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는 9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였다. 그는 뛰어난 학식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에서 문법, 수사학, 철학 등을 가르쳤다. 포티오스는 총대주교로 임명되기 전 황제의 고위 관료로 일했으며, 858년 총대주교 임명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갈등을 겪었다. 그는 불가리아의 개종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의 분열에 영향을 미쳤다. 포티오스는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특히 《비블리오테카》는 고대 그리스 문헌에 대한 중요한 서평을 담고 있다. 그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으며 비잔틴 제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포티오스는 동로마 제국을 대표하는 학자로, 7세기 전란으로 흩어진 고대 그리스 문헌 수집에 힘썼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제국 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851년경 황제 직속 상서국 장관에 임명되었고, 858년 미카엘 3세 황제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포티오스 임명에 이그나티오스 전 총대주교 지지 세력을 중심으로 한 반(反) 포티오스파는 로마 교황과 손잡고 격렬하게 반발했다. 863년 니콜라오 1세 로마 교황은 라테라노 교회 회의에서 포티오스 폐위를 선언했다.

867년 미카엘 3세 황제 주재 교회 회의는 니콜라오 1세 교황을 파문하고, 로마 교회의 필리오케 문제에 대해 "아들로부터 발출한다"는 교리를 이단으로 결정했다. 863년부터 867년까지 로마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간 대립은 ""라고 불린다.

867년 쿠데타로 바실리우스 1세 (재위: 867년 - 876년)가 동로마 황제가 되자, 바실리우스 1세는 로마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포티오스를 파면하고 이그나티오스를 재임명했다. 869년부터 870년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포티오스 추방이 의결되었다.

불가리아 교회 귀속 문제 등으로 로마 교황과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자, 바실리우스 1세는 877년 포티오스를 총대주교로 재임명하고 황자들 교육을 맡겼다. 879년부터 88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회의에서 교황 특사도 포티오스 복권을 인정, "포티오스 분리"는 종결되었다.

886년 바실리우스 1세 사망 후, 포티오스 제자였던 바실리우스 아들 레오 6세 (재위: 886년 - 912년)가 황위에 오르자, 레오 6세는 포티오스를 아르메니아로 추방했고, 포티오스는 그곳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학문적 배경

포티오스의 가계나 조상에 대해서는 아버지가 총대주교를 지낸 타라시우스와 형제 사이고 외삼촌이 여제 테오도라의 여동생과 결혼했다는 사실 외에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9] 그는 저명한 가문 출신으로, 그의 삼촌 성 타라시우스는 이레네 황제와 니케포로스 1세 황제 치하에서 784년부터 806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다. 814년에 시작된 제2차 성상 파괴 운동 동안 그의 아버지 세르기오스가 저명한 성상 옹호자였기 때문에 그의 가족은 박해를 받았다. 세르기오스의 가족은 842년 성상 복원 이후에야 다시 총애를 받았다.[10]

포티오스는 원래 성직자가 아니라 학자였다. 그는 뛰어난 학식과 학문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학에서 문법과 수사학, 철학 등을 가르쳤다. 포티오스는 훌륭한 교육을 받았지만, 그가 어떻게 이 교육을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없다. 그가 소유했던 유명한 도서관은 그의 엄청난 박식함(신학, 역사, 문법, 철학, 법, 자연 과학, 의학)을 증명한다.[13] 그는 유명한 비잔틴 학자이자 교사인 레오의 친구였다.[15]

포티오스는 젊었을 때 수도원 생활에 대한 경향이 있었지만, 대신 세속적인 경력을 시작했다고 한다.

2. 2. 총대주교 임명과 로마와의 갈등

851년경 포티오스는 황제 직속 관료인 상서국 장관에 임명되었고, 858년에는 황제 미카엘 3세(재위: 838년 - 867년)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18]

포티오스의 총대주교 임명은 논란을 일으켰다. 이전 총대주교였던 이그나티오스를 지지하는 세력은 포티오스가 성직자가 아닌 재속 신도였다는 점을 문제 삼아 로마 교황과 손을 잡고 격렬하게 반발했다. 863년 로마 교황 니콜라오 1세는 라테라노 교회 회의에서 포티오스의 폐위를 선언했다.[19]

867년, 포티오스는 황제 미카엘 3세 주재의 교회 회의를 통해 교황 니콜라오 1세를 파문하고, 로마 교회의 필리오케 문제에 대해 "아들로부터 발출한다"라는 교리를 이단으로 결정했다. 863년부터 867년까지의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간의 대립 상태는 이후 "포티오스 분리"라고 불린다.[20]

