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르코노셰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르코노셰산맥은 체코와 폴란드 국경에 위치한 수데테산맥의 일부이다. 이 산맥은 체코어로 크르코노셰, 독일어로 리젠게비르게, 폴란드어로 카르코노셰로 불리며, 영어 문헌에서는 거인 산맥으로도 알려져 있다. 1518년 지도에 처음 등장했으며,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된다. 지리적으로는 체코에 454km², 폴란드에 177km²가 속하며, 빙하 지형과 고산 특징을 보인다. 스네슈카/Śnieżka는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1963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두 번째로 지정된 크르코노셰 국립공원과 1959년 지정된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국립공원이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다양한 식생대와 고산 초원, 그리고 산장 문화로 유명하며, 겨울 스포츠와 관광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산맥 - 수데티산맥
    수데티산맥은 폴란드, 체코, 독일 국경에 걸쳐 약 300km 길이로 뻗어 있으며, 동수데티산맥, 중앙수데티산맥, 서수데티산맥으로 나뉘고, 스네슈카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관광 자원이 풍부한 산맥이다.
  • 체코의 산맥 - 베스키디산맥
    베스키디산맥은 소폴란드 남부 국경을 따라 슬로바키아, 체코, 우크라이나에 걸쳐 뻗어 있는 약 600km 길이의 산맥으로, 서부, 중앙, 동부 베스키디 산맥으로 나뉘며, 과거 철광석, 석탄, 산림이 풍부했으나 현재는 목조 교회와 스키 리조트 등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 폴란드의 산맥 - 타트리산맥
    타트라 산맥은 슬로바키아와 폴란드에 걸쳐 있는 카르파티아 산맥의 북쪽 산맥으로, 결정편암,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빙하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폴란드의 산맥 - 수데티산맥
    수데티산맥은 폴란드, 체코, 독일 국경에 걸쳐 약 300km 길이로 뻗어 있으며, 동수데티산맥, 중앙수데티산맥, 서수데티산맥으로 나뉘고, 스네슈카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관광 자원이 풍부한 산맥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크르코노셰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산맥 정보
스녜슈카 - 크르코노셰산맥의 가장 높은 봉우리
스녜슈카 - 크르코노셰산맥의 가장 높은 봉우리
다른 이름크르코노셰 / 카르코노셰
어원'"거인"'+'"산맥"' (이름 참조)
접경 산맥이제라산맥
루다비 야노비츠키에
하위 구역서부 크르코노셰산맥
동부 크르코노셰산맥
비엘키 스타프
마위 스타프
엘베강
이제라강
우파강
뭄라바강
보브르강
카미엔나강
지질화강암
편암
혈암
석회암
지질 시대신원생대
고생대
조산 운동칼레도니아 조산 운동
바리스칸
알프스 조산 운동
지역, 보이보데샤리베레츠주
흐라데츠크랄로베주
돌니실롱스크주
면적 (km2)해당 사항 없음
길이 (km)해당 사항 없음
길이 방향해당 사항 없음
너비 (km)해당 사항 없음
너비 방향해당 사항 없음
최고봉스녜슈카 / 시니에슈카
해발 고도 (m)1603
좌표50°44′10″N 15°44′25″E
산맥 좌표50°46′N 15°37′E
언어별 이름

2. 명칭

크르코노셰산맥은 시대와 언어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719년부터 영어로는 거인 산맥(Giant Mountains)이라고 불렸다.[3] 체코어 이름인 '크르코노셰(Krkonoše)'는 1492년 기록에 처음 등장했고, 1518년 지도에 처음 나타났다. 1549년에는 'Hrisenpergisches Gebirge' 등의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1380년에는 '눈 덮인 산'을 뜻하는 'Sněžné hory'라고 불렸다. 1679년에는 크르코노셰, Rhipaeos Montes, 오브로브스키 산, 눈 산, 리젠 게비르게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다.[6] 현대에 사용되는 체코어(Krkonoše), 독일어(Riesengebirge), 폴란드어(Karkonosze) 명칭은 19세기에 이르러 널리 받아들여졌다.[7][8]

2. 1. 어원

1518년 보헤미아의 클라우디안 지도에 표시된 ''크르코노셰''


이 산맥은 1719년 이후부터 영어 문헌에서 거인 산맥(Giant Mountains)으로 불려왔다.[3]

체코어 이름 "Krkonoše"는 1492년 슈테파니체 영지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기록에서 (단수로, ''"Krkonoš"'') 처음 언급되었다. 이 이름이 처음 지도에 등장한 것은 1518년 클라우디안 보헤미아 지도로, 산을 ''"Krkonoss"'라고 지칭했다. 이 이름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고대 슬라브어의 Krummholz(현지 식생을 지칭)를 뜻하는 단어 ''"krk"'' 또는 ''"krak"''와 "nosit"(운반하다)에서 파생된 ''"noš"''의 합성어로 해석된다. 다른 언어학적 이론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처음 언급하고, 켈트족 이전 또는 게르만족을 지칭하는 선 인도유럽어 단어 ''Corconti''와의 연관성을 언급한다.[4][5]

1549년 시몬 휘텔의 트라우테나우 (트르트노프) 연대기에서 ''Hrisenpergisches Gebirge'', ''Hrisengepirge'', ''Hrisengebirge'', ''Risengepirge''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지만, 그 이후 수세기 동안 다른 여러 이름도 사용되었다. 마르틴 헬비히의 실레지아 지도에는 리젠베르크(Riſenberg)가 언급되어 있다.

1380년, 프르지비크 풀카바는 이 산을 ''Sněžné hory'' (눈 덮인 산)라고 불렀다. 체코 작가 보후슬라프 발빈은 1679년에 이 산이 크르코노셰(Cerconossios), Rhipaeos Montes, 오브로브스키 산, 눈 산 또는 리젠 게비르게(Riesen Gebirge)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다고 기록했다.[6]

현대 이름인 ''Krkonoše'' (체코어), ''Riesengebirge'' (독일어) 및 ''Karkonosze'' (폴란드어)는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널리 받아들여졌다.[7][8]

2. 2. 역사적 명칭 변화



체코어 이름 "Krkonoše"는 1492년 슈테파니체 영지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 기록에서 (단수로, ''"Krkonoš"'') 처음 언급되었다. 이 이름이 지도에 처음 등장한 것은 1518년 클라우디안 보헤미아 지도로, 산을 ''"Krkonoss"'라고 지칭했다. 이 이름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고대 슬라브어의 Krummholz(현지 식생을 지칭)를 뜻하는 단어 ''"krk"'' 또는 ''"krak"''와 "nosit"(운반하다)에서 파생된 ''"noš"''의 합성어로 해석된다.[4][5] 다른 언어학적 이론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처음 언급하고, 켈트족 이전 또는 게르만족을 지칭하는 선 인도유럽어 단어 ''Corconti''와의 연관성을 언급한다.

