, 월러스 서먼(Wallace Thurman), 리처드 라이트 등 흑인 작가와 예술가들을 발굴하고 소개했다. 1926년 출판된 소설 『Nigger Heaven영어』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1913년 프랑스 파리에서 거트루드 스타인을 만난 후 평생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스타인은 사망 당시 반 베흐텐을 유고 관리자로 지명했다. 스타인의 미발표 작품 일부는 반 베흐텐에 의해 편집, 출판되었다.
1927년 형 랄프 반 베흐텐, 1928년 형수 패니가 사망하자 신탁 기금으로 100만달러를 상속받았다.[2][19] 1930년대부터는 사진에 주력했으며, 이후 거의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0-1903)
1880년 미국 시더래피즈의 부유한 집안에서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찰스 듀안 반 베흐텐(Charles Duane Van Vechten)은 저명한 은행가였다. 그의 어머니 에이다 아만다 반 베흐텐(Ada Amanda Van Vechten)은 시더래피즈 공공 도서관 설립에 기여했으며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다.[2][3] 반 베흐텐은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음악과 연극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4]1898년, 워싱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5] 반 베흐텐은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싶었지만 아이오와주에서는 자신의 열정을 펼치기 어렵다고 느꼈다. 그는 자신의 고향을 '사랑 받지 못하는 마을'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1899년 시카고 대학교에 진학하여[6][4] 음악, 미술, 오페라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 대학 시절 그는 글쓰기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대학 신문인 ''University of Chicago Weekly''에 글을 기고했다.
2. 2. 초기 경력과 뉴욕 이주 (1903-1913)
1903년, 칼 반 베흐텐은 시카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아메리칸의 칼럼니스트로 취직했다.[4] 그는 칼럼에 사진을 직접 싣는 과정에서 사진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키웠다.[4] 그러나 복잡한 글쓰기 스타일 때문에 해고되었다.[3]1906년, 뉴욕으로 이주한 반 베흐텐은 뉴욕 타임스의 보조 음악 평론가로 고용되었다.[7] 오페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1907년 유럽 여행을 떠났고,[1] 영국에서 어린 시절 친구였던 에나 스네이더와 결혼했다.
1909년 뉴욕 타임스로 복귀한 반 베흐텐은 미국 최초의 현대 무용 평론가가 되었다.[3] 메이블 닷지 루한의 영향으로 아방가르드 예술에 심취했으며, 이사도라 덩컨, 안나 파블로바, 로이 풀러 등의 공연을 관람했다.[3]
2. 3. 거트루드 스타인과의 만남과 결혼 생활 (1913-1930)
1913년 파리에서 미국의 작가이자 시인인 거트루드 스타인을 만났다.[3] 그는 스타인의 헌신적인 친구이자 가장 열성적인 팬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8] 그들은 스타인이 죽을 때까지 계속 서신을 주고받았고, 스타인은 반 베흐텐을 그녀의 문학 유언 집행자로 임명하여 그녀의 미발표 작품을 출판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9] 반 베흐텐은 예술 잡지 ''The Trend''에 "거트루드 스타인을 읽는 방법"이라는 글을 썼는데, 여기서 그는 스타인을 해명하고 그녀의 작품에 명확성을 부여하려고 시도했다. 반 베흐텐은 "특별한 작가는 특별한 독자를 필요로 한다"고 썼다.[10]1912년 에나 스네이더와 이혼 후 1914년에 러시아계 미국인 배우 파니아 마리노프와 결혼했다.[11] 반 베흐텐과 마리노프는 당시 흑인에 대한 사회적인 인종 차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 모임을 위해 흑인들을 집으로 초대하기도 했으며 흑인들을 위한 공개 모임에 참석하기도 했다.

