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테베흐-더프리스 방정식(KdV 방정식)은 2변수 함수에 대한 3차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천해파 등 비선형 파동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정식은 비선형 항과 분산 항의 균형을 통해 파동이 형태를 유지하며 전파되도록 하며, 역산란법과 히로타의 직접법과 같은 다양한 해법이 존재한다. KdV 방정식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무한히 많은 운동 상수를 가지며, 솔리톤 해, N-솔리톤 해, 주기해(크노이달 파) 등 다양한 형태의 해를 갖는다. 1877년 조제프 부시네스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1895년 디데릭 코르테베흐와 귀스타브 더프리스에 의해 얕은 물에서의 파동 연구에 활용되었다. KdV 방정식은 얕은 물결, 해양 내부파, 플라스마 이온 음파 등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며, 한국 해양학에서는 파랑 특성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KdV 방정식은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화된 KdV, 수정된 KdV, 가드너 방정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분가능계 - 솔리톤
    솔리톤은 형태를 유지하며 다른 솔리톤과의 상호 작용 후에도 변하지 않는 파동의 일종으로, 분산과 비선형성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며, 광학, 유체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견된다.
  • 적분가능계 - 남 방정식
    남 방정식은 4차원 양-밀스 순간자 방정식을 차원 축소하여 얻은 방정식으로, 칼로론 및 자기 홀극 해를 구하는 데 중요하며 게이지 변환에 불변하고 초끈 이론과 관련되어 수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방정식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으로, 질량 및 운동량 보존 법칙에 기반하며, 해의 존재성과 매끄러움은 밀레니엄 문제이지만 다양한 유체 흐름 모델링과 수치 해석적 응용에 활용된다.
  • 유체역학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역학에서 유체의 속도, 압력, 높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비압축성, 비점성, 정상류 조건에서 유선상 에너지 보존을 설명하고 항공기 양력 발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실제 유체의 점성 등의 영향으로 적용에 한계가 있다.
  • 편미분 방정식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으로, 질량 및 운동량 보존 법칙에 기반하며, 해의 존재성과 매끄러움은 밀레니엄 문제이지만 다양한 유체 흐름 모델링과 수치 해석적 응용에 활용된다.
  • 편미분 방정식 - 슈뢰딩거 방정식
    슈뢰딩거 방정식은 양자역학에서 시스템의 시간적 변화를 기술하는 기본 방정식으로, 파동 함수에 대한 편미분 방정식이며, 시스템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해밀토니안 연산자를 포함하고, 양자 상태를 기술하며, 다양한 양자역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
기본 정보
유형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분야수학, 물리학
차수3차
선형성비선형
변수u(x, t)
방정식
형태u_{t} + uu_{x} + μu_{xxx} = 0
설명u: 파동의 높이
x: 공간 좌표
t: 시간 좌표
μ: 분산 계수
이름의 유래
명명디데릭 코르트베흐와 구스타프 드 브리스
특성
솔리톤솔리톤 해를 가짐
응용얕은 물 파동
플라스마 물리학
비선형 광학
관련 방정식
관련Boussinesq 방정식
Benjamin–Bona–Mahony 방정식

2. 정의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2변수 함수 u(x,t)에 대한 3차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이며, 다음과 같다.

:u_t+u_{xxx}=6uu_x

여기서 u_t는 시간 t에 대한 편미분, u_x는 공간 x에 대한 편미분, u_{xxx}x에 대한 3차 편미분을 나타낸다. 계수 6은 관례적인 것으로, 다른 상수로 대체할 수 있다. (t,x,u)에 서로 다른 상수를 곱하여,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의 세 항의 계수들을 각각 임의의 0이 아닌 수로 놓을 수 있다.

시간 변수 t와 공간 변수 x를 갖는 1차원 실수 값 함수 u(x, t)에 대해, \alpha, \beta를 0이 아닌 임의의 실수 상수로 하여

:\frac{\partial u}{\partial t}+\alpha u\frac{\partial u}{\partial x}+\beta\frac{\partial^3u}{\partial x^3}=0

로 주어지는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을 '''KdV 방정식'''이라고 한다[1]. 각 변수와 u에 적절한 스케일 변환을 가하면, 계수를 \alpha = 6, \beta = 1로 다시 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변수에 대한 편미분을 오른쪽 아래 첨자로 나타내면,

:u_{t}+6uu_{x}+u_{xxx}=0

이 된다.

