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은 1562년 리보니아 전쟁 중 리보니아 연맹 해체 후, 다우가바 강 서안과 발트해 사이의 라트비아 남부에 폴란드 왕의 봉신으로 건국되었다. 초대 공작은 고트하르트 케틀러였으며, 공국은 독일식 국가 형태로 운영되었다. 야콥 케틀러 공작 시기에는 식민지 개척과 무역 발전을 통해 번영을 누렸으나, 스웨덴과의 전쟁과 대홍수로 인해 쇠퇴했다. 18세기에는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졌으며, 결국 1795년 폴란드 3차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를란트 - 옐가바
    옐가바는 리엘루페 강과 드릭사 강 사이에 위치한 라트비아 중부의 도시로, 10세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어 리보니아 기사단에 의해 도시로 발전했으며, 쿠를란트-세미갈리아 공국의 수도를 거쳐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어 라트비아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 라트비아의 역사적 지역 - 쿠를란트
    쿠를란트는 라트비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리가 만과 발트 해에 접하며, 13세기 초 정복 후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신국인 쿠를란트 공국으로 형성, 러시아 제국 편입, 라트비아의 일부, 소련을 거쳐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쿠르제메 계획 지역에 해당하며 라트비아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라트비아의 역사적 지역 - 리보니아
    리보니아는 12세기부터 발트해 지역에 존재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덴마크인과 독일인의 팽창 대상이었으며, 리보니아 전쟁 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스웨덴,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로 분할되었다.
  • 유럽의 옛 나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유럽의 옛 나라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을 계승하여 330년부터 1453년까지 존속했으며, 그리스-로마 문화와 기독교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중세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740년의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1740년의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기본 정보
공식 명칭 (라틴어)Ducatus Curlandiæ et Semigalliæ
공식 명칭 (라트비아어)Kurzemes un Zemgales hercogiste
공식 명칭 (폴란드어)Księstwo Kurlandii i Semigalii
공식 명칭 (독일어)Herzogtum Kurland und Semgallen
공식 명칭 (리투아니아어)Kuršo ir Žiemgalos kunigaikštystė
공식 명칭 (스웨덴어)Hertigdömet Kurland och Semgallen
일반 명칭쿠를란트-젬갈렌
상태속국
소속 국가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정치 체제군주제
쿠를란트 공국의 국기
쿠를란트 공국의 국기
쿠를란트 공국의 문장
쿠를란트 공국의 문장
수도미타우
공용어독일어
라트비아어 (민중어)
리보니아어
라트갈레어
종교루터교
로마 가톨릭교회
통화탈러
역사
건국1561년
건국 사건빌뉴스 조약 (1561년 11월 28일)
식민지 획득1637년 – 1690년
멸망1795년 3월 28일
멸망 사건제3차 폴란드 분할
인구
1794년 추정 인구약 200,000명
인구 밀도7.3명/km²
정치
공작쿨란트 공작
초대 공작고트하르트 케틀러 (1561년–1587년)
마지막 공작페터 폰 비론 (1769년–1795년)
입법부란트탁
면적
면적 (km²)27,290
현재 국가
현재 국가라트비아

2. 역사

리보니아 전쟁 중이던 1562년, 리보니아 연맹과 리보니아 기사단이 해산되었다. 빌뉴스 조약에 따라 에스토니아 남부와 라트비아 북부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어 리보니아 공국이 형성되었다. 다우가바강 서안과 발트해 사이의 라트비아 남부는 명목상 폴란드 왕의 봉신인 쿠를란트-젬갈레 공국이 되었다.

1566년 12월 25일, 그로드노 연합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리보니아 공국 사이에 실질적 동군 연합이 수립되었다. 다우가바강 서쪽 강둑과 발트해 사이의 라트비아 지역은 쿠를란트 및 세미갈리아 공국이 되었으며, 케틀러 가문의 공작들이 통치했다. 단, 에른스트 요한 비론과 그의 아들 페터 폰 비론은 예외였다.

고트하르트 케틀러[4]는 초대 쿠를란트 공작이 되었다. 기사단원들은 봉토를 영지로 받아 쿠를란트 귀족이 되었다. 케틀러는 새 공국 토지의 약 3분의 1을 받았다. 미타우(옐가바)는 새 수도가 되었고, 란트타크는 연 2회 열렸다.