1915년에서 1920년 사이, 음악과 문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반 베흐텐의 에세이가 출판되었으며 반 베흐텐은 당시 새로 설립된 출판사인 알프레드 A. 노프에서 비공식 스카우터를 맡기도 했다.[14]
2. 4. 할렘 르네상스와의 관계 (1920년대)
반 베흐텐은 예술 애호가로서 할렘에서 일어나고 있는 창의성의 폭발에 매우 흥미를 느꼈다. 그는 할렘 사회의 관용과 흑인 작가와 예술가들 사이에서 그것이 만들어낸 흥분에 매료되었으며, 그곳에서 게이로서 가장 받아들여진다고 느꼈다.[16] 그는 할렘 르네상스의 주요 인물인 폴 로브슨, 랭스턴 휴스, 에설 워터스, 리처드 라이트, 조라 닐 허스턴, 월리스 서먼을 홍보하고 지지했다. 1926년에는 배너티 페어에서 그의 논란이 많은 소설 《니거 헤븐》이 출판되었다.[6]반 베흐텐은 할렘 르네상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 운동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그의 초기 산문에서 흑인은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탐구할 수 있어야 하고 가수는 재즈, 흑인영가, 블루스 등 흑인의 타고난 재능을 따라야 한다는 등 흑인에 대한 편견이 담긴 표현을 하여 많은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는 할렘에서 열린 오페라와 카바레에 자주 참석했으며, 할렘의 유흥과 문화에 대한 백인들의 관심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 또한 랭스턴 휴스와 넬라 라르센과 같은 저명한 작가들이 초기 작품의 출판사를 찾을 수 있도록 돕기도 했다.
2. 5. 사진작가로의 전향과 말년 (1930-1964)
1930년대 초, 50세가 되자 반 베흐텐은 글 쓰는 것을 멈추고 사진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20] 그는 뉴욕 웨스트 55번가 150번지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를 스튜디오로 활용하여 많은 유명 인사들의 사진을 찍었다.[21][22]
1931년 뉴욕에서 만난 마크 러츠(Mark Lutz)는 반 베흐텐의 사진 모델이자 연인이었다. 두 사람의 관계는 반 베흐텐이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다.[7] 러츠는 반 베흐텐의 사진 12,000여 점을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기증했으며, 사망 후 그의 희망에 따라 반 베흐텐과의 10,000통에 달하는 편지는 파기되었다.[13]
1964년 9월 21일, 반 베흐텐은 뉴욕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골은 센트럴 파크 내 셰익스피어 정원에 안장되었다.[23]
3. 작품 세계
반 베흐텐은 초기에는 음악, 무용,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평론을 발표하며 예술계에 이름을 알렸다. 1915년에서 1920년 사이에는 음악과 문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출판했으며, 알프레드 A. 노프에서 비공식 스카우터로 활동하기도 했다.[14] 1922년부터 1930년까지는 노프를 통해 소설 7권을 출판했다.[15]
그는 소설 창작에도 몰두하여, 자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피터 위플》(Peter Whiffle)을 40세에 집필하여 저명한 소설가로 자리매김했다. 《문신을 한 백작 부인》은 그의 고향 시더래피즈에서의 기억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8] 《집 안의 호랑이》(The Tiger in the House)에서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동물인 고양이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25]
그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음악, 대전 후》(Music After the Great War, 1915)
- 《음악과 나쁜 매너》(Music and Bad Manners, 1916)
- 《통역가와 해석》(Interpreters and Interpretations, 1917)
- 《회전목마》(The Merry-Go-Round, 1918)
- 《스페인 음악》(The Music of Spain, 1918)
- 《다락방에서》(In the Garret, 1919)
- 《집 안의 호랑이》(The Tiger in the House, 1920)
- 《지붕 위의 군주들》(Lords of the Housetops, 1921)
- 《피터 위플》(Peter Whiffle, 1922)
- 《눈먼 활 보이》(The Blind Bow-Boy, 1923)
- 《문신을 한 백작 부인》(The Tattooed Countess, 1924)
- 《레드》(Red, 1925)
- 《폭죽. 현실주의 소설》(Firecrackers. A Realistic Novel) (1925)
- 《발굴》(Excavations, 1926)
- 《흑인 천국(Nigger Heaven)》 (1926)
- 《스파이더 보이》(Spider Boy, 1928)
- 《파티》(Parties, 1930)
- 《깃털》(Feathers, 1930)
- 《성스러운 기억과 세속적인 기억》(Sacred and Profane Memories, 1932)
'''사후 출판'''
- 《칼 반 베흐텐의 무용 저작물》(The Dance Writings of Carl Van Vechten) (1974)