867년 쿠데타로 바실리우스 1세 (재위: 867년 - 876년)가 동로마 황제가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바실리우스 1세는 로마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포티오스를 파면하고 이그나티오스를 복직시켰다. 869년부터 870년까지 열린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는 포티오스의 추방이 의결되었다.[21]

그러나 불가리아 교회의 귀속 문제 등으로 로마 교황과의 관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자, 바실리우스 1세는 877년에 포티오스를 총대주교로 다시 임명하고 황자들의 교육을 맡겼다. 879년부터 880년까지 열린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회의에서 교황의 특사도 포티오스의 복권을 인정하면서 "포티오스 분리"는 종결되었다.[24]

포티오스는 그 후에도 총대주교직을 유지했지만, 886년 바실리우스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레오 6세 (재위: 886년 - 912년)가 황위에 오르면서 상황이 다시 변했다. 레오 6세는 아버지와 대립 관계에 있었고, 아버지의 협력자였던 포티오스를 아르메니아로 추방했다.[29]

2. 3. 실각과 복위

867년 바실리우스 1세(재위: 867년 - 876년)가 쿠데타를 일으켜 동로마 황제가 되자, 바실리우스 1세는 로마 교회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포티오스를 파면하고 이그나티오스를 다시 총대주교에 임명했다.[19] 869년부터 870년까지 열린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포티오스의 추방이 의결되었다.[20]

그러나 불가리아 교회의 귀속 문제 등으로 교황과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자, 바실리우스 1세는 생각을 바꾸어 877년 포티오스를 다시 총대주교로 임명하고 황자들의 교육을 맡겼다.[22] 879년부터 880년에 걸쳐 열린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회의에서는 교황의 특사도 포티오스의 복권을 인정하여, "포티오스 분리"가 종결되었다.

886년 바실리우스 1세가 사망하고 포티오스의 제자였던 바실리우스의 아들 레오 6세(재위: 886년 - 912년)가 황위에 오르자, 아버지 바실리우스와 대립했던 레오 6세는 아버지의 협력자였던 포티오스를 아르메니아로 추방했고, 포티오스는 그곳에서 사망했다.[29]

2. 4. 두 번째 실각과 말년

바실리우스 1세 황제의 말년에는 여러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포티오스만이 황제를 위로할 수 있었다고 한다. 특히 바실리우스는 아들 레오 6세를 싫어했는데 포티오스가 그런 황제를 더욱 부추기기도 했다.[26]

886년 바실리우스 1세가 사고로 죽고 레오 6세가 제위에 올랐다. 레오 6세는 제위에 오르자마자 포티오스를 실각시켰고, 887년에는 반역죄로 몰아 아르메니아의 외딴 수도원에 유배했다. 포티오스는 그곳에서 자유롭게 신학과 문학 연구를 하면서 여생을 보내다가 893년에 조용히 죽었다.[26]

3. 저서

포티오스는 당대 동로마 제국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7세기 전란으로 소실된 고대 그리스 문헌 수집에 힘썼으며, 콘스탄티노플 제국 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다:


  • '''비블리오테카(Bibliotheca) 또는 미리오비블론(Myriobiblon)''': 280권 분량의 고전 서평집으로, 845년 압바스 왕조의 사마라 궁정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 편찬 논의가 있었다. 압바스 왕조의 그리스 고전 번역 운동에 자극받아 편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0] 폴 레메를을 비롯한 비잔틴 역사 전문가들은 포티오스가 대사 임명 이전에 젊은 시절부터 읽었던 책들의 요약을 형제에게 보낸 기록을 근거로 바그다드에서 비블리오테카를 편찬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한다.[41] 크테시아스, 헤라클레아의 멤논, 코논,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아리아누스 등의 유실된 저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렉시콘(Λέξεων Συναγωγή)''': 《비블리오테카》보다 늦게 출판되었으며, 고전 및 종교 저술의 낡은 어휘를 설명하는 참고 도서이다.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 도서관의 코덱스 갈레아누스(Codex Galeanus)와 베를리넨시스 그라엑.(Berlinensis Graec. Oct.) 22가 유일한 필사본이었으나, 1959년 그레베나 자보르다 수도원에서 완전한 필사본인 코덱스 자보르덴시스(Codex Zaberdensis) 95가 발견되었다.[43]
  • '''암필로키아(Amphilochia)''': 키지쿠스 대주교 암필로키우스를 위한 성경 난해 구절에 대한 질의응답 모음집이다.
  • '''마니교와 바울파에 반대하는 4권의 논문'''
  • '''기독교의 성령 강림에 대한 라틴교와의 논쟁'''
  •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에게 보낸 신학적 조언 편지'''
  • '''군주의 거울 2편''': 불가리아의 보리스-미하엘과 현명한 레오 6세에게 보낸 글이다.[44]
  • '''필로스토르기우스의 교회사 요약본''' (현재 유실)


포티오스는 성령의 신비주의라는 저서를 남겼으며, 1983년과 1987년에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45][46]

포티오스는 고대 그리스 고전에 대한 깊은 조예로 정적들조차 감탄할 정도의 박식함을 지녔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고대 그리스 문화 부흥 노력은 콘스탄티누스 7세 시대의 마케도니아 왕조 르네상스라 불리는 비잔틴 문화 융성에 기여했다.

