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퀴리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리누스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사비니족의 전쟁 신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퀴리누스는 로마의 건국자 로물루스와 동일시되기도 했으며, 초기에는 유피테르, 마르스와 함께 카피톨리누스 삼주신에 속했으나 숭배의 중요성이 줄어들면서 쇠퇴했다. 퀴리누스 숭배는 로마 제국 멸망 이후에도 퀴리날레 언덕과 관련되어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현재 이탈리아 대통령 관저가 위치한 곳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인물신 - 로물루스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 신화의 중심이자 전설적인 초대 왕으로, 쌍둥이 형제 레무스와 함께 로마 건설, 통치, 신화적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로마의 인물신 - 폼페이아 플로티나
    폼페이아 플로티나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아내이자 하드리아누스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피쿠로스 학파를 후원하고 황제 숭배 대상이 된 로마 황후이다.
  • 로마 남신 - 유피테르
    유피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천둥, 번개, 하늘 등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으로, 로마 국가의 수호신이자 정치 및 종교 체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였다.
  • 로마 남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퀴리누스
신 정보
분류로마
데나리우스에 묘사된 퀴리누스
데나리우스, 앞면에는 퀴리누스, 뒷면에는 왕좌에 앉은 케레스가 묘사됨.
유형로마 제국의 시조 로물루스의 인격신
이름퀴리누스
다른 이름쿠리누스
코리누스
퀘리누스
케이리누스
그룹남신
거주처퀴리날레 언덕
무기
배우자헤르실리아-호라
형제자매레무스
지역로마 제국
신앙 중심지퀴리날레 언덕
일반 정보
유형로마 신
역할로마 국가의 신
소속고대 삼주신
숭배 중심지퀴리날레 언덕
상징턱수염
종교 및 군복
거주지퀴리날레 언덕
배우자헤르실리아-호라
축제퀴리날리아
언어별 표기

2. 어원

퀴리누스라는 이름은 사비니어로 "창", "창을 든"이라는 뜻으로[21] 도시국가 시절 로마 시민을 뜻하는 말인 퀴리테스(Quirites)와 같은 어원을 갖는다.[22]

퀴리누스 신의 이름은 로마 자료에서 ''Curinus'', ''Corinus'', ''Querinus'', ''Queirinus'' 그리고 ''QVIRINO''로 기록되어 있으며, 조각난 형태로 ''IOVI. CYRIN[O]''로도 나타난다.[4] 이 이름은 또한 헤라클레스의 별칭으로 ''Hercules Quirinus''로도 증명된다.[5]

'퀴리누스'(Quirīnus)라는 이름은 평화시의 로마 시민을 지칭하는 라틴어 ''퀴리스(quirīs)''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퀴리스''(quirīs)와 '퀴리누스'(Quirīnus) 모두 고대 전설 속 로마로 이주한 사벨족과 관련되어 있어 차용어일 수 있다. "창을 휘두르는 자"(사비니족 ''퀴리스''(quiris), '창', '야누스 퀴리누스'(Janus Quirinus) 참조)라는 의미나, 사비니족의 도시 쿠레스(Cures)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오비디우스의 ''파스티(Fasti)'' 2.477-480절에서 제기되었다.[6]

일부 학자들은 이 이름을 ''*Co-Virīnus''의 축약형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는 원래 공동체의 수호자를 의미하며(''쿠리아''(cūria) < ''*co-viria''), 더 이전의 *''Co-Wironos''에서 유래하고,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 명사 ''*wihₓrós|남자ine''에서 파생되었다.[7][8] 언어학자 미힐 더 반은 이 어원이 "음성적으로 신빙성이 없고, 의미론적으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3. 묘사 및 숭배

초기 로마 예술에서 퀴리누스는 종교적 및 군사적 복장을 한 수염 난 남자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그는 후기 로마 예술에서는 거의 묘사되지 않았다. 그의 주요 축제는 2월 17일에 열린 '''퀴리날리아'''였다.[13]

126년 BC의 데나리우스; 오른쪽에 방패에 ''QVIRIN''이 새겨진 ''플라멘 퀴리날리스''가 있다.