1549년 시몬 휘텔의 트라우테나우 (트르트노프) 연대기에서 ''Hrisenpergisches Gebirge'', ''Hrisengepirge'', ''Hrisengebirge'', ''Risengepirge''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지만, 그 이후 수세기 동안 다른 여러 이름도 사용되었다. 마르틴 헬비히의 실레지아 지도에는 리젠베르크(Riſenberg)가 언급되어 있다.

1380년, 프르지비크 풀카바는 이 산을 ''Sněžné hory'' (눈 덮인 산)라고 불렀다. 체코 작가 보후슬라프 발빈은 1679년에 이 산이 크르코노셰(Cerconossios), Rhipaeos Montes, 오브로브스키 산, 눈 산 또는 리젠 게비르게(Riesen Gebirge)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다고 기록했다.[6]

현대 이름인 ''Krkonoše'' (체코어), ''Riesengebirge'' (독일어) 및 ''Karkonosze'' (폴란드어)는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널리 받아들여졌다.[7][8] 이 산맥은 1719년 이후부터 영어 문헌에서 거인 산맥(Giant Mountains)으로 불려왔다.[3]

3. 지리

크르코노셰산맥은 체코폴란드의 국경을 이루는 수데테산맥의 일부이다. 이 산맥은 빙하 권곡, 주빙하 지형, 수목 한계선 등 독특한 자연 경관을 가지고 있다. 주 능선은 북해발트해로 흘러가는 강들의 분수계를 형성하며, 체코와 폴란드 양국에 걸쳐 다양한 강과 폭포들이 발달해 있다.

3. 1. 지형

체코 북부의 지형학적 구분 내에 있는 크르코노셰산맥


크르코노셰산맥의 면적은 631km2로, 체코 내에 454km2, 폴란드에 177km2가 해당된다. 수데테산맥의 대부분이 중간 규모의 ''미텔게비르게'' 산이지만, 크르코노셰산맥은 빙하 권곡, 작은 주빙하 지형과 수목 한계선보다 상당히 높은 고도와 같은 고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9]

산맥의 주 능선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두 국가 사이의 국경을 형성한다. 가장 높은 봉우리인 스네슈카/Śnieżka는 체코 공화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폴란드에 있는 실롱스크 북쪽 부분은 옐레니아 구라 계곡으로 가파르게 떨어지는 반면, 체코 남쪽 부분은 보헤미아 분지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북동쪽 방향으로 크르코노셰산맥은 루다비 야노비츠키로, 남동쪽으로는 리호리로 이어진다. 야쿠시체에 있는 노보스베츠키 프루스미크(Przełęcz Szklarska|노보스베츠키 프루스미크pl) 고개는 이세라 산맥과 서쪽 경계를 형성한다.

엘베강의 ''라브스키 보도파드''와 오래된 산장, 1900


체코 공화국에 있는 주 능선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보헤미아 능선은 두 번째 능선(내부 능선이라고도 함)을 형성한다. 슈핀들레루프 믈린에서 엘베강이 보헤미아 능선을 나눈다.

능선은 이세라 산맥에서 발원하는 엘베강, 뭄라바강, 빌레 라베강, 벨카 우파강, 말라 우파강, 이세라강에 의해 나뉜다. 체코 쪽의 강들은 종종 빙하기 빙하에 의해 형성된 계곡으로 가파른 가장자리 위로 떨어진다. 산맥 남쪽의 가장 큰 폭포는 높이가 50m인 라브스키 보도파드(Labský vodopád), 판차프스키 폭포(140m, 체코 공화국에서 가장 높은 폭포), 호르니 우프스키 폭포, 돌니 우프스키 폭포 및 뭄라바 폭포(8.9m)이다. 폴란드 쪽의 가장 중요한 강은 카미엔나강, 롬니차강, 보브르강이다. 또한 카미엔치크 폭포(27m), 슈클라르키 폭포(13.3m), 보도스파드 나 롬니치(10m), 포드고르나 폭포(10m)와 같은 인상적인 폭포를 형성한다.

크르코노셰산맥의 주 능선은 북해와 발트해 사이의 분수계를 형성한다. 남쪽의 강은 북해로, 북쪽의 강은 발트해로 흘러 들어간다.

3. 2. 수계

크르코노셰산맥의 주 능선은 북해발트해 사이의 분수계를 형성한다. 남쪽의 강은 북해로, 북쪽의 강은 발트해로 흘러 들어간다.[9]

3. 3. 주요 봉우리

체코어폴란드어독일어고도비고
스녜슈카산ŚnieżkaSchneekoppe1603m최고봉; 페츠 포드 스녜슈코우에서 케이블 리프트 운행
루치니 호라Łączna GóraHochwiesenberg1555m보헤미안 능선의 최고봉
스투드니치니 호라Studzienna GóraBrunnberg1554m
비스오케 콜로비엘키 시샤크Hohes Rad1509m서 크르코노셰산맥의 최고봉
스트르지브르니 흐르제베트SmogorniaMittagsberg1489m
비올리크 (랍스키 시트)랍스키 시트Veilchenstein1472m
말리 시샤크마위 시샤크Kleine Sturmhaube1440m
코텔KociołKesselkoppe1435m
벨키 시샤크 (스메레츠)ŚmielecGroße Sturmhaube1424m
하라호비 카메니Harrachowskie KamienieHarrachsteine1421m
무슈스케 카메니Czeskie KamienieMannsteine1416m
디브치 카메니Śląskie KamienieMädelsteine1414m
스보로바 호라Czarna KopaSchwarze Koppe1411m
루조바 호라Rózowa GóraRosenberg1390m
KopacsKopaKleine Koppe1377m
리시치 호라Lisia GóraFuchsberg1363m
지노노슈슈레니차Reifträger1362m슈클라르스카 포렘바에서 의자 리프트 운행
리스하 호라Łysa GóraKahler Berg1344m로키트니체 나드 이제로우에서 의자 리프트 운행, 스키 리조트
스토흐StógHeuschober1315m
체르나 호라Czarna GóraSchwarzenberg1299m얀스케 라즈네에서 케이블카 운행, TV 타워, 스키 리조트
메드베진MedwiedinSchüsselberg1235m슈핀들레루프 물린에서 의자 리프트 운행, 스키 리조트
드보르스키 레스Dworski LasHoflbusch1036m리초리의 최고봉
체르토바 호라Czarcia GóraTeufelsberg1021m하라호프와 리조비슈체에서 의자 리프트 운행, 스키 리조트


4. 생태

크르코노셰산맥은 산지대, 아고산대, 고산대 등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빙하기 동안 형성된 북극 툰드라의 유물이 남아있고, 알프스와는 다른 환경에서 진화한 고유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스니에즈네 코틀리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식물 종을 볼 수 있다.[1]

4. 1. 식생대

강 유역과 낮은 지대는 아(亞) 산지대를 형성한다. 토착 활엽수림과 혼합림은 대부분 가문비나무 단일 재배로 대체되었다. 강 유역에서만 활엽수림의 잔재를 볼 수 있다.

