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 정리 (군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시 정리 (군론)는 유한군 G의 위수 |G|의 소인수 p가 존재하면, G는 위수가 p인 원소를 갖는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1845년에 증명되었으며, 군의 위수의 소인수 분해와 부분군에 소수 위수의 순환군이 존재함의 관계를 보여준다. 코시 정리는 아벨 군의 경우와 일반적인 경우에 대한 두 가지 증명 방법이 있으며, 군 작용을 이용한 증명도 존재한다. 이 정리는 기본 아벨 군의 분류, 쉴로브 정리의 증명 등 군론의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론 정리 - 라그랑주 정리 (군론)
라그랑주 정리(군론)는 군 G와 부분군 H에 대해 |G| = |G:H||H|가 성립하며, 유한군 G의 경우 |H|가 |G|의 약수임을 나타낸다. - 군론 정리 - 번사이드 정리
번사이드 정리는 유한군 G의 크기가 소수 p, q와 음이 아닌 정수 m, n에 대해 pmqn 꼴이면 G가 가해군이라는 정리이며, 프로베니우스, 조르당에 의해 일부 경우가 증명되었고 번사이드에 의해 일반적인 경우가 증명되었으며, 표현론을 사용하지 않는 증명도 존재한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리만 방정식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해석학에서 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복소 평면에서 정의된 함수가 정칙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관련된다. - 유한군 - 공간군
공간군은 결정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230가지 수학적 군으로, 브라베 격자와 결정학적 점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병진 대칭, 점군 대칭 작용, 나사축, 미끄럼면 등의 대칭 작용을 포함하고, 결정 구조 이해와 물리적 성질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유한군 - 라그랑주 정리 (군론)
라그랑주 정리(군론)는 군 G와 부분군 H에 대해 |G| = |G:H||H|가 성립하며, 유한군 G의 경우 |H|가 |G|의 약수임을 나타낸다.
코시 정리 (군론) | |
---|---|
코시 정리 (군론) | |
분야 | 군론 |
설명 | 유한군의 크기가 어떤 소수로 나누어 떨어지면 그 소수를 차수로 가지는 원소가 존재한다. |
증명 방법 | 귀납법 |
관련 항목 | 시로 정리 |
역사적 정보 | |
명명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발표년도 | 1845년 |
2. 정의
소수 가 유한군 의 위수 의 소인수라면, 는 위수가 인 원소를 갖는다.[4]
프랑스의 수학자 오귀스탱 루이 코시의 이름이 붙어 있다. 1845년에 코시가 이 정리를 증명하였다.[2][3] 1872년에는 쉴로브(Sylow)가 이 정리를 소수 p의 멱으로 확장한 쉴로브 정리를 증명하였다.
코시 정리의 증명은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4]
3. 역사
4. 증명
강한 귀납법과 켤레류 방정식을 사용하거나, 군 작용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군 작용을 이용한 증명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차 대칭군 속의 순환 로 생성된, 크기 의 순환군은 다음 집합 위에 자연스럽게 작용한다.
:
이 작용은 다음과 같다.
:
궤도-안정자군 정리에 따라 이 군의 작용의 각 궤도의 크기는 1 또는 이다. 크기 1의 궤도의 수는 인 원소 의 수와 같다. 즉, 차 원소의 수와 1차 원소(항등원 )의 수의 합이며, 특히 이는 양의 정수이다.
의 각 원소는 그 앞의 개의 성분으로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이며, 이는 의 배수이다. 또한, 궤도들은 를 분할하므로, 크기 의 궤도들의 수의 배와 크기 1의 궤도들의 수의 합은 이다. 따라서 크기 1의 궤도의 수 역시 의 배수이며, 특히 이상이다. 즉, 적어도 개의 차 원소가 존재한다.[4]
귀납법 및 켤레류 방정식을 이용한 증명은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4. 1. 증명 1 (귀납법, 켤레류 방정식)
코시 정리의 증명은 강한 귀납법과 켤레류 방정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주어진 군 가 아벨 군인 경우를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유한군으로 확장한다.[4]
4. 1. 1. 아벨 군의 경우
소수 가 유한군 의 크기 의 소인수일 때, 가 아벨 군이면 위수가 인 원소가 존재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귀류법을 사용하여 가 차 원소를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가 최소 크기의 반례라고 가정한다.
는 순환군일 수 없다. 만약 가 로 생성된 순환군이라면, 는 의 차 원소가 되기 때문이다.
를 임의로 취하고, 를 로 생성된 순환군이라고 하면, 이다. 또한, 는 의 위수 의 약수가 아니다. 만약 라면, 가 차 원소를 가지므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며, 이므로, 몫군 은 차 원소 ()를 가진다. 즉, 이며 이다.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