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라 (이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라는 이라크 티그리스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5500년에서 4800년 사이에 사마라 문화의 중심지였다. 836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무타심이 수도를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옮기면서 번성했으며, 9세기에는 이슬람 건축의 중요한 발전을 보여주는 도시가 되었다. 10세기부터는 시아파의 성지가 되었으며, 알 아스카리 사원이 위치해 있다.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분쟁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도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세계유산 - 아수르
아수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고대 도시이자 국가, 수호신 이름이며 아시리아 문명의 발상지로 종교적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이라크의 세계유산 - 하트라
하트라는 1~2세기 파르티아 제국 시대에 번성한 종교 및 무역 중심지였으나, 사산 왕조에 의해 파괴되었고, 고대 아라비아 건축의 중요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되었지만 ISIL에 의해 일부 파괴되어 복구 중인 고대 도시 유적이다. - 이슬람 성지 -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며,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핵심 쟁점 지역이다. - 이슬람 성지 - 시나이산
시나이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는, 알칼리성 화강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북쪽에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 정상에는 모스크와 예배당이 있다. - 수메르의 도시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의 도시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사마라 (이라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Sāmarrāʾ |
위치 | 이라크 |
설명 | 바그다드 북쪽 |
행정 구역 | |
국가 | 이라크 |
주 | 살라딘 주 |
역사 및 유산 |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등재 명칭 | 사마라 고고 도시 |
ID | 276 |
등재 연도 | 2007 |
위험 지정 | 2007- |
기준 | 문화: ii, iii, iv |
인구 | |
인구 (2003년 추정) | 348,700명 |
2. 역사
선사 시대 사마라 유적은 1911년부터 1914년까지 독일 고고학자 에른스트 헤르츠펠트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 사마라는 표준 유적지가 되어 사마라 문화의 기준이 되었다. 1946년 이후 관련 자료(노트, 편지, 미출간 발굴 보고서, 사진)는 워싱턴 D.C.의 프리 아츠 갤러리에 보관되어 있다.[1] 이 문명은 우바이드 시대와 함께 근동 지역 최초의 도시 국가 중 하나로 번성했으며, 기원전 5,500년부터 기원전 3,900년까지 존속했다.
기원전 690년,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리브는 수르-마라티(Sur-marrati)라는 도시를 재건했다는 기록이 월터스 미술관의 비석에 남아있다.[4] 이는 현대 사마라 맞은편 티그리스 강변의 알-후웨이시(al-Huwaysh)에 있는 요새화된 아시리아 유적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사마라의 고대 지명은 그리스어 ''Souma'', 라틴어 ''Sumere'', 시리아어 ''Sumra''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나흐르완 운하의 북쪽 확장인 카툴 알-키스라위(Qatul al-Kisrawi) 개통( 야쿠트 알-하마위에 따르면 코스로 1세 (531–578)의 업적)으로 더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 완공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탑이 사마라 남쪽 입구에, 궁전이 북쪽 입구 근처 아드-다우르에 건설되었다.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 하룬 알-라시드가 굴착한 보조 운하 카툴 아비 알-준드(Qatul Abi al-Jund)는 796년에 미완성으로 버려졌다. 4세기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가 사망한 도시로 추정된다.
