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스코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스코 왕국은 12세기경 잉카족에 의해 쿠스코 지역에 형성된 도시 국가이다. 만코 카팍의 지휘 아래 시작되어, 신치 로카, 요케 유판키, 마이타 카팍, 카팍 유판키를 거치며 세력을 확장했다. 잉카 로카는 쿠데타로 하난 쿠스코 왕조를 열고, '잉카' 칭호를 처음 사용하며 도시 기능을 강화했다. 이후 야와르 와칵, 비라코차 잉카를 거쳐 1438년 파차쿠텍 시기에 이르러 대규모 원정을 통해 타완틴수유라는 제국으로 발전하며 잉카 제국의 기반을 다졌다. 쿠스코 왕국의 정부는 초기에는 쿠라카 또는 신치 칭호를 사용했으나, 잉카 로카 이후 사파 잉카 칭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카 국가 - 잉카 제국
15세기부터 16세기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 존재했던 잉카 제국(타완틴수유)은 쿠스코를 중심으로 네 지역으로 나뉘어 급속히 확장되었으나, 스페인 침략과 내전으로 몰락 후에도 남아메리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잉카 국가 - 신잉카국
신잉카국은 망코 잉카 유팡키가 스페인에 저항하기 위해 빌카밤바로 이동하여 세운 잉카 잔존 세력의 국가로, 게릴라 전술로 저항했으나 1572년 스페인에 정복되어 멸망했으며, 이후 잉카인들은 서양 무기를 도입하려 노력했다. - 옛 왕국 - 하와이 왕국
하와이 왕국은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건국한 입헌군주국으로, 영국 문화 수용 및 미국인 이주를 거쳐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폐위 후 미국에 합병되어 하와이주가 되었다. - 옛 왕국 - 마타람 왕국
마타람 왕국은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자바섬 중부와 동부를 통치하며 힌두교와 불교 문화를 융합한 왕국으로, 산자야 왕조가 건국하고 샤일렌드라 왕조의 영향을 받아 프람바난 사원을 건설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자연재해로 동부 자바로 천도하여 크디리 왕국으로 이어졌고 보로부두르, 프람바난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건축물을 남겼다.
쿠스코 왕국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명칭 | 쿠스코 |
공식 명칭 | Curacazgo Inca |
시대 | 콜럼버스 이전 시대 |
정치 체제 | 군주제 |
존속 기간 | 기원후 1200년경 – 1438년 |
수도 | 쿠스코 |
공용어 | 아이마라어 귀족층은 푸키나어 사용Cerrón-Palomino, Rodolfo. Las lenguas de los incas: el puquina, el aimara y el quechua. Germany: PL Academic Research, 2013. |
종교 | 잉카 종교 |
현재 국가 | 페루 |
통치자 | |
직책 | 사파 잉카 |
초대 통치자 | 망코 카팍 |
역대 통치자 | 신치 로카 요케 유팡키 마이타 카팍 타르코 우아만 카팍 유팡키 잉카 로카 야와르 와카크 비라코차 잉카 |
역사 | |
이전 | 와리 제국 킬케 문화 |
사건 | 망코 카팍, 쿠스코 왕국 조직 잉카 로카, 카팍 유팡키를 전복하고 최초의 하나안 쿠스코 통치자가 됨 (기원후 1350년경) 쿠시 유팡키, 찬카 족을 격파 |
이후 | 잉카 제국 |
지도 |
2. 역사
잉카족(케추아족)은 12세기경 쿠스코 지방에서 부족으로 성립하여 만코 카팍의 지휘 아래 소규모의 도시 국가를 형성했다.[3] 만코 카팍은 티티카카 호수(Lake Titicaca)에서 탈출하여 마라스(Maras, Peru) 사람들의 파카리나(pacarina)인 파카리탐푸(Paqariq Tampu)에 도착했다.[3] 그들은 유목 생활을 하며 주변 마을에서 농사를 짓다가, 후아난칸차(Huanancancha)를 거쳐 탐푸키로(Tampuquiro)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신치 로카가 태어났다.[3] 이후 팔라타(Pallata)를 거쳐 키리르만타(Quirirmanta)에 도착한 만코 카팍은 마마 오클로와 결혼하고, 마마 우아코를 포함한 다른 아내들을 두었다.[3]