쿠르시 지역의 일부는 공국에 속하지 않았다. 리보니아 기사단은 그로비냐 지역을 프로이센 공작에게 대여했고, 쿠를란트 주교령은 덴마크 왕자 마그누스가 통치했다. 마그누스는 사후 공국에 양도를 약속했지만 실패했고, 빌헬름 케틀러가 이 지역을 되찾았다.

케틀러는 독일인으로, 독일 국가 노선을 따라 공국을 설립했다. 1570년, ''Privilegium Gotthardinum''을 발행해 토지 소유주가 토착 농민을 농노로 만드는 것을 허용했다.[5]

1587년 케틀러 사후, 아들 프리드리히와 빌헬름이 공작이 되었다. 1596년 공국은 분할되었다. 프리드리히는 세미갈리아 (젬갈레)를 통치하며 옐가바에, 빌헬름은 쿠를란트(쿠르제메)를 소유하며 쿨디가에 거주했다. 빌헬름은 프로이센 공작의 딸과 결혼해 그로비냐 지역을 되찾았다. 필텐 지역 통제권을 회복했으나, 결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넘어갔다. 그는 금속 세공과 조선소를 발전시켰다.

공작과 토지 소유주 관계는 적대적이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토지 소유주를 지원했다. 빌헬름은 불만을 표명했지만, 1616년 공작 자리에서 물러났다. 빌헬름은 쿠를란트를 떠나 외국에서 생을 마감했다. 프리드리히는 1616년 이후 쿠를란트의 유일한 공작이 되었다.

1600년부터 1629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 제국리가 주변에서 전쟁을 벌였다. 스웨덴은 중앙 및 북부 라트비아를 장악해 스웨덴령 리보니아가 되었다. 연방은 리보니아 공국 동부를 유지, 인플란티 보예보드십이라 불렀다. 쿠를란트는 전쟁에 참여했지만 큰 피해는 없었다.

야콥 케틀러 치하에서 공국은 번영했다. 야콥은 서유럽 여행 중 중상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 금속 세공과 조선이 발전하고, 화약 공장이 화약을 생산했다. 잉글랜드 왕국, 근세 프랑스, 네덜란드 공화국, 포르투갈 왕국 등과 무역 관계를 발전시켰다. 야콥은 벤츠필스와 리바우에 주요 항구를 둔 상선단을 설립했다.

2. 1. 건국과 초기 역사 (1562년-1642년)

리보니아 전쟁 중이던 1562년, 리보니아 연맹이 해체되고 리보니아 기사단이 해산되었다. 빌뉴스 조약에 따라 에스토니아 남부와 라트비아 북부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어 리보니아 공국이 형성되었다. 다우가바강 서안과 발트해 사이의 라트비아 남부는 명목상 폴란드 왕의 봉신인 쿠를란트-젬갈레 공국이 되었다.[4]

마지막 리보니아 기사단장이었던 고트하르트 케틀러가 초대 쿠를란트 공작이 되었다. 기사단의 다른 구성원들은 쿠를란트 귀족이 되었고, 그들이 소유했던 봉토를 영지로 받았다. 케틀러는 공국 영토의 거의 3분의 1을 받았다. 미타우(옐가바)가 새로운 수도가 되었고, 란트타크는 연 2회 열릴 예정이었다.[4]

쿠를란트의 일부 지역은 공국에 속하지 않았다. 리보니아 기사단은 그로비냐 지역을 프로이센 공작에게 대여했고, 쿠를란트 주교령(필텐)은 마그누스가 통치했다. 마그누스는 사후에 이 지역을 쿠를란트 공국에 양도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계획은 실패했고 나중에 빌헬름 케틀러가 되찾았다.

케틀러는 독일인이었고, 공국을 독일 국가와 비슷하게 설립하려 했다. 1570년, 케틀러는 ''Privilegium Gotthardinum''을 발행하여 토지 소유주가 토착 농민을 농노로 만드는 것을 허용했다.[5]

1587년 고트하르트 케틀러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와 빌헬름이 공국을 상속받았다. 1596년 공국은 둘로 나뉘었다. 프리드리히는 세미갈리아(젬갈레)를 통치하고 옐가바에 거주했고, 빌헬름은 쿠를란트(쿠르제메)를 소유하고 쿨디가에 거주했다. 빌헬름은 프로이센 공작의 딸과 결혼하여 그로비냐 지역을 되찾았다. 그는 필텐 지역 통제권을 회복했지만, 결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넘어갔다. 그는 금속 세공과 조선소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빌헬름과 토지 소유주 간의 관계는 적대적이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토지 소유주를 지원했다. 빌헬름은 토지 소유주에 대한 불만을 표명했지만, 1616년 공작 자리에서 물러났다. 결국 빌헬름은 쿠를란트를 떠나 외국에서 여생을 보냈다. 그리하여 프리드리히는 1616년 이후 쿠를란트의 유일한 공작이 되었다.