836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무타심은 맘루크 군단과 기존 아바스 군대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수도를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옮겼다.[6] 그는 티그리스 강둑에 새 수도를 건설하고, 중앙아시아, 이란, 북아프리카 출신 경호원들을 위한 요새 정착지로 둘러싸인 광대한 궁궐 단지를 지었다.[6] 이 도시는 칼리프 알-무타와킬 치하에서 더욱 발전했는데, 그는 알-무타와킬리야와 같은 호화로운 궁궐 단지와 847년에 건설된 사마라 대사원 건설을 후원했다.[8] 그는 아들 알-무타즈 (al-Mu'tazz)를 위해 대규모 궁궐 불쿠와라를 지었다. 동방 교회의 교구장 사르기스 (Sargis, 860–72)는 동방 교회의 교구장좌를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옮겼다.[9]
사마라는 892년 알-무타디드가 수도를 바그다드로 다시 옮길 때까지 칼리프의 거주지였으나,[10] 중요한 시장 중심지이자 순례지로 남았다.[10] 12세기와 13세기 동안 강의 흐름 변화로 바그다드와 모술 사이의 주요 도로가 이동하면서, 사마라는 무역 도시로서의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10]
알아스카리 모스크는 시아파의 성지이다. 이 곳에는 10대 시아파 이맘 알리 알하디와 11대 이맘 하산 알아스카리의 영묘(靈廟)가 있다. 무함마드 알마흐디가 시아파의 믿음에 따라 "숨겨진 이맘"으로 가이바로 들어갔다고 전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이곳은 이맘 시아파에게 중요한 순례지가 되었다.[21] 또한, 무슬림들이 숭배하는 예언자 무함마드와 이맘의 여성 친족인 하키마와 나르지스가 묻혀 있어, 이 사원은 중요한 예배 장소 중 하나가 되었다.[21]
20세기 초, 독일 고고학자 에른스트 헤르츠펠트(Ernst Herzfeld)에 의해 사마라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다. 1950년대 사마라 댐 건설로 타르타르 호가 조성되어 바그다드의 홍수 문제가 해결되면서, 많은 지역 주민들이 이주해 와 사마라 인구가 증가했다.[11]
이라크 전쟁 (2003년) 발발 이후, 사마라는 '수니 삼각지대'의 주요 도시로서 수니파 무장 세력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12] 2006년 2월 22일, 알카에다 이라크는 알-아스카리 사원의 황금 돔을 폭파했고(2006년 알-아스카리 사원 폭탄 테러),[13]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폭동과 보복 공격이 발생하여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다. 2007년 6월 13일, 수니파 반군은 다시 사원을 공격하여 돔 옆 두 개의 미나렛을 파괴했다.[13] 2014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는 북부 이라크 공세의 일환으로 사마라를 공격, 점령을 시도했으나 이라크 지상군과 SWAT 부대에 의해 격퇴되었다.[19]
2. 1. 선사 시대
텔 소완 유적에서 관개 수로의 흔적이 발견된 청동기 시대 사마라 문화(기원전 5500년 ~ 기원전 4800년)와는 달리, 진흙 벽돌 폐허로 덮인 현재의 고고 유적을 통해 볼 때 사마라는 고대에 단지 가볍게 점유되었다.[1]선사 시대 사마라 유적은 1911년부터 1914년까지 독일의 고고학자 에른스트 헤르츠펠트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 사마라는 표준 유적지가 되어 사마라 문화의 기준이 되었다. 1946년 이후, 노트, 편지, 미출간 발굴 보고서 및 사진은 워싱턴 D.C.의 프리 아츠 갤러리에 보관되어 있다.
이 문명은 우바이드 시대와 함께 근동 지역 최초의 도시 국가 중 하나로 번성했다. 기원전 5,500년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3,900년에 멸망했다.
2. 2. 고대
기원전 690년, 아시리아의 왕 센나케리브는 수르-마라티(Sur-marrati)라는 도시를 재건했다는 기록이 월터스 미술관의 비석에 남아있다.[4] 이는 현대 사마라와 마주보는 티그리스 강변의 알-후웨이시(al-Huwaysh)에 있는 요새화된 아시리아 유적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사마라의 고대 지명은 그리스어 ''Souma'' (프톨레마이오스 V.19, 조시무스 III, 30), 라틴어 ''Sumere'' (363년 율리아누스 군대의 후퇴 동안 언급된 요새,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XXV, 6, 4), 시리아어 ''Sumra''(Hoffmann, ''Auszüge'', 188; 미카엘 시리아인, III, 88)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시리아어로는 마을로 묘사된다.