만코 카팍은 주변 부족들과 동맹을 맺으려 했고, 신치 로카와 사뇨스(Saños)의 신치(sinchi) 시티추만(Sitichuaman)의 딸 마마 코카(Mama Coca)를 결혼시켰다.[4] 이후 우알라스(Huallas)와의 전쟁에서 마마 우아코의 활약으로 승리하고, 알카우이사스(Alcahuisas)와 사우아세라스(Sahuaseras)를 격파하며 쿠스코(Cusco) 계곡을 점령했다.[4] 쿠스코 시는 킨티칸차(Quinticancha), 춤비칸차(Chumbicancha), 사이레칸차(Sairecancha), 야람부이칸차(Yarambuycancha)의 네 구역으로 나뉘었다.[3]
만코 카팍(Manco Cápac)이 죽자 그의 아들 신치 로카(Sinchi Roca)()가 쿠스코의 지배권을 잡았다.[5] 그는 안덴(Andén)를 건설하고 토양을 반입하여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켰다.[5]
신치 로카의 후계자 요케 유판키(Lloque Yupanqui)()는 주변 부족들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영토를 확보했다.[6][7]
마이타 카팍(Mayta Cápac)()은 알카우이사(Alcahuisa)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쿠스코 주변의 권력을 강화했다.[6][9]
카팍 유판키(Cápac Yupanqui)()는 쿤티(Cunti) 사람들을 정복하고, 찬카(Chanka)를 경계하며, 아이야르마카(Ayarmaca)와 동맹을 맺었다.[9] 그러나 쿠시 침보(Cusi Chimbo)에게 독살당하고, 잉카 로카(Inca Roca)가 쿠데타를 일으켜 하난 쿠스코(Hanan Cusco) 왕조를 열었다.[12][6]
초기 쿠스코 왕조의 사파 잉카는 만코 카팍, 신치 로카, 료케 유판키, 마이타 카팍, 카팍 유판키 순이다.
잉카 로카(잉카 로카/Inka Ruq'aqu)는 쿠스코 왕국의 여섯 번째 사파 잉카이자 하난(Hanan)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이다. 그는 쿠데타를 통해 이전 왕조인 후린(Hurin)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았다.[14] 잉카 로카는 처음으로 "잉카"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군주 또는 황제를 의미한다.[13] 그 이전에는 쿠스코의 통치자들이 '신치' 또는 '쿠라카' 칭호를 사용했다.[14]
잉카 로카는 수도 쿠스코에서 발생한 정치적 혼란을 틈타 여러 아유유(ayllu)의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15] 그는 키키하나와 안다우야일라스 지역을 정복하고,[15] '카나스'와 '칸치스'의 용병을 모집하여 찬카족을 안다우야일라스까지 몰아냈다.[15] 또한 파우카르탐보 강 주변 마을을 정복하고 고지대 정글 지역에서 코카 차크라를 확보했다.[14]
잉카 로카는 쿠스코의 도시 기능을 강화했다. 그는 인티칸차에 있던 자신의 집을 도시의 하난 지역에 새로 지은 궁전으로 옮겼다.[17] 이후 각 사파 잉카는 자신의 관저를 건설하는 전통이 생겨났다.[14] 그는 도시 중심부를 흐르는 '사피'와 '툴루마요' 강에 운하를 건설하고, 귀족 자제들에게 무기와 키푸 사용법을 가르치는 야차이와시를 설립했다.[15]
잉카 로카의 뒤를 이은 야와르 와칵(야와르 와칵/Yawar Waqaqqu)은 어린 시절 납치 사건을 겪은 후 "피눈물을 흘리는 자"라는 이름을 얻었다.[18]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무이나'와 '피나구아' 족장국의 반란이 다시 일어났지만, 그는 아푸키스파이 칭호를 얻은 비카키라오의 도움으로 이를 진압했다.[18] 야와르 와칵은 콜라수유 원정을 계획했으나, '쿤티' 족의 반란으로 인티칸차에서 살해당했다.[22]
비라코차 잉카(비라코차 잉카/Wiraqucha Inkaqu)는 야와르 와칵의 시해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왕위에 올랐다.[23][24] 그는 유카이와 칼카 계곡을 정복하고, 피삭 계곡의 반란을 진압했다.[28] 또한 카이토마르카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우루밤바 강 동쪽 기슭에 요새를 구축하여 잉카 군대에 맞섰지만, 결국 잉카와 화해했다.[29]