KdV 방정식은 천해파 등 비선형 파동 현상을 기술한다. KdV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으로는, 역산란법과 히로타의 직접법이 존재한다. KdV 방정식의 두 번째 항 uu_x을 파동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비선형 항''', 세 번째 항 u_{xxx}을 파동의 확산 효과를 나타내는 '''분산 항'''이라고 한다. KdV 방정식은 비선형 항과 분산 항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파동이 형태를 무너뜨리지 않고 전파된다.

KdV 방정식의 계수를 취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지만, 적절한 변수 변환 하에서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u \rarr -u 변환에 의한

:u_{t}-6uu_{x}+u_{xxx}=0

u \rarr \frac{u}{6} 변환에 의한

:u_{t}+uu_{x}+u_{xxx}=0

도 자주 사용된다.

2. 1. 라그랑지언 형태

라그랑지언 밀도 \mathcal L = \frac12f_xf_t +f_x^3 - \frac12f_{xx}^2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생각하자. 여기에 u = f_x로 치환하면, 이는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과 같다.

코르테베흐-더프리스 방정식 \partial_t \phi + 6\phi\, \partial_x \phi + \partial_x^3 \phi = 0,는 라그랑지안 밀도 \mathcal{L} := \frac{1}{2} \partial_x \psi\, \partial_t \psi + \left( \partial_x \psi \right)^3 - \frac{1}{2} \left( \partial_x^2 \psi \right)^2 로부터 유도된 운동의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다. 여기서 \phi\phi := \frac{\partial \psi}{\partial x} 와 같이 정의된다.

KdV 방정식의 계수를 취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지만, 적절한 변수 변환 하에서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u_{t}-6uu_{x}+u_{xxx}=0u_{t}+uu_{x}+u_{xxx}=0 도 자주 사용된다.

3. 성질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무한히 많은 운동 상수를 갖는다.:733 이들은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int_{-\infty}^{+\infty} P_{2n-1}(\phi,\, \partial_x \phi,\, \partial_x^2 \phi,\, \ldots)\, \text{d}x\,

여기서 다항식 P_n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

\begin{align}

P_1&=\phi,

\\

P_n &= -\frac{dP_{n-1}}{dx} + \sum_{i=1}^{n-2}\, P_i\, P_{n-1-i}

\quad \text{ for } n \ge 2.

\end{align}



처음 몇 개의 운동 상수는 다음과 같다.


  • 질량 \int \phi\, \mathrm{d}x,
  • 운동량 \int \phi^2\, \mathrm{d}x,
  • 에너지 \int \left[ 2 \phi^3 - \left( \partial_x \phi \right)^2 \right] \, \mathrm{d}x.


홀수 번째 항 P_{2n+1}만 비자명(0이 아닌) 운동 상수를 생성한다.

3. 1. 대칭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변환 x \mapsto -x, t \mapsto -t, u \mapsto u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만약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의 해 u(t,x)가 주어졌을 때, u(-t,-x) 역시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의 해이다.

3. 2. 럭스 쌍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럭스 쌍을 가진다.

:L=-\partial_x^2+u

:P=6u\partial_x+3u_x-4u_x^3

즉,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을 다음과 같은 럭스 방정식

:L_t=[P,L]

으로 쓸 수 있다. 따라서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적분가능계임을 알 수 있다.

KdV 방정식

:\partial_t\phi = 6\, \phi\, \partial_x \phi - \partial_x^3 \phi

는 Lax 방정식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L_t = [L,A] \equiv LA - AL \,

여기서 L은 슈트름-리우빌 연산자이다.

:

\begin{align}

L &= -\partial_x^2 + \phi, \\

A &= 4 \partial_x^3 - 6 \phi\, \partial_x - 3[\partial_x, \phi]

\end{align}



여기서 [\partial_x,\phi][\partial_x,\phi]f=f\partial_x\phi와 같은 교환자이다. Lax 쌍은 KdV 방정식의 무한한 수의 1차 적분을 설명한다.

실제로, L은 포텐셜 \phi(x,t)를 가진 시간에 무관한 슈뢰딩거 연산자이다(상수는 무시). 이러한 Lax 공식 때문에 고유값은 t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3. 3. 운동 상수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KdV 방정식)은 무한히 많은 운동 상수를 갖는다. 이는 방정식의 해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물리량을 보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u(x,t)에 대한 다항식 P_n을 사용하여,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적분 \int_{-\infty}^{+\infty} P_n\left(u,u_x,u_{xx},\dotsc\right)\,\mathrm dx는 KdV 방정식의 운동 상수를 이룬다.

n이 홀수일 때만 이 적분값은 0이 아니다. 낮은 차수의 운동 상수들은 질량 (\textstyle\int u), 운동량 (\textstyle\int u^2), 에너지 (\textstyle\int (2u^3-u_x^2)) 등을 포함한다.