3. 1. 《흑인 천국》(Nigger Heaven) 논란
반 베흐텐의 소설 《흑인 천국(Nigger Heaven)》은 출간 당시 큰 논란과 함께 찬사를 받았다. 반 베흐텐은 이 소설을 "나의 흑인 소설"이라 칭하며, 남부 흑인들이 겪는 인종차별과 형벌의 고통 대신 할렘에서 살아가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모습을 그리고자 했다.[2] 그러나 소설 제목에 인종차별적 성격이 강한 니거(Nigger)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제목 수정을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반 베흐텐은 제목을 변경하지 않았다.[2] 그의 아버지는 "책에서 무슨 말을 하든 간에 이러한 제목은 이해가 되지 않고 제목을 바꾸는 게 좋을 것 같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2]흑인 독자들 사이에서는 소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어떻게 묘사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렸다.[3] 흑인을 외계인처럼 이상하게 표현했다는 비판도 있었던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전형적인 백인처럼 묘사한 점을 높이 평가하는 의견도 있었다.[3] 넬라 라르센, 랭스턴 휴스, 거트루드 스타인 등은 할렘 사회와 인종 문제를 미국 사회의 전면에 부각시킨 이 소설을 지지했다.[3]
3. 2. 사진 작품
1930년대 초, 50세에 이른 반 베흐텐은 글 쓰는 것을 멈추고 사진 작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웨스트 55번가 150번지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를 스튜디오로 활용하여 많은 유명인들의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그의 사진 작품은 인물의 개성과 내면을 섬세하게 포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반 베흐텐의 사진은 현재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1]
기관명 | 소장 작품 수 |
---|---|
예일 대학교 바이네케 고문서 도서관 | 1,884개의 컬러 코다크롬 슬라이드 컬렉션 ("살아있는 초상화: 칼 반 베흐텐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컬러 사진, 1939~1964") 외 |
미국 의회도서관 | 약 1,400장 |
스미스소니언 미술관 | 다수 |
피스크 대학교 | 다수 |
뉴욕 박물관 | 2,174점 |
브랜다이스 대학교 기록 보관소 및 특별 컬렉션 부서 | 1,689점 |
필라델피아 미술관 | 12,000여 점 (미국 내 최대 규모) |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 | 17점 |
4. 작품 목록
반 베흐텐은 여러 편의 소설과 평론을 발표했다. 40세에 발표한 첫 소설 《피터 휘플(Peter Whiffle)》은 할렘 르네상스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문신한 백작부인(The Tattooed Countess)》은 고향 시더래피즈에서의 유년 시절 기억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8] 《집 안의 호랑이(The Tiger in the House)》는 그가 가장 사랑하는 동물인 고양이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25]
《흑인 천국(Nigger Heaven)》은 출간 당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반 베흐텐은 이 책을 통해 할렘에 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삶을 묘사하려 했지만, '니거(Nigger)'라는 단어가 포함된 자극적인 제목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26] W. E. B. 듀보이스는 이 소설을 "싸구려 멜로드라마"라고 비판했고,[16] 랠프 엘리슨은 반 베흐텐을 아프리카계 미국 문학에 퇴폐적 뉘앙스를 도입한 인물로 평가했다.[26] 반면, 알랭 로크와 거트루드 스타인은 이 소설을 옹호했다.[27]
4. 1. 저서
반 베흐텐은 40세에 《피터 휘플(Peter Whiffle)》을 집필하여 소설가로 자리매김했으며, 이 소설은 할렘 르네상스의 역사적 자료로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8] 1924년에 쓴 소설 《문신을 한 백작 부인(The Tattooed Countess)》은 그의 고향 시더래피즈에서 겪었던 기억을 바탕으로 쓴 책이다.[8]
1920년에 쓴 《집 안의 호랑이(The Tiger in the House)》는 반 베흐텐이 가장 애정하는 동물인 고양이의 특징과 특성을 탐구한 책이다.[25]
그의 소설 중 논란이 많았던 《니거 헤븐(Nigger Heaven)》은 논란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다. 반 베흐텐은 이 책을 "나의 흑인 소설"이라고 불렀다. 그는 이 소설을 통해 남부 흑인들의 인종차별과 형벌로 인한 고통이 아니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할렘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묘사하고자 했다. 그러나 책 제목에 인종차별적인 성격이 강한 니거(Nigger)라는 단어가 들어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반 베흐텐에게 제목을 수정할 것을 권하였음에도 그는 책 제목을 변경하지 않았다. 이러한 선동적인 책 제목으로 인해 책의 내용이 빛을 발하지 못 할 것 같다는 우려도 있었다.[26]