비라코차 잉카는 루파카 족장국과 콜라 왕국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세력을 강화했다.[33] 그는 두 나라 모두에 지원을 약속했지만, 비밀리에 루파카스를 지원했다. 콜라의 쿠라카는 잉카의 비밀 동맹을 알고 루파카와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비라코차 잉카는 추키토에서 루파카스의 쿠라카와 만나 평화를 맹세했다.[33]
비라코차 잉카는 칼카의 궁전으로 은퇴하고 잉카 우르코를 후계자로 지명했다.[34] 그러나 잉카 우르코는 방탕한 생활을 일삼고,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아 쿠스코 역사상 가장 비참한 통치로 기록되었다.[34]
후기 쿠스코 왕조는 주변 부족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특히 아푸리막 강 유역의 찬카족과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1438년, 최고 통치자 사파 잉카가 된 파차쿠텍의 명령 아래, 쿠스코 왕국은 대규모 원정을 통한 확장을 시작했다. 그의 정복지는 안데스 산맥의 거의 전역에 달했다.
파차쿠텍은 쿠스코 왕국을 타완틴수유라는 연방 제국으로 재편했다. 타완틴수유는 북서부의 친차이 수유, 북동부의 안티 수유, 남서부의 쿤티 수유, 남동부의 코야 수유로 구성된 4개 지역 정부와 잉카를 정점으로 하는 중앙 정부를 기반으로 했다. 파차쿠텍은 또한 마추픽추를 건설했다고 여겨진다.
2. 1. 초기 쿠스코 왕조 (Hurin Cusco)
잉카족(케추아족)은 12세기경 쿠스코 지방에서 부족으로 성립하여 만코 카팍의 지휘 아래 소규모의 도시 국가를 형성했다.[3] 만코 카팍은 티티카카 호수(Lake Titicaca)에서 탈출하여 마라스(Maras, Peru) 사람들의 파카리나(pacarina)인 파카리탐푸(Paqariq Tampu)에 도착했다.[3] 그들은 유목 생활을 하며 주변 마을에서 농사를 짓다가, 후아난칸차(Huanancancha)를 거쳐 탐푸키로(Tampuquiro)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신치 로카가 태어났다.[3] 이후 팔라타(Pallata)를 거쳐 키리르만타(Quirirmanta)에 도착한 만코 카팍은 마마 오클로와 결혼하고, 마마 우아코를 포함한 다른 아내들을 두었다.[3]
만코 카팍은 주변 부족들과 동맹을 맺으려 했고, 신치 로카와 사뇨스(Saños)의 신치(sinchi) 시티추만(Sitichuaman)의 딸 마마 코카(Mama Coca)를 결혼시켰다.[4] 이후 우알라스(Huallas)와의 전쟁에서 마마 우아코의 활약으로 승리하고, 알카우이사스(Alcahuisas)와 사우아세라스(Sahuaseras)를 격파하며 쿠스코(Cusco) 계곡을 점령했다.[4] 쿠스코 시는 킨티칸차(Quinticancha), 춤비칸차(Chumbicancha), 사이레칸차(Sairecancha), 야람부이칸차(Yarambuycancha)의 네 구역으로 나뉘었다.[3]
만코 카팍(Manco Cápac)이 죽자 그의 아들 신치 로카(Sinchi Roca)()가 쿠스코의 지배권을 잡았다.[5] 그는 계단식 경작지(안덴(Andén))를 건설하고 토양을 반입하여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켰다.[5]
신치 로카의 후계자 요케 유판키(Lloque Yupanqui)()는 주변 부족들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영토를 확보했다.[6][7]
마이타 카팍(Mayta Cápac)()은 알카우이사(Alcahuisa)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쿠스코 주변의 권력을 강화했다.[6][9]
카팍 유판키(Cápac Yupanqui)()는 쿤티(Cunti) 사람들을 정복하고, 찬카(Chanka)를 경계하며, 아이야르마카(Ayarmaca)와 동맹을 맺었다.[9] 그러나 쿠시 침보(Cusi Chimbo)에게 독살당하고, 잉카 로카(Inca Roca)가 쿠데타를 일으켜 하난 쿠스코(Hanan Cusco) 왕조를 열었다.[12][6]
초기 쿠스코 왕조의 사파 잉카는 만코 카팍, 신치 로카, 료케 유판키, 마이타 카팍, 카팍 유판키 순이다.
