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은 330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천도하면서 건설을 시작한 궁전으로, 여러 차례 확장과 재건을 거쳤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세에 니카 반란으로 파괴된 후 대대적으로 재건되었으며, 유스티니아누스 2세와 바실 1세에 의해 추가 확장되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약탈당하고, 라틴 제국 시대에는 쇠퇴를 겪었다. 1261년 미카엘 8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했을 때 이미 낡은 상태였으며, 오스만 제국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점령당한 후에는 폐허가 되었다. 현재는 일부 유적만 남아 있으며,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궁전은 술탄 아흐메트 모스크 등 오스만 시대 건물 아래에 있어 전체 발굴은 어려운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의 역사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이스탄불의 역사 - 게지 공원 시위
게지 공원 시위는 2013년 이스탄불의 게지 공원 재개발 계획에 반대하며 시작되어 에르도안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에 대한 반발로 확산되었고, 터키 사회의 광범위한 불만을 표출하며 터키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 대규모 시위이다. - 동로마 제국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동로마 제국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27년부터 38년간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대전 편찬,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고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통한 정복 전쟁, 교회 정책 추진 등으로 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코 잠들지 않는 황제"였다. - 동로마 제국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동로마 제국 - 크룸
크룸은 800년경 불가리아의 군주로, 아바르족을 격파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불가리아 최초의 성문법전을 제정하여 강력한 통치를 펼쳤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메가 팔라티온 (Μέγα Παλάτιον), 성스러운 궁전 (Ἱερὸν Παλάτιον), 팔라티움 마그눔 (Palatium Magnum), 비잔틴 대궁전, 콘스탄티노플의 위대한 궁전 |
위치 | 콘스탄티노플 (현재의 이스탄불) |
좌표 | 41°00′20″N 28°58′33″E |
역사 | |
건축 시작 | 4세기 초 |
주요 증축 및 변경 | 유스티니아누스 1세 (6세기) 바실리우스 1세 (9세기) |
몰락 시작 | 11세기 후반 |
최종 파괴 | 제4차 십자군 (1204년) |
현재 | 대부분의 건물이 파괴됨. 일부 유적 발굴 및 연구 진행 중. 이스탄불 모자이크 박물관에 일부 모자이크 유물 전시. |
구조 및 특징 | |
주요 시설 | 다프네 궁전 콘스탄티노플 히포드롬 카티스마 트리콘치 궁전 성스러운 궁전 교회 마그나우라 칼케 문 황제의 침실 황제의 정원 황제 개인의 목욕탕 황제 개인의 도서관 |
건축 양식 | 비잔틴 건축 |
장식 | 모자이크 대리석 조각 프레스코 벽화 |
특징 | 여러 궁전, 교회, 정원, 광장, 욕탕, 경기장 등 다양한 건물 복합체 황제 권위 상징 뛰어난 건축 기술과 예술성 |
주요 유적 | |
주요 유적 | 모자이크 박물관 콘스탄티노플 히포드롬 일부 유적 몇몇 궁전 기초 유적 |
추가 정보 | |
중요도 | 비잔티움 제국 정치, 행정, 문화 중심지 |
발굴 및 연구 | 영국 고고학 연구소 등에서 진행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The Great Palace of the Byzantine Emperors (G.P. Majeska) The Great Palace at Constantinople (T.F. Mathews) The Oxford Handbook of Byzantine Studies (Elizabeth Jeffreys, John Haldon, Robin Cormack) |
2. 역사
330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수도를 옮기면서 자신과 후계자들을 위한 궁전을 짓기로 하고, 경마장과 아야 소피아 사이에 궁전을 마련하였다. 이후 궁전은 여러 차례 확장 및 복원되었는데, 특히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테오필로스 치세에 대규모 복원 및 확장이 이루어졌다.
