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일리 그래프는 군과 부분집합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그래프로, 군의 원소를 정점으로 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 쌍을 잇는 간선으로 구성된다. 생성 집합이 주어지면 연결 그래프가 되며, 그렇지 않으면 비연결 그래프가 된다. 케일리 그래프는 군의 작용을 가지며, 자비두시 정리에 의해 그래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케일리 그래프임을 알 수 있다. 케일리 그래프는 정규 그래프이며, 국소 유한성, 유한성, 연결성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또한, 군의 표현론 및 스펙트럼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확장 성질을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케일리 그래프는 무한 순환군, 순환군, 곱군, 자유군 등 다양한 군의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활용되며, 하이젠베르크 군, 이면체군 등 다양한 군의 케일리 그래프가 예시로 제시된다. 케일리 그래프는 확장 성질을 분석하고, 케일리 적분 그래프와 케일리 정수 단순군, 케일리 적분군 등과 같은 개념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래프의 응용 - 상태도 (오토마타 이론) 상태도는 유한 오토마타 이론에서 시스템의 상태와 전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유향 그래프이며, 무어 머신, 밀리 머신, 하렐 상태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그래프의 응용 - 제어 흐름 그래프 제어 흐름 그래프(CFG)는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추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로, 노드는 기본 블록, 엣지는 제어 흐름 상의 점프를 표현하며, 프로그램 분석 및 최적화, 특히 도달 가능성 분석, 지배 관계 분석, 루프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순열군 - 교대군 교대군 은 대칭군 의 짝순열 집합으로, 순열의 홀짝성을 나타내는 군 준동형의 핵이며, 일 때 개의 원소를 갖고, 는 위수가 60인 가장 작은 비가환 단순군으로서 군의 구조, 자기 동형군, 조합론적 문제 등 다양한 성질과 응용을 가진다.
순열군 - 프로베니우스 군 프로베니우스 군은 유한군 가 두 개 이상의 원소를 갖는 유한 집합 위에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며 추이적으로 작용할 때 정의되며, 프로베니우스 핵 와 프로베니우스 여군 의 반직접곱으로 표현된다.
기하군론 - 자유군 자유군은 집합 S로부터 생성되는 군의 한 종류로, 닐센-슈라이어 정리를 만족하며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기하군론 - 종순군 종순군은 하르 측도를 가지며 좌(또는 우) 이동에 대해 불변인 링 측도를 갖는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군의 일종이며, 가환적인 경우 좌불변 또는 우불변 평균을 허용하고 군의 작용이 종순 작용을 가질 때 해당 작용을 종순 작용이라고 한다.
케일리 그래프
그래프 정보
유형
수학적 그래프
정의
군에서 유도된 그래프
속성
대칭적 꼭짓점-추이적 t-추이적, t ≥ 2
관련 용어
영어
Cayley graph, Cayley diagram
관련 항목
자유군 F₂
예시
군
PSL Z
2. 정의
군 `G`와 그 부분집합 `S`가 주어졌을 때, 케일리 그래프 `Γ(G,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의 각 원소를 꼭짓점으로 갖는다.
각각의 원소 `h∈G`와 `s∈S`에 대하여, `h`와 `sh`를 연결하는 변을 갖는다.
`S`가 `G`의 생성집합이면 `Γ(G,S)`는 연결그래프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비연결 그래프가 된다.
2. 1. 방향 그래프 및 색칠
`S⁻¹=S` 및 `1∉S`라고 할 때, 케일리 그래프는 `|S|/2`색의 자연스러운 변 색칠을 갖는다. 색의 집합은 `S/(x∼x⁻¹ ∀x∈G)`이며, 변 `gh∈E(Γ(G,S))`의 색은 `{gh⁻¹,hg⁻¹}∈S/(x∼x⁻¹ ∀x∈G)`이다. 케일리 그래프는 `G`의 자연스러운 작용을 가지며, 이는 그래프의 자기동형사상이다.[2]
군 `G`와 `G`의 생성 집합 `S`가 주어졌을 때, 케일리 그래프 `Γ = Γ(G,S)`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색칠된 방향 그래프이다.[2]
`G`의 각 원소 `g`는 정점에 할당된다. 즉, `Γ`의 정점 집합은 `G`와 동일시된다.
`S`의 각 원소 `s`는 색상 `cₛ`에 할당된다.
모든 `g ∈ G`와 `s ∈ S`에 대해, `g`에 해당하는 정점에서 `gs`에 해당하는 정점으로 가는 색상 `cₛ`의 방향 간선이 존재한다.
`S`의 원소 `s`가 자기 자신의 역원, 즉 `s = s⁻¹`인 경우, 일반적으로 무방향 간선으로 표현된다.
특히 `Γ`가 국소 유한이고 `G`가 유한 생성되는 기하학적 군론에서는 `S`가 유한 집합이라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S`는 때때로 대칭 집합(`S = S⁻¹`)이며 군의 항등원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색칠되지 않은 케일리 그래프는 단순한 무방향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3. 성질
케일리 그래프 `Γ(G,S)`는 `|S|`-정규 그래프이다. 케일리 그래프의 사이클(닫힌 보행)은 `S`의 원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1]
임의의 유한 케일리 그래프는 무방향 그래프로 간주되며, 꼭짓점 연결성은 그래프 차수의 2/3 이상이다. 생성 집합이 최소인 경우, 꼭짓점 연결성은 차수와 같다. 간선 연결성은 모든 경우에 차수와 같다.[6]
3. 1. 자비두시 정리
'''자비두시 정리'''(Sabidussi theorem영어)에 따르면, 그래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16]
가 행렬 형태로 로 표시되는 왼쪽 정규 표현인 경우, 케일리 그래프 의 인접 행렬은 이다.
그룹 의 모든 문자 는 의 인접 행렬의 고유벡터를 유도한다. 연관된 고유값은 이며, 가 아벨군일 때, 정수 에 대해 의 형태를 취한다. 특히, 자명한 문자(모든 원소를 1로 보내는 문자)의 연관된 고유값은 의 차수, 즉 의 순서이다. 가 아벨군인 경우, 정확히 개의 문자가 있으며, 모든 고유값을 결정한다. 해당하는 정규 직교 고유벡터 기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