높은 지대는 산지 식생대를 형성한다. 이 지역의 자연 침엽수림도 대부분 가문비나무 단일 재배로 대체되었으며, 대기 오염과 토양 산성화로 인해 피해가 심각한 경우가 많다. 많은 곳에서 숲이 죽어 있는데, 이는 많은 석탄 화력 발전소가 있는 독일-폴란드-체코 국경 삼각지대 주변 지역인 블랙 트라이앵글(Black Triangle)에 위치한 지리적 위치 때문이다. 이산화황 배출량은 산성비의 주요 원인이며, 다른 많은 농도의 배출량은 1990년대 초부터 크게 감소했지만, 1970년대에 시작되어 1980년대 말에 절정에 달했던 숲의 고사 현상은 완전히 막을 수 없었다.[1]

산장 주변의 숲을 개간하여 종이 풍부한 고산 초원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고산 목축으로 유지되었다. 1945년 독일인 추방 이후, 이러한 유형의 관리는 대부분 중단되었고 고산 초원은 거의 방치되었다.

스니에즈네 코틀리


수목 한계선 위, 약 1250m~1350m 지점에는 아고산대가 있으며, 이곳은 크룸홀츠(관목)와 매트그래스 초원, 아한대 고산 습원으로 특징지어진다. 크르코노셰에서 특별히 중요한 이 서식지는 빙하기 동안 중부 유럽에서 전형적인 북극 툰드라의 유물이다. 동시에 알프스의 고산 초원과의 연결이 있었으며, 구름딸기와 같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 종이 이곳에서 공존한다. 일부 종은 알프스나 툰드라와 달리 크르코노셰의 특정 조건에서 진화했으며, 특히 스니에즈네 코틀리에서 그러하다. 이들은 고유종으로, 이곳에서만 나타난다.[1]

고도대 고산대는 큰 암석 사막으로, 가장 높은 봉우리(스네슈카, 루치니 호라, 스투드니치니 호라, 코텔 및 슈레니차)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풀, 이끼, 지의류만 생존한다.[1]

특히 종이 풍부한 곳은 남쪽의 오브르지 둘, 라브스키 둘, 둘 비레호 라베와 주 능선의 북쪽에 있는 극적인 스니에즈네 코틀리, 코치오우 롬니치키, 산호수인 비엘키 스타우와 마위 스타우의 칼데라와 같은 빙하 권곡이다. 가장 종이 풍부한 지역을 자흐라드카("정원")라고 부른다. 크르코노셰에는 약 15개가 있는데, 예를 들어 체르토바 자흐라드카와 크라코노쇼바 자흐라드카가 있다.[1]

4. 2. 주요 서식지

강 유역과 낮은 지대는 아(亞) 산지대를 형성한다. 토착 활엽수림과 혼합림은 대부분 가문비나무 단일 재배로 대체되었다. 강 유역에서만 활엽수림의 잔재를 볼 수 있다.

스네슈카에서 바라본 풍경


높은 지대는 산지 식생대를 형성한다. 이 지역의 자연 침엽수림도 대부분 가문비나무 단일 재배로 대체되었으며, 대기 오염과 토양 산성화로 인해 피해가 심각한 경우가 많다. 많은 곳에서 숲이 죽어 있는데, 이는 많은 석탄 화력 발전소가 있는 독일-폴란드-체코 국경 삼각지대 주변 지역인 블랙 트라이앵글(Black Triangle)에 지리적으로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이산화황 배출량은 산성비의 주요 원인이며, 다른 많은 농도의 배출량은 1990년대 초부터 크게 감소했지만, 1970년대에 시작되어 1980년대 말에 절정에 달했던 숲의 고사 현상은 완전히 막을 수 없었다.

산장 주변의 숲을 개간하여 종이 풍부한 고산 초원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고산 목축으로 유지되었다. 1945년 독일인 추방 이후, 이러한 유형의 관리는 대부분 중단되었고 고산 초원은 거의 방치되었다.

수목 한계선 위, 약 1250m~1350m 지점에는 아고산대가 있으며, 이곳은 크룸홀츠(관목)와 매트그래스 초원, 아한대 고산 습원으로 특징지어진다. 크르코노셰에서 특별히 중요한 이 서식지는 빙하기 동안 중부 유럽에서 전형적인 북극 툰드라의 유물이다. 동시에 알프스의 고산 초원과의 연결이 있었으며, 구름딸기와 같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 종이 이곳에서 공존한다. 일부 종은 알프스나 툰드라와 달리 크르코노셰의 특정 조건에서 진화했으며, 특히 스니에즈네 코틀리에서 그러하다. 이들은 고유종으로, 이곳에서만 나타난다.

고도대 고산대는 큰 암석 사막으로, 가장 높은 봉우리(스네슈카, 루치니 호라, 스투드니치니 호라, 코텔 및 슈레니차)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풀, 이끼, 지의류만 생존한다.

특히 종이 풍부한 곳은 남쪽의 오브르지 둘, 라브스키 둘, 둘 비레호 라베와 주 능선의 북쪽에 있는 극적인 스니에즈네 코틀리, 코치오우 롬니치키, 산호수인 비엘키 스타우와 마위 스타우의 칼데라와 같은 빙하 권곡이다. 가장 종이 풍부한 지역을 자흐라드카("정원")라고 부른다. 크르코노셰에는 약 15개가 있는데, 예를 들어 체르토바 자흐라드카와 크라코노쇼바 자흐라드카가 있다.

5. 환경 보호

크르코노셰산맥 북쪽, 폴란드 측의 죽은 가문비나무


크르코노셰산맥은 체코와 폴란드 양쪽 모두에서 넓은 지역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국립 공원 및 자연 보호 구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체코의 크르코노셰 국립 공원과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국립 공원이 대표적이다.

폴란드 국립 공원은 엄격한 보존 규정에 따라 손상되거나 죽은 숲의 재조림을 금지하고 있지만, 체코 측에서는 대규모 재조림 사업이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 1. 국립공원



체코와 폴란드 양쪽 모두, 산맥의 넓은 지역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국립 공원 및 자연 보호 구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체코의 크르코노셰 국립 공원(Krkonošský národní park, KRNAP)은 1963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두 번째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체코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 공원이 되었다. 면적은 약 370km2이며, 고산 지대뿐만 아니라 산기슭까지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국립 공원(Karkonoski Park Narodowy, KPN)은 1959년에 지정되었으며, 55.8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공원은 해발 900m~1000m 이상의 민감한 고지대와 이 구역 아래의 몇몇 특별한 자연 보호 구역을 포함한다.