나흐르완 운하의 북쪽 확장인 카툴 알-키스라위(Qatul al-Kisrawi)가 개통되면서 더 많은 인구가 유입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 운하는 사마라 지역의 티그리스 강에서 물을 끌어왔으며, 야쿠트 알-하마위(''Muʿjam'', "Qatul" 참조)는 코스로 1세 (531–578)의 업적으로 기록했다. 이 사업의 완공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탑(현대 부르즈 알-카임, Burj al-Qa'im)이 사마라 남쪽 입구에 건설되었고, "낙원" 또는 울타리가 쳐진 사냥 공원이 있는 궁전이 북쪽 입구(현대 나흐르 아르-라사시, Nahr ar-Rasasi) 근처 아드-다우르에 건설되었다.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 하룬 알-라시드가 굴착한 보조 운하인 카툴 아비 알-준드(Qatul Abi al-Jund)는 796년에 미완성으로 버려진 알-무바라크(al-Mubarak)라고 불리는 정규 팔각형 형태의 계획 도시로 기념되었다(현대 후슨 알-카디시야, Husn al-Qadisiyya).
4세기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가 사망한 도시로 추정된다.
2. 3. 아바스 왕조의 수도
836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무타심은 맘루크 군단과 기존 아바스 군대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수도를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옮겼다.[6] 그는 티그리스 강둑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고, 중앙아시아와 이란 (가장 유명한 튀르크족, 그리고 호라산의 ''이쉬타카니야'' (Ishtakhaniyya), ''파라기나'' (Faraghina), ''우슈루사니야'' (Ushrusaniyya) 연대), 또는 북아프리카 (예: ''마가리바'' (Maghariba)) 출신의 경호원들을 위한 요새 정착지로 둘러싸인 광대한 궁궐 단지를 지었다.[6]이 도시는 칼리프 알-무타와킬 치하에서 더욱 발전했는데, 그는 알-무타와킬리야와 같은 호화로운 궁궐 단지와 847년에 건설된 유명한 나선형 미나렛 또는 말위야를 갖춘 사마라 대사원 건설을 후원했다.[8] 그는 아들 알-무타즈 (al-Mu'tazz)를 위해 대규모 궁궐인 불쿠와라를 지었다.
동방 교회의 교구장 사르기스 (Sargis, 860–72)는 동방 교회의 교구장좌를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옮겼으며, 그의 직계 후임자 중 한두 명도 권력의 중심지에 가까이 있기 위해 사마라에 앉았을 것이다.[9]
사마라는 892년 알-무타디드가 수도를 바그다드로 다시 옮길 때까지 칼리프의 거주지였다.[10] 비록 이 시기에 도시가 약탈당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중요한 시장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10] 10세기부터는 중요한 순례지가 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 동안에는 강의 흐름이 도시의 남쪽으로 더 동쪽으로 이동했다. 그 결과 바그다드와 모술 사이의 주요 도로가 서쪽 강둑으로 옮겨졌고, 사마라는 무역 도시로서의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10]
2. 4. 시아파의 성지
알아스카리 모스크는 시아파의 성지이다. 이 곳에는 10대 시아파 이맘 알리 알하디와 11대 이맘 하산 알아스카리의 영묘(靈廟)가 있다.사마라는 알 아스카리 사원이 있는 곳으로, 10대 및 11대 이맘인 알리 알하디와 하산 알 아스카리의 영묘가 있다. 또한 무함마드 알마흐디가 시아파의 믿음에 따라 "숨겨진 이맘"으로 알려져 가이바로 들어갔다고 전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이곳은 이맘 시아파에게 중요한 순례지가 되었다.[21] 또한 무슬림들이 숭배하는 예언자 무함마드와 이맘의 여성 친족인 하키마와 나르지스가 그곳에 묻혀 있어 이 사원은 가장 중요한 예배 장소 중 하나가 되었다.[21]
2. 5. 근현대