4. 평가 및 영향

포티오스 1세는 9세기 비잔티움 제국뿐만 아니라 전체 비잔틴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당대 최고의 지식인 중 한 명이었으며, 반대자들조차 그의 신학적 업적을 인정할 정도였다.[38][39] 그는 교회 분쟁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성과 문학 작품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포티오스는 고대 그리스 고전에 매우 정통했으며, 그의 해박함은 정적들마저 감탄하게 만들었다. 그가 주도한 고대 그리스 문화 부흥은 훗날 마케도니아 왕조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비잔틴 문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4. 1. 긍정적 평가

포티오스 1세는 9세기 비잔티움뿐만 아니라 비잔틴 제국 전체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 당대 가장 학식이 풍부한 인물 중 한 명이었고, 심지어 일부 반대자들에게서도 동시대 가장 다작의 신학자로 존경받았으며, 교회 분쟁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성과 문학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38][39]

타타케스는 포티오스를 "이론보다는 실천에 더 기울어진 마음"이라고 평가하며, 포티오스 덕분에 인문주의가 중세 비잔틴의 민족 의식의 기본 요소로서 정교회에 추가되었고, 초기 비잔틴 시대에 인문주의가 차지했던 위치로 되돌아갔다고 믿는다. 또한 포티오스가 이러한 민족 의식을 이해하고 서방 교회와의 논쟁에서 그리스 민족과 그 영적 독립의 수호자로 부상했다고 주장한다.[38]

에이드리언 포테스큐는 그를 "중세 시대 전체에서 가장 훌륭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간주하며, "그가 대분열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면 그는 항상 동시대 최고의 학자로 기억되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39]

포티오스는 고대 그리스 고전에 대해 매우 조예가 깊었는데, 그 박식함은 정적인 이그나티오스파 인물도 경탄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그나티오스파는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지식을 얻었음에 틀림없다"라고 비난했다).

그에 의해 시작된 고대 그리스 문화의 부흥은 콘스탄티노스 7세 시대에 후세에 "마케도니아 왕조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비잔틴 문화의 대흥륭을 가져오게 된다.

포티오스가 편찬했다고 여겨지는, 280권이나 되는 고전에 관한 서평을 기재한 Bibliotheca (Photius)|도서 총람영어은 그가 845년에 사마라의 아바스 왕조의 궁정으로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 편찬되었다는 논의가 있다. 즉, 아바스 왕조의 그리스 고전 번역 운동에 자극을 받아 편찬했다는 가능성이 있다.

4. 2. 부정적 평가

포티오스 1세는 9세기 비잔티움과 비잔틴 제국 역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당대 가장 학식이 풍부한 인물 중 한 명이었고, 심지어 일부 반대자들에게서도 동시대 가장 다작의 신학자로 존경받았다.[38] 그는 교회 분쟁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성과 문학 작품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타타케스는 포티오스의 지적 업적을 분석하며 그를 "이론보다는 실천에 더 기울어진 마음"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포티오스 덕분에 인문주의가 중세 비잔틴의 민족 의식의 기본 요소로서 정교회에 추가되었고, 초기 비잔틴 시대에 인문주의가 차지했던 위치로 되돌아갔다고 믿는다. 또한 포티오스가 이러한 민족 의식을 이해하고 서방 교회와의 논쟁에서 그리스 민족과 그 영적 독립의 수호자로 부상했다고 주장한다.[38]

에이드리언 포테스큐는 그를 "중세 시대 전체에서 가장 훌륭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간주하며, "그가 대분열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면 그는 항상 동시대 최고의 학자로 기억되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39] 그러나 포테스큐는 포티오스가 분열에 연루된 것을 똑같이 단호하게 비난한다. 그는 포티오스의 탐욕스러운 야망과 총대주교직을 얻고 유지하려는 결단력이 그를 극도의 부정직함으로 이끌었다고 비판한다. 포테스큐는 이그나티우스가 살아있는 한 정당한 총대주교였고 포티오스는 침입자였다는 사실은 교회를 단순히 시민 정부의 노예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이 자리를 지키기 위해 포티오스가 가장 낮은 수준의 기만에 빠졌다고 비난한다.[39]