폴란드 국립 공원의 엄격한 보존 규정은 손상되거나 죽은 숲의 재조림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체코 측에서는 대규모 재조림 사업이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 2. 문제점 및 과제



체코와 폴란드 양쪽 모두, 산맥의 넓은 지역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국립 공원 및 자연 보호 구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체코의 크르코노셰 국립 공원(Krkonošský národní park, KRNAP)은 1963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두 번째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체코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 공원이 되었다. 면적은 약 370km2이며, 고산 지대뿐만 아니라 산기슭까지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국립 공원(Karkonoski Park Narodowy, KPN)은 1959년에 지정되었으며, 55.8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공원은 해발 900m~1000m 이상의 민감한 고지대와 이 구역 아래의 몇몇 특별한 자연 보호 구역을 포함한다.

폴란드 국립 공원의 엄격한 보존 규정은 손상되거나 죽은 숲의 재조림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체코 측에서는 대규모 재조림 사업이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6. 역사

호이나 성, 폴란드


과거 산악 산장을 공급했던 'Koppenträger'. 호퍼 가족과 미트뢰너 가족(산의 보헤미아 쪽 동부에 정착한 두 가문) 구성원을 보여준다. 두 가족의 조상은 16세기에 오스트리아에서 왔다.


보로비체에 있는 기념물, 연합군 전쟁 포로(POW)에게 헌정됨. 나치 독일에 의해 사망


크르코노셰산맥은 중세 시대부터 여러 국가 및 정치 세력 간의 경계 역할을 해왔다. 폴란드와 보헤미아, 폴란드 자보르 공국과 보헤미아, 프로이센 왕국오스트리아 제국, 독일과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현재의 폴란드와 체코 사이의 국경선이 이 산맥을 따라 설정되었다.[1] 19세기 초반까지 사소한 조정은 있었지만, 큰 틀에서 국경선은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1]

18세기 중반 베를린 조약 (1742년)으로 실레지아 지역은 프로이센 왕국에 속하게 되었으며, 1790년 법원 판결을 통해 보헤미아와 실레지아 사이의 경계가 확정되었다. 19세기 초, 바트 바름브룬(치에플리체 시롱스키 즈드루이)은 온천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가 되었고, 프로이센 빌헬름 왕자 (1783~1851)는 피쉬바흐 성에 여름 별장을 마련하면서 왕족의 휴양지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건국 후, 체코인들이 산의 보헤미아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38년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하면서 이러한 흐름은 중단되었고, 많은 체코인들이 이 지역을 떠나거나 추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크르코노셰산맥에서는 큰 전투는 없었지만, 독일군은 산장을 군사 목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프제시에카, 프제레츠 카르코노스카, 피에호비체, 코바리, 크르차치나 등지에 최소 15개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하여 폴란드인,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유대인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을 수감했다.[10][11]

전쟁 이후, 크르코노셰산맥은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의 영토가 되었지만, 소련의 영향 아래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포츠담 협정에 따라 거의 모든 독일인들이 추방되었고, 폴란드인과 체코인들이 각각 산맥의 북부와 남부에 재정착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폴란드와 체코의 반공산주의 운동가들이 크르코노셰산맥에서 비밀리에 만나기도 했다.[5] 1990년 공산주의 몰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의 대통령은 프제레츠 카르코노스카에서 만나 양국 간의 협력을 다짐했다.[5]

6. 1.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 크르코노셰산맥은 폴란드와 보헤미아 사이의 국경 역할을 했다. 1110년 폴란드 통치자 볼레스와프 3세 브와트가 보헤미아를 상대로 작전을 펼치며 이 산맥을 넘었는지는 논란이 있다. 10~11세기 폴란드 건국 이전에는 산맥과 주변 지역은 사람이 살지 않는 깊은 숲이었다. 최초의 정착 흔적은 12세기 보헤미아와 폴란드를 잇는 도로 근처 보헤미아 공국에서 나타났다. 옐레니아 구라와 코바리는 이미 12세기에 존재했으며, 폴란드 쪽 산기슭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은 13세기에 세워졌다. 초기에는 벌목꾼, 숯 굽는 사람, 사냥꾼들이 거주했고, 금을 찾는 사람들이 이주해 왔다.[4]

13세기에는 보헤미아 지역에 체코인 정착이 시작되었지만 산기슭에만 해당되었고, 산등성이에는 여전히 사람이 살지 않았다. 13세기 후반에는 주로 독일인 정착민들이 산기슭에 정착하여 농업 정착지, 시장, 수공예 공동체를 건설했다.

1281년, 베르나르트 더 라이트섬 공작은 크르코노셰산맥 서쪽을 성 요한 기사단에게 양도했고, 1292년 볼코 1세 더 스트릭트 공작은 동쪽의 그르즈비에트 라소츠키를 크르제쇼프 수도원에게 양도했다. 나머지 폴란드 지역은 공작 소유로 남았다.[5]

14~15세기에는 실레지아 지역에서 금, 은 등을 찾던 보물 사냥꾼과 광부들이 산맥 내부를 탐험했다. 비독일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은 "발렌"이라고 불렸으며, 이들의 여정은 "발렌뷔허"에 기록되었다.[6]

14~16세기에는 광부, 유리 제조공, 숯 굽는 사람, 벌목꾼, 양치기들이 산에 정착했다. 최초의 유리 공장은 13세기에 폴란드 쪽에 세워졌고, 14세기 중반에는 슈클라르스카 포렘바와 비소케 나트 이제로우에도 유리 공장이 있었다. 보헤미아 출신 유리 기술자들이 실레지아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했다.[7]

1511년 독일인 광부들이 오브르지 둘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산의 다른 지역에서도 많은 광산이 열렸다. 1530년대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는 브르흐라비 영지를 획득하고, 광부들을 보충하기 위해 작은 마을들을 세웠다. 계곡 아래쪽에는 제철소 용광로가 건설되었고, 이로 인해 최초의 삼림 벌채 지역이 나타났다.

Vrchlabí 성(1545~1546년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가 건설)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는 쿠트나 호라의 은광을 위한 벌목을 시작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1566년 그는 알프스 출신 벌목꾼들을 정착시켰다. 티롤 백작령, 카린티아 공국 및 슈타이어 공국 출신의 이 사람들은 산의 성격을 바꾸고 문화 경관을 형성했다. 수백 가구가 새로운 정착지를 세우고 가축을 사육하여 농업의 기반을 마련했다.[8]

17세기에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이 산의 일부를 획득했고, 30년 전쟁 (1618~1648)은 크르코노셰산맥의 추가 탐험과 정착을 촉발했다. 보헤미아 지역의 종교 난민들은 실레지아 지역의 산으로 도망쳐 여러 마을에 정착했다.[9] 전쟁 후 "bouda"(체코어), "buda"(폴란드어), "Baude"(독일어)라고 불리는 오두막들이 산에 남아 가축 방목에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오두막은 1620년대와 1630년대에 세워졌다.[10]

보세츠카 부다, 1918년 이후 체코인이 관리하는 몇 안 되는 산장 중 하나


17세기 동안 보헤미아 측 산맥은 새로운 토지 소유주들로 나뉘었다. 베를린 조약 (1742년) 이후 실레지아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790년 법원 판결은 보헤미아와 실레지아 사이의 경계를 정의했다.