다항식 P_n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

\begin{align}

P_1&=\phi,

\\

P_n &= -\frac{dP_{n-1}}{dx} + \sum_{i=1}^{n-2}\, P_i\, P_{n-1-i}

\quad \text{ for } n \ge 2.

\end{align}



홀수 번째 항 P_{2n+1}만이 0이 아닌 운동 상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운동 상수는 1968년 로버트 미우라(Robert M. Miura)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4. 해

충분히 빠르게 감소하는 모든 매끄러운 해는 결국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유한한 솔리톤 중첩과 왼쪽으로 이동하는 감소하는 분산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자부스키와 크루스칼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으며, 진동하는 리만-힐베르트 문제에 대한 비선형 최급강하법 분석을 사용하여 엄밀하게 증명될 수 있다.

KdV 방정식의 해로, 다음이 존재한다.
솔리톤 해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솔리톤 해를 갖는다. 솔리톤은 고립파(solitary wave)의 일종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도 형태와 속도를 유지하는 특이한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해의 가설 풀이는 다음과 같다.

:u(t,x) = u(x-ct)\qquad(c\in\mathbb R)

여기서 c는 솔리톤의 속도이다. 솔리톤이 공간에서 국소적이어야 하므로,

:\lim_{\xi\to+\infty}u(\xi) = \lim_{\xi\to -\infty}u(\xi) = 0

이다.

이러한 가설 풀이를 통해 솔리톤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x,t)=-\frac12c\left(\cosh\left(\frac12\sqrt c(x-ct-x_0)\right)\right)^{-2}

여기서 x_0는 초기 조건 t=0에서 솔리톤의 위치이다.

위 식은 속도 c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솔리톤을 설명한다.

1-솔리톤 해는 다음 형태로 주어진다.

:u(x,t)=2\kappa^2\operatorname{sech}^{2}\kappa(x-ct+\delta)=2\frac{\partial^2}{\partial x^2}\log{(1+e^{2\kappa(x-ct+\delta)})}\quad(c=4\kappa^2)

여기서, sech는 쌍곡선 시컨트 함수를 나타낸다. 이 해는 하나의 피크를 가진 고립파가 형태를 유지한 채 속도 c로 전파되는 상황에 대응한다. 또한 진폭은 속도 c에 비례하며, 파동의 높이(진폭)가 높을수록 빠르게 전파되는 성질을 갖는다.
N-솔리톤 해KdV 방정식은 여러 개의 솔리톤이 상호작용하는 N-솔리톤 해를 갖는다. N-솔리톤 해는 감소하는 양의 매개변수 집합 \chi_1, \cdots, \chi_N > 0과 0이 아닌 매개변수 집합 \beta_1, \cdots, \beta_N에 의존하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진다.

: \phi(x,t) = -2\frac{\partial^2}{\partial x^2} \mathrm{log}[\mathrm{det} A(x,t)]

여기서 행렬 A(x,t)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A_{nm}(x,t) = \delta_{nm} + \frac{\beta_n e^{8\chi_n^3t}e^{-(\chi_n + \chi_m)x}}{\chi_n + \chi_m}.

이 해는 역산란법을 사용하여 유도되었다.

개의 고립파를 나타내는 솔리톤 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진다.

:u(x,t)=2\frac{\partial^2}{\partial x^2}\log{\det{A(x,t)}}

여기서, ''A''(''x'', ''t'')}}는 차의 정방 행렬이며, 그 행 열 성분 는

:A_{ij}(x,t)=\delta_{ij}+\frac{1}{k_i+k_j}e^{-\{\kappa_i(x-c_it+\delta_i)+\kappa_j(x-c_jt+\delta_j)\}}

:c_i=4\kappa_i^{\,2}\quad(i,j=1,2,\cdots ,N)

로 주어진다. 단, 는 크로네커 델타를 나타낸다.
주기해 (크노이달 파)KdV 방정식은 야코비 타원 함수 cn (크노이달 함수)로 표시되는 주기해를 갖는다. 이 주기해는 크노이달 파(cnoidal wave)라고 불린다. 크노이달 파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x,t)=u_0+2\kappa^2k^2\operatorname{cn}^{2}\kappa(x-ct+\delta)

여기서,

:c=6u_0-(1-2k^2)\kappa^2

이다.