2. 2. 폴란드-스웨덴 전쟁과 공국의 번영 (1600년-1682년)

1600년부터 1629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 제국리가 주변을 주요 전장으로 전쟁을 벌였다.[4] 그 결과, 스웨덴은 오늘날 중앙 및 북부 라트비아를 장악했고, 이곳은 스웨덴령 리보니아가 되었다. 연방은 리보니아 공국의 동부 지역을 유지했으며, 이후 폴란드어로 인플란티 보예보드십이라고 불렀다. 쿠를란트는 이 전쟁에 참여했지만 심각한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4]

다음 공작인 야콥 케틀러 치하에서 공국은 번영의 절정에 달했다. 야콥은 서유럽을 여행하는 동안 중상주의 사상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4] 금속 세공과 조선이 훨씬 더 발전했으며, 화약 공장이 화약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무역 관계는 인근 국가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왕국, 근세 프랑스, 네덜란드 공화국, 포르투갈 왕국과도 발전했다. 야콥은 벤츠필스와 리바우에 주요 항구를 둔 쿠를란트 공국의 상선단을 설립했다.[4]

2. 3. 식민지 개척 (1651년-1689년)

1651년, 쿠를란트 공국은 아프리카의 감비아 강에 있는 세인트 앤드루스 섬에 첫 번째 식민지를 건설하고 야코프 요새를 세웠다.[6] 주요 수출품은 상아, 금, 모피, 향신료였다. 1652년에는 서인도 제도의 토바고에 두 번째 식민지를 건설했다.[6] 이 식민지의 주요 수출품은 설탕, 담배, 커피, 향신료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쿠를란트 공국은 스웨덴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모두의 관심 대상이었다. 1655년, 스웨덴군이 공국 영토에 진입하면서 스웨덴-폴란드 전쟁(1655–1660)이 시작되었다. 스웨덴군은 야콥 케틀러 공작을 포로로 잡았고(1658–1660),[6] 이 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물자와 인력이 부족한 쿠를란트의 두 식민지를 모두 점령했으며, 상선단과 공장들은 파괴되었다.[6]

올리바 조약(1660)으로 전쟁이 종결되면서 쿠를란트는 토바고를 되찾아 1689년까지 소유했다.[6] 야콥 공작은 함대와 공장을 재건하려 노력했지만, 공국은 이전 수준의 번영을 회복하지 못했다.[6]

2. 4. 18세기: 쇠퇴와 러시아의 영향력 증대 (1682년-1795년)

야콥 케틀러가 1682년에 사망하자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 카지미르 케틀러가 공작이 되었다. 프리드리히 카지미르의 통치 기간 동안 공국의 생산량은 감소했다. 프리드리히 카지미르는 화려한 축제를 즐겼고, 자신의 재정 능력보다 더 많은 돈을 썼다. 이 때문에 프리드리히 카지미르는 토바고 섬을 영국에 팔아야 했다. 이 시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쿠를란트 공국의 정치와 경제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고, 러시아 차르국 또한 쿠를란트에 관심을 보였다.[4]

프리드리히 카지미르는 1698년에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틀러는 즉위 당시 6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그의 삼촌이자 폴란드 군대의 장군이었던 페르디난트 케틀러가 섭정을 맡았다. 이 시기 스웨덴 제국과 러시아, 그리고 그 동맹국(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작센 선제후국, 덴마크) 사이에 대북방 전쟁(1700년 ~ 1721년)이 발발했다. 전쟁 결과, 러시아는 1710년부터 스웨덴령 리보니아를 장악했다.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는 프리드리히 빌헬름에게 자신의 조카와 결혼할 것을 약속하게 했다. 표트르 대제는 이 결혼을 통해 쿠를란트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1710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안나 이오안노브나와 결혼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돌아오는 길에 병에 걸려 급사했다. 이후 안나는 1711년부터 1730년까지 쿠를란트 공작 부인으로서 통치했다.[7]