6. 2. 정착과 발전

크르코노셰산맥에는 중세 이후 폴란드와 보헤미아, 폴란드 자보르 공국과 보헤미아, 프로이센 왕국오스트리아 제국, 독일과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폴란드와 체코 사이의 국경이 설정되었다.[1] 국경선은 사소한 조정을 제외하고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1] 10~11세기 폴란드 건국 전까지 산맥과 그 주변은 깊고 험한 숲으로 인해 사람이 살지 않았다.[2]

최초의 인류 정착 흔적은 12세기 보헤미아와 폴란드를 잇는 두 지방 도로 근처 보헤미아 공국에서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 옐레니아 구라와 코바리는 이미 12세기에 존재했으며, 폴란드 쪽 산기슭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은 13세기에 세워졌다.[3] 최초의 원주민은 벌목꾼, 숯 굽는 사람, 사냥꾼이었으며, 첫 이민자들은 금을 찾는 사람들이었다.[4]

13세기에는 보헤미아 지역에 체코인 정착이 시작되었지만 산기슭에만 해당되었고 산등성이에는 여전히 사람이 살지 않았다. 13세기 후반, 주로 독일인 정착민('Ostsiedlung')에 의해 산기슭에 두 번째 정착 물결이 일어났다. 이들은 농업 조건이 더 나은 폴란드(실레지아) 북부 지역을 먼저 식민지화한 후 엘베강과 우파강을 따라 남부 보헤미아 지역을 식민지화했다.

1281년, 베르나르트 더 라이트섬 공작은 크르코노셰산맥 서쪽 부분을 스트르제곰의 성 요한 기사단에게 양도했고, 1292년 볼코 1세 더 스트릭트 공작은 동쪽의 그르즈비에트 라소츠키를 크르제쇼프 수도원에게 양도했으며, 나머지 폴란드 지역은 공작 소유로 남았다.[5]

크르코노셰산맥 내부 지역을 탐험한 최초의 사람들은 주로 실레지아 지역에서 금, 은, 광석, 귀중한 돌을 찾던 보물 사냥꾼과 광부들이었다. 14~15세기에는 "발렌"(Walha 참조)이라고 불리는 비독일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산으로 왔다.

14~16세기에는 광부, 유리 제조공, 숯 굽는 사람, 벌목꾼, 양치기들이 산에 정착했다. 최초의 유리 공장은 13세기에 폴란드 쪽 그르지보비에츠 산기슭의 치차 돌리나("고요한 계곡")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14~16세기에 확실히 운영되었다. 14세기 중반에는 슈클라르스카 포렘바와 비소케 나트 이제로우에도 유리 공장이 있었다. 이후 보헤미아 출신 유리 기술자들이 실레지아 지역으로 이동했다.[6]

1511년, 작센 마이센 주변 지역의 독일인 광부들이 오브르지 둘에서 스녜슈카/시니에슈카 산 바로 아래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스바티 페트르(현재 슈핀들레루프 믈린의 일부) 등 산의 다른 중앙 지역에서도 많은 광산이 열렸다.

1530년대,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는 브르흐라비 전체 영지를 획득하여 이 지역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광부들을 보충하기 위해 산의 더 높은 지역에 많은 작은 마을을 세웠고, 계곡 아래쪽에는 제철소 용광로를 건설하고 물레를 설치하여 에너지를 공급했다.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의 명령에 따라 쿠트나 호라 은광을 위한 광범위한 벌목이 시작되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혔다. 1566년, 그는 알프스 국가 출신 벌목꾼들을 자신의 영지에 정착시켰다. 티롤 백작령, 카린티아 공국, 슈타이어 공국 출신의 이들은 산의 성격을 바꾸고 문화적 경관을 크게 형성했다.

17세기에는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이 산의 일부를 획득했고, 브르흐라비 마을은 그의 군대 무장 기지로 사용되었다. 30년 전쟁 (1618~1648) 동안 군대에서 도망친 주민들이 산에 피난처를 찾으면서 크르코노셰산맥의 추가 탐험과 정착이 촉발되었다.[7] 보헤미아 지역의 종교 난민들은 실레지아 지역의 산으로 도망쳐 마리신(현재 슈클라르스카 포렘바 지구), 카르파츠, 보로비체, 미하워비체, 야그니앗쿠프에 정착했다.[8]

17세기 동안 보헤미아 쪽 산맥은 하라흐, 모르진, 드 바기 가문 등 대부분 카톨릭교도이고 이 지역과 관련 없는 새로운 토지 소유주들로 나뉘었다. 베를린 조약 (1742년) 이후 실레지아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처음에 바트 바름브룬(치에플리체 시롱스키 즈드루이, 현재 옐레니아 구라 지구)은 온천으로 산 북쪽에서 인기 있는 목욕 및 관광 중심지가 되었다. 1822년, 프로이센 빌헬름 왕자 (1783~1851)는 피쉬바흐(오늘날 카르프니키) 성에서 히르슈베르크(옐레니아 구라) 계곡에 여름 별장을 마련했다.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건국 후, 몇 년 동안 산의 보헤미아 쪽에 체코인들이 유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크르코노셰산맥에서는 전투가 없었고, 독일군은 산장을 군사 관측소, 통신소, 병력 휴양지로 점령했다.[9] 독일군은 프제시에카, 프제레츠 카르코노스카, 피에호비체, 코바리, 크르차치나에 최소 15개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지배 하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다.[10][11] 수용소에는 폴란드인(종종 여성과 어린이),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유대인, 체코인, 벨기에인, 룩셈부르크인,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 등 다양한 국적의 수감자들이 수감되었다.[10][11]

독일의 전쟁 패배 후 산은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가 되었지만, 1980년대까지 권력을 유지한 소련이 설치한 공산주의 정권이 있었다. 거의 모든 독일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 포츠담 협정에 따라 추방되었다. 북부 실레지아 쪽에는 폴란드인, 그 중 일부는 이전에 크레시였던 동부 폴란드에서 추방되어 이 지역에 재정착했고, 체코인들은 산맥의 남부 보헤미아 쪽에 재정착했다. 오늘날 국립공원 지역의 인구 밀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보다 3분의 2가 낮다.[12]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폴란드와 체코의 반공산주의 운동가들이 크르코노셰산맥에서 불법적으로 만났다.[13] 공산주의 몰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의 대통령은 1990년 프제레츠 카르코노스카에서 만났다.[13]

6. 3. 근현대



중세 이후 크르코노셰산맥에는 폴란드와 보헤미아, 폴란드 자보르 공국과 보헤미아, 프로이센 왕국오스트리아 제국, 독일과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그리고 폴란드와 체코 사이의 국경이 설정되었다.[5] 10~11세기 폴란드가 건국되기 전까지 산맥과 그 주변은 깊고 험한 숲으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5]

