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치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치도마뱀붙이는 꼬리까지 10cm에 이르는 날씬한 도마뱀붙이류이다. 동부 지중해와 흑해 연안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절벽, 건조한 돌이 많은 지역, 관목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야행성이지만 시원한 계절에는 낮에도 활동하며, 2개의 알을 낳아 번식한다. IUCN 적색 목록에 '관심 필요'로 등재되어 있으며, 탈산림화가 위협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0년 기재된 파충류 - 남고츠가는도마뱀붙이
    남고츠가는도마뱀붙이는 인도 남부 숲에 서식하며 둥근 주둥이, 작은 귓구멍, 불규칙한 비늘로 덮인 머리, 짙은 갈색 물결무늬와 흰색 반점이 있는 몸통, 짧고 강한 다리, 좁은 공간에서 민첩하게 움직이는 발가락, 원통형 꼬리를 가진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 1870년 기재된 파충류 - 보석거북
    보석거북은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며, 성장하면서 몸 색깔과 등 껍질의 능선이 변하고 최대 27cm까지 자라는 잡식성 거북으로,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코치도마뱀붙이
분류
학명Mediodactylus kotschyi
명명자슈타인다흐너, 1870
이명Gymnodactylus kotschyi Steindachner, 1870
Cytrodactylus [sic] kotschyi — Nader & S.Z. Jawdat, 1976
Cyrtodactylus kotschyi — Baran & Gruber, 1982
Cyrtopodion kotschyi — Rösler, 2000
Mediodactylus kotschyi — Szczerbak, 2003
보전 상태
IUCNLC - 최소 관심
IUCN 평가 기준IUCN 3.1
IUCN 참고볼프강 뵈메, 페트로스 림베라키스, 라스트코 아이티치, 아흐마드 무함마드 무사 디시, 예후다 베르너, 바로르 토크, 이스마일 H. 우우르타슈, 무라트 세빈치, 수아드 흐라우이-블로케, 리야드 사데크, 피에르-앙드레 크로셰, 이드리즈 학시우, 클라우디아 코르티, 로베르토 신다코, 야쿠프 카스카, 유수프 쿰루타슈, 아지즈 아브츠, 나잔 위줌, 잔 예니유르트, 페르디 아카르수, 옐카 츠르노브르냐 이사일로비치, 2009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아목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코치도마뱀붙이속 (Mediodactylus)
코치도마뱀붙이 (Mediodactylus kotschyi)
이미지
Cyrtopodion kotschyi
코치도마뱀붙이

2. 형태

코치도마뱀붙이는 꼬리까지 10 cm에 이르는 날씬한 도마뱀붙이류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살짝 크다.[8] 사지와 꼬리는 가늘고, 등과 꼬리에는 작은 결절들이 나있다.[8][4] 발가락에는 빨판이 없지만 길다란 편이고 중간에 휘어져있다.[8] 체색은 상당히 다채로우며 노랑빛 갈색, 회색빛 갈색, 짙은 갈색이나 붉은빛 검은색 바탕에, 등을 가로지르는 짙은 색깔의 W자 무늬가 나있다.[8][4] 다른 도마뱀붙이류처럼 무늬는 변하지 않지만 전체적인 색조는 추울 때는 짙어지고 더울 때는 밝아진다.[8] 밑부분은 노랑색이나 주황색이다.[8][4]

링크

3. 분포 및 서식지

코치도마뱀붙이는 주로 동부 지중해흑해 연안 지역에 분포한다.[1] 우크라이나(크림 반도), 불가리아,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 그리스, 키프로스(사이프러스), 튀르키예(터키),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및 남부 이탈리아(풀리아)가 원산지이다.[1][5]

전형적인 서식지는 절벽, 건조한 돌이 많은 지역, 관목 지대, 나무 줄기, 돌담, 건물의 외부 및 내부 벽이다.[1] 고도 1,700m에 이르는 곳에서까지 발견되지만, 주로 저지대에 서식한다.[5][1]

4. 생태

코치는 주로 야행성이지만 시원한 계절에는 낮에도, 특히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활동적이다. 발가락에 빨판이 없지만 굉장히 잘 기어오른다. 하지만 기어오르기를 좋아하지 않으며 흔히 발견되는 벽도마뱀에 비해 높이 기어오르지 않는다.[8] 방해를 받으면 빽빽한 덤불 속으로 물러나고, 바위 사이의 틈새에 숨거나, 돌출부의 밑부분에 매달린다. 건물에서는 자주 발견되지는 않는다. 높은 음정으로 "칙칙칙"하고 짖으며, 암수는 구애를 할 때 서로에게 짖을 수도 있다.[8]

암컷 코치도마뱀붙이는 한 번에 두 개, 때로는 한 개의 을 바위 밑이나 균열 안에 낳는다.[8][4] 11~18 주 후에는 2 cm 정도의 유체가 부화한다.[8] 유체는 2년이 지나면 성숙하며, 코치도마뱀붙이는 사육 상태에서는 9년까지 살아간다고 알려져있다.[8]

4. 1. 번식

암컷 코치도마뱀붙이는 한 번에 두 개, 때로는 한 개의 알을 바위 밑이나 균열 안에 낳는다.[8][4] 11~18 주 후에는 2 cm 정도의 유체가 부화한다.[8] 유체는 2년이 지나면 성숙하며, 코치도마뱀붙이는 사육 상태에서는 9년까지 살아간다고 알려져있다.[8]

5. 보전 상태

코치도마뱀붙이는 IUCN에 "관심 필요"로 등재되었는데, 굉장히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의 분포영역에서 흔하기 때문이다.[5][1] 개체수의 현황은 미지수이지만, 딱히 당면한 위협은 없다.[5][1] 그렇지만 코치도마뱀붙이가 주로 나무줄기에서 서식하는 이스라엘과 요르단에서는 탈산림화가 문제가 될 수 있다.[5][1] 코치는 종복합체(:en:species complex)일 수도 있으며, 만약 그렇다면 개별 종들은 좀 더 높은 수준의 위기등급이 매겨져야 할지도 모른다.[5][1]

참조

[1] 간행물 "''Mediodactylus kotschyi ''" 2009
[2] 웹사이트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4] 서적 "Field Guide: Reptiles & Amphibians of Britain & Europe" Collins & Co.
[5] 저널 "''Mediodactylus kotschyi ''" http://www.iucnredli[...] "[[IUCN]]" 2009
[6] 웹사이트 "''Mediodactylus kotschyi'' " www.reptile-database[...]
[7]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8] 서적 "Field Guide: Reptiles & Amphibians of Britain & Europe" https://archive.org/[...] Collins &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