2. 2. 후기 쿠스코 왕조 (Hanan Cusco)
잉카 로카(잉카 로카/Inka Ruq'aqu)는 쿠스코 왕국의 여섯 번째 사파 잉카이자 하난(Hanan)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이다. 그는 쿠데타를 통해 이전 왕조인 후린(Hurin)을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았다.[14] 잉카 로카는 처음으로 "잉카"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군주 또는 황제를 의미한다.[13] 그 이전에는 쿠스코의 통치자들이 '신치' 또는 '쿠라카' 칭호를 사용했다.[14]잉카 로카는 수도 쿠스코에서 발생한 정치적 혼란을 틈타 여러 아유유(ayllu)의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15] 그는 키키하나와 안다우야일라스 지역을 정복하고,[15] '카나스'와 '칸치스'의 용병을 모집하여 찬카족을 안다우야일라스까지 몰아냈다.[15] 또한 파우카르탐보 강 주변 마을을 정복하고 고지대 정글 지역에서 코카 차크라를 확보했다.[14]
잉카 로카는 쿠스코의 도시 기능을 강화했다. 그는 인티칸차에 있던 자신의 집을 도시의 하난 지역에 새로 지은 궁전으로 옮겼다.[17] 이후 각 사파 잉카는 자신의 관저를 건설하는 전통이 생겨났다.[14] 그는 도시 중심부를 흐르는 '사피'와 '툴루마요' 강에 운하를 건설하고, 귀족 자제들에게 무기와 키푸 사용법을 가르치는 야차이와시를 설립했다.[15]
잉카 로카의 뒤를 이은 야와르 와칵(야와르 와칵/Yawar Waqaqqu)은 어린 시절 납치 사건을 겪은 후 "피눈물을 흘리는 자"라는 이름을 얻었다.[18]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무이나'와 '피나구아' 족장국의 반란이 다시 일어났지만, 그는 아푸키스파이 칭호를 얻은 비카키라오의 도움으로 이를 진압했다.[18] 야와르 와칵은 콜라수유 원정을 계획했으나, '쿤티' 족의 반란으로 인티칸차에서 살해당했다.[22]
비라코차 잉카(비라코차 잉카/Wiraqucha Inkaqu)는 야와르 와칵의 시해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왕위에 올랐다.[23][24] 그는 유카이와 칼카 계곡을 정복하고, 피삭 계곡의 반란을 진압했다.[28] 또한 카이토마르카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우루밤바 강 동쪽 기슭에 요새를 구축하여 잉카 군대에 맞섰지만, 결국 잉카와 화해했다.[29]
비라코차 잉카는 루파카 족장국과 콜라 왕국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세력을 강화했다.[33] 그는 두 나라 모두에 지원을 약속했지만, 비밀리에 루파카스를 지원했다. 콜라의 쿠라카는 잉카의 비밀 동맹을 알고 루파카와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비라코차 잉카는 추키토에서 루파카스의 쿠라카와 만나 평화를 맹세했다.[33]
비라코차 잉카는 칼카의 궁전으로 은퇴하고 잉카 우르코를 후계자로 지명했다.[34] 그러나 잉카 우르코는 방탕한 생활을 일삼고, 국정을 제대로 돌보지 않아 쿠스코 역사상 가장 비참한 통치로 기록되었다.[34]
후기 쿠스코 왕조는 주변 부족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특히 아푸리막 강 유역의 찬카족과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2. 3. 잉카 제국으로의 발전
1438년, 최고 통치자 사파 잉카가 된 파차쿠텍의 명령 아래, 쿠스코 왕국은 대규모 원정을 통한 확장을 시작했다. 그의 정복지는 안데스 산맥의 거의 전역에 달했다.파차쿠텍은 쿠스코 왕국을 타완틴수유라는 연방 제국으로 재편했다. 타완틴수유는 북서부의 친차이 수유, 북동부의 안티 수유, 남서부의 쿤티 수유, 남동부의 코야 수유로 구성된 4개 지역 정부와 잉카를 정점으로 하는 중앙 정부를 기반으로 했다. 파차쿠텍은 또한 마추픽추를 건설했다고 여겨진다.
3. 정부
쿠스코 왕국의 정부 형태는 주변 족장 국가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14] 초기 통치자들은 '쿠라카' 또는 '신치'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4] '쿠라카'는 '아이유'의 우두머리를 의미했다. 아이유는 같은 공통 조상이나 기원지(파카리나)를 가진 여러 가족 집단으로, 크기와 영토가 크게 다를 수 있었다. '신치'는 군벌이자 군 사령관에 해당하는 안데스 지역의 칭호였다.[2] 이 직책은 아이유 또는 족장국의 가장 저명한 구성원들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공격을 받을 경우 방어하거나 다른 땅을 침략하는 주요 역할을 맡았다.[2]