20세기 초, 독일 고고학자 에른스트 헤르츠펠트(Ernst Herzfeld)에 의해 사마라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다. 1950년대에는 사마라 댐 건설로 타르타르 호가 조성되면서 바그다드의 홍수 문제가 해결되었고, 이로 인해 많은 지역 주민들이 이주해 오면서 사마라의 인구가 증가했다.[11]이라크 전쟁 (2003년) 발발 이후, 사마라는 이른바 '수니 삼각지대'의 주요 도시로서 수니파 무장 세력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12] 사마라는 여러 시아파 이맘의 묘가 있는 시아파 성지로 유명하지만, 역사적으로 그리고 최근까지 수니파 아랍인이 지배해 왔다. 이라크 전쟁 중 수니파와 시아파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2006년 2월 22일, 알카에다 이라크는 알-아스카리 사원의 황금 돔을 폭파했다.(2006년 알-아스카리 사원 폭탄 테러)[13]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폭동과 보복 공격이 발생하여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다. 2007년 6월 13일, 수니파 반군은 다시 사원을 공격하여 돔 옆에 있던 두 개의 미나렛을 파괴했다.[13] 이 사건들은 수니파와 시아파 간의 갈등을 격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2014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는 북부 이라크 공세의 일환으로 사마라를 공격하여 점령을 시도했다. ISIL 군은 시청과 대학교를 점령했지만, 이라크 지상군과 SWAT 부대에 의해 격퇴되었다.[19]
3. 지리
사마라는 이라크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티그리스 강 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3. 1. 기후
사마라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사막 기후(BWh)이다. 대부분의 강수는 겨울에 내린다. 사마라의 연평균 기온은 22.7°C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171mm이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C) | 15.3°C | 18°C | 22.1°C | 28.3°C | 35.7°C | 41.1°C | 43.9°C | 43.6°C | 39.7°C | 33.2°C | 24.4°C | 17.4°C |
최저 기온 (°C) | 4.4°C | 5.9°C | 9.3°C | 14.2°C | 19.6°C | 23.5°C | 25.9°C | 25.4°C | 21.4°C | 16.4°C | 10.6°C | 5.8°C |
강수량 (mm) | 25mm | 30mm | 29mm | 21mm | 8mm | 0mm | 0mm | 0mm | 0mm | 4mm | 20mm | 34mm |
4. 문화유산
2007년에 "사마라 고고 유적 도시"로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라크의 정세를 감안하여 등록과 동시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도 추가되었다.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대 모스크와 나선형 미나렛: 849년~852년에 건설된 이 모스크는 소성 벽돌과 석고 모르타르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264m x 159m이다. 건설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모스크였다. 높이 10.5m의 벽면은 균등하게 정렬된 반원형 탑으로 보강되어 있고, 16개의 문이 있다. 모스크는 열린 안뜰을 둘러싼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선형 미나렛(말위야 미나렛)은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두드러진 건축물 중 하나이다. 한 변이 32m인 사각형 기초 위에 5개의 원이 층을 이루어 54m 높이의 거대한 나선형 탑을 이루고 있다.
- 아부 둘라프 모스크: 도시 북부에 위치하며 대 모스크와 유사하지만 더 작다. 사방이 주랑 현관(포르티코)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안뜰로 이루어져 있다. 모스크 벽면은 반원형 탑으로 보강되어 있으며, 미나렛도 대 모스크와 유사하지만 규모는 작다.
- 칼리프 궁전: 칼리프 알 무타심 빌라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이 궁전은 대로변의 티그리스 강을 조망하는 위치에 있다. 아랍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궁전(125ha)이며, 거주 구역, 홀, 시정실, 디완, 위병소, 휴게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후기 고대 황제 궁전으로서 유일하게 초기 배치가 완전히 남아 있다. 1910년부터 궁전 발굴이 이루어졌지만, 4분의 3이 아직 묻혀 있으며 서쪽 정원은 수몰된 상태이다.
- 알 후와이실라 궁전
- 발쿠와라 궁전
- 알 마슈크 궁전
- 바이트 알 자하리프
- 후슨 알 카디시야
- 알 무샤라하트 궁전
- 알 이스타블라트
- 텔 알 알리지
- 쿠바트 알 술라이비야
- 알 자파리 궁전
5. 스포츠
이라크 프리미어 디비전 리그에서 뛰는 사마라 SC의 연고지이다. 홈 구장은 사마라 스타디움이다.