이 소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어떻게 묘사했는지에 대해 흑인 독자들 간의 의견이 분분했다. 마치 흑인을 외계인 같이 이상하게 표현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던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전형적인 백인처럼 표현한 점에서 소설을 높이 평가한 의견도 있었다. 넬라 라르센, 랭스턴 휴스 그리고 거트루드 스타인 등 많은 인사들은 할렘 사회와 인종 문제를 미국의 최전선으로 끌어온 이 소설을 지지하기도 했다.[27]
제목 | 출판 연도 |
---|---|
《대전 후의 음악》(Music After the Great War) | 1915 |
《음악과 버릇 없음》(Music and Bad Manners) | 1916 |
《통역가와 해석》(Interpreters and Interpretations) | 1917 |
《회전 목마》(The Merry-Go-Round) | 1918 |
《스페인 음악》(The Music of Spain) | 1918 |
《다락방에서》(In the Garret) | 1919 |
《집 안의 호랑이》(The Tiger in the House) | 1920 |
《지붕 위의 군주》(Lords of the Housetops) | 1921 |
《피터 휘플》(Peter Whiffle) | 1922 |
《눈 먼 활 소년》(The Blind Bow-Boy) | 1923 |
《문신을 한 백작 부인》(The Tattooed Countess) | 1924 |
《레드》(Red) | 1925 |
《폭죽》(Firecrackers) | 1925 |
《발굴》(Excavations) | 1926 |
《니거 헤븐》(Nigger Heaven) | 1926 |
《거미 소년》(Spider Boy) | 1928 |
《파티》(Parties) | 1930 |
《깃털》(Feathers) | 1930 |
《성스러운 기억과 세속적인 기억》(Sacred and Profane Memories) | 1932 |
4. 2. 사후 출판
《칼 반 베흐텐의 무용 저작물》(The Dance Writings of Carl Van Vechten영어), 1974년 출간.5. 작품 보관
칼 반 베흐텐의 개인 문서, 서신, 사진 등은 여러 기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다. 예일 대학교 바이네케 고문서 도서관에는 반 베흐텐의 개인 논문 대부분과 1,884개의 컬러 코다크롬 슬라이드 컬렉션 "살아있는 초상: 칼 반 베흐텐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컬러 사진, 1939~1964"가 보관되어 있다.[28] 미국 의회도서관은 1966년 사울 모리버로부터 획득한 약 1,400장의 사진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29] 스미스소니언 미술관, 피스크 대학교, 뉴욕 박물관(2,174점 소장), 브랜다이스 대학교(1,689점 소장)에도 반 베흐텐의 컬렉션이 있다.[29] 필라델피아 미술관은 1949년 반 베흐텐의 기증과 1965년 마크 러츠의 기증을 통해 12,000여 점의 사진을 소장, 미국 내 최대 규모의 반 베흐텐 작품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도 반 베흐텐의 초상화 작품 17점이 소장되어 있다.[33]
6. 갤러리
7. 평가 및 영향
칼 반 베흐텐은 작가, 평론가, 사진작가로서 20세기 미국 문화 예술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할렘 르네상스 시기 흑인 예술가들을 발굴하고 후원하며 흑인 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 그의 작품은 당시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인종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반 베흐텐은 할렘 르네상스의 주요 인물인 폴 로브슨, 랭스턴 휴스, 에설 워터스, 리처드 라이트, 조라 닐 허스턴, 월리스 서먼 등을 홍보하고 지지했다. 1926년에는 논란의 소설 《흑인 천국》(Nigger Heaven)을 출판하여 흑인 사회에 대한 백인들의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흑인에 대한 편견이 담긴 표현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6] 그는 흑인 문화가 미국의 본질이라고 확신했으며, 흑인들이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탐구하고, 재즈, 흑인영가, 블루스 등 흑인의 타고난 재능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16]
반 베흐텐은 할렘의 오페라와 카바레에 자주 참석하며 랭스턴 휴스와 넬라 라슨 같은 작가들이 초기 작품을 출판할 수 있도록 도왔다.[18] 1927년 형 랄프 반 베흐텐과 그의 아내 패니가 사망하자, 반 베흐텐은 신탁 기금에 투자된 100만달러를 상속받아 경제적 안정을 얻었다.[2][19] 1930년대부터는 사진작가로 활동하며 많은 유명인들의 사진을 찍었다.[20][21][22]
참조
[1]
웹사이트
Portraits by Carl Van Vechten – Carl Van Vechten Biography – (American Memory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http://memory.loc.go[...]