1281년, 베르나르트 더 라이트섬 공작은 크르코노셰산맥의 서쪽 부분을 스트르제곰에서 온 성 요한 기사단에게 양도했고, 1292년, 볼코 1세 더 스트릭트 공작은 동쪽의 그르즈비에트 라소츠키를 크르제쇼프 수도원에게 양도했으며, 산맥의 나머지 폴란드 지역은 공작 소유로 남았다.[5]

14~16세기에는 광부, 유리 제조공, 숯 굽는 사람, 벌목꾼, 양치기들이 산에 정착했다. 최초의 유리 공장은 이미 13세기에 폴란드 측 그르지보비에츠 산 기슭의 치차 돌리나("고요한 계곡")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14~16세기에 운영되었다. 14세기 중반에는 슈클라르스카 포렘바와 비소케 나트 이제로우에도 유리 공장이 있었다.[5]

1511년 작센 마이센 주변 지역의 독일인 광부들이 오브르지 둘에서 스녜슈카/시니에슈카 산 바로 아래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동시에 스바티 페트르(현재 슈핀들레루프 믈린의 일부) 등 산의 다른 중앙 지역에서도 많은 광산이 열렸다. 1530년대,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는 브르흘라비 전체 영지를 획득하여 이 지역을 발전시켰다. 광부들을 보충하기 위해 산의 더 높은 지역에 많은 작은 마을을 세웠고, 계곡 아래쪽에는 제철소 용광로가 건설되었고 물레가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했다.

크리스토퍼 폰 겐도르프의 명령에 따라 쿠트나 호라의 은광을 위한 광범위한 벌목이 시작되어 큰 피해를 입혔다. 1566년 그는 알프스 국가 출신의 벌목꾼들을 자신의 영지에 정착하도록 초대했다. 티롤 백작령, 카린티아 공국 및 슈타이어 공국 출신의 이 사람들은 산의 성격을 바꾸고 문화적 경관을 크게 형성했다.

17세기에는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이 산의 일부를 획득했고 브르흘라비 마을은 그의 군대의 무장 기지로 사용되었다. 30년 전쟁 (1618~1648)은 군대에서 도망친 주민들이 산에 피난처를 찾아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면서 크르코노셰산맥의 추가 탐험과 정착을 촉발했다.[5] 보헤미아 지역의 종교 난민들은 실레지아 지역의 산으로 도망쳐 여러 마을에 정착했다.[5]

베를린 조약 (1742년) 이후 실레지아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790년의 법원 판결은 오늘날까지 보헤미아와 실레지아 사이의 경계를 정의한다.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건국 후, 산의 보헤미아 측에 체코인들이 유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크르코노셰산맥에서는 전투가 없었고, 독일군은 산장을 군사 관측소, 통신소, 병력 휴양지로 점령했다.[5] 독일군은 최소 15개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지배 하의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다.[10][11] 수용소에는 다양한 국적의 수감자들이 수감되었다.[10][11]

독일의 전쟁 패배 후 산은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가 되었지만, 소련이 설치한 공산주의 정권이 1980년대까지 권력을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 포츠담 협정에 따라 거의 모든 독일인들은 추방되었다. 북부 실레지아 쪽에는 폴란드인들이 재정착했고, 체코인들은 산맥의 남부 보헤미아 쪽에 재정착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폴란드와 체코의 반공산주의 운동가들이 크르코노셰산맥에서 불법적으로 만났다.[5] 공산주의 몰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의 대통령은 1990년 프제레츠 카르코노스카에서 만났다.[5]

7. 문화

크르코노셰산맥은 독일 민담에 나오는, 반은 장난기 많고 반은 친절한 고블린인 리베차알의 전설적인 고향이다.[20] 또한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소설 "거인 산맥의 양치기"의 배경이 되기도 한다.

7. 1. 산장 문화

크르코노셰산맥의 전형적인 특징은 수많은 산장이다. 체코어로는 "bouda", 독일어로는 "Baude"라고 불리는데, 두 이름 모두 부스 또는 건물을 의미하는 중고지 독일어 단어 "Buode"에서 파생되었다. 폴란드어 이름은 "schronisko"이다. 산장들은 대부분 위치, 건설자 또는 거주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러나 점유자는 추방 이후 자주 바뀌었고, 특히 현재 폴란드 측에 있는 여러 산장이 새로운 이름을 받았다. 산장 전체 식민지는 그곳에 살았던 가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산장들은 크르코노셰의 높은 부분이나 능선에 위치해 있으며, 여름에 양치기들이 나무 피난처로 사용했다. 1800년 이후, 일부 산장은 최초의 하이커들에게 흥미로운 대상이 되었고, 19세기 말에는 많은 산장이 호스텔로 개조되었다. 이후 이 산장은 종종 더 많은 손님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잘 알려진 역사적인 산장으로는 체코 공화국의 루치니 부다(Luční bouda), 마르티노바 부다(Martinova bouda), 보세츠카 부다(Vosecká bouda)와 폴란드의 슈로니스코 스트르제차 아카데미카(Schronisko Strzecha Akademicka), 슈로니스코 사모트니아(Schronisko Samotnia), 슈로니스코 나 할리 슈레니츠키에이(Schronisko na Hali Szrenickiej) 등이 있다. 다른 곳에서는 오래된 산장이 관광 목적으로 특별히 지어진 새로운 건물로 대체되었다. 20세기의 산장으로는 페트로바 부다(Petrova bouda)와 스녜슈카/시니에슈카산 정상에 있는 산장이 있다.

폴란드 슈렌니차에 있는 산장

7. 2. 암석 지형

크르코노셰산맥에는 디브치 카메니-실라스키에 카메니(Dívčí kameny-Śląskie Kamienie)와 무슈스케 카메니-체스키에 카메니(Mužské kameny-Czeskie Kamienie), 체코 측의 하라호비 카메니(Harrachovy kameny), 폴란드의 피엘그르지미(Pielgrzymy)와 스워네치니크(Słonecznik)와 같은 인상적인 암석 지형이 많이 있다. 이 암석들은 해발 1400m 이상의 주요 능선에 있다. 풍화된 화강암 덩어리는 종종 사람이나 동물을 닮은 높은 탑을 형성하며, 높이가 30m에 이른다. 유사한 지형은 수데테스 산맥의 다른 지역에서도 찾을 수 있다.

7. 3. 전설과 문학

크르코노셰산맥은 독일 민담에 나오는, 반은 장난기 많고 반은 친절한 고블린인 리베차알의 전설적인 고향이다.[20]

크르코노셰산맥은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Der Hirt des Riesengebürgs", 즉 "거인 산맥의 양치기"의 배경이 된다.