6. 기타
사마라는 럭비공 모양의 수박으로 유명하다.[1]
"사마라에서의 약속"이라는 표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운명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이 표현은 바빌론 탈무드에 기록되었고 W. 서머셋 모옴이 언급한 고대 바빌론 신화와 관련이 있다.[22] 이 이야기는 존 오하라의 소설 사마라에서의 약속의 모티브가 되었다.[23]
6. 1. 특산품
사마라는 럭비공 모양의 수박으로 유명하다.[1]6. 2. 대중문화
"사마라에서의 약속"이라는 표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운명을 상징하는 은유로 사용되며, 바빌론 탈무드에 기록되고 W. 서머셋 모옴에 의해 기록된 고대 바빌론 신화에 대한 문학적 언급이다.[22] 이 신화는 죽음을 피해 바그다드에서 사마라로 도망친 한 남자의 헛된 시도를 이야기한다. 이 이야기는 존 오하라의 소설 사마라에서의 약속의 모티브가 되었다.[23] 원래 이야기는 F. L. 루카스가 1953년 자신의 시 "운명의 시간"에서 ''여러 시대와 여러 나라에서''라는 제목으로 다시 썼다.[24][25]1968년 영화 ''타겟''에서 보리스 칼로프가 연기한 늙은 공포 영화 배우 바이런 올록은 젊은 동료들에게 모옴의 이야기를 들려준다.[26]
이 이야기는 2017년 ''셜록''의 에피소드 "여섯 개의 대처"에서도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2]
웹사이트
Samarra Archaeological City
https://whc.unesco.o[...]
2023-04-24
[3]
뉴스
Unesco names World Heritage sit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28
[4]
웹사이트
SAAO
http://oracc.museum.[...]
[5]
논문
Research Pitfalls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of Museum Specimen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81-12
[6]
서적
Slaves of the Shah
https://archive.org/[...]
I.B.Tauris & Co Ltd
[7]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 1250-1800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Islamic Art
Praeger
1965
[9]
문서
Mari, 80–1 (Arabic), 71–2 (Latin)
[10]
간행물
[11]
서적
Iraq: The ancient sites and Iraqi Kurdistan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5-08-07
[12]
서적
Imperial Geographies in Byzantine and Ottoman Space
Center for Hellenic Studies
[13]
서적
The Gamble: General Petraeus and the American Military Adventure in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0-01-06
[14]
웹사이트
Explosion Topples Minarets At Iraqi Shi'ite Shrine
http://www.rferl.org[...]
2015-08-22
[15]
웹사이트
Several Mosques Attacked, but Iraq Is Mostly Calm -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15-08-22
[16]
뉴스
Iraqi police say famous shrine attacked
https://news.yahoo.c[...]
2007-06-13
[17]
웹사이트
Blast hits key Iraq Shia shrine
http://news.bbc.co.u[...]
BBC
2012-04-21
[18]
뉴스
Bombed Iraq shrine reopens to visitors
https://www.theguard[...]
2023-09-26
[19]
웹사이트
Iraq dislodges insurgents from city of Samarra with airstrikes
https://www.reuters.[...]
2014-06-27
[20]
웹사이트
Archnet > Site > Qubba Imam al-Dur
https://www.archnet.[...]
2023-04-14
[21]
서적
The Shi'a of Samarra: The Heritage and Politics of a Community in Iraq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2]
문서
"The Appointment in Samarra\" (as retold by W. Somerset Maugham [1933])."
[23]
문서
John O'Hara, ''Appointment in Samarra'', Harcourt, Brace & Co.
[24]
문서
Lucas, F. L., "The Destined Hour" in ''From Many Times and Lands'' (London, 1953), p.119; reprinted in ''Every Poem Tells a Story: A Collection of Stories in Verse'', ed. Raymond Wilson (London, 1988;
[25]
웹사이트
Lucas, F. L., 'The Destined Hour' (online text), www.funtrivia.com
http://www.funtrivia[...]
[26]
DVD
Targets
Criterion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