13세기 초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은 콘스탄티노플의 통치와 의례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하지만 콤네노스 왕조 초기부터 황제의 거처는 블라케르나이의 궁전 쪽이 더 선호되었다. 제4차 십자군 당시 콘스탄티노플은 십자군에게 약탈당했고, 이때 몬테라토 후작 보니파치오가 이끄는 군사들에게 대궁전 역시 약탈당했다. 십자군이 세운 라틴 제국에서 대궁전을 사용하였으나, 수복할 자금이 부족했다. 라틴 제국 마지막 황제 보두앵 2세 드 쿠르토네는 궁전의 납판 지붕을 뜯어 팔기도 했다.
1261년, 황제 미카엘 8세 팔라이올로고스의 군대가 콘스탄티노플을 탈환하였을 때, 대궁전은 거의 무너져 있었다. 팔라이올로고스 왕조의 황제들은 대궁전을 방치하고 블라케르나이의 궁전을 주로 사용하였다. 1453년에 메메드 2세가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고 성으로 입성했을 때, 대궁전은 폐허가 되어 그 빈 터에 연못이나 별장이 들어차 있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의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 초기 콘스탄티노플 전체의 재건 과정에서 철거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초 화재로 대궁전의 옛 터 일부가 드러났다. 당시 독방, 수많은 큰 방, 무덤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발견되었다. 대궁전 발굴 조사는 현재도 이스탄불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발굴된 것은 대궁전 부지의 1/4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술탄 아흐메트 모스크와 그에 딸린 건물이 세워져 있어 대규모 발굴은 불가능하다. 발굴된 모자이크화 대부분은 이스탄불의 모자이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 1. 초기 역사 (4세기 - 7세기)
콘스탄티누스 1세가 330년에 비잔티움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재건하면서 자신을 위한 궁전을 계획했다. 이 궁전은 히포드롬과 성 소피아 대성당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4]이 궁전 단지는 역사 동안 여러 차례 재건되고 확장되었다. 532년 니카 반란으로 궁전 단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 의해 호화롭게 재건되었다.[4] 유스티니아누스 2세와 바실리우스 1세에 의해서도 추가적인 확장과 변경이 이루어졌다.
2. 2. 중기 역사 (7세기 - 11세기)
유스티니아누스 2세와 바실리우스 1세에 의해 궁전이 확장되고 변경되었다.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에는 궁전이 낡아 수리가 필요했다는 기록이 있다. 11세기부터 황제들은 블라케르나이 궁전을 황실 거주지로 선호했지만, 대궁전은 여전히 도시의 주요 행정 및 의례 중심지로 사용되었다.[4]2. 3. 쇠퇴와 몰락 (11세기 - 15세기)
제4차 십자군 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십자군에게 약탈당했는데, 이때 몽페라의 보니파시오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대궁전 역시 약탈당했다.[4] 라틴 제국 (1204년 - 1261년) 시대에도 대궁전이 사용되었으나, 유지 보수 자금이 부족하여 쇠퇴가 가속화되었다.[4] 라틴 제국의 마지막 황제 보두앵 2세 드 쿠르토네는 궁전의 연판제 기둥을 뽑아 팔기도 했다.[4]1261년, 황제 미카엘 8세 팔라이올로고스의 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했을 때 대궁전은 이미 낡은 상태였다.[4] 팔라이올로고스 왕조의 황제들은 대궁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블라케르나이 궁전을 선호했다.[4] 1453년 메메드 2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했을 때 대궁전은 폐허가 되어 있었고, 메메드 2세는 페르시아 시인 피르다우시의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고 전해진다.[4]
「거미는 제왕의 궁전에 제 집을 치고
올빼미는 아프라시야브의 탑에서 우네.」[4]
2. 4. 오스만 제국 시대 이후
오스만 제국 초기 콘스탄티노폴리스 재건 과정에서 대궁전의 상당 부분은 철거되었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여러 개의 작은 모스크가 있는 주택으로 바뀌었는데, 술탄 아흐메트 1세가 다프네 궁전과 카티스마 궁전의 잔해를 철거하고 술탄 아흐메트 모스크와 인접 건물을 건설했다.19세기 후반부터 대궁전 유적지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고, 20세기 초 화재로 대궁전의 일부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 감옥 감방, 많은 대형 방, 그리고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구들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대궁전 전체 면적의 4분의 1도 채 발굴되지 않았다.[4] 술탄 아흐메트 모스크와 그 부속 건물들이 대궁전 터 위에 세워져 있어 대규모 발굴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발굴된 모자이크화 대부분은 이스탄불의 모자이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주요 건물 및 구조
- 칼케 문(청동 문): 대궁전 구역의 정문으로, 아우구스타이온 광장에 있었다.