4. 3. 현대적 의의

포티오스 1세는 9세기 비잔티움뿐만 아니라 비잔틴 제국 전체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 당대 가장 학식이 풍부한 인물 중 한 명이었고, 심지어 일부 반대자들에게서도 동시대 가장 다작의 신학자로 존경받았으며, 교회 분쟁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그의 지성과 문학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38]

타타케스는 그의 지적 업적을 분석하면서, 포티오스를 "이론보다는 실천에 더 기울어진 마음"이라고 평가한다. 그는 포티오스 덕분에 인문주의가 중세 비잔틴의 민족 의식의 기본 요소로서 정교회에 추가되었고, 초기 비잔틴 시대에 인문주의가 차지했던 위치로 되돌아갔다고 믿는다. 또한 포티오스가 이러한 민족 의식을 이해하고 서방 교회와의 논쟁에서 그리스 민족과 그 영적 독립의 수호자로 부상했다고 주장한다.[38] 에이드리언 포테스큐는 그를 "중세 시대 전체에서 가장 훌륭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간주하며, "그가 대분열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면 그는 항상 동시대 최고의 학자로 기억되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39] 그러나 포테스큐는 포티오스가 분열에 연루된 것을 똑같이 단호하게 비난한다. "하지만 그의 성격의 다른 측면도 마찬가지로 분명하다. 그의 탐욕스러운 야망, 총대주교직을 얻고 유지하려는 그의 결단력은 그를 극도의 부정직함으로 이끌었다. 그의 주장은 가치가 없었다."[39]

포티오스는 고대 그리스 고전에 대해 매우 조예가 깊어, 그 박식함은 정적인 이그나티오스파의 인물도 경탄할 정도였다.

그에 의해 시작된 고대 그리스 문화의 부흥은 레오 6세의 아들 콘스탄티노스 7세 시대에 후세에 "마케도니아 왕조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비잔틴 문화의 대흥륭을 가져오게 된다.

포티오스가 편찬했다고 여겨지는, 280권이나 되는 고전에 관한 서평을 기재한 Bibliotheca|비블리오테카|도서 총람영어는 그가 845년에 사마라의 아바스 왕조 궁정으로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 편찬되었다는 논의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hotius the Great, Patriarch of Constantinople https://www.goarch.o[...] The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24-11-14
[2] 서적 Readings, Cases, Materials in Canon Law: A Textbook for Ministerial Students, Revised Edition The Liturgical Press
[3] 웹사이트 The Life of Patriarch Photios https://photius.com/[...] Holy Cross Orthodox Press 2024-11-14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Epistola II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서적 The Entry of the Slavs into Christendom: An Introduction to the Medieval History of the Slav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17] 논문
[18] 서적 La Géographie Ecclésiastique de l'Empire Byzantin. 1. Part: Le Siège de Constantinople et le Patriarcat Oecuménique. 3rd Vol. : Les Églises et les Monastères Institut Français d'Etudes Byzantines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서적 The Papacy: Gaius-Proxi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25] 서적 Origins of the European Economy: Communications and Commerce AD 300-9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웹사이트 The Errors of the Greeks Condemned in Three General Councils https://sensusfideli[...] 2018-01-17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서적 Le Typicon de la Grande Église Pontifical Oriental Institute
[36] 웹사이트 Saint Photiu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https://www.oca.org/[...] 2024-11-14
[37] 웹사이트 Saints and Feasts: Photio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https://www.goarch.o[...] 2024-11-14
[38] 논문 Tatakes, Moutafakis, 2003
[3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hotius of Constantinople https://www.newadven[...]
[40] 논문 Jokisch, 2007
[41] 논문 Jokisch, 2007; Lemerle, 1986
[42] 논문 Lemerle, 1986
[43] 웹사이트 The Lexicon of Photius https://www.roger-pe[...] 2011-01-15
[44] 논문 Paidas, 2005
[45] 서적 On the Mystagogy of the Holy Spirit https://books.google[...] Studion Publishers
[46] 서적 The Mystagogy of the Holy Spirit https://books.google[...] Holy Cross Orthodox Press
[47] 논문 Mango, 1980; Plexidas, 2007
[48] 문서 Chronicle https://documentacat[...]
[49] 논문 Lang, 1988
[50] 논문 Charanis, 1963
[51] 논문 Adontz, 1950
[52] 논문 Lemerle, 1986; Plexida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