잉카 로카 이후 '사파 잉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군주' 또는 '황제'를 의미한다.[13] '카팍 쿠라카'("강력한 영주")와 같이 '카팍'이라는 용어는 "강력한", "부유한", 또는 "위대한"을 의미했는데, 이는 안데스 산맥의 일부 더 큰 족장국을 책임진 자들이 가진 칭호였다. 마찬가지로, 같은 의미를 가진 '하툰 쿠라카'("위대한 영주")라는 칭호도 있었는데, 이는 잉카 제국 시대에도 더 큰 주의 우두머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
4. 문화
쿠스코 왕국의 문화는 잉카 제국의 문화적 기반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Las lenguas de los incas: el puquina, el aimara y el quechua
PL Academic Research
[2]
서적
The Inca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3]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4]
서적
[5]
서적
The second part of the Chronicle of Peru
The Hakluyt Society
[6]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7]
서적
Historia del Tahuantinsuyo.
[8]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9]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10]
서적
Verdadera Descripción y Relación de la Provincia y Tierra de las Esmeraldas
Editorial Ecuatoriana
[11]
서적
Historia del Nuevo Mundo
[12]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13]
웹사이트
AULEX - Diccionario Quechua
https://aulex.org/qu[...]
2023-07-26
[14]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15]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16]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17]
웹사이트
Hatun Rumiyoc (Piedra de los Doce Ángulos)
https://www.deperu.c[...]
2023-07-30
[18]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19]
서적
Historia de los Incas
https://www.ellibrot[...]
Fundación El Libro Total
[20]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21]
서적
Relación de las antigüedades del Reino del Perú
[22]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23]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24]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25]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26]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27]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28]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29]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30]
서적
El primer nueva crónica y buen gobierno
https://poma.kb.dk/p[...]
[31]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32]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33]
서적
Pachacutec Inca Yupanqui
Instituto de Estudios Peruanos
2001
[34]
서적
Crónica del Perú. El señorío de los Incas
[35]
서적
Los Incas. Economía, sociedad y estado en la era del Tahuantinsuy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