프리드리히 빌헬름 사후, 쿠를란트 공작위의 가장 유력한 후보는 페르디난트 케틀러였다. 그러나 페르디난트는 그단스크에 거주하고 있었고, 공국의 법률에 따라 공작은 공국 내에 거주해야 했기 때문에 의회는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 페르디난트가 케틀러 가문의 마지막 대표였기 때문에, 많은 후보들이 공작위를 노렸다. 유력한 후보 중 하나는 폴란드 왕 아우구스투스 2세의 사생아인 모리스 드 사크스였다.[8] 모리스는 1726년에 공작으로 선출되었지만, 이듬해까지 군사력으로 자신의 지위를 유지해야 했다. 러시아는 모리스를 싫어했고, 그의 근거지를 파괴하기 위해 서부 쿠를란트에 군대를 파견했다. 예카테리나 1세는 표트르 라시에게 모리스를 쿠를란트에서 제거할 책임을 맡겼다.[7] 결국 모리스는 쿠를란트를 떠나야 했고, 러시아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이는 1727년부터 1751년 사망할 때까지 리보니아 지사를 역임한 표트르 라시의 공헌이 컸다.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투스 3세가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대가로, 러시아의 안나에게 쿠를란트 공작 후계자를 선택할 권한을 부여하면서 러시아의 영향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안나는 1737년 에른스트 요한 폰 비론을 쿠를란트 공작으로 임명했다.

폰 비론은 러시아로부터 상당한 재정 지원을 받아 건설에 투자했다. 그 예시로, 이탈리아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가 설계한 룬달레 궁전이 있다. 1740년 안나 이바노브나가 사망하면서 폰 비론은 이듬해 시베리아로 추방되었다. 이후 폰 비론은 공작 평의회를 통해 폴란드 왕의 동의를 얻어 공국을 계속 통제했다. 그러나 쿠를란트 지주들은 이 합의를 싫어했고, 공작 평의회의 규정을 따르기를 거부했다.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루이 에르네스트는 1741년 6월 27일, 그의 사촌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의 지원으로 비론의 후계자로 선출되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칭호 비준을 받기 전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가 1741년 12월 6일 쿠데타를 일으켜 칭호를 잃었다.

폴란드 왕 아우구스투스 3세는 자신의 아들 작센의 카를 크리스티안 요제프를 다음 공작으로 선포했다. 이로 인해 쿠를란트 공국에는 두 명의 공작이 동시에 존재하게 되었다. 상황은 매우 긴장되어 쿠를란트 란트타크의 일부는 폰 비론을, 다른 일부는 작센의 카를을 지지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1763년 에른스트 폰 비론을 추방에서 소환하여 이 상황을 해결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이를 통해 쿠를란트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향력 증가를 막고자 했다. 그러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에른스트 비론은 지쳤고, 1769년 공작위를 아들 페터 폰 비론에게 넘겼다. 그럼에도 쿠를란트의 정치적 소란은 계속되었다. 일부 지주들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다른 일부는 러시아를 지지했다. 결국 러시아는 동맹국들과 함께 폴란드 3차 분할(1795)을 시작하면서 쿠를란트의 운명을 결정했다. 러시아의 "좋은 권고"에 따라, 페터 폰 비론은 1795년 러시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1795년 10월 24일 최종 문서가 서명되면서 쿠를란트 공국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쿠를란트 공작 칭호는 러시아 황제들의 칭호에 추가되었다.

3. 쿠를란트 공작

고트하르트 케틀러[4]는 리보니아 기사단의 마지막 단장이자, 첫 번째 쿠를란트 공작이 되었다. 기사단의 다른 구성원들은 그들이 소유했던 봉토를 영지로 삼아 쿠를란트 귀족이 되었다. 케틀러는 새로운 공국의 토지 중 약 3분의 1을 받았다. 미타우(옐가바)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되었고, 란트타크는 연 2회 열릴 예정이었다.

1587년 고트하르트 케틀러가 사망하면서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와 빌헬름이 쿠를란트 공작이 되었다. 1596년, 공국은 둘로 나뉘었다. 프리드리히는 옐가바에 거주하며 동부 세미갈리아(젬갈레)를, 빌헬름은 쿨디가에 거주하며 서부 쿠를란트(''쿠르제메'')를 통치했다. 빌헬름은 프로이센 공작의 딸과 결혼하여 그로비냐 지역을 되찾았고, 필텐 지역 통제권도 되찾았으나 결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넘어갔다. 그는 금속 세공과 조선소를 발전시켰고, 새로운 선박들은 쿠를란트의 상품을 다른 국가로 운송했다.