4. 1. 솔리톤 해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은 솔리톤 해를 갖는다. 솔리톤은 고립파(solitary wave)의 일종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면서도 형태와 속도를 유지하는 특이한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해의 가설 풀이는 다음과 같다.

:u(t,x) = u(x-ct)\qquad(c\in\mathbb R)

여기서 c는 솔리톤의 속도이다. 솔리톤이 공간에서 국소적이어야 하므로,

:\lim_{\xi\to+\infty}u(\xi) = \lim_{\xi\to -\infty}u(\xi) = 0

이다.

이러한 가설 풀이를 통해 솔리톤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x,t)=-\frac12c\left(\cosh\left(\frac12\sqrt c(x-ct-x_0)\right)\right)^{-2}

여기서 x_0는 초기 조건 t=0에서 솔리톤의 위치이다.

위 식은 속도 c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솔리톤을 설명한다.

1-솔리톤 해는 다음 형태로 주어진다.

:u(x,t)=2\kappa^2\operatorname{sech}^{2}\kappa(x-ct+\delta)=2\frac{\partial^2}{\partial x^2}\log{(1+e^{2\kappa(x-ct+\delta)})}\quad(c=4\kappa^2)

여기서, sech는 쌍곡선 시컨트 함수를 나타낸다. 이 해는 하나의 피크를 가진 고립파가 형태를 유지한 채 속도 c로 전파되는 상황에 대응한다. 또한 진폭은 속도 c에 비례하며, 파동의 높이(진폭)가 높을수록 빠르게 전파되는 성질을 갖는다.

4. 2. N-솔리톤 해

KdV 방정식은 여러 개의 솔리톤이 상호작용하는 N-솔리톤 해를 갖는다. N-솔리톤 해는 감소하는 양의 매개변수 집합 \chi_1, \cdots, \chi_N > 0과 0이 아닌 매개변수 집합 \beta_1, \cdots, \beta_N에 의존하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진다.

: \phi(x,t) = -2\frac{\partial^2}{\partial x^2} \mathrm{log}[\mathrm{det} A(x,t)]

여기서 행렬 A(x,t)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A_{nm}(x,t) = \delta_{nm} + \frac{\beta_n e^{8\chi_n^3t}e^{-(\chi_n + \chi_m)x}}{\chi_n + \chi_m}.

이 해는 역산란법을 사용하여 유도되었다.

개의 고립파를 나타내는 솔리톤 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진다.

:u(x,t)=2\frac{\partial^2}{\partial x^2}\log{\det{A(x,t)}}

여기서, ''A''(''x'', ''t'')}}는 차의 정방 행렬이며, 그 행 열 성분 는

:A_{ij}(x,t)=\delta_{ij}+\frac{1}{k_i+k_j}e^{-\{\kappa_i(x-c_it+\delta_i)+\kappa_j(x-c_jt+\delta_j)\}}

:c_i=4\kappa_i^{\,2}\quad(i,j=1,2,\cdots ,N)

로 주어진다. 단, 는 크로네커 델타를 나타낸다.

4. 3. 주기해 (크노이달 파)

KdV 방정식은 야코비 타원 함수 cn (크노이달 함수)로 표시되는 주기해를 갖는다. 이 주기해는 크노이달 파(cnoidal wave)라고 불린다. 크노이달 파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x,t)=u_0+2\kappa^2k^2\operatorname{cn}^{2}\kappa(x-ct+\delta)

여기서,

:c=6u_0-(1-2k^2)\kappa^2

이다.

5. 역사적 배경

코르테버흐-더프리스 방정식(KdV 방정식)은 1877년 조제프 부시네스크(Joseph Boussinesq)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5][6] 1895년 디데릭 코르테버흐(Diederik Korteweg)와 귀스타브 더프리스(Gustav de Vries)는 얕은 물에서의 파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방정식을 유도하고 연구하였다.[7][8]

KdV 방정식의 역사는 1834년 존 스콧 러셀이 에든버러 근처의 운하에서 고립파를 관찰하면서 시작되었다.[2] 그는 바지선이 운하를 따라 이동하다 멈췄을 때 발생한 고립파를 목격하고, 이를 "이동파(Wave of Translation)"라고 명명했다. 그는 실험용 수조를 통해 고립파의 특징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2]


  • 천해파의 전파에서 고립파(영구형 장파)가 존재한다.
  • 일정 수심의 수로에서 고립파의 속도는 }}로 주어진다. (: 중력 가속도, : 정지 상태 수면에서 측정한 파도 높이, : 정지 유체 깊이)