Memory.loc.gov
2010-03-09
[2]
서적
The Tastemaker: Carl Van Vechten and the Birth of Modern Ame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3]
웹사이트
Van Vechten, Carl –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Iowa - The University of Iowa
http://uipress.lib.u[...]
2018-05-23
[4]
웹사이트
Van Vechten Collection – Carl Van Vechten Biography and Chronology
https://www.loc.gov/[...]
2018-05-23
[5]
뉴스
Carl Van Vechten's Camera Documented Personalities
http://crpubliclibra[...]
1971-03-10
[6]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Biography
http://www.biography[...]
Biography.com
1964-12-21
[7]
잡지
White Mischief: The Passions of Carl Van Vechten
http://www.newyorker[...]
2014-02-09
[8]
웹사이트
Van Vechten, Carl –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Iowa - The University of Iowa
http://uipress.lib.u[...]
2018-05-24
[9]
웹사이트
Van Vechten Collection – Carl Van Vechten Biography and Chronology
https://www.loc.gov/[...]
2018-05-24
[10]
서적
The Tastemaker: Carl Van Vechten and the Birth of Modern Ame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2014-02-18
[11]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s Biography on nybooks.com
http://www.nybooks.c[...]
2012-07-10
[12]
문서
Florine Stettheimer
http://moma.org/d/c/[...]
The Museum of Modern Art
[13]
서적
The Letters of Gertrude Stein and Carl Van Vechten, 1913–1946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01-13
[14]
서적
The Lady with the Borzoi: Blanche Knopf, Literary Tastemaker Extraordinaire
Farrar, Straus and Giroux
[15]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Facts, information, pictures | Encyclopedia.com articles about Carl Van Vechten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2-06-17
[16]
서적
Carl Van Vechten and the Harlem Renaissance: A Portrait in Black and Whit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2
[17]
서적
The Devil's Music
https://archive.org/[...]
Da Capo Press
1997
[18]
서적
The Tiger in the House
New York Review Books
2006
[19]
서적
The Homoerotic Photography of Carl Van Vechten: Public Face, Private Thoughts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
문서
Sacred and Profane Memories
[21]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Biography from
http://www.answers.c[...]
Answers.com
2010-03-09
[22]
웹사이트
Prints & Photographs Online Catalog – Van Vechten Collection – Biography
http://lcweb2.loc.go[...]
Lcweb2.loc.gov
2010-03-09
[23]
서적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4]
서적
Carl Van Vechten and the Irreverent Decade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5]
서적
The Tiger in the House
New York Review Books
2006
[26]
잡지
White Mischief
https://www.newyorke[...]
2018-05-24
[27]
서적
The Tastemaker: Carl Van Vechten and the Birth of Modern Ame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2014-02-18
[28]
웹사이트
Living Portraits: Carl Van Vechten's Color Photographs Of African Americans, 1939–1964
https://web.archive.[...]
2009-07-08
[29]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photographs
http://findingaids.b[...]
Brandeis University
2016-08-25
[30]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https://www.artic.ed[...]
Art Institute Chicago
[31]
웹사이트
Philadelphia Museum of Art – Collections : Search Collections
https://philamuseum.[...]
2019-08-30
[32]
웹사이트
Harlem Heroes: Photographs by Carl Van Vechten
http://americanart.s[...]
Smithsonian Institution
2016-08-25
[33]
웹사이트
Carl Van Vechten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