그러나 공작과 토지 소유주 사이의 관계는 매우 적대적이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토지 소유주를 지원했다. 빌헬름은 불만을 표명했지만, 1616년 공작 자리에서 물러났다. 빌헬름은 쿠를란트를 떠나 외국에서 여생을 보냈고, 프리드리히가 1616년 이후 단독 공작이 되었다.

야콥 케틀러 치하에서 공국은 번영의 절정에 달했다. 야콥은 서유럽 여행 중 중상주의 사상의 지지자가 되었다. 금속 세공과 조선이 더욱 발전했고, 화약 공장이 화약을 생산했다. 잉글랜드 왕국, 근세 프랑스, 네덜란드 공화국, 포르투갈 왕국 등과 무역 관계를 발전시켰다. 야콥은 벤츠필스와 리바우에 주요 항구를 둔 쿠를란트 공국의 상선단을 설립했다.

초상화이름생애재위 기간배우자계승
고트하르트 케틀러1517년 2월 2일 – 1587년 5월 17일1561년 11월 28일 – 1587년 5월 17일메클렌부르크의 안나
1566년 3월 11일
쾨니히스베르크
자녀 3명
최초
프리드리히 케틀러1569년 11월 25일 – 1642년 8월 17일1587년 5월 17일 – 1642년 8월 17일포메라니아의 엘리자베스 마그달레나
1600년 3월 14일
무자녀
고트하르트 케틀러의 아들
야콥 케틀러1610년 10월 28일 – 1682년 1월 1일1642년 8월 17일 – 1682년 1월 1일브란덴부르크의 루이즈 샤를로테
1645년 10월 9일
자녀 9명
프리드리히 케틀러의 조카
프리드리히 카시미르 케틀러1650년 7월 6일 – 1698년 1월 22일1682년 1월 1일 – 1698년 1월 22일(1) 나사우-지겐의 소피 아말리에
1675년 10월 5일
헤이그
자녀 5명
(2) 브란덴부르크의 엘리자베스 소피
1691년 4월 29일
자녀 2명
야콥 케틀러의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틀러1692년 7월 19일 – 1711년 1월 21일1698년 1월 22일 – 1711년 1월 21일러시아의 안나
1710년 11월 11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자녀
프리드리히 카시미르 케틀러의 아들
페르디난트 케틀러1655년 11월 1일 – 1737년 5월 4일1711년 1월 21일 – 1737년 5월 4일작센-바이센펠스의 요한나 막달레나
1730년 9월 20일
단치히
무자녀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틀러의 삼촌
에른스트 요한 폰 비론1690년 11월 23일 – 1772년 12월 29일1737년 6월 – 1740년트로타-트레이덴의 베니냐 고틀리프 폰
1723년
자녀 3명
선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루이 에른스트1718년 9월 25일 – 1788년 5월 12일1741년 6월 27일 – 1741년 12월 6일미혼선출
작센의 카를1733년 7월 13일 – 1796년 6월 16일1758년 11월 10일 – 1763년프란치슈카 크라신스카
1760년 3월 25일
바르샤바
딸 2명
폴란드 국왕 아우구스투스 3세에 의해 임명
에른스트 요한 폰 비론1690년 11월 23일 – 1772년 12월 29일1763년 – 1769년트로타-트레이덴의 베니냐 고틀리프 폰
1723년
자녀 3명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재임명
페터 폰 비론1724년 2월 15일 – 1800년 1월 13일1769년 – 1795년 3월 28일(1) 발데크-피르몬트의 카롤리네
1765년 10월 5일
아들 1명 (사산)
(2) 예브도키야 보리소브나 유수포바
1774년 3월 6일
옐가바
무자녀
(3) 메뎀의 도로테아
1779년 11월 6일
자녀 6명
에른스트 요한 폰 비론의 아들


4.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Volumina Legum Petersburg 1859
[2] 간행물 Volumina Legum Petersburg 1860
[3] 웹사이트 How the Duchy of Courland was briefly resurrected in 1918 https://eng.lsm.lv/a[...] 2023-02-08
[4] 웹사이트 Duke Gotthard http://www.archiv.or[...]
[5] 문서 Palkans
[6] 웹사이트 The Fall of Curonian Colonization https://latgale.acad[...]
[7] 서적 Sketches of Irish soldiers in every land Lang, Little & Hillman 1873
[8] 서적 わが懐かしき街 図書出版社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