8. 관광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그림 ''거대한 산맥의 아침'' (1810년대 초)


크르코노셰산맥은 중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관광 지역 중 하나로, 등산, 겨울 스포츠, 산악자전거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18세기와 19세기 초부터 스네슈카 등반이 인기 있었으며, 테오도어 쾨르너,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이 등반했다.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와 카를 구스타프 카루스 같은 예술가들은 영감을 얻기 위해 산을 찾았고, 1800년에는 미국의 대통령 존 퀸시 애덤스가 방문하기도 했다.

19세기 말에는 독일 측과 보헤미아 측에 각각 산악 클럽이 설립되어 하이킹 코스를 건설했다. 그러나 정착과 관광 발전으로 인해 사망 사고도 발생했다.

독일 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휴가지 중 하나였던 크르코노셰산맥은 19세기에 독일인과 폴란드인 관광객이 많았고, 폴란드어 가이드북과 산악 가이드도 있었다. 많은 체코 작가들이 스네슈카를 등반하고 작품에 묘사했으며, 체코 민족 부흥 운동의 영감을 주기도 했다. 그뤼더차이트 동안 베를린의 많은 제조업체들이 실레지아 측에 별장을 지었고, 이세라 철도와 도이체 루프트한자 항공 연결을 통해 편리하게 도착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스키 리조트가 확장되었지만, 전통적인 산악 오두막과 하이킹 코스는 관리가 부족해 쇠퇴했다. 1945년 폴란드에 관광 협회가 설립되어 여러 산악 오두막을 다시 열었고, 1980년대에는 국경 횡단 하이킹 코스인 "폴란드-체코 우정 트레일"이 개방되었다.

크르코노셰산맥은 페츠포트스녜슈코우, 슈핀들레루프믈린, 하라호프, 얀스케라즈네(체코), 슈클라르스카포렘바, 카르파츠, 코바리(폴란드) 등 주요 산악 리조트가 있는 겨울 스포츠 중심지이다. 1817년 아우구스트 나이드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는 썰매 타기를 묘사했고, 1880년에는 노르딕 스키가 도입되어 1891년 프리드쇼프 난센의 "그린란드 횡단" 번역 후 인기를 얻었다. 1900년경에는 여러 스포츠 클럽이 설립되었고, 크르코노셰산맥 출신 선수들이 국내외 대회에서 활약했다.

크르코노셰산맥 국립공원에는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산악자전거 코스가 있으며, 폴란드와 체코 국경을 넘어 숲, 목초지, 호수, 강을 배경으로 펼쳐져 있다.

8. 1. 등산

크르코노셰산맥은 중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관광지 중 하나이다. 18세기와 19세기 초부터 스네슈카 등반이 인기 있었는데, 테오도어 쾨르너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이 등반했다.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와 카를 구스타프 카루스 같은 예술가들은 영감을 얻기 위해 산을 찾았다. 1800년에는 미국의 대통령 존 퀸시 애덤스가 크르코노셰산맥을 방문했다.[18] 19세기 말에는 독일 측에 'Riesengebirgsverein'(자이언트 마운틴 클럽), 보헤미아 측에는 오스트리아 'Riesengebirgsverein'이라는 두 개의 산악 클럽이 설립되었다. 이들은 크르코노셰의 관광 개발을 목표로 하이킹 코스를 건설했으며, 몇 년 동안 3000km의 네트워크를 만들었고, 실레지아 (주요) 및 보헤미아 능선에만 500km가 있었다.

정착과 관광이 발전하면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길을 잃거나, 얼어 죽거나, 눈사태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19] 눈사태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산악 희생자를 기리는 가장 오래된 기념비는 스네슈카/시니에슈카에 있으며 1828년에 사망한 얀 피에니아제크-오드로봉츠를 기념한다.[20]

크르코노셰산맥은 독일 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휴가지 중 하나였다. 19세기에는 독일인과 폴란드인 관광객이 가장 많았다. 폴란드어 가이드북은 18세기부터 출판되었으며, 18-19세기에는 폴란드 산악 가이드도 있었다. 19세기에 많은 체코 작가들이 산을 방문하여 스네슈카를 등반한 후 작품에서 묘사했다. 스네슈카산은 체코인의 슬라브 기원의 상징이자 체코 민족 부흥 운동의 영감을 주었다. 그뤼더차이트(19세기의 산업 및 경제 성장기) 동안 베를린의 많은 제조업체들이 실레지아 측에 별장들을 지었고, 그중 많은 수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슈클라르스카 포렘바와 같이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이세라 철도를 통해 베를린, 브로츠와프, 슈체친, 드레스덴에서 슈라이버하우까지 직접 철도 연결이 가능했으며, 나중에는 옐레냐 구라를 경유하는 도이체 루프트한자 항공 연결을 통해 편리하고 빠르게 도착할 수 있었다. 1888년부터 1894년까지 크로이츠베르크 (템펠호퍼 베르게)에 베를린의 빅토리아 공원을 조성하면서 정원 건축가 헤르만 매히티히는 카미엔치크 폭포를 본떠 폭포를, 아드르스파흐를 본떠 골짜기를 설계했다.

방 교회 in 카르파츠, 폴란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산의 양쪽에 새로운 리프트와 슬로프가 있는 스키 리조트가 확장되었고, 전통적인 산악 오두막은 방치되었다. 랍스카 부다, '리젠바우데', '프린츠-하인리히-바우데' 등 많은 오두막이 화재로 사라졌다. 많은 하이킹 코스, 스키 점프대 및 루지 트랙이 관리가 부족하여 쇠퇴했다. 1945년, 폴란드 '돌노실롱스키 투리스티치노-크라요즈나프치 토바지스트보'("아래 실레지아 관광 및 관광 협회")가 프셰시에카에 설립되었으며, 이듬해 폴란드 관광 및 관광 협회와 합병되었다. 폴란드 관광 및 관광 협회는 여러 산악 오두막을 다시 열었다. 주요 능선의 국경 횡단 하이킹 코스인 "폴란드-체코 우정 트레일"은 1980년대에 폴란드 및 체코슬로바키아 시민을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폐쇄되었다. 이 산은 주요 수데테스 하이킹 코스인 Główny Szlak Sudecki(시비에라두프 즈드루이에서 프루드니크까지 440 km)의 경로에 있으며, 주요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오늘날, 크르코노셰산맥은 여름과 겨울 모두 인기 있는 휴가 목적지이다.

이 산맥은 주 능선을 따라 "폴란드-체코 우호 트레일"이라고 불리는 국경을 넘나드는 하이킹 코스가 지나간다. 시작점은 슈레니차에 있으며, 종착점은 오크라지 고개/포메즈니 보우디에 있으며, 트레일의 길이는 약 30km이고 난이도는 보통이다. 이 트레일은 스키 트레일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8. 2. 겨울 스포츠

크르코노셰산맥은 중부 유럽의 전통적인 겨울 스포츠 중심지이다. 가장 큰 산악 리조트는 체코 측의 페츠포트스녜슈코우, 슈핀들레루프믈린, 하라호프, 얀스케라즈네와 폴란드 측의 슈클라르스카포렘바, 카르파츠, 코바리에 위치해 있다.