퀴리누스의 사제, 즉 ''플라멘 퀴리날리스''는 폰티펙스 막시무스보다 우선하는 세 명의 귀족 ''플라미네스 마요레스''("주요 플라멘") 중 한 명이었다.[9]

4. 역사

퀴리누스는 원래 사비니의 전쟁 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비니족은 로마 건설 장소 근처에 정착지를 가지고 있었고, 퀴리날 언덕 중 하나인 ''Collis Quirinalis''에 퀴리누스 제단을 세웠다. 로마인들이 그 지역에 정착했을 때, 퀴리누스 숭배는 그들의 초기 신앙 체계의 일부가 되었다. 이는 고전 그리스 문화의 후기 영향 이전에 일어났다.

4. 1. 로물루스와의 동일시

1세기 말, 퀴리누스는 로마의 신격화된 전설적인 초대 왕 로물루스로 여겨졌다.[10][11]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저서 《로물루스 전》에서 로마 건국자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사라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쿨루스 율리우스라는 로마 귀족이 여행 중에 로물루스가 자신에게 나타났다고 보고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로물루스가 자신에게 로마인들에게 로물루스 자신이 퀴리누스라고 말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12]

4. 2. 분리된 신격화

역사가 안젤로 브렐리히(Angelo Brelich)는 퀴리누스와 로물루스가 원래 동일한 신적 존재였지만, 로마 종교가 탈신화화되면서 건국 영웅과 신으로 분리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비디우스의 『축제일』에서 로물루스와 퀴리누스 모두 스펠트 곡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포르나칼리아 또는 ''스툴토룸 페리에''를 통해 나타난다고 보았다.[13]

축제의 마지막 날은 ''퀴리날리아''라고 불리며, 로물루스의 전통적인 사망일과 일치한다. 그 날 로마인들은 여신 포르낙스에게 바치는 제물로 스펠트를 구웠다.

브렐리히는 주식 작물, 신, 그리고 신체의 일부가 땅에 묻힌 살해된 건국 영웅의 이야기를 포함하는 이 패턴이 문화의 신화에서 분리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인정된 신화소라고 주장했다(''데마 신'' 원형 참조). 아카 라렌티아 축제에 플라멘 퀴리날리스가 참석했을 가능성은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는 로물루스가 그녀의 의붓아들이고, 원래 열두 명의 아르발 형제(Fratres Arvales)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14]

4. 3. 카피톨리누스 삼주신

퀴리누스는 고대 삼주신(최초의 카피톨리누스 삼주신)에서 마르스(당시 농업 신) 및 유피테르와 함께 숭배되었다.[1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퀴리누스의 중요성은 줄어들었고, 더 널리 알려진 후기 삼주신(그와 마르스는 유노와 미네르바로 대체되었다)에서 제외되었다. 바로는 유피테르, 유노, 미네르바에게 헌정된 퀴리날 언덕에 있는 초기 숭배 장소인 ''카피톨리움 베투스''에 대해 언급한다.[17] 마르티알리스는 이들 중 "옛 유피테르"와 "새로운 유피테르"를 구별한다.[19]

4. 4. 쇠퇴

로마인들은 점차 공식적인 국가 신앙 체계보다 개인적이고 신비로운 숭배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바쿠스, 키벨레, 이시스 숭배가 포함되었고, 퀴리누스만을 숭배하는 플라멘만이 남게 되었다.

5. 유산

로마 제국 멸망 후 수세기가 지나도, 원래 신격화된 로물루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로마의 퀴리날레 언덕은 여전히 권력과 연관되어 있었다. 이곳은 사보이아 가문에 의해 로마가 점령된 후 왕가의 거처로 선택되었고, 이후에는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의 관저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Foreign Cults in Rome: Creating a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Quirinus http://www.collinsdi[...] 2014-09-24
[3] 문서
[4] 서적 Les Vestins à l'époque tardo-républicaine. Du nord-osque au latin Publications des Universités de Rouen et du Havre
[5] 논문 Quirinus, un ancien dieu tonnant ? Nouvelles hypothèses sur son étymologie et sa nature primitive 2010-06-01
[6] 간행물 Quirinus
[7] 서적 Comparative mytholog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8] 웹사이트 A Reader in Comparative Mythology http://mudrac.ffzg.u[...] University of Zagreb 2010
[9] 서적 De Verborum Significatione
[10] 서적 The Imperial Cult in the Latin West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The Art of Persua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 서적 Lives https://penelope.uch[...]
[13] 서적 Fasti
[14] 서적 Noctes Atticae
[15] 서적 Quirinus: una divinita' romana alla luce della comparazione storica
[16] 논문 Was the Capitoline Triad Etruscan or Italic?
[17] 서적 De lingua latina
[18] 문서
[19] 서적 Epigrams
[20] 문서
[21] 간행물 Quirinus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