- 아우구스타이온 광장: 아야 소피아 남쪽에 위치한 광장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중심가인 메세가 시작되는 곳이었다.
- 마그나우라 궁전: 광장 동쪽에 위치했으며, 상원 의사당으로 사용되다가 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가 되었다.
- 밀리온(Milion): 광장 서쪽에 위치한 이정표로, 동로마 제국 내 모든 거리의 기점 역할을 했다.
- 제욱시포스 목욕탕: 광장 남쪽에 위치한 로마식 목욕탕으로, 고대 후기까지 목욕탕으로 기능하다가 중세 이후 감옥, 병영, 견직물 공장 등으로 사용되었다.
- 스콜라에 팔라티나에(Scholae Palatinae): 칼케 문 뒤편, 남쪽에 위치한 궁전 경비병 막사.
- 아쿠비타(Accubita): 19개의 침상이 있는 접견실로, 막사 뒤에 위치했다.
- 다프네 궁전(Daphne Palace): 초기 비잔틴 시대의 주요 황궁으로, 황제의 침실(악타곤)을 포함하고 있었다. 히포드롬의 황제석(카티스마)과 직접 연결되는 통로가 있었다.
- 크리소트리클리노스(Chrysotriklinos): 유스티누스 2세가 건립하고 바실 1세가 확장, 개조한 주요 왕좌.
- 파로스의 테오토코스(Church of the Virgin of the Pharos): 궁정 예배당.
- 트리콘코스 궁전(Triconchos): 테오필로스 황제가 건설했으며, 시그마(Sigma)라고 알려진 반원형 전실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 네아 에클레시아(Nea Ekklesia): 바실 1세가 건설한 화려하게 장식된 '새로운 교회'로, 다섯 개의 금박으로 장식된 돔이 있었다. 1490년 낙뢰로 폭발했다.
- 치카니스테리온(Tzykanisterion): 교회와 해벽 사이에 있던 폴로 경기장.
- 부콜레온 궁전: 주요 단지에서 남쪽으로 떨어진 해변가에 위치한 궁전으로, 테오필로스가 해벽의 일부를 이용하여 건설했다.
4. 발굴 조사
초기 발굴 작업은 1921년부터 1923년까지 프랑스 고고학자들에 의해 만가나에 궁전에서 이루어졌다. 훨씬 더 큰 규모의 발굴은 1935년부터 1938년까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 의해 수행되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 데이비드 탈봇 라이스의 감독하에 추가 발굴이 이루어져 아라스타 바자르의 남서쪽 건물 중 한 부분이 발굴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대궁전 모자이크 박물관에 보존된 훌륭한 벽면 및 바닥 모자이크들을 발견했다.[2]
참조
[1]
서적
Architecture, ceremonial, and power: The Topkapi Palace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2]
웹사이트
Palace of the Emperors Excavation
http://biaa.ac.uk/re[...]
British Institute of Archaeology at Ankara
2015-03-13
[3]
서적
Architecture, ceremonial, and power: The Topkapi Palace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1991
[4]
서적
Architecture, ceremonial, and power: The Topkapi Palace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