이러한 러셀의 연구 결과는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일으켰으나, 1895년 코르테버흐와 더프리스에 의해 KdV 방정식이 유도되면서 고립파의 존재가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1960년대 노먼 자부스키(Norman Zabusky)와 마틴 크루스칼(Martin David Kruskal)은 페르미-파스타-울람-칭구 문제 연구 과정에서 KdV 방정식의 수치해를 연구하면서 솔리톤의 존재를 발견하고,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들은 코사인파 초기 상태가 몇 개의 고립파로 분열되고, 속도가 다른 두 고립파가 충돌 후에도 파괴되지 않고 전파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이러한 자부스키와 크루스칼의 연구는 적분 가능한 계의 연구 활성화와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6. 응용

KdV 방정식은 페르미-파스타-울람-칭구 문제의 연속체 극한에서 끈을 지배하는 방정식일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많은 물리적 환경에서 장파, 일차원 파동의 진화를 근사적으로 설명한다.


  • 약한 비선형 복원력을 가진 얕은 물결
  • 밀도 성층화된 해양의 긴 내부파
  • 플라스마의 이온 음파
  • 음향 파동은 결정 격자에 존재한다.


KdV 방정식은 또한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에 적용된 것과 같은 역 산란 변환을 사용하여 풀 수 있다.

한국 해양학에서는 KdV 방정식을 활용하여 동해, 서해, 남해 등 한국 주변 해역의 파랑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안 지역에서의 파랑 변형, 이상 고파랑 현상 등을 예측하는 데 KdV 방정식이 활용될 수 있다.

KdV 방정식은 밀도 성층화된 해양의 긴 내부파와 같이, 약한 비선형 복원력을 가진 얕은 물결 등 여러 물리적 환경에서 장파, 일차원 파동의 진화를 근사적으로 설명한다. 한국 해양학자들은 KdV 방정식의 변형 및 개선을 통해 한국 해역의 특성에 맞는 파랑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6. 1. 한국 해양학에서의 응용 (추가)

한국 해양학에서는 KdV 방정식을 활용하여 동해, 서해, 남해 등 한국 주변 해역의 파랑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안 지역에서의 파랑 변형, 이상 고파랑 현상 등을 예측하는 데 KdV 방정식이 활용될 수 있다.

KdV 방정식은 밀도 성층화된 해양의 긴 내부파와 같이, 약한 비선형 복원력을 가진 얕은 물결 등 여러 물리적 환경에서 장파, 일차원 파동의 진화를 근사적으로 설명한다. 한국 해양학자들은 KdV 방정식의 변형 및 개선을 통해 한국 해역의 특성에 맞는 파랑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7. 변형

코르테베흐-더프리스 방정식(KdV)은 다양한 변형된 형태가 존재하며, 각각 다른 물리적 상황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여러 변형 방정식이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름방정식
KdV (일반화)\displaystyle \partial_t u + \partial_x^3 u + \partial_x f(u) = 0
KdV (수정)\displaystyle \partial_t u + \partial_x^3 u \pm 6 u^2 \partial_x u = 0
가드너 방정식\displaystyle \partial_t u + \partial_x^3 u -(6\varepsilon^2u^2 + 6 u)\partial_x u = 0
KdV (구형)\displaystyle \partial_t u + \partial_x^3 u - 6 u \partial_x u + \tfrac{1}{t}u = 0
KdV (초)\displaystyle \begin{cases} \partial_t u = 6 u \partial_x u - \partial_x^3 u + 3 w \partial_x^2 w \\ \partial_t w = 3 (\partial_x u) w + 6 u \partial_x w - 4 \partial_x^3 w \end{cases}
KdV-버거스 방정식\displaystyle \partial_t u + \mu \partial_x^3 u + u \partial_x u -\nu \partial_x^2 u = 0



이 외에도 KdV (원통형), KdV (변형된), KdV (일반화), KdV (수정된 수정), KdV (전이), KdV (변수 계수), 비 균질 KdV 등의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참조

[1] 문서 法則の事典 "#Reference-Kotobank[...]
[2] 문서 Weisstein "#Reference-Mathworl[...]
[3] 서적 Solit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KdV & KAM Springer-Verlag 2003
[5] 저널 Essai sur la théorie des eaux courantes http://gallica.bnf.f[...]
[6] 저널 On the origin of the Korteweg–de Vries equation
[7] 저널 On the change of form of long waves advancing in a rectangular canal, and on a new type of long stationary waves
[8] 저널 The Korteweg–De Vries equation: A historical essa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