아우구스트 나이드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는 1817년에 그렌츠바우덴(포메즈니 보우디)에서 슈미에데베르크(코바리)까지 10km의 썰매 타기를 묘사했다. 하지만 훨씬 이전에 무거운 썰매는 이미 목재와 건초를 운반했고, "히치'n"이라고 불리는 더 작고 기동성이 뛰어난 썰매는 능선에서 계곡으로 더 빨리 내려가는 데 사용되었다. 두 종류의 썰매 경주는 지역 주민들에게 인기 있는 오락이었으며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되었다. 썰매 타기가 점점 더 인기를 얻으면서 경주가 조직되었으며, 가장 인기 있고 가장 초창기 경주는 19세기 말 요한니스바트(얀스케라즈네)에서 열렸다. 1900년경에는 산 양쪽에서 긴 뿔 모양의 주자와 6,000개의 스포츠 썰매를 갖춘 3,930개의 썰매가 집계되었다.

노르딕 스키는 1880년 히르쉬베르크(옐레니아 고라)의 크라우제 박사가 슈테틴(슈체친)에서 노르웨이 스키를 구입했을 때 동시에 도입되었다. 이 중 한 쌍은 크르코노셰산맥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스키로 페테르바우데(페트로프카)에 놓였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그 목적을 알지 못했고, 프리드쇼프 난센의 "그린란드 횡단 (Paa ski over Grønland)"이 1891년에 독일어로 번역된 후에야 스키가 인기를 얻었다. 같은 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첫 번째 스키 제조업체가 목수 장인 프란츠 바우디슈에 의해 융부흐(믈라데부키)에 설립되었다. 주요 능선의 첫 번째 횡단은 1892/93년에 이루어졌다. 인기 있는 스포츠로서의 스키는 주로 산림 감시원, 교사, 기업가 및 사업가들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이들은 필요한 인프라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한 자금을 제공하고 가난한 사람들과 학교를 위한 장비를 후원했다.

페츠포트스녜슈코우의 스키 리조트


1900년경에 크르코노셰산맥에 여러 스포츠 클럽이 설립되었다. 당시 이 지역의 선도적인 역할은 오스트리아 스키 연맹(ÖSV)의 창립 클럽 12개 중 5개가 보헤미아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ÖSV의 사무실이 처음 3년 동안 호엔엘베(브르흐라비)에 위치해 있었으며(이후 과 마지막으로 인스브루크로 이전), ÖSV의 첫 번째 회장이 산 출신의 지역 주민인 귀도 로터였다는 사실에 의해 강조되었다. 슐레지엔 측의 클럽은 독일 스키 협회(DSV)에 속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창설 이후, 크르코노셰산맥의 보헤미아 측의 독일 클럽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모든 독일 겨울 스포츠 클럽을 위한 협회인 새롭게 설립된 HDW에 합류했고, 소수의 체코인들은 모든 체코 겨울 스포츠 클럽을 위한 협회인 '스바즈 리자루'에 합류했다.

크르코노셰산맥의 도시와 마을은 국내 및 국제 대회의 인기 있는 장소가 되었으며, 이곳의 선수들은 당시 최고의 선수들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첫 번째 독일 노르딕 복합 챔피언은 현지인이었고, 대회 자체는 슈라이버하우(슈클라르스카포렘바)에서 개최되었다. 슈라이버하우는 또한 여러 루지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이웃 브뤼켄베르크(카르파츠) 출신의 마틴 티에츠와 그의 여동생 프리델은 여러 번 유럽 루지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오늘날의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의 전신인 첫 번째 랑데부 경주는 요한니스바트에서 개최되었으며, 대부분의 대회에서 HDW 선수들이 우승했다.

8. 3. 산악자전거

크르코노셰산맥 국립공원에는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사이클링 및 크로스컨트리 도로, 자연 싱글 트랙, 까다로운 바위 정원 내리막 코스가 있다. 산악 자전거 트레일은 폴란드와 체코 국경을 넘어 숲이 우거진 산비탈, 푸른 목초지, 호수, 차가운 강을 배경으로 펼쳐져 있다.

8. 4. 주요 관광 도시

국가도시비고
체코하라호프
폴란드카르파츠스키 리조트
폴란드코바리
체코얀스케 라즈네
체코페츠 포트 스녜슈코우산악 리조트
폴란드슈클라르스카 포렘바스키 리조트
체코슈핀들레루프믈린산악 리조트


참조

[1] 웹사이트 Karkonoski National Park http://www.staff.amu[...] University of Adam Mickiewicz 2013-01-13
[2] 웹사이트 The Krkonoše / Karkonosze Transboundary Biosphere Reserve (BRKK) http://www.krnap.cz/[...]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e Organization 2013-01-13
[3] 서적 Nieuwentyt
[4] 웹사이트 Geographishe Namen in den Böhmischen Ländern – ein Online-Wörterbuch von Walter Sperling Prof. em. Dr. Walter Sperling 2016-03-03
[5] 웹사이트 Historické proměny krajiny Krkonoš http://titek.wz.cz/t[...] 2003-04-17
[6] 웹사이트 O nazewnictwie Sudetów http://klub.sudecki.[...] Sudety Klub of Poznan 2011-08-19
[7] 웹사이트 Prof. em. Dr. Walter Sperling http://www.walterspe[...] 2012-05-05
[8] 간행물 Der Wanderer im Riesengebirge Deutscher Riesengebirgsverein (RGV), Wilh. Gottl. Korn
[9] 논문 High-mountain elements in the geomorphology of the Sudetes, Bohemian Massif, and their significance 2008
[10] 논문 Zatrudnienie jeńców belgijskich, francuskich i radzieckich przy budowie Drogi na Przełęcz Karkonoską (Spindlerpaßstraße) 1940–1942
[11] 간행물 Obozy pracy przymusowej i obozy jenieckie na Ziemi Jeleniogróskiej w latach 1939–1945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12] 문서 Przerwa
[13] 웹사이트 veselyvylet.cz http://www.veselyvyl[...] 2013-09-01
[14] 웹사이트 veselyvylet.cz http://www.veselyvyl[...] 2013-09-01
[15] 웹사이트 veselyvylet.cz http://www.veselyvyl[...] 2013-09-01
[16] 웹사이트 veselyvylet.cz http://www.veselyvyl[...] 2013-09-01
[17] 간행물 Rozporządzenie Ministra Administracji Publicznej http://www.wielka-ko[...]
[18] 서적 Auf dem Gipfel von Berlin – Ein Spaziergang durch den Viktoriapark in Kreuzberg Verein zur Erforschung und Darstellung der Geschichte Kreuzbergs and Bezirksmuseum Friedrichshain-Kreuzberg (eds.)
[19] 서적 Baedeker]]s Berlin-Kreuzberg: Bezirksführer
[20] 웹사